KR20200001093U - 자력 흡착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력 흡착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93U
KR20200001093U KR2020197000055U KR20197000055U KR20200001093U KR 20200001093 U KR20200001093 U KR 20200001093U KR 2020197000055 U KR2020197000055 U KR 2020197000055U KR 20197000055 U KR20197000055 U KR 20197000055U KR 20200001093 U KR20200001093 U KR 202000010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d
contact
storage space
shap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7000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후이 쟝
Original Assignee
션젼 치회이 프리시젼 하드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9105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01093(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션젼 치회이 프리시젼 하드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션젼 치회이 프리시젼 하드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227000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837U/ko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9/08750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201354A1/zh
Publication of KR20200001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분야에 속하고, 특히 자력 흡착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력 흡착형 커넥터는 수컷 커넥터 및 암컷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컷 커넥터는 판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판형 모듈은 판형체와 상기 판형체 위에 설치된 접촉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수컷 커넥터 위에는 판형부가 설치되고, 상기 판형부 위에는 도전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수컷 커넥터와 상기 암컷 커넥터가 자력에 의해 흡착될 때 상기 접촉 단자와 상기 도전 단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된다. 수컷 커넥터 위에 판형부가 형성되고, 암컷 커넥터 위에 판형체가 형성되고, 수컷 커넥터와 암컷 커넥터가 자력에 의해 흡착될 때 판형부와 판형체의 삽입 결합에 의해 연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력 흡착형 커넥터
본 고안은 커넥터 분야에 속하고 특히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주 상용하고 있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는 포고핀(pogo pin)을 단자로서 사용하고, 자력에 의해 수컷 커넥터와 암컷 커넥터를 흡착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한다. 이 접속 방법은 접속의 안정성이 좋지 않고, 대전류에 사용할 수 없고, 제조 비용이 많이 드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력 흡착과 삽입 방법에 의해 접속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공고 번호 제CN105896168A호 중국 특허에 공개된 커넥터에 있어서, 수컷 커넥터 위에 요부를 설치하고, 암컷 커넥터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자력 흡착 방법과 돌출부를 요부에 결합시키는 결합 방법에 의해 전기 접속을 진행하는 동시에 접속의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수컷 커넥터 위에 요부를 설치하고, 암컷 커넥터에 돌출부를 설치할 수 있지만, 수컷 커넥터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요부의 길이를 과도하게 길게 할 수 없다. 즉 요부에 결합되는 단자의 길이가 짧으므로 커넥터 자체의 구조를 통하여 충분한 탄력을 획득할 수 없고, 커넥터를 제조할 때 핀과 대응하는 단자 모듈의 단자의 일면을 일정하게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접촉을 안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중국 특허공고번호 제105896168A호(2016.08.24. 공고)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 자력 흡착형 커넥터와 이 자력 흡착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적 수단으로서 아래와 같은 자력 흡착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자력 흡착형 커넥터는 수컷 커넥터 및 암컷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컷 커넥터는 판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판형 모듈은 판형체와 상기 판형체 위에 설치된 접촉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수컷 커넥터 위에는 판형부가 설치되고, 상기 판형부 위에는 도전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수컷 커넥터와 상기 암컷 커넥터가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될 때 상기 접촉 단자와 상기 도전 단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형체 위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판형체를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할 때 상기 접촉 단자와 상기 판형부 위의 도전 단자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형부에 근접되어 있는 접속 두부의 일측에는 돌출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판형부 사이에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형부를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할 때 상기 판형체는 상기 요부 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컷 커넥터는 제1 자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체는 상기 판형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판형체는 상기 제1 자석체에서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컷 커넥터는 제2 자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체는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 자석체와 상기 제1 자석체는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컷 커넥터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형 모듈과 상기 제1 자석체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체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수컷 커넥터는 상기 제1 자석체에서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암컷 커넥터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판형부는 모두 스트립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단자는 두 줄로 배열되고, 그중의 한 줄의 접촉 단자는 순서 대로 배열된 GND, V+, D+, D이며, 다른 한 줄은 반대 순서로 배열되고, 두 줄의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수납 공간의 양측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도전 단자는 상기 접촉 단자와 대응하도록 상기 판형부의 두 표면 위에 한 줄 또는 두 줄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판형부는 모두 스트립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단자는 두 줄로 배열되고, 상기 도전 단자는 상기 접촉 단자와 대응하도록 상기 판형부의 두 표면 위에 한 줄 또는 두 줄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판형부는 모두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단자와 상기 도전 단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단자는 탄성 도체이며, 상기 도전 단자와 상기 접촉 단자는 탄성 접촉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단자의 단부가 구부러진 것에 의하여 만곡부가 형성되고, 표면에 도전 단자가 설치된 상기 판형체를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할 때 상기 판형체가 상기 접촉 단자의 만곡부에 당접되는 것에 의해 탄성 접촉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판형체를 관통하고, 상기 만곡부에서 떨어져 있는 상기 접촉 단자의 일단은 상기 수납 공간에서 밖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회로 기판에 전기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형부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는 길이는 0.6∼1.2mm이며, 상기 판형부를 삽입시키는 상기 수납 공간의 일단에는 귀접기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형부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는 길이는 1.8∼2.2mm이거나 또는 1.5∼2.2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형부를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할 때 상기 접촉 단자와 도전 단자가 면접촉을 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되고, 도전 단자와 접촉 단자가 접촉하는 곳의 폭은 0.4∼1.5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형부는 돌추부의 내벽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성형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요부에는 상기 판형 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판형 모듈을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요부에 수납시킬 때 상기 접촉 단자와 도전 단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단자의 길이는 5∼1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단자의 길이는 6∼8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형부의 두께는 0.6∼1.2mm이거나 또는 0.3∼2.5mm이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자력 흡착형 커넥터에 의해 아래와 같은 고안의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1. 수컷 커넥터 위에 판형부가 형성되고, 암컷 커넥터 위에 판형체가 형성되어 있고, 수컷 커넥터와 암컷 커넥터가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될 때 판형부와 판형체가 삽입 결합되는 것에 의해 연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수컷 커넥터 위에 판형부가 형성되고, 암컷 커넥터 위에 판형체가 형성되어 있고, 수컷 커넥터와 암컷 커넥터가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될 때 판형부와 판형체가 삽입 결합되는 것에 의해 연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판형체 위에 수납 공간이 설치되고, 판형체는 암컷 커넥터 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컷 커넥터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어 접촉 단자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접촉 단자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접촉 단자와 판형부가 접촉할 때 접촉 단자에 충분한 탄력을 부여하고, 사이즈가 작은 판형부도 안정하게 고정시키거나 또는 판형체를 접촉 단자에서 쉽게 뽑아 낼 수 있고, 충분한 탄력에 의해 접촉 단자와 도전 단자가 긴밀히 접촉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3. 암컷 커넥터 위에 수납 공간이 설치되고, 수납 공간의 상대하는 양측 내벽에는 접촉 단자가 설치되어, 판형체를 수납 공간에 직접 삽입하여 접촉 단자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포고핀(pogo pin) 접속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접촉 단자의 가로 방향의 단면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양호한 전기 전도성을 확보하고, 접속 불량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4. 접촉 단자는 탄성 도체이며, 접촉 단자와 판형부를 접촉시킬 때 접촉 단자는 판형부와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변형되므로 접촉 단자는 접촉 단자에 탄성으로 접촉될 수 있다. 하기에 판형부와 접촉 단자가 접촉할 때 접촉 단자에 일정한 탄력이 부여되는 것에 의하여 접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접촉 단자와 판형부 사이의 전기 접속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5. 판형부의 일면 또는 두면 위에는 도전 단자가 설치되고, 판형부를 수납 공간에 삽입시켜 접촉 단자와 접촉시킬 때 판형부를 정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모두 전기 접속을 획득할 수 있다.
6. 판형부가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는 길이는 0.6∼1.2mm, 1.8∼2.2mm 또는 1.5∼2.2mm이고, 판형부를 삽입시키는 수납 공간의 일단에 귀접기가 형성된 것에 의해 판형부를 수납 공간에 삽입시키거나 또는 수납 공간에서 뽑아 낼 때 판형부와 수납 공간 사이에 일정한 각도가 존재하여도 괜찮다. 즉 판형부와 판형 모듈의 위치를 딱 맞게 맞출 필요가 없고 판형부와 수납 공간 사이에 일정한 각도가 존재할 수 있고, 판형체를 삽입시키거나 또는 뽑아 낼 때 판형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제1 자석체와 제2 자석체가 서로 흡착되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자력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8. 제1 자석체와 판형 모듈을 케이스 내에 같이 수납시킬 때 제1 자석체와 케이스의 일단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에 제2 자석체와 일부분의 수컷 커넥터를 수납시킬 수 있고, 수컷 커넥터를 판형 모듈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때 수컷 커넥터의 주위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수컷 커넥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결합시킬 때 커넥터의 위치를 신속히 결정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9. 접촉 단자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접촉 단자의 「지레 법칙」에 의해 큰 결합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접촉 단자는 판형부에 큰 결합력을 주고, 접속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력 흡착형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암컷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암컷 커넥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판형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판형 모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판형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수컷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수컷 커넥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수컷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수컷 커넥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수컷 커넥터와 암컷 커넥터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암컷 커넥터가 여러가지 수컷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기술적 사항 및 고안의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의 도면과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력 흡착형 커넥터(10)는 암컷 커넥터(20) 및 수컷 커넥터(30)를 포함하고,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는 자력 흡착에 의해 연결되고,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의 삽입 결합에 의해 양자간의 전기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자력 흡착형 커넥터(10)를 통하여 전자 장치의 충전과 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할 때 자력 흡착형 커넥터(10)를 여러가지 전자 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수컷 커넥터(30)를 선택해서 자력 흡착을 통하여 암컷 커넥터(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a∼2b를 참조하면, 암컷 커넥터(20)는 판형 모듈(201), 제1 자석체(203) 및 케이스(205)를 포함한다. 제1 자석체(203)는 판형 모듈(201)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자석체(203)와 판형 모듈(201)은 케이스(205) 내에 같이 수납된다. 제1 자석체(203)는 자력에 의해 수컷 커넥터(30)에 흡착되고, 판형 모듈(201)이 수컷 커넥터(30)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획득한다.
제1 자석체(203)는 환상으로 형성되고 판형체(2011)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지만, 제1 자석체(203)는 반원형, 장방체 등으로 형성되고 판형 모듈(201)과 수컷 커넥터(30)가 결합되는 개소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자력 흡착에 의해 수컷 커넥터(30)에 결합될 수 있고, 판형 모듈(201)과 수컷 커넥터(30) 사이의 결합을 실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205)와 제1 자석체(203)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케이스(205)에 자력을 부여하는 한편 자력 흡착에 의해 케이스(205)를 수컷 커넥터(3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석체(203)와 판형 모듈(201)을 같이 케이스(205) 내에 수납시킬 때 제1 자석체(203)와 케이스(205)의 일단 사이에 틈 H가 형성되므로, 자력 흡착에 의해 수컷 커넥터(30)를 제1 자석체(203)에 결합시킬 때 수컷 커넥터(30)를 상기 틈새에 수납시킬 수 있다. 즉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를 결합시킬 때, 수컷 커넥터(30)를 제1 자석체(203)에서 틈새 H만큼 떨어져 있는 상기 케이스(205)의 일단으로부터 케이스(205)에 삽입하고, 자력 흡착에 의하여 수컷 커넥터(30)를 제1 자석체(203)에 흡착시키고, 수컷 커넥터(30)를 판형 모듈(201)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수컷 커넥터(30)의 일부분이 케이스(205)내에 수납되므로, 수컷 커넥터(30)를 암컷 커넥터(20)에 결합시킬 때 수컷 커넥터(30)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1 자석체(203)와 판형 모듈(201)을 같이 케이스(205) 내에 수납시킬 때 판형 모듈(201)과 케이스(205)의 일단 사이에 틈새 S가 형성되고, S?H인 것에 의해 판형 모듈(201)은 제1 자석체(203)에서 돌출되어 있다.
제1 자석체(203) 및 케이스(205)와 또는 판형 모듈(201)의 일단을 평탄하게 할 수도 있다. 자력 흡착에 의해 제1 자석체(203)를 수컷 커넥터(30)에 결합시키고, 판형 모듈(201)과 수컷 커넥터(30) 사이의 전기 접속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도 3a∼3c를 참조하면, 판형 모듈(201)은 판형체(2011), 접촉 단자(2013) 및 회로 기판(2015)을 포함한다. 접촉 단자(2013)는 판형체(20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회로 기판(2015)에 전기 접속된다. 수컷 커넥터(30)를 판형 모듈(201)에 결합시킬 때 접촉 단자(2013)가 수컷 커넥터(30)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실시하고, 수컷 커넥터(30)와 회로 기판(2015) 사이의 전기 접속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형체(2011) 위에는 판형체(2011)를 관통하는 수납 공간(2012)이 형성되고, 접촉 단자(2013)는 수납 공간(2012)의 내벽에 설치된다. 수컷 커넥터(30)를 판형 모듈(201)에 결합시킬 때 수컷 커넥터(30)의 일부분은 수납 공간(2012)에 삽입되고, 수컷 커넥터(30)와 수납 공간(2012) 내의 접촉 단자(2013)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된다.
접촉 단자(2013)는 수납 공간(2012)의 양측 내벽면 위에 평행으로 설치되고, 그중의 한 줄의 접촉 단자(2013)는 순서 대로 배열된 GND, V+, D+, D이며, 다른 한 줄은 반대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수컷 커넥터(30)와 접촉하는 개소에서 떨어져 있는 접촉 단자(2013)의 일단이 회로 기판(2015)의 상대하는 양면에 각각 접속되는 것에 의해, 수컷 커넥터(30)와 회로 기판(2015) 사이의 전기 접속을 실현한다.
접촉 단자(2013)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도체이며, 회로 기판(2015)의 일측에서 떨어져 있는 접촉 단자(2013)의 일단은 수납 공간(2012)의 내벽에서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것에 의해 만곡부(2017)가 형성된다. 수컷 커넥터(30)를 판형 모듈(201)에 결합시킬 때 만곡부(2017)와 수컷 커넥터(30) 사이에 탄성 접촉이 형성된다. 즉 접촉 단자(2013)와 수컷 커넥터(30)를 연결시킬 때 수컷 커넥터(30)에 의해 그 양측의 접촉 단자(2013)가 변형되므로, 양측의 접촉 단자(2013)에 수컷 커넥터(30) 측으로 향하는 탄력이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보다 안정되고, 보다 좋은 접속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만곡부(2017)에서 떨어져 있는 접촉 단자(2013)의 일단이 수납 공간(2012)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회로 기판(2015)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촉 단자(2013)는 소정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 만곡부(2017)는 충분한 탄력을 가지고,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삽입시킬 때 접촉 단자(2013)에 충분한 탄력을 부여하고, 접촉 단자(2013)를 판형부(3011)에 긴밀히 접촉시킬 수 있다.
도 4a∼4d를 참조하면, 수컷 커넥터(30)는 접속 두부(301)와 제2 자석체(303)를 포함하고, 제2 자석체(303)는 접속 두부(301)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접속 두부(301)에 접속된다. 제2 자석체(303)와 제1 자석체(203)가 자력 흡착에 의해 접속되는 것에 의해,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 사이의 자력 흡착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자석체(303)와 제1 자석체(203)가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것에 의해, 접속 두부(301)는 판형 모듈(201)에 결합되고, 전기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자석체(303)에 근접되어 있는 접속 두부(301)의 일측에는 판형부(3011)가 형성되고,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를 결합시킬 때 제2 자석체(303)와 제1 자석체(203)가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되고, 판형부(3011)가 수납 공간(2012)에 삽입되는 동시에 접촉 단자(2013)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된다. 즉 판형부(3011)는 수납 공간(2012)의 내부 양측 접촉 단자에 삽입되어 당접된다. 상기 판형부(3011)의 두께는 0.6∼1.2mm 또는 0.3∼2.5mm이다.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두 만곡부(2017) 사이의 거리가 판형부(3011)의 두께 B보다 작으므로,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삽입시킬 때 접촉 단자(2013)가 판형부(3011)에 당접되어 압력을 받는 것에 의해 접촉 단자(2013)가 변형되는 동시에 판형부(3011) 측으로 향하는 탄력이 형성된다. 하기에 판형부(3011)와 접촉 단자(2013) 사이의 탄성 접촉을 실현할 수 있다. 접촉 단자(2013)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있고, 접촉 단자(2013)의 「지레 법칙」에 의해 큰 결합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 단자(2013)는 판형부(3011)에 큰 결합력을 주고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촉 단자(2013)의 길이는 5∼10mm이거나 또는 6∼8mm일 수 있다. 회로 기판(2015)에서 떨어져 있는 접촉 단자(2013)의 일단과 수납 공간(2012)의 내벽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접촉 단자(2013)가 판형부(3011)에 당접될 때 접촉 단자(2013)는 틈새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로 기판(2015)에서 떨어져 있는 접촉 단자(2013)의 일단과 수납 공간(2012)의 내벽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접촉 단자(2013)가 판형부(3011)에 당접될 때 접촉 단자(2013)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삽입시킬 때 판형부(3011)와 접촉 단자(2013) 사이의 탄성 접속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제2 자석체(303)는 환상으로 형성되고 판형부(3011)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지만, 제2 자석체(303)는 반원형, 장방체형 등으로 형성되고 접속 두부(301)와 판형 모듈(201)이 결합되는 개소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자력 흡착에 의해 수컷 커넥터(30)에 결합되고, 판형 모듈(201)과 수컷 커넥터(30) 사이의 결합을 실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자석체(203)와 제2 자석체(303) 중에서 임의의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자석에 흡착될 수 있는 금속 재료일 수 있다.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자석체(203)와 제2 자석체(303)가 모두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두부(301)와 제2 자석체(303)의 사이즈는 케이스(205)의 사이즈에 대응된다.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를 결합시킬 때 제2 자석체(303)는 케이스(205) 내에 수납되는 동시에 케이스(205)의 내벽에 당접되고, 접속 두부(301)의 일부분은 케이스(205)내에 수납된다.
판형부(3011) 위에는 도전 단자(도시하지 않았음)가 설치되고, 수납 공간(2012)내에 삽입된 판현부(3011)는 접촉 단자(2013)에 접촉되며, 판형부(3011) 위의 도전 단자와 접촉 단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된다. 즉 접촉 단자(2013)와 판형부(3011)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전기 접속은 판형부(3011)와 도전 단자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전기접속이다.
판형부(3011)의 일면 또는 서로 상대하는 두면 위에는 도전 단자가 설치되고, 접촉 단자(2013)는 수납 공간(2012)의 상대하는 양측 내벽에 설치된다. 판형부(3011)를 접촉 단자(2013)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때 판형부(3011)를 180° 회전시킨 후 접촉 단자(2013)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도전 단자를 일측의 접촉 단자(2013)에 접촉시킬 수도 있다. 판형부(3011)을 정방향 또는 반대 방향(즉 판형부를 180° 회전시킨 방향)으로 접촉 단자(2013)에 삽입시킬 수 있다.
판형부(3011)위의 도전 단자를 판형부(3011)의 일면에만 설치하고, 수납 공간(2012) 내의 접촉 단자(2013)도 수납 공간(2012)의 일측의 내벽 위에만 설치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도전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판형부(3011)의 일면을 접촉 단자(2013)가 설치되어 있는 수납 공간(2012)의 일측에 대응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판형부(3011)의 형상을 원주형으로 형성하고 도전 단자를 판형부(3011)의 원주형 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럴 경우 판형체(2011) 위에 설치된 수납 공간(2012)의 형상을 판형부(3011)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주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하기에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삽입하고, 도전 단자와 접촉 단자(2013)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 단자와 접촉 단자(2013)의 접촉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할 때 바람직한 접촉 방법은 면접촉을 형성하는 것이다. 면접촉에 의한 전기 접속과 점접촉 또는 선접촉에 의한 전기 접속을 비교하여 보면 면접촉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크므로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전 단자와 접촉 단자(2013)는 모두 상대하는 두 주요 표면을 포함하고, 도전 단자의 주요 표면과 접촉 단자(2013)의 주요 표면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면접촉이 형성된다. 도전 단자와 접촉 단자가 접촉하는 곳의 넓이는 0.4mm∼1.5mm이다.
판형부(3011)에 근접되어 있는 접속 두부(301)의 일측에는 돌출부(3013)가 더 설치되고, 돌출부(3013)는 판형부(3011)의 주위에 환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자석체(303)가 돌출부(3013) 위에 장착된 것에 의해 제2 자석체(303)와 접속 두부(301)의 연결을 보다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3013)와 판형부(3011) 사이에는 요부(3015)가 형성되고, 판형부(3011)을 수납 공간(2012)에 삽입할 때 판형체(2011)는 요부(3015) 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판형체(2011)의 사이즈는 요부(3015)의 사이즈에 대응된다. 본 고안의 변형예에 있어서, 돌출부(3013)와 판형부(3011)는 일체로 성형되고, 판형부(3011)는 돌출부(3013)의 내벽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성형될 수 있다. 판형부(3011) 위에는 도전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3013)에 의해 형성된 요부(3015) 내에 판형 모듈(201)을 수납시킬 수 있다. 판형 모듈(201) 위에는 접촉 단자(2013)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 단자(2013)와 도전 단자는 탄성 접촉을 한다. 접촉 단자(2013)의 「지레 법칙」에 의해 큰 결합력이 형성되고, 판형부(3011)와 접촉하는 접촉 단자(2013)의 일측에 압력을 주므로 접촉 단자(2013)는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판형부(3011) 측으로 향하는 탄력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판형부(3011)와 접촉 단자(2013) 사이의 탄성 접촉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자석체(303)와 돌출부(3013)는 일체로 성형되고, 돌출부(3013)는 제2 자석체(303)로 될 수 있다. 제2 자석체(303)는 판형부(3011)의 주위에 직접 장착되고, 제2 자석체(303)와 판형부(3011) 사이에 요부가 형성될 수 있다.
판형부(3011)와 접촉 단자(2013) 사이의 삽입과 결합을 용이하게 실시하고, 결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판형부(3011)가 수납 공간(2012) 내에 삽입되는 길이 L을 0.6∼1.2mm, 1.8∼2.2mm, 1.5∼2.2mm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길이 L을 0.8∼1.0mm으로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길이 L을 0.9mm으로 한다. 판형부(3011)가 수납 공간(2012) 내에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하기 위하여 수납 공간(2012) 내에 위치 결정부(도시하지 않았음)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판형부(3011)가 수납 공간(2012) 내에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할 수 있다.
삽입과 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삽입시킬 때 판형부(3011)의 당초 위치가 수납 공간(2012)에 평행으로 배치되지 않았거나 또는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서 뽑아 낼 때 판형부(3011)가 판자장부(3011)의 길이 L 방향으로 뽑히지 않아도, 판형부(3011)를 접촉 단자(2013)가 설치된 수납 공간(2012)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거나 또는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서 용이하게 뽑아 낼 수 있고, 판형부(30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
판형부(3011)를 삽입시키는 수납 공간(2012)의 일단에 귀접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삽입시키거나 또는 수납 공간(2012)에서 뽑아 내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컷 커넥터(30) 위에 수납 공간(2012)을 설치하고, 수납 공간(2012) 내에 접촉 단자(2013)를 설치하고, 접촉 단자(2013)와 접속 두부(301)의 접속에 의해 전기 접속을 할 수 있다. 또한, 암컷 커넥터(20) 위에 판형부(3011)를 설치하고, 판형부(3011) 위에 도전 단자를 설치하고, 판형부(3011)와 회로 기판(2015)의 접촉에 의해 전기 접속을 할 수 있다.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를 자력에 의해 흡착시키고,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수납 공간(2012)에서 뽑아 낼수 있고, 또한 판형부(3011)와 접촉 단자(2013)의 접촉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판형부(3011) 위에 접촉 단자(2013)를 설치하고, 판형체(2011)의 수납 공간(2012)의 내벽에 도전 단자를 설치하고, 도전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 단자(2013)의 일단은 판형부(3011)에서 떨어져 가는 방향으로 구부려지고,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삽입할 때 접촉 단자(2013)와 도전 단자의 접촉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 단자와 접촉 단자(2013)의 접촉은 탄성 접촉이다.
도 5a∼도 5b를 참조하면, 자력에 의해 자력 흡착형 커넥터(10)를 흡착시킬 때, 판형부(3011)가 설치되어 있는 접속 두부(301)의 일측을 암컷 커넥터(20)에 접근시키고, 제2 자석체(303)와 제1 자석체(203)를 자력에 의해 흡착시키고,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삽입하여 접촉 단자(2013)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한다. 자력 흡착형 커넥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속 두부(301)를 암컷 커넥터(20)에서 뽑아 내는 것을 통하여,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서 뽑아 내고, 판형부(3011)와 접촉 단자(2013)에 의해 형성된 전기 접속을 절단할 수 있다.
회로 기판(2015)을 외부 전원에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판형부(3011)에서 떨어져 있는 접속 두부(301)의 일측을 외부의 전자 장치에 접속시킨 후, 판형부(3011)와 접촉 단자(2013)를 전기 접속시키는 것에 의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접속 두부(301)는 라이트닝(lightning) 플러그, 안드로이드 플러그, 씨타입(type-c) 플러그 등일 수 있지만, 외부의 전자 장치와 전기 접속을 형성하는 한편 일측에 암컷 커넥터(20)와 결합되는 판형부(3011)가 설치된 구조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접속 두부(301)와 암컷 커넥터(20)의 결합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하는 이외에, 데이터의 전송을 하거나 또는 전기 접속과 데이터의 전송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케이스(205)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제2 자석체(303)와 제1 자석체(203)를 자력에 의해 흡착시키고, 판형부(3011)를 수납 공간(2012)에 삽입하여 접촉 단자(2013)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본 고안에 있어서, 자력 흡착형 커넥터(10)를 구비하는 장치를 더 제공하고, 암컷 커넥터(20)는 상기 장치 위에 설치되고 회로 기판(2015)을 통하여 암컷 커넥터(20)와 전기 접속을 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외부 전원에 접속되거나 또는 장치의 전원에 접속되므로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자 장치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자력 흡착형 데이터 라인(data line)이고, 암컷 커넥터(20)는 회로 기판(2015)에 의해 선재에 전기 접속되고, 선재의 타단은 유에스비(USB) 커넥터이며, 수컷 커넥터(30), 암컷 커넥터(20) 및 선재에 의해 자력 흡착형 데이터 라인(data lin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휴대형 전원이며, 암컷 커넥터(20)는 회로 기판(2015)에 의해 휴대형 전원에 전기 접속되고, 전자 장치에 접속된 수컷 커넥터(30)를 암컷 커넥터(20)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전자 장치를 충전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메모리 장치이며, 암컷 커넥터(20)는 회로 기판(2015)에 의해 메모리 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접속되고, 수컷 커넥터(30)는 전자 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접속되고, 자력 흡착에 의해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메모리 장치와 전자 장치를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 내의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에 전송하거나 또는 메모리 장치 내의 데이터를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10)가 설치된 유에스비(USB) 메모리 또는 휴대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어댑터이며, 암컷 커넥터(20)는 어댑터의 일단에 전기 접속되고, 어댑터의 타단은 마이크로(micro), 유에스비(USB), 라이트닝(lighting), 씨타입(type-c) 타입의 커넥터이고, 수컷 커넥터(30), 암컷 커넥터(20) 및 어댑터의 결합에 의해 부동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전자 장치를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데이터 라인(data line), 휴대형 전원, 어댑터, 유에스비(USB) 메모리, 휴대형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일 수 있고, 그 위에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10)가 설치될 수 있다.
암컷 커넥터(20)와 상기 장치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암컷 커넥터(20)는 상기 장치 위에 직접 설치되고, 자력 흡착에 의해 수컷 커넥터(30)와 암컷 커넥터(20)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자력 흡착형 커넥터에 의해 아래와 같은 고안의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1. 수컷 커넥터 위에 판형부가 형성되고, 암컷 커넥터 위에 판형체가 형성되어 있고, 수컷 커넥터와 암컷 커넥터가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될 때 판형부와 판형체가 삽입 결합되는 것에 의해 연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수컷 커넥터 위에 판형부가 형성되고, 암컷 커넥터 위에 판형체가 형성되어 있고, 수컷 커넥터와 암컷 커넥터가 자력에 의해 서로 흡착될 때 판형부와 판형체가 삽입 결합되는 것에 의해 연결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판형체 위에 수납 공간이 설치되고, 판형체는 암컷 커넥터 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컷 커넥터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어 접촉 단자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접촉 단자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접촉 단자와 판형부가 접촉할 때 접촉 단자에 충분한 탄력을 부여하고, 사이즈가 작은 판형부도 안정하게 고정시키거나 또는 판형체를 접촉 단자에서 쉽게 뽑아 낼 수 있고, 충분한 탄력에 의해 접촉 단자와 도전 단자가 긴밀히 접촉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3. 암컷 커넥터 위에 수납 공간이 설치되고, 수납 공간의 상대하는 양측 내벽에는 접촉 단자가 설치되어, 판형체를 수납 공간에 직접 삽입하여 접촉 단자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포고핀(pogo pin) 접속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접촉 단자의 가로 방향의 단면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양호한 전기 전도성을 확보하고, 접속 불량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4. 접촉 단자는 탄성 도체이며, 접촉 단자와 판형부를 접촉시킬 때 접촉 단자는 판형부와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변형되므로 접촉 단자는 접촉 단자에 탄성으로 접촉될 수 있다. 하기에 판형부와 접촉 단자가 접촉할 때 접촉 단자에 일정한 탄력이 부여되는 것에 의하여 접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접촉 단자와 판형부 사이의 전기 접속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5. 판형부의 일면 또는 두면 위에는 도전 단자가 설치되고, 판형부를 수납 공간에 삽입시켜 접촉 단자와 접촉시킬 때 판형부를 정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모두 전기 접속을 획득할 수 있다.
6. 판형부가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는 길이는 0.6∼1.2mm, 1.8∼2.2mm 또는 1.5∼2.2mm이고, 판형부를 삽입시키는 수납 공간의 일단에 귀접기가 형성된 것에 의해 판형부를 수납 공간에 삽입시키거나 또는 수납 공간에서 뽑아 낼 때 판형부와 수납 공간 사이에 일정한 각도가 존재하여도 괜찮다. 즉 판형부와 판형 모듈의 위치를 딱 맞게 맞출 필요가 없고 판형부와 수납 공간 사이에 일정한 각도가 존재할 수 있고, 판형체를 삽입시키거나 또는 뽑아 낼 때 판형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제1 자석체와 제2 자석체가 서로 흡착되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자력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8. 제1 자석체와 판형 모듈을 케이스 내에 같이 수납시킬 때 제1 자석체와 케이스의 일단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에 제2 자석체와 일부분의 수컷 커넥터를 수납시킬 수 있고, 수컷 커넥터를 판형 모듈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때 수컷 커넥터의 주위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수컷 커넥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결합시킬 때 커넥터의 위치를 신속히 결정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9. 접촉 단자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접촉 단자의 「지레 법칙」에 의해 큰 결합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접촉 단자는 판형부에 큰 결합력을 주고, 접속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본 고안이 호적한 실시예를 상술해 왔지만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예시에밖에 지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0 : 자력 흡착형 커넥터
20 : 암컷 커넥터
30 : 수컷 커넥터
201 : 판형 모듈
203 : 제1 자석체
205 : 케이스
2011 : 판형체
2012 : 수납 공간
2013 : 접촉 단자
2015 : 회로 기판
2017 : 만곡부
301 : 접속 두부
303 : 제2 자석체
3011 : 판형부
3013 : 돌출부
3015 : 요부

Claims (16)

  1. 자력 흡착형 커넥터이며, 상기 자력 흡착형 커넥터는 수컷 커넥터 및 암컷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컷 커넥터는 판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판형 모듈은 판형체와 상기 판형체 위에 설치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컷 커넥터 위에는 판형부가 설치되고, 상기 판형부 위에는 도전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수컷 커넥터와 상기 암컷 커넥터가 자력에 의해 흡착될 때 상기 접촉 단자와 상기 도전 단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체 위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판형체를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할 때 상기 접촉 단자와 상기 판형부 위의 도전 단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에 근접되어 있는 접속 두부의 일측에는 돌출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판형부 사이에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형부를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할 때 상기 판형체는 상기 요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컷 커넥터는 제1 자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체는 상기 판형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판형체는 상기 제1 자석체에서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컷 커넥터는 제2 자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체는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 자석체와 상기 제1 자석체는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컷 커넥터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형 모듈과 상기 제1 자석체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체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수컷 커넥터는 상기 제1 자석체에서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암컷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판형부는 모두 스트립형이고, 상기 접촉 단자는 두줄로 배열되고, 그 중의 한줄의 접촉 단자는 순세 대로 배열된 GND, V+, D+, D이며, 다른 한줄은 반대 순서로 배열되고, 두줄의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수납 공간의 양측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도전 단자는 상기 접촉 단자와 대응하도록 상기 판형부의 두 표면 위에 한줄 또는 두줄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판형부는 모두 스트립형이고, 상기 접촉 단자는 두줄로 배열되고, 상기 도전 단자는 상기 접촉 단자와 대응하도록 상기 판형부의 두 표면 위에 한줄 또는 두줄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판형부는 모두 원주형이고, 상기 접촉 단자와 상기 도전 단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는 탄성 도체이고, 상기 도전 단자와 상기 접촉 단자는 탄성 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의 단부가 구부러진 것에 의하여 만곡부가 형성되고, 표면에 도전 단자가 설치된 상기 판형체를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할 때 상기 판형체가 상기 접촉 단자의 만곡부에 당접되는 것에 의해 탄성 접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판형체를 관통하고, 상기 만곡부에서 떨어져 있는 상기 접촉 단자의 일단은 상기 수납 공간에서 밖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회로 기판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는 길이는 0.6∼1.2mm이고, 상기 판형부를 삽입시키는 상기 수납 공간의 일단에는 귀접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는 길이는 1.8∼2.2mm 또는 1.5∼2.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를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할 때 상기 접촉 단자와 도전 단자 사이에 면접촉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을 형성하고, 도전 단자와 접촉 단자가 접촉하는 곳의 넓이는 0.4∼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는 돌출부의 내벽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성형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요부에는 상기 판형 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판형 모듈을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요부에 수납시킬 때 상기 접촉 단자와 도전 단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의 길이는 5∼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의 길이는 6∼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의 두께는 0.6∼1.2mm이거나 또는 0.3∼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흡착형 커넥터.
KR2020197000055U 2018-04-18 2019-05-17 자력 흡착형 커넥터 KR202000010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7000014U KR20220000837U (ko) 2018-04-18 2019-05-17 자력 흡착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546884 2018-04-18
CN201821907579.XU CN209029597U (zh) 2018-04-18 2018-11-16 一种磁吸连接器及具有磁吸连接器的设备
CN201821907579.X 2018-11-16
CN201920534565.6U CN209592526U (zh) 2018-04-18 2019-04-18 一种磁吸连接器
CN201920534565.6 2019-04-18
PCT/CN2019/087501 WO2019201354A1 (zh) 2018-04-18 2019-05-17 一种磁吸连接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7000014U Division KR20220000837U (ko) 2018-04-18 2019-05-17 자력 흡착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93U true KR20200001093U (ko) 2020-05-27

Family

ID=669105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7000014U KR20220000837U (ko) 2018-04-18 2019-05-17 자력 흡착형 커넥터
KR2020197000055U KR20200001093U (ko) 2018-04-18 2019-05-17 자력 흡착형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7000014U KR20220000837U (ko) 2018-04-18 2019-05-17 자력 흡착형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96457B2 (ko)
JP (1) JP3236918U (ko)
KR (2) KR20220000837U (ko)
CN (2) CN20902959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377A (ko) * 2018-12-04 2020-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로 연장가능한 케이블과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멀티 어댑터
CN110718810B (zh) * 2019-11-01 2020-12-04 厦门鼎芯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磁吸导向插接的电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6168A (zh) 2016-05-31 2016-08-24 钟守明 一种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15Y2 (ja) * 1988-08-04 1994-04-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低挿入力電気コネクタ
FR2707806B1 (fr) * 1993-07-12 1995-09-29 Fels Const Electr Dispositif de connexion modulaire à grand débattement.
US6135781A (en) * 1996-07-17 2000-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US7329128B1 (en) * 2007-01-26 2008-02-12 The General Electric Company Cable connector
TWM366587U (en) * 2009-06-16 2009-10-11 nai-qian Zhang Connector with electronic removal-proof function
US9209547B2 (en) * 2012-06-08 2015-12-08 Apple Inc. Connector adapter
US9004953B2 (en) * 2012-09-27 2015-04-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ctrical connector
CN202957402U (zh) * 2012-12-10 2013-05-29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插座及电连接器插头
US9263818B2 (en) * 2013-01-04 2016-02-16 Google Inc.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receptacles and releasable connectors
KR101992523B1 (ko) * 2013-11-17 2019-06-24 애플 인크. 텅을 갖는 커넥터 리셉터클
CN203760751U (zh) * 2014-02-25 2014-08-0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TWI556525B (zh) * 2014-07-14 2016-11-0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plug
US9991628B2 (en) * 2014-07-21 2018-06-05 Daniel J Daoura Quick connect magnetic interface products and methods
US9515420B2 (en) * 2014-07-21 2016-12-06 Daniel J Daoura Quick connect interface
CN204720676U (zh) 2015-04-22 2015-10-21 周利明 Micro USB插头磁性转接装置
CN205081327U (zh) 2015-08-14 2016-03-09 张冠华 一种磁吸式正反插数据线连接结构
US9991657B2 (en) 2015-09-30 2018-06-05 Apple Inc. Magnetic adapter
EP3488501A4 (en) * 2016-07-21 2020-03-25 Canary Connect, Inc. REVERSIBLE CONNECTOR ASSEMBLY FOR POWER AND DATA
CN206272026U (zh) 2016-11-02 2017-06-20 曾冠杰 转接模块
CN107342517A (zh) * 2017-06-08 2017-11-10 东莞市江涵电子有限公司 一种usb功能型磁性线
CN108448347A (zh) 2018-04-18 2018-08-24 深圳市奇辉精密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磁吸连接器
US10333249B1 (en) * 2018-08-02 2019-06-25 Shenzhen Tongyinhai Precision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onnector with magnetic element and data transmission line us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6168A (zh) 2016-05-31 2016-08-24 钟守明 一种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37U (ko) 2022-04-19
US20210234302A1 (en) 2021-07-29
CN209029597U (zh) 2019-06-25
CN209592526U (zh) 2019-11-05
JP3236918U (ja) 2022-03-31
US11296457B2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3848B2 (en) Connector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TWI663793B (zh) 電連接器
US9685733B2 (en) Magnetic connector assembly
US9806458B1 (en) Electrically connecting device, electrical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US8475000B2 (en) Connector, and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connector
US20130040470A1 (en) Magnetic insert and receptacle for connector system
US9419377B2 (en) Dual orient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318831B2 (en) Connector
TWM497366U (zh) 電連接器組合
TWI596836B (zh) 用於直接電接觸一電路板的插接連接手段(二)
US20130137308A1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05576407A (zh) 一种卡扣式毛纽扣电连接器
KR20200001093U (ko) 자력 흡착형 커넥터
KR20230001949U (ko) 자력 흡착형 커넥터
WO2019201354A1 (zh) 一种磁吸连接器
JP2008047417A (ja) 電気コネクター用端子及び該端子をそなえた電気コネクター
CN211719877U (zh) 一种磁吸连接器及具有磁吸连接器的设备
CN204333361U (zh) 探针式连接器结构
TWI531125B (zh) 電源連接器
TWI525924B (zh) 電連接器及其導電端子
TW202007020A (zh) 插座連接器及電連接器總成
KR101578837B1 (ko) 면 접촉식 커넥터
TWI462400B (zh) Connector module
KR101525168B1 (ko) 고전류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789;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789;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