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73U - 형광장식 발현 앨범 - Google Patents

형광장식 발현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73U
KR20200001073U KR2020180005288U KR20180005288U KR20200001073U KR 20200001073 U KR20200001073 U KR 20200001073U KR 2020180005288 U KR2020180005288 U KR 2020180005288U KR 20180005288 U KR20180005288 U KR 20180005288U KR 20200001073 U KR20200001073 U KR 202000010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album
weight
lay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055Y1 (ko
Inventor
강미현
Original Assignee
강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현 filed Critical 강미현
Priority to KR2020180005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5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8Ornamented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08K7/2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장식 발현 앨범에 관한 것으로서, 앨범표지에 나타내어지는 문양이 형광층에 의한 야광 발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두운 실내 또는 야간에도 확인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진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내지(10)와, 상기 내지(10)를 감싸는 커버지(20)로 구성되는 앨범에 있어서, 상기 커버지(20) 표면에는 문자 또는 그림형태의 문양홈(25)이 형성되되, 상기 문양홈(25) 내에는 자체 발광이 이루어지는 형광층(2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형광장식 발현 앨범{FLUORESCENCE REVELATION TYPE ALBUM}
본 고안은 앨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앨범의 커버에 장식되는 그림 또는 문자 형태의 장식문양이 형광 발현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두운 실내에서도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형광장식 발현 앨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기타 서류 등을 분류 보관할 수 있는 앨범은 비교적 두꺼운 종이나 목재등으로 구성된 전·후면 표지 내부 중앙에 다수의 내지가 바인더에 의해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입학이나 졸업 등의 각종 기념일에 주로 사진을 찍고, 촬영한 사진을 보관하는 앨범은 하나의 앨범에 많은 사진을 넣허 보관할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크고 무겁게 제작되었으나, 현대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카메라가 장착된 핸드폰 등으로 평상시에도 많은 사진을 찍고 보관할 사진들은 앨범에 꽂아 보관을 하는데, 언제나 간편히 볼 수 있도록 작은 사이즈로 가볍게 제작되고 외관도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한편, 종래 앨범 표지에는 다양한 형태의 문구 또는 그림이 장식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장식문양은 대부분 인쇄방식으로 형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식별력이 떨어짐과 함께 어두운 실내에서는 시각적인 발현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41944호(2007.07.16.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6-30736호(1996.10.22.공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앨범 표지에 나타내어지는 장식 문양이 형광재료에 의해 발현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앨범 자체의 식별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어두운 실내에서도 확인이 가능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사진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내지와, 상기 내지를 감싸는 커버지로 구성되는 앨범에 있어서, 상기 커버지 표면에는 문자 또는 그림형태의 문양홈이 형성되되, 상기 문양홈 내에는 자체 발광이 이루어지는 형광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광층은 에폭시수지 30~50중량%, 형광안료 20~40중량%, 축광안료 10~30중량%, 프리폴리머 10~30중량%, 비스무트 분말 1~10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앨범은, 앨범표지에 나타내어지는 문양이 형광층에 의한 야광 발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어두운 실내 또는 야간에도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형광층의 오염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투시층의 구조를 부가함으로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형광 발현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앨범의 정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B-B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앨범 형광 장식부 분리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앨범 형광 장식부 결합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앨범 형광 장식부의 단면 상세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형광장식 발현 앨범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앨범은, 부착 또는 삽입 방식으로 사진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내지(10)와, 상기 내지(10)를 감싸면서 표지를 이루는 커버지(20)로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커버지(20) 표면에는 문자 또는 그림형태의 문양홈(25)이 형성되되, 상기 문양홈(25) 내에는 자체 발광이 이루어지는 형광층(26)이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형광층(26)은 형광 및 축광안료가 포함됨으로서 주간에 빛을 흡수했다가 야간에 빛을 방출하는 야광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에폭시수지 30~50중량%, 형광안료 20~40중량%, 축광안료 10~30중량%, 프리폴리머 10~30중량%, 비스무트 분말 1~10중량%의 혼합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비스무트는 광반사성이 뛰어난 광물 재료로서 미세한 분말형태로 형광층(26)에 첨가되어짐으로서 주변의 빛을 받아 다채로운 색상을 표출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안료 입자 상호간의 결합력 향상을 위한 엘라스토머 및 형광층(26)의 내열성 향상을 위한 요소수지가 각각 1~5중량%의 비율로 추가 첨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형광장식 발현 앨범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앨범은 표지를 이루는 커버지(20)에 나타내어지는 문자 또는 그림 형태의 장식문양이 문양홈(25)으로 표현되어지는 가운데, 문양홈(25)의 형광 발현이 이루어짐으로서 어두운 실내나 야간에도 문양홈(25)의 장식을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즉, 문양홈(25) 내부에는 형광층(26)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형광층(26)에는 축광안료 및 형광안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주간에는 주변 빛을 흡수한 상태에서 어두운 야간에는 빛을 발산시킴으로서 형광 발현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통상의 형광 및 축광재료 외에도 본 고안에서는 발광효율 향상을 위한 비스무트 분말, 결합력 향상 및 탄성력 증대를 위한 엘라스터머 및 요소수지 등의 추가 물질이 첨가되어짐으로서 형광층(26)의 특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앨범 커버지(20)에 나타내어지는 문양장식이 형광층(26)에 의한 야광 발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어두운 실내 또는 야간에도 확인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른 앨범 식별력이 향상되어짐과 함께 앨범의 외관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문양홈(25)에는 형광층(26)의 오염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광투과가 가능한 유리 또는 아크릴 재질의 투시층(27)이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투시층(27)이 형광층(26)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게 됨으로 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문양홈(25) 내부로 유입되어 형광층(26) 표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의 투시층(27)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광투과율의 저하를 최소화 하는 가운데 형광층(26)의 오염 발생을 방지하는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문양홈(25) 내벽면에는 반사효율 향상을 위한 반사 코팅층(28)이 박막으로 코팅 형성된다.
이때, 반사 코팅층(28)은 아크릴수지 30~50중량%, 나노은 10~30중량%, 글래스비드 10~30중량%, 규산염 10~30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나노은 및 글래스비드는 반사재료이며, 규산염은 코팅층의 내구성 및 부착력 증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문양홈(25) 내벽면에 반사 코팅층(28)이 형성됨으로 형광층(26)으로 부터 발산되는 빛이 문양홈(25)의 내벽면에서 흡수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반사 코팅층(28)에 의한 광 반사가 이루어짐으로서, 광손실 발생을 최소화 함으로서 보다 선명한 형광 발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반사 코팅층(28)은 나노은이 포함됨으로 살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며, 규산염은 코팅층의 내구성을 증대시킴과 함께 글래스비드의 변색 발생을 방지하는 유용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자석 착탈형 앨범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표지를 이루는 커버지에 특정 문자가 형성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형이나 그림등의 형태로 문양이 나타내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내지 20 : 커버지(표지)
25 : 문양홈 26 : 형광층

Claims (5)

  1. 사진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내지(10)와, 상기 내지(10)를 감싸는 커버지(20)로 구성되는 앨범에 있어서,
    상기 커버지(20) 표면에는 문자 또는 그림형태의 문양홈(25)이 형성되되, 상기 문양홈(25) 내에는 자체 발광이 이루어지는 형광층(2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장식 발현 앨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26)은 에폭시수지 30~50중량%, 형광안료 20~40중량%, 축광안료 10~30중량%, 프리폴리머 10~30중량%, 비스무트 분말 1~10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장식 발현 앨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26)에는 안료 입자 상호간의 결합력 향상을 위한 엘라스토머 및 내열성 향상을 위한 요소수지가 추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장식 발현 앨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양홈(25)에는 형광층(26)의 오염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광투과가 가능한 유리 또는 아크릴 재질의 투시층(27)이 삽입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장식 발현 앨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양홈(25) 내벽면에는 반사 코팅층(28)이 박막으로 코팅 형성되되, 상기 반사 코팅층(28)은 아크릴수지, 나노은, 글래스비드, 규산염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장식 발현 앨범.
KR2020180005288U 2018-11-16 2018-11-16 형광장식 발현 앨범 KR200492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88U KR200492055Y1 (ko) 2018-11-16 2018-11-16 형광장식 발현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88U KR200492055Y1 (ko) 2018-11-16 2018-11-16 형광장식 발현 앨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73U true KR20200001073U (ko) 2020-05-26
KR200492055Y1 KR200492055Y1 (ko) 2020-07-28

Family

ID=7086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288U KR200492055Y1 (ko) 2018-11-16 2018-11-16 형광장식 발현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55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7025U (ko) * 1994-03-03 1995-10-16 이재웅 앨범
KR960030736A (ko) 1995-01-17 1996-08-17 이서우 화학 혼성 교배법{Castable Chemical Hybride(C.C.H)}에 의한 경화제 제조방법
KR970000760U (ko) * 1995-06-14 1997-01-21 정의석 절첩식 사진앨범
KR970004638U (ko) * 1995-07-13 1997-02-19 김재식 앨범용 대지
KR970057277U (ko) * 1996-04-23 1997-11-10 오만재 졸업앨범 커버
KR200246451Y1 (ko) * 2001-06-21 2001-10-17 이경배 앨범
JP2006001094A (ja) * 2004-06-16 2006-01-05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形成方法及び印画物
KR20070036280A (ko) * 2005-09-29 2007-04-03 (주)아이디어 스틱스 코리아 스위치 플레이트 커버용 스티커
KR100741944B1 (ko) 2006-09-05 2007-07-23 지인구 앨범용 표지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7025U (ko) * 1994-03-03 1995-10-16 이재웅 앨범
KR960030736A (ko) 1995-01-17 1996-08-17 이서우 화학 혼성 교배법{Castable Chemical Hybride(C.C.H)}에 의한 경화제 제조방법
KR970000760U (ko) * 1995-06-14 1997-01-21 정의석 절첩식 사진앨범
KR970004638U (ko) * 1995-07-13 1997-02-19 김재식 앨범용 대지
KR970057277U (ko) * 1996-04-23 1997-11-10 오만재 졸업앨범 커버
KR200246451Y1 (ko) * 2001-06-21 2001-10-17 이경배 앨범
JP2006001094A (ja) * 2004-06-16 2006-01-05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形成方法及び印画物
KR20070036280A (ko) * 2005-09-29 2007-04-03 (주)아이디어 스틱스 코리아 스위치 플레이트 커버용 스티커
KR100741944B1 (ko) 2006-09-05 2007-07-23 지인구 앨범용 표지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55Y1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91860A1 (en) Magnetic glass dry erase board
EP3141935A1 (en) Open-type color reflec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64523B1 (ko) 점착층이 코팅된 글리터 시트지
KR200492055Y1 (ko) 형광장식 발현 앨범
JP6012323B2 (ja) 装飾材
US20140196328A1 (en) Edge lit sign incorporating a mirror
CN201933733U (zh) 可擦写铁磁性墙纸
CN207504927U (zh) 可呈现预设光泽盖板及电子设备
CN208006584U (zh) 一种带透明视窗的拉丝一体屏
CN206703615U (zh) 一种新型七彩膜
CN211617283U (zh) 荧光平底钻
CN110045454B (zh) 单向出光导光板及其制作方法
JP7122307B2 (ja) 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部材
CN110802881A (zh) 装饰薄膜和电子产品盖板
JP2005123735A (ja) 携帯用機器
US10035473B2 (en) Vehicle trim components
JP2009151213A (ja) 防災・防火用品
CN218702460U (zh) 一种灯影立体挂画
CN207241079U (zh) 一种具有闪光印花图案的织物
JP3244467U (ja) キーホルダー
JP7395223B1 (ja) 窓ガラス用遮光目隠しシート
KR20230140649A (ko) 실내장식용 필름
WO2024048199A1 (ja) 窓ガラス用遮光目隠しシート
CN202269751U (zh) 一种有荧光层的相框
JP4371842B2 (ja) 時計用文字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