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09A - 잔량 수집기. - Google Patents

잔량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09A
KR20200001009A KR1020180073407A KR20180073407A KR20200001009A KR 20200001009 A KR20200001009 A KR 20200001009A KR 1020180073407 A KR1020180073407 A KR 1020180073407A KR 20180073407 A KR20180073407 A KR 20180073407A KR 20200001009 A KR20200001009 A KR 2020000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llector
support member
contents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658B1 (ko
Inventor
최창원
Original Assignee
최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원 filed Critical 최창원
Priority to KR102018007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6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9/00Devices for emptying bott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 구조의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기 위한 잔량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갖는 용기에 대응하여 지지 구조를 손쉽게 변경하여 맞춤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할 수 있는 잔량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잔량 수집기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저면 지지부재(11)의 내측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재(13)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집기 본체(10); 및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아래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12)의 하방에 배치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낙하하는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여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수집용기(20); 상기 측벽부재(13)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재(30, 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12)은 다양한 용기의 적어도 상기 몸체가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잔량 수집기.{Device for collecting leftovers from bottles}
본 발명은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기 위한 잔량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를 갖는 용기에 대응하여 지지 구조를 손쉽게 변경하여 맞춤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할 수 있는 잔량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샴푸, 린스, 액상세제 등의 세제류와, 로션 등의 화장품류와, 기름, 물엿, 꿀, 올리고당, 겔, 마요네즈, 케찹 등의 식품류 등은 흔히 몸체보다 작은 입구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된 병 구조의 용기를 이용하여 판매되고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기는 마지막 내용물의 배출이 어려워 잔류 내용물은 그 자체로 자원 낭비일 뿐만 아니라, 폐기시 그 잔류 내용물이 환경 오염 등의 원인이 되므로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시 또는 용기 청소시 잔류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한 많은 불편함이 있고, 특히 샴푸나 로션 등에 많이 이용되는 펌프식의 용기들은 더욱 불편하다.
또한, 이러한 용기의 폐기 전에 잔류 내용물을 최대한 이용하거나 용기를 청소하여 폐기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기에 임의로 물을 넣어 물과 섞어 이용하면 필요한 사용량을 맞추기 힘들고, 내용물을 신속히 배출하기 위하여 용기를 자르는 행위는 자르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용기를 뒤집어서 내용물을 수집하고자 하는 것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여 여전히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로부터 잔류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하고자 하는 선행기술(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919호, 2001.02.15.)이 제시되었으나, 개별 용기를 소정의 구조로 형성하여 대체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제조비용, 내용물의 보관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안정적인 자세로 내용물의 잔량을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또한,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태를 갖는 용기에 대응하여 여전히 신속하면서도 손쉽게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할 수 있는 세부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919호(2001.02.1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의 입구를 아래로 향하는 자세로 상기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크기나 형태를 갖는 용기에 대응하여 여전히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신속히 제공함으로써 상기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잔량을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는 잔량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크기나 형태를 갖는 용기에 대응하여 손쉽게 구조를 변경하여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세부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크기나 형태를 갖는 용기에 대응하여 여전히 안정적인 자세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집된 내용물의 성상이 변경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부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에 포함된 덩어리 성분을 제거하여 수집할 수 있는 세부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용물의 수집 과정에서 내용물이 수집용기에 원활하게 안내되어 수집될 수 있는 세부 구조에 관한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용기의 입구 위치 또는 입구 방향이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용기를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할 수 있는 세부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잔량 수집기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저면 지지부재(11)의 내측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재(13)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집기 본체(10); 및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아래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12)의 하방에 배치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낙하하는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여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수집용기(20); 상기 측벽부재(13)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재(30, 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12)은 다양한 용기의 적어도 상기 몸체가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잔량 수집기는,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상기 측벽부재(13)에 고정홈(14)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재(30)는 판상 또는 선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재(13)의 상기 고정홈(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측벽부재(13)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잔량 수집기는 상기 측면 지지부재(30)가 탄성의 간격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재(13)와 용기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다양한 용기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서 상기 탄성의 간격부재로 형성된 측면 지지부재(30)는, 관 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잔량 수집기는, 상기 수집용기(20)의 상부를 임시로 밀폐할 수 있는 용기 뚜껑(25)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잔량 수집기는, 상기 수집용기(20)의 입구에 장착하여 상기 수집용기(20)로 수집될 내용물에 포함된 덩어리를 제거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걸름부재(40)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서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저면 지지부재(11)는, 상기 관통공(12)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다.
더불어, 본원 발명에 따른 잔량 수집기는, 상기 관통공(12)이 상기 저면 지지부재(11)의 중앙부터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까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측벽부재에 설치되는 측면 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용기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크기나 형태를 갖는 용기에 대응하여 여전히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판상 또는 선상의 구조로 형성된 상기 측면 지지부재를 측벽부재에 이동 설치하는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나 형태를 갖는 용기에 대응하여 손쉽게 구조를 변경하여 용기의 몸체 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탄성의 간격부재로 형성된 상기 측면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구성의 변경이나 조작이 없어도 다양한 크기나 형태를 갖는 용기에 대응하여 여전히 안정적인 자세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탄성 간격부재로 형성된 상기 측면 지지부재를 관 구조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해당 구성의 제조 용이성을 현저히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집용기의 상부를 임시로 밀폐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수집된 내용물이 마르거나 물 또는 수분이 유입되어 내용물의 성상이 변경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사용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걸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에 포함된 덩어리 성분을 제거하여 수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내용물의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집기 본체의 저면 지지부재를 경사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수집 과정에서 내용물이 수집용기에 원활하게 안내되어 수집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용기에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관통공이 저면 지지부재의 중앙부터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까지 형성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용기의 입구 위치 또는 입구 방향이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용기를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잔량 수집기의 효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용물의 잔량 수집이 필요한 다양한 용기의 예시적인 구조.
도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의 사시도.
도 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포함된 수집용기의 세부 구조.
도 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포함된 수집용기의 다른 실시예.
도 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포함된 수집기 본체의 다른 실시예.
도 6.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의 예시적인 세부 구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내용물의 잔량 수집이 필요한 다양한 용기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잔량 수집기에 의해서 내용물의 잔량 수집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의 사시도로서 수집기 본체 및 수집용기, 측면 지지부재의 사용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포함된 수집용기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수집용기의 사시도를, 도 3(b)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포함된 수집용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a)는 걸름부재의 예시적인 보유구조를 분리상태의 사시도로, 도 4(b)는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포함된 수집기 본체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a)는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갖는 저면 지지부재가 구비된 수집기 본체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갖는 관통공이 구비된 수집기 본체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의 예시적인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링형 구조로 형성된 측면 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상기 링형 구조의 측면 지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6(c)는 상기 링형 구조의 측면 지지부재가 구비된 경우에서 용기가 장착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잔량 수집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를 가지며 형상도 다양한 용기를 대상으로 그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잔량 수집기는, 크게, 수집기 본체(10) 및 수집용기(20), 측면 지지부재(30, 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집기 본체(10)는 내용물의 잔량이 남아있는 용기(P)를 거꾸로 세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수집용기(20)는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아래에 삽입하여 상기 용기(P)로부터 낙하하는 내용물을 수집하여 인출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측면 지지부재(30, 60)는 상기 수집기 본체(10)에 설치된 구성으로서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상부에서 거꾸로 세워진 다양한 크기의 용기(P)를 안정적으로 측면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수집기 본체(10) 및 수집용기(20), 측면 지지부재(30, 60) 등은, 사용자가 잔량수집 중인 용기(P)의 종류, 지지 상태 등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가능하면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포함된 수집기 본체(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집기 본체(10)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저면 지지부재(11)를 구비하며, 상기 저면 지지부재(11)의 중앙에 관통공(1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공(12)에 상기 용기(P)의 입구(목 부분)가 삽입되고 용기(P)의 몸체가 걸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면 지지부재(11)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2)은 다양한 용기의 적어도 몸체가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인데, 이는 모든 용기(P)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가능한 많은 종류의 용기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크기를 의미함을 통상의 기술자는 자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실생활에서 많이 이용되는 샴푸, 린스, 액상세제, 화장품류 등으로부터 대상용기의 범위를 적절히 선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규격과 상기 관통공(12)의 크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측면에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재(13)가 구비되고 상기 측벽부재(13)에는 복수의 고정홈(14)이 형성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하는 판상 또는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3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측면 지지부재(30)가 판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인데, 여기서 상기 측면 지지부재(30)가 판상이라는 것은 전체적인 구조가 판상인 것을 의미하며, 판상의 내측에 관통 구멍이 추가로 형성되거나 판상의 내측에 보강용 리브가 추가로 형성되거나 지지상태의 용기가 판상의 측면 지지부재(3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돌기 또는 요철구조의 패턴이 형성된 것 등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 지지부재(30)는 보(beam)나 소정의 높이를 갖는 선형 부재로 형성된 선상의 구조도 가능하다. 즉,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를 필요한 위치에서 상기 측벽부재(13)의 고정홈(13)에 삽입하여 마찰력 등에 의하여 고정하고 수집기 본체(10)에 삽입된 용기(P)의 몸체 측면을 상기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판상의 측면 지지부재와 마찬가지로 용기(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는 지지상태의 용기가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돌기가 추가로 형성되거나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에서 적어도 해당 지지 부분이 국부적으로 직선이 아닌 굴곡 구조로 형성된 것 등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 지지부재(30)는 판상 및 선상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고정홈(13)에 대응되는 부분은 판상으로 형성하고 중간 부분은 선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고정홈(13)에 대응되는 부분은 선상으로 형성하고 중간 부분은 판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 등도 용기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상기 측면 지지부재의 구조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예시적으로 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포함된 수집기 본체(10)는 상기 측벽부재(13)의 양단에서 판상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수집기 본체(10)의 측면이 모두 폐쇄된 구조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저면 지지부재(11)로부터 구조적인 강성을 갖는 두께나 구조로 상방향으로 직립하여 결합된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재(13)만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재(13)의 양단에서 상기 측벽부재(13)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개방된 구조에서 상기 판상 또는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30)를 필요한 위치의 고정홈(14)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형성된 그 내부공간에 상기 용기(P)를 거꾸로 세워 내용물의 잔량 수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포함된 수집용기(20)는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아래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12)의 하방에 배치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낙하하는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여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 3(a)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컵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수집용기(20)의 용기바닥면(21)은 수집된 내용물 잔량이 잔류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도 3(b)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둥근 오목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집용기(20)를 복수로 구비하여 내용물의 종류별로 다르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수집용기(20)를 준비하여, 세제류의 종류별로 수집용기(20)를 달리하거나 세제류와 식품류에 대하여 수집용기(20)를 달리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수집용기(20)는 투명재질로 형성하거나 혹은 색상을 다르게 구비하거나 혹은 투명재질이면서 색상도 다르게 구비함으로써 잔량 수집기의 활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뚜껑(25)를 추가로 구비하여 내용물의 잔량이 수집된 상기 수집용기(20)를 임시로 밀폐하면 내용물이 마르거나 외부로부터 먼지, 이물질, 물,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용기 뚜껑(25)의 상부에 손잡이부(26)를 형성하여 사용 편리성을 더욱 상승시킬 수도 있다. 이때 용기 뚜껑(25)은 도 3처럼 별도의 분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혹은 용기 뚜껑(25)의 어느 일부분이 상기 수집용기(20)에 직접 결합되거나 혹은 다른 구성에 의하여 연결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용기 뚜껑(25)의 분실을 방지하는 구조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는 걸름부재(4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종종 용기(P)의 잔류 내용물 중에 내용물의 고형화 물질, 석출 침전물 등의 덩어리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러한 덩어리를 제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걸름부재(40)를 상기 수집용기(20)에 장착하여 수집기 본체(10)의 아래로 삽입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량으로부터 상기 덩어리를 여과하면서 내용물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름부재(40)에는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되 덩어리의 통과는 제한되는 메쉬구조의 걸름망부(42)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도 4(a)처럼 주변에 테두리부(41)가 구비되고 상기 테두리부(41)의 내측에 상기 걸름망부(4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수집되는 내용물로부터 덩어리를 제거하되 수집용기(20)의 내부 공간으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수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걸름망부(42)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테두리부(41)는 중앙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내용물은 상기 걸름망부(42)로 신속하게 안내됨으로써 내용물의 수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름부재(40)를 잔량 수집기의 다른 구성과 체결구조로 형성하여 분실 방지되게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4는 상기 걸름부재(40)가 용기 뚜껑(25)과 나사결합으로 보유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상기 걸름부재(40)가 수집용기(2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수집용기(20)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유되는 구조 등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서 저면 지지부재(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평판 구조로 형성하는 것 외에,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관통공(12)을 향하여 경사진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공(12)으로 용기를 삽입하는 접근과정에서 내용물을 저면 지지부재(11) 상에 흘리거나 혹은 용기(P)의 목부분이 관통공(12)에 삽입되지 않는 크기여서 내용물이 저면 지지부재(11) 상으로 유출되는 경우에, 이러한 경사구조를 통하여 상기 저면 지지부재(11) 상의 내용물이 경사를 따라 원활하게 유동하여 관통공(12)으로 안내될 수 있는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서 저면 지지부재(11)의 관통공(12)을 중앙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일측을 향하여 연장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을 향하여 연장된 구조로 관통공(12)을 형성함으로써, 도 1(d)와 같이 용기(P)의 목부분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거나,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편심된 위치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용기(P)의 목부분을 상기 관통공(12)에 삽입한 상태로 용기(P)를 수집기 본체(10)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구조의 용기(P)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자세에서 내용물의 잔량을 원활하게 수집용기(20)에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 지지부재(11)가 내용물에 의해서 오염되어 사용후 청소하여야 하는 수고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양한 크기의 용기(P)를 수집기 본체(10)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측벽부재(13)와 용기(P) 사이에 탄성 간격부재로서 측면 지지부재(60)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측면 지지부재(60)는 탄성 변형에 의하여 간격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는 모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형태, 부피를 갖는 폼 형태, 내부 밀폐공간을 갖는 유연 튜브 형태, 개방형 내측 공간을 갖는 링 튜브 형태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방형 내측 공간을 갖는 링 튜브 형태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잔량 수집기에서 측벽부재(13)와 용기(P) 사이에 탄성의 간격부재로서 측면 지지부재(60)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재질로 형성된 제1 링형부재(6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용기(P)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상기 용기(P)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링형부재(6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링형부재(61)가 탄성 변형하며 상기 용기(P)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용기(P)는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복수의 링형부재를 채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P)에 대한 탄성력을 보완하여 지지할 수도 있는데, 도 6(a) 및 6(b)는 제2 링형부재(62)를 추가로 포함하여 지지한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링형부재(61, 62)를 측벽부재(13)에 임시 고정하기 위한 링고정부재(65)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각 구성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형부재(61, 62)는 성형이 매우 용이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재질의 상용 튜브를 이용하여 단순히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방식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어서 해당 구성을 확보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이상에서 측벽부재(13)에 판상 또는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30)를 설치하는 구조와, 측벽부재(13)에 탄성 간격부재로서 측면 지지부재(60)를 설치하는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용기(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상기 측면 지지부재(30, 60)의 독립적인 채용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판상 또는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30)의 내측에 탄성 간격부재로서 측면 지지부재(60)가 연이어 배치되어 용기(P)의 몸체를 지지하거나 판상 또는 선상의 측면 지지부재(30)와 다른 위치에 탄성 간격부재로서 측면 지지부재(60)가 분산되게 배치되어 용기(P)의 몸체를 지지하는 것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즉, 더욱 구체적인 조합된 실시예로서, 상기 판상의 측면 지지부재(30)를 용기(P)와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홈(14)에 임시로 고정하고 상기 링형부재(61, 6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상의 측면 지지부재(30)와 용기(P) 사이에 배치하여 탄성적으로 용기(P)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거나, 혹은 용기(P)의 일측면에 판상의 측면 지지부재(30)가 구비되고 용기(P)의 반대쪽 타측면에 링형부재(61)가 구비되어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거나, 혹은 용기(P)의 양측면에 판상의 측면 지지부재(30)가 구비되고 용기(P)의 상기 양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또 다른 양측면에 링형부재(61)가 추가로 구비되어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 등의 변형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설명에서 용기(P)가 수집기 본체(10)에서 상하 방향의 자세로 지지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용기의 입구가 아래로 향하거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자세를 형성하기 위하여 용기의 몸체는 필요한 경우에 경사진 자세로 지지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다양한 용기에 대응하여 측면 지지부재(30, 60)에 의하여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자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용기(P)의 입구가 관통공(12)보다 큰 경우에도 수직 또는 경사 구조로 지지하되 용기(P)의 입구 중에서 내용물의 잔량이 이탈하는 해당 부분을 상기 관통공(12)과 일치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잔량 수집기를 여전히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이나 처리의 각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잔량 수집기
10 : 수집기 본체 11 : 저면 지지부재
12 : 관통공 13 : 측벽부재
14 : 고정홈 15 : 다리부재
20 : 수집용기 21 : 용기바닥면
25 : 용기 뚜껑 26 : 손잡이부
30 : 측면 지지부재
40 : 걸름부재 41 : 테두리부
42 : 걸름망부 45 : 단턱
60 : 측면 지지부재 61 : 제1 링형부재
62 : 제2 링형부재 65 : 링고정부재
P : 용기

Claims (8)

  1. 용기의 입구가 아래로 향하거나 아래에 위치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기 위한 잔량 수집기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저면 지지부재(11)의 내측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재(13)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집기 본체(10); 및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아래로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12)의 하방에 배치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낙하하는 내용물의 잔량을 수집하여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수집용기(20);
    상기 측벽부재(13)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재(30, 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12)은 다양한 용기의 적어도 상기 몸체가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수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상기 측벽부재(13)에는 고정홈(14)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재(30)는 판상 또는 선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재(13)의 상기 고정홈(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측벽부재(13)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수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재(30)는 탄성의 간격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재(13)와 용기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다양한 용기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수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의 간격부재로 형성된 측면 지지부재(30)는, 관 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의 몸체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수집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20)의 상부를 임시로 밀폐할 수 있는 용기 뚜껑(25)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수집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20)의 입구에 장착하여 상기 수집용기(20)로 수집될 내용물에 포함된 덩어리를 제거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걸름부재(4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수집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 본체(10)의 저면 지지부재(11)는, 상기 관통공(12)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수집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2)은, 상기 저면 지지부재(11)의 중앙부터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수집기.
KR1020180073407A 2018-06-26 2018-06-26 잔량 수집기 KR10211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407A KR102110658B1 (ko) 2018-06-26 2018-06-26 잔량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407A KR102110658B1 (ko) 2018-06-26 2018-06-26 잔량 수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09A true KR20200001009A (ko) 2020-01-06
KR102110658B1 KR102110658B1 (ko) 2020-05-13

Family

ID=6915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407A KR102110658B1 (ko) 2018-06-26 2018-06-26 잔량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5076A (zh) * 2021-11-19 2022-03-18 赵光威 一种蜂蜜桶中残留蜂蜜回收设备及回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919Y1 (ko) 2000-08-11 2001-02-15 박길복 이중 출구 병
KR200233929Y1 (ko) * 2001-01-20 2001-09-25 오중규 파마약 용기 회수대
KR200297236Y1 (ko) * 2002-08-28 2002-12-11 김창구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US20150090721A1 (en) * 2013-10-02 2015-04-02 Kilgore Donna M Storage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919Y1 (ko) 2000-08-11 2001-02-15 박길복 이중 출구 병
KR200233929Y1 (ko) * 2001-01-20 2001-09-25 오중규 파마약 용기 회수대
KR200297236Y1 (ko) * 2002-08-28 2002-12-11 김창구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US20150090721A1 (en) * 2013-10-02 2015-04-02 Kilgore Donna M Storage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5076A (zh) * 2021-11-19 2022-03-18 赵光威 一种蜂蜜桶中残留蜂蜜回收设备及回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658B1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0188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и и для ее выдачи по каплям
US20130279287A1 (en) Hand-holdable mixing container
US20060138169A1 (en) Multiple chamber container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DE8601566U1 (de) Reinigungsbehälter für Brillen
US5971199A (en) Soil separation apparatus
NL1016714C2 (nl) Doseer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ullen daarvan.
TW200848352A (en) Container holder for fully utilizing the liquid in the container
KR20200001009A (ko) 잔량 수집기.
US20080179270A1 (en) Multiple Pivoting Flask
US20100243836A1 (en) Vial holder with side gripping and clamping holding
CN201727465U (zh) 自动出液清洁刷
JP2016060526A (ja) 定量吐出スクイズ容器
US6662940B1 (en) Draining soap dish for multiple bars of soap
CN200988637Y (zh) 新式瓶盖
US3545651A (en) Liquid soap dispensing bottle
US202003609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er
KR100830410B1 (ko) 보조 캡
RU73855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упаковк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и космет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US9717375B2 (en) Push pad dispenser
JP2012101804A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のカートリッジ容器
KR200494811Y1 (ko) 소독제 용기용 받침대
CN204523662U (zh) 一种敞口容器的批量超声清洗系统
US11091287B1 (en) Bag holder
NL9400380A (nl) Vloeistofhou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5

Effective date: 2020040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