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32A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32A
KR20200000832A KR1020190148481A KR20190148481A KR20200000832A KR 20200000832 A KR20200000832 A KR 20200000832A KR 1020190148481 A KR1020190148481 A KR 1020190148481A KR 20190148481 A KR20190148481 A KR 20190148481A KR 20200000832 A KR20200000832 A KR 20200000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ergency
information
emergency induction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6541B1 (en
Inventor
이종철
연왕선
이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102019014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541B1/en
Publication of KR20200000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 detecting system, which comprises an emergency induction lamp.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comprises: a vibration sensor and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control module receiv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and determining a situation;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and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module with another emergency induction lamp; and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module.

Description

상황 탐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STATU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본 발명은 상황 탐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유도등, 건물 내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소방대원이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 및 현장지휘부가 구비하는 단말기들 간의 상호 정보 공유 및 통신을 통하여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전반적인 상황을 예측하고 탐지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 detec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he mutual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terminal provided by the user or firefighters located in the building, such as emergency guidance provided in the building, and terminals provided by the field command and A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detecting an overall situation occurring in a building through communication.

화재와 같은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의 사고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재난현장에서의 사고는 큰 피해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아직까지 사고 발생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미흡한 실정이다. 즉, 미리 예측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정보, 또는 위험 지역으로는 진입하지 말라는 비상상황에 정보를 현장에 투입된 모든 소방대원들에게 전달하거나 소방대원들 간에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사고를 당한 소방대원의 신원과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어 조치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Accidents of firefighters occur frequently in disaster scenes such as fires, and accidents in the disaster scene cause great damage. Howev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re is still insufficient response. In other words, there is no way to communicate information about the accident that can be predicted in advance, or to share the information with all firefighters on the scen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not to enter a hazardous area or to share it with each other. Actions are often delayed because the identity and location of the firefighters in question cannot be identified in real time.

또한, 소방활동 안전관리 규정에서, 현장 지휘관은 현장에 투입된 대원의 수, 활동 위치, 활동 시간을 체계적으로 관리 및 파악하여야 하며, 현장지휘 활동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고, 현장 지휘관은 예측하지 못한 사고로 인하여 위험에 처한 대원과의 긴급 통신이 가능하도록 안전관리 통신 체계를 구축하고 유지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어, 건물 내로 투입되는 소방대원과 외부의 현장 지휘관과의 통신은 가능하여야 하나,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 내 또는 주변의 통신 및 전력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방 대원의 안정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부와의 통신 및 이를 활용한 측위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In addition, the Fire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stipulate that on-site commanders must systematically manage and identify the number, location, and time of personnel assigned to the site and take this into account during on-site command activitie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nd maintain a safety management communication system to enable emergency communication with crews who are in danger due to unsuccessful accidents, so communication between fire fighters entering the building and external field commanders should be possible.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utilize the communications and power infrastructure in or around the building. Therefore, in order to enable stable activities of firefighter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the development of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the same are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447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34472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소방관 및 시민의 안전 관리를 위해 건물 내 설치된 비상유도등을 활용하여 건물 외부와의 통신 및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고, 건물 내 상황 파악을 통하여 안전한 대피를 유도하고자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commun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by utilizing the emergency induction, etc. installed in the building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firefighters and citizens in the event of a fire, and to detect the situation to induce safe evacuation through the situation inside the building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상황 탐지 시스템으로서, 비상유도등을 포함하되, 상기 비상유도등은, 진동 센서 및 기압센서; 상기 진동 센서 및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아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 모듈; 상기 진동 센서 및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 및 상기 제어 모듈에서 판단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다른 비상유도등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서 판단된 상황에 따라 안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ituation detection system, including an emergency induction lamp,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vibration sensor and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to determine a situation;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and information on a situ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module with other emergency induction lamps; And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modul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측정된 진동 신호를 제공받아 특정 대역의 진동에 대한 진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rol module may receive the vibration signal measured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monitor the amplitude of the vibration of the specific ban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진폭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다른 비상유도등과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Preferably, when the amplitud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allows th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to be shared with other emergency inductions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hav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공유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까지의 대피 경로를 결정하되, 상기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에 대한 정보 및 비상유도등 간의 경로는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module,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hared emergency situation, determine the evacuation route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in the doorway part of the building,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in the doorway part of the building The route between the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guidance may be stored in advanc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비상유도등 간의 각 경로에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상기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의 위치까지의 최단 대피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에 따라 비상상황을 감지한 비상유도등과 연결되는 경로의 가중치는 무한대로 설정되고, 상기 비상유도등 간의 각 경로의 거리에 따라 가중치가 설정되고, 상기 비상상황을 감지한 비상유도등과의 거리에 따라 추가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modul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set the weight on each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and the like,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in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from its location using the set weight. Calculate the shortest evacuation route to the position of, but the weight of the path connected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that detects the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is set to infinity, the weight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each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The additional weight valu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which detects the emergency situ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결정된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하여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방향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vacuation path,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di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evacuation path through the output module.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유도등과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비상유도등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상유도등은 상기 제1 단말기와의 주기적인 통신에 따른 신호세기를 기초로 제1 단말기의 건물출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건물출입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terminal for period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And a second terminal periodicall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or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is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a first terminal based on signal strength according to periodic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It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whether the building access or not, to the second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유도등은, 식별자, 위치 정보, 및 기압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유도등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는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식별자, 상태 정보, 위치 정보, 및 라우팅 요청 정보를 상기 비상유도등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mergency induction, etc., periodically transmits an identifier, location information, and barometric pressure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occurred in the emergency induction, etc.,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may periodically transmit an identifier,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routing request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guid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비상유도등으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위치정보, 및 기압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추정하되, 상기 비상유도등과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상유도등의 위치를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비상유도등과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상유도등으로부터 수신한 통신신호의 신호세기, 통신신호를 수신한 3개 이상의 비상유도등들간의 거리 정보, 또는 보행추측항법에 의하여 추정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terminal estimates the location based on th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barometric pressure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to the emergency induction is within a specific distance, the emergency induction, etc. If the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is not within a specific distanc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three or more emergency induction lamps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ignal, etc.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or the moving distance estimated by the walking estimation navigation metho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라우팅 요청 정보를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비상유도등으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비상유도등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 정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first terminal cannot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routing request information to another first terminal or an emergency induction, and so on,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other first terminal or the emergency induction.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기가 라우팅 요청 정보를 상기 비상유도등으로 전송한 경우, 상기 비상유도등은, 기설정된 비상유도등간 가중치를 기반으로 건물 출입구에 위치한 비상유도등까지 메시지의 라우팅을 수행하고, 건물 출입구에 위치한 비상유도등은 전달받은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the routing request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performs routing of the message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in the building entrance and exit based on a weight between preset emergency induction lamps, and the building entrance and exit door.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in may transmit the received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비상유도등의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공받아 고도를 추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value measured from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such as the emergency indu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estimate the altitude.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비상유도등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terminal may directl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from the first terminal, o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emergency indu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비상유도등에서 수행되는 상황 탐지 방법에 있어서, (a) 진동 센서 및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측정된 진동 신호를 기초로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상기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다른 비상유도등과 공유하여 대피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결정된 대피경로를 기초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ituation detection method performed in an emergency induction, etc., comprising: (a) receiving information measured from a vibration sensor and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b)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measured from the vibration sensor; (c) determining the evacuation route by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and location information with other emergency induction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d) outputting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evacuation route.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측정된 진동 신호를 제공받아 특정 대역의 진동에 대한 진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진폭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b) may include receiving a vibration signal measured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monitoring an amplitude of vibration of a specific band; And determining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hen the amplitude exceeds a preset value.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공유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까지의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에 대한 정보 및 비상유도등 간의 경로는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c)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in the doorway part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hared emergency situation, the doorway part of the building Information on emergency induction lamps located at and the route between emergency induction lamps may be stored in advance.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비상유도등 간의 각 경로에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상기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의 위치까지의 최단 대피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에 따라 비상상황을 감지한 비상유도등과 연결되는 경로의 가중치는 무한대로 설정되고, 상기 비상유도등 간의 각 경로의 거리에 따라 가중치가 설정되고, 상기 비상상황을 감지한 비상유도등과의 거리에 따라 추가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c) is to set a weight on each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etc.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from its location using the set weight.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hortest escape route to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the weight of the path connected to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detecting the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is set to infinity, each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The weight may be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the additional weight valu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which detects the emergency situation.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최단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방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step (d) may include outputting di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shortest evacuation rout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내에 설치된 비상유도등을 통하여 비상상황의 예측이 가능하고 비상상황에서도 건물 외부와의 지속적인 통신이 가능하며, 비상유도등과 건물 내에 위치하고 있는 소방관 또는 시민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소방관 또는 시민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비상유도등 상호간의 정보 공유를 통해 건물의 출입구까지 안전한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고발생을 미리 방지하거나 또는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고 발생시 빠른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he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s possible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and the fireman or the terminal of the citizen located in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track the location of firefighters or citizens through communication, and it is effective to guide the safe evacuation route to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by sharing information between each other such as emergency guid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n advance or to lead to a larger accident and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quick actio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황 탐지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탐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의 정보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의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경로의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위치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itua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induction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tua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n emergency induction lamp,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8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determination of an emerg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and 10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etermination of the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to 13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position determination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 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Therefore, the first device, the first compon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device, a second component, or a second sec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each step, an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is clearly specified in context. Unless stated in order,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황 탐지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itua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황 탐지 시스템(100)은 비상유도등(110), 제1 단말기(120), 제2 단말기(130), 및 서버(1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비상유도등(110)은 복수개 포함될 수 있고, 그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며, 제1 단말기(120) 및 제2 단말기(120)와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단말기(120)는 복수개 포함될 수 있고, 그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며, 비상유도등(110) 및 제2 단말기(130)와 통신이 가능하고, 제2 단말기(130)는 비상유도등(110), 제1 단말기(120), 및 서버(140)와 통신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the situation detection system 100 includes an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a first terminal 120, a second terminal 130, and a server 140. Preferably, a plurality of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may be included, the mutual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can be communica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120 may be included, and mutual communication thereof may be possible,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30 may be possible, and the second terminal 130 may be an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rver 140.

비상유도등(110)은 건물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로서 건물의 붕괴를 예측하고 비상유도등(110)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하여 비상상황시 대피경로를 안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상유도등(110)은 진동 센서(210), 기압 센서(220), 통신 모듈(230), 출력 모듈(240), 및 제어 모듈(250)을 포함한다.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is a device provided inside the building to predict the collapse of the building and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each other to guide the evacuation route in an emergency situation. Referring to FIG. 2,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includes a vibration sensor 210, an air pressure sensor 220, a communication module 230, an output module 240, and a control module 250.

진동 센서(210) 및 기압 센서(220)는 각각 진동 및 기압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한다. 바람직하게, 비상유도등(11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가스 센서는 유독가스를 탐지할 수 있다.The vibration sensor 210 and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220 measure data on vibration and barometric pressure, respectively. Preferably,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may further include a gas senso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gas sensor may detect a toxic gas.

통신 모듈(220)은 제1 단말기(120) 및 제2 단말기(130)와 통신을 형성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모듈(220)은 다양한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다른 비상유도등, 소방관이 구비하는 제1 단말기(120), 및 제2 단말기(130) 간에 통신을 형성하기 위한 장거리 무선통신모듈, 예를 들어, 로라 모듈, 및 일반 시민이 구비하는 제1 단말기(120)와 통신을 형성하기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20 form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 130 so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erformed.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include various RF modules, and preferably, a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another emergency induction lamp, a first terminal 120 provided by a firefighter, and a second terminal 130.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Laura module, and a Bluetooth or Wi-Fi modul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20 provided by the general citizen.

출력 모듈(240)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대피경로의 안내시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The output module 240 outputs information on a moving direction when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display.

제어 모듈(250)은 비상유도등(110)에서 수행되는 모든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바람직하게, 데이터 송수신부(251), 비상상황 판단부(252), 및 대피경로 결정부(253)를 포함한다. 진동 센서(210), 기압 센서(220), 및 통신 모듈(230)을 통하여 획득된 다양한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 모듈(25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flow of all operations and data performed i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and preferably,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51,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52, and the evacuation path determination unit 253. It includes.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250 based on various data obtained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210,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22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또한, 비상유도등(110)은 상시전원과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를 통하여 비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상유도등(110)은 평상시에는 상시 전원을 활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며, 화재 또는 붕괴와 같은 비상상황의 발생시에는 상시전원의 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상시전원을 차단하고 배터리를 활용하여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may include a constant power source and a battery, so that the emergency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Preferably,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supplies power by using the usual power at normal times and performs battery charging at the same time, and shuts off the regular power since it is impossible to use the constant power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ire or collapse occurs. The battery is used to perform the operation.

제1 단말기(120)는 현장에 투입되는 각 소방대원 또는 일반 시민이 구비하는 단말기로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비상유도등(110) 또는 제2 단말기(130)에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20)는 통신모듈(210), 센서모듈(320),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및 제어모듈(340)을 포함한다. The first terminal 120 is a terminal provided by each firefighter or a general citizen input to the site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s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or the second terminal 130.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terminal 12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10, a sensor module 320, a user interface 330, and a control module 340.

통신모듈(310)은 비상유도등(110) 또는 제2 단말기(130)와 통신을 형성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소방대원이 구비하는 제1 단말기의 경우에는 로라(LoRa) RF 모듈에 해당할 수 있고, 일반 시민이 구비하는 제1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10 forms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or the second terminal 130 so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performed. Preferably, in the case of the first terminal provided by the firefighter, it may correspond to a LoRa RF module,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terminal (for example, a smartphone) provided by a general citizen, a Bluetooth or Wi-Fi module may be provided. This may be the case.

센서모듈(320)은 제1 단말기(120)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들로 구성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지자계센서(Magnetometer), 및 기압센서(Pressure Sensor)를 포함할 수 있고, IMU는 가속도계(Accelerometer)와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320 is configured of various sensors to obtain posi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Preferably, the sensor module 320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and an earth magnetic field sensor. Magnetometer, and a pressure sensor, and the IMU may include an accelerometer and a gyroscope.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제1 단말기(120)에서 획득되는 정보 또는 비상유도등(110), 다른 제1 및 제2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버저(Buzzer), 및 버튼(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LCD는 다양한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고, 제1 단말기(120)가 특정 상태에 있거나 비상상황일 때, LED는 다양한 방식으로 빛을 발산하고, 버저는 신호음을 낼 수 있다. 또한, 버튼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어떠한 버튼이 선택되는지에 따라 제1 단말기(120)의 동작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의 선택에 따라 제1 단말기(120)의 전원이 온/오프 될 수 있고,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다른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130)와의 통신은 불가능한 상태에서 경보기로만 동작될 수 있고, 현장 투입 모드로 설정되어 제2 단말기(130)와 통신을 수행하고 비상상황에 해당함을 알리기 위한 알람메시지 등이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1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단말간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제2 단말기(130)와 통신은 불가능하나 다른 제1 단말기와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모드의 설정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나, 제1 단말기(120)의 상태에 따라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제1 단말기(120)가 별도로 구비되는 충전 거치대와 연결되어 충전되고 있는지, 또는 충전 거치대와 연결이 분리되어 충전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330 output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terminal 120 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and other first and second terminals 13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buzzer, and a button. Here, the LCD may output various information, and when the first terminal 120 is in a specific state or in an emergency state, the LED may emit light in various ways, and the buzzer may beep. In addition, a plurality of buttons may be configured, and an operation mode of the first terminal 1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button is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power of the first terminal 120 may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button, and the standby mode is set as the standby mode so that only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 1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t is set to the on-site input mode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erminal 130 and an alarm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etc.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130, Alternatively, the terminal may be set to a communication mode, so that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130 may be impossible, but communication with another first terminal may be performed. Such various mode settings may be determined by a button selected by a user, but may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rst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330 may recognize whether the first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radle which is separately provided or is being charged, or whether the charging is interrupted because the connection to the charging cradle is disconnected.

제어모듈(340)은 제1 단말기(120)에서 수행되는 모든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위치정보 획득부(341), 상태정보 획득부(342), 및 데이터 송신부(343)를 포함하다. 바람직하게, 위치정보 획득부(341)는 센서모듈(320)의 GPS 및 지자계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1 단말기(120)의 위치, 및 제1 단말기(120)가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기압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1 단말기(120)의 고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획득부(341)는 IMU 및 지자계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1 단말기(120)가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태정보 획득부(342)는 센서모듈(320)의 IMU 및 지자계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1 단말기(120)의 상태, 즉, 부동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340 controls the flow of all operations and data performed in the first terminal 120, and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a statu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2,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343. . Preferabl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first terminal 120 are indoors or outdoors based on data sensed by the GPS and the geomagnetic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2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d to determine the altitude of the first terminal 120 based on the data sensed from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erminal 120 is indoors or outdoors based on data sensed by the IMU and the geomagnetic field sensor. Preferably, the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2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erminal 120 is in a floating state based on data sensed by the IMU and the geomagnetic field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20.

제2 단말기(130)는 화재현장의 현장 지휘부가 구비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태블릿 PC(Tablet PC)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단말기(130)는 비상유도등(110)으로부터 수신한 상황정보를 기초로 건물 내부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제1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제1 단말기(120)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기초로 제1 단말기(120)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모니터링되는 모든 정보를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2 단말기(130)는 서버(140)에 대한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2 단말기(130)는 통신모듈(410), 센서모듈(420), 사용자 인터페이스(430), 및 제어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130 is a terminal provided in the field command unit of the fire site, for example, may correspond to a tablet PC (Tablet PC). Preferably, the second terminal 130 monitors the situation inside the building based on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may be monitor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nd all monitor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40. That is, the second terminal 130 functions as a gateway to the server 140.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terminal 1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410, a sensor module 420, a user interface 430, and a control module 440.

통신모듈(410)은 비상유도등(110), 제1 단말기(120) 및 서버(140)와 통신을 형성하여 비상유도등(110), 제1 단말기(120) 및 서버(140)와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통신모듈(410)은, 제1 단말기(120)와 확산인자의 유형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의 변화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로라 RF 모듈들, 및 서버(140)와 통신을 형성하기 위한 3G 모듈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410 forms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rver 140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rver 140. To be possible.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odule 410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at least two Laura RF modules and the server 140 for stably forming a change in the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type of spreading factor. It may include a 3G module or a Long Term Evolution (LTE) module.

센서모듈(420)은 제1 단말기(120)의 위치를 표현하고, 제2 단말기(13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들로 구성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GPS 및 IMU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GPS는 제2 단말기(13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단말기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표현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고, IMU는 제2 단말기(130)의 방향을 찾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즉, GPS에 의하여 제2 단말기(13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단말기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표현되고 있을 때, 제2 단말기(130)의 IMU는 제1 단말기들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제2 단말기(130)의 화면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ensor module 420 is composed of various sensors for express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and obtai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130, and preferably, may include a GPS and an IMU. Here, the GPS is provided to express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first terminals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rminal 130, the IMU is provided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130. That is, when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first terminals are express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terminal 130 by GPS, the IMU of the second terminal 130 may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s. 130) to rotate the screen.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는 제1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제1 단말기(120)를 모니터링하는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 LCD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430 output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20 and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first terminal 120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user. Preferably, the user interface 430 is implemented as an LCD touch screen. Can be.

제어모듈(440)은 제2 단말기(130)에서 수행되는 모든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수신부(441), 모니터링부(442), 비상상황 판단부(443), 및 데이터 송신부(44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모니터링부(442)는 비상유도등(110) 또는 제1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기초로 건물 내의 상황(예를 들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 및 제1 단말기(120)의 동작(예를 들어, 현장 투입 시간, 위치이동, 소방대원의 상태)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상상황 판단부(443)는 제1 단말기(120)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기초로 제1 단말기(120)가 비상상황(예를 들어, 부동상태)에 처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알람메시지를 생성하여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모든 제1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440 controls the flow of all operations and data performed in the second terminal 130, the data receiving unit 441, the monitoring unit 442,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ing unit 443, and the data transmitting unit 444. ). Preferably, the monitoring unit 442 is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or the first terminal 120 (for example, whether or not an emergency occurs) and the first terminal 120 in the building of the Operations (e.g., site input time, location movement, firefighter's status) can be monitored. Preferably,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443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120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a floating stat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In case of an emergency, an alarm messag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nother first terminal or all first terminals.

서버(140)는 종합상황실에 구비되는 장치로서, 제1 단말기(120)별 타임슬롯을 할당하고, 제2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제1 단말기(120)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40)는 통신모듈(510),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및 제어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140 is a device provided in the general situation room. The server 140 allocates a time slot for each first terminal 120 and receives and manages moni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20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130. . Preferably, referring to FIG. 5, the server 1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510, a user interface 520, and a control module 530.

통신모듈(510)은 제2 단말기(130)와 통신을 형성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신모듈(510)은, 유선 네트워크 망(예를 들어, Ethernet 등), RF 모듈에 해당하는 LTE 모듈, 또는 3G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510 may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130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odule 510 may include a wired network (eg, Ethernet), an LTE module corresponding to an RF module, or a 3G module.

사용자 인터페이스(520)는 제2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해당 정보를 기초로 관리되는 제1 단말기(120) 및 현장 상황에 대한 정보 등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The user interface 520 output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130 and information on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ite situation manag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user. Configuration.

제어모듈(530)은 서버(140)에서 수행되는 모든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수신부(531), 타임슬롯 관리부(532), 데이터 관리부(533), 비상상황 판단부(534), 및 명령 전송부(53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타임슬롯 관리부(532)는 제1 단말기(120)가 제2 단말기(130)와 주기적인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타임슬롯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타임슬롯은 다수의 제1 단말기들과 제2 단말기 간의 통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단말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할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데이터 관리부(533)는 제2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여 제1 단말기(110) 각각의 이력을 관리하고 제1 단말기(110)의 상태 및 위치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비상상황 판단부(534)는 제2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비상상황 발생을 예측하고, 명령 전송부(535)는 비상상황 판단부(534)에서 예측된 정보를 기초로 명령 메시지,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접근하지 말라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530 controls the flow of all operations and data performed in the server 140, the data receiver 531, the time slot manager 532, the data manager 533,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534, And a command transmitter 535. Preferably, the timeslot manager 532 may manage information about timeslots used by the first terminal 120 to perform periodic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130, and the timeslo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lots. In order to prevent a communication collision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second terminal may be differently assigned to each of the first terminal. Preferably, the data manager 533 may collect monito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130 to manage the history of each of the first terminals 110 and to monitor the statu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10. have.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534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monito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130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command transmission unit 535 may determine the information predicted by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534. On the basis of this, a command message, for example, a command message not to access a specific area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120.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탐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tua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비상유도등(11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진동 센서(210)와 기압 센서(220)가 진동 및 기압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면, 제어 모듈(250)의 데이터 송수신부(251)는 진동 센서(210) 및 기압 센서(22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610).Referring to FIG. 6, as a method performed i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when the vibration sensor 210 and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220 measure data on vibration and barometric pressur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51 of the control module 250 may be used. ) Receives the measured information from the vibration sensor 210 and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220 (step S610).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진동 센서(210)로부터 측정된 진동 신호를 기초로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20). 바람직하게,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진동 센서로부터 측정된 진동 신호를 제공받아 특정 대역의 진동에 대한 진폭을 모니터링하고, 진폭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52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210 (step S620). Preferably,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252 receives the vibration signal measured from the vibration sensor, monitors the amplitude of the vibration of a specific band, and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when the amplitude exceeds a preset value. have.

보다 구체적으로,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진동 센서(210)의 출력에 대한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지진과 같이 건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0.5Hz 대역의 진동에 대한 진폭을 모니터링한다. 각 비상유도등에 구비된 각 진동 센서(210)로부터 출력된 진동 신호가 수신되면,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진동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 수행하여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특정 주파수를 분석하고, 저역필터(Low-Pass Filter)를 활용하여 노이즈(예를 들어, 0.6Hz 대역 이상의 주변 환경 영향)를 제거한다. 그 다음,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역 FFT(inverse FFT)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이 아닌 시간 영역에서의 진동센서 값으로 환산한다. 즉,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예를 들어, 0.5Hz 대역의 진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저역필터를 적용하여 0.5Hz 보다 큰 대역의 신호(예를 들어, 6-15Hz 대역에서 발생하는 사람의 걸음 및 주변 환경에 의한 진동)를 제거한 후 진동을 파악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52 analyzes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output of the vibration sensor 210 to monitor the amplitude of the vibration of the 0.5Hz band that may affect the building, such as an earthquake. When a vibration signal output from each vibration sensor 210 provided in each emergency induction lamp is received,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52 performs a FFT (fast Fourier transform) on the vibration signal, converts it into a frequency band, and analyzes a specific frequency. Low-pass filters are used to remove noise (eg, environmental effects above the 0.6 Hz band). Next,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252 performs an inverse FFT on the signal from which the noise is removed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vibration sensor value in a time domain rather than a frequency domain. That is,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52, for example, 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the vibration of the 0.5Hz band by applying a low pass filter signal of a band larger than 0.5Hz (for example, a person occurring in the 6-15Hz band Step by step and the vibration caus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eliminate the vibration.

그 다음,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저역필터를 통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진동 신호에서 신호의 면적에 따라 붕괴 위험이 있는지 또는 붕괴가 발생하였는지, 즉, 비상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진동 센서(210)의 출력의 표준편차가 기설정된 특정 값 이하일 때 진동 센서(210)에 대한 켈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하여, 신호의 면적을 계산할 때 진동 센서(210)의 바이어스(bias) 및 건물의 기본 진동과 같은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진동 센서(210)의 출력이 기설정된 특정 표준편차값 보다 작을 때,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진동 센서(210) 출력의 평균을 측정하고 이를 진동 센서의 출력에서 지속적으로 빼줌으로써 진동 센서(210)의 바이어스 및 건물 고유 진동에 의한 영향을 제외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진동 센서(210)의 바이어스 및 건물 고유 진동에 의한 영향이 제외된, 진동 신호의 면적은 아래의 [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The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52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danger of collapse or that collapse occurs, that is,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signal in the vibration signal from which the noise is removed through the low pass filter. Preferably,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52 performs the calibration (calibration) for the vibration sensor 210 whe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output of the vibration sensor 21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vibration when calculating the area of the signal Effects such as bias of the sensor 210 and basic vibration of the building can be eliminated. That is, when the output of the vibration sensor 210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standard deviation value,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52 measures the average of the vibration sensor 210 output and continuously subtracts it from the output of the vibration sensor to vibrate. This is to exclude the influence of the bias of the sensor 210 and the building natural vibration. As such, the area of the vibration signal excluding the influence of the bias of the vibration sensor 210 and the building natural vibration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식 1]

Figure pat00001
[Equation 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k는 비상유도등의 식별자, t는 시간,

Figure pat00002
는 비상유도등 k의 진동 신호의 면적,
Figure pat00003
는 진동 신호,
Figure pat00004
는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측정된 값에 해당하고, 진동 신호의 면적이 산출되는 시간 t의 구간은 일정한 시간 구간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 1]에서는 t=5~t=7 인 경우의 예시이고, 일정한 타임 윈도우(Time Window) 사이즈가 3초로 설정된 경우, 현재 시간이 8초이면 t=5~t=8 구간에서의 진동 신호의 면적이 산출되고, 현재 시간이 9초이면 t=6~t=9 구간에서의 진동 신호의 면적이 산출되고, 현재 시간이 10초이면 t=7~t=10 구간에서의 진동 신호의 면적이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시간에 따라 진동 신호의 면적이 지속적으로 산출되면서 비상상황위험 또는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이 적용되는 것이다.Where k is an identifier of emergency induction, t is time,
Figure pat00002
Is the area of the vibration signal of k,
Figure pat00003
The vibration signal,
Figure pat00004
Corresponds to a value measured by the calibration, and a section of time t at which the area of the vibration signal is calculated may be preset to a predetermined time section. For example, [Equation 1] is an example of the case of t = 5 to t = 7, and if a constant time window size is set to 3 seconds, if the current time is 8 seconds, t = 5 to t = 8 intervals. The area of the vibration signal at is calculated, and if the current time is 9 seconds, the area of the vibration signal at t = 6 to t = 9 is calculated. If the current time is 10 seconds, the area of the vibration signal at t = 7 to t = 10 The area of the vibration signal can be calculated. As the area of the vibration signal is continuous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risk or occurrence is applied.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각 비상유도등(①~⑤)에 대한 진동 신호의 면적을 t=5~t=A, 및 t=A~t=B의 범위에서 계산한 것이다. 비상상황위험에 해당하는 기준면적값이 Thre1이고, 비상상황발생에 해당하는 기준면적값이 Thre2인 경우, 비상유도등⑤의 t=5~t=A에서의 면적은 Thre1 이상 Thre2 미만이므로 비상상황위험으로 판단되고, 비상유도등④, 및 비상유도등⑤의 t=A~t=B에서의 면적은 모두 Thre2 이상이므로 비상상황발생으로 판단될 수 있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영역은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서, 면적 산출시 제외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the area of the vibration signal for each of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1 to 5) is calculated in the range of t = 5 to t = A and t = A to t = B. If the reference area value corresponding to emergency risk is Thre1 and the reference area value corresponding to emergency occurrence is Thre2, the area at t = 5 ~ t = A of emergency induction lamp ⑤ is more than Thre1 and less than Thre2. Since the area of t = A ~ t = B of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④ and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⑤ is more than Thre2,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area marked in blue is a value measured by calibration and is excluded when calculating the area.

또한, 비상상황 판단부(252)는 기압 센서(220)로부터 측정된 기압 및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온도와 기압의 변화 패턴을 기초로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가스 센서로부터 탐지된 유독가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252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air pressure and temperature measured from the air pressure sensor 220 to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on the basis of a change pattern of temperature and air pressure, Information about the toxic gas detected from the gas sensor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대피경로 결정부(253)는 비상상황 판단부(252)로부터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를 다른 비상유도등과 공유하여 대피경로를 결정한다(단계 S630). 여기에서, 비상유도등(110) 각각은 자신의 위치정보 및 다른 비상유도등 간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비상유도등1에 기저장된 정보로서, 각 비상유도등의 식별자, 비상유도등의 위치(Floor), 비상유도등 간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가중치(Weight)가 저장되어 있고,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즉, 건물에 비상유도등의 설치시 각 비상유도등에는 건물 내에 설치된 유도등의 총 수가 입력되어, 경로 설정을 위한 비상유도등간의 통신시 모든 비상유도등 간의 거리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52,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253 determines the evacuation route by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emergency situation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with other emergency inductions (step S630). ). Here, each of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110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path between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other emergency induction lamps in advanc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 a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 an identifier of each emergency induction lamp, a weight of a location of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a weight for setting a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and the like are stored. Information on emergency induction, etc., locat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can also be stored. That is, wh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the total number of induction lamps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input to each emergency induction lamp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all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can be calculated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for setting the route.

바람직하게, 대피경로 결정부(253)는 다른 비상유도등과 공유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까지의 대피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대피경로 결정부(253)는 다른 비상유도등과 공유된 기압값을 기초로 상호간의 층 구분을 수행하여 대피 경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Preferably,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253 may determine the evacuation route to the emergency induction, etc. located i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shared with other emergency induction. In addition,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253 may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evacuation route by performing the layer division between each other based on the barometric pressure value shared with other emergency indu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대피경로 결정부(253)는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비상유도등 간의 각 경로에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의 위치까지의 최단 대피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피 경로의 최종 목적지는 항상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이다. 바람직하게, 대피경로 결정부(253)는 비상유도등 간의 거리 정보를 기초로 하나의 비상유도등에서 다음의 비상유도등으로 연결되는 경로에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상유도등 간의 거리가 짧을수록 작은 가중치가 설정되고 비상유도등 간의 거리가 멀수록 큰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고,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에 따라 비상상황을 감지한 비상유도등과 연결되는 경로의 가중치는 무한대로 설정될 수 있고, 비상상황을 감지한 비상유도등과의 거리에 따라 비상상황을 감지한 비상유도등과 근접한 지역에 있는 비상유도등 간의 연결되는 경로의 가중치에는 거리 정보에 기반한 가중치에 추가가중치(+a)가 설정될 수 있고, 여기에서, 추가가중치의 값은 기설정된 값에 해당한다. More specifically,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253 sets weights on each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s and the lik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from its location using the set weights. The shortest evacuation route to the location of emergency induction, etc. can be calculated. Here,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evacuation route is an emergency guide, which is alway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Preferably,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253 may calculate a weight on a path from one emergency induction lamp to the next emergency induction lamp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is short. The smaller the weight is set,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the larger the weight can be set.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the weight of the path connected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which detects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set to infinity, An additional weight (+ a) may be set to a weight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in the weight of the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that detects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in an adjacent area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that detects a situation. Here, the value of the additional weight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바람직하게, 각 경로마다 가중치가 설정되면, 대피경로 결정부(253)는 특정 위치(예를 들어, 제1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소방대원 또는 시민의 위치)에 있는 비상유도등으로부터 다음 비상유도등 간의 경로에 설정된 가중치를 기초로 가장 낮은 가중치를 갖는 경로를 선택하고, 그 다음 비상유도등까지의 경로도 이와 마찬가지로 가장 낮은 가중치를 갖는 경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대피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1번 비상유도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1번 비상유도등으로 연결되는 2번 비상유도등과 1번 비상유도등 간의 경로에는 무한대의 가중치가 설정되고, 나머지 비상유도등들 서로 간의 경로에는 거리에 따른 가중치가 설정되고, 1번 비상유도등과 근접한 지역에 있는 4번 비상유도등으로 연결되는 3번 비상유도등과 4번 비상유도등 간의 경로에는 거리에 따른 가중치에 더하여 추가가중치 a가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소방대원의 위치가 2번 비상유도등인 경우, 2번 비상유도등으로부터 이동가능한 비상유도등은 1번 및 3번 비상유도등이고, 대피경로 결정부(253)는 2번 비상유도등과 1번 비상유도등간의 경로에 설정된 가중치와 2번 비상유도등과 3번 비상유도등간의 경로에 설정된 가중치를 비교하여 낮은 가중치를 갖는 3번 비상유도등으로의 경로를 선택하고, 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3번 비상유도등으로부터 이동가능한 경로(3번 비상유도등->4번 비상유도등, 3번 비상유도등->5번 비상유도등)에 설정된 가중치를 비교하여 낮은 가중치를 갖는 5번 비상유도등으로의 경로를 선택하고, 5번 비상유도등으로부터 이동가능한 경로(5번 비상유도등->6번 비상유도등, 5번 비상유도등->7번 비상유도등)에 설정된 가중치를 비교하여 낮은 가중치를 갖는 7번 비상유도등으로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피경로 결정부(253)는 도 10에 도시된 예시에서 2번->3번->5번->7번 비상유도등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대피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Preferably, if weights are set for each route,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253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at the specific posi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firefighter or the citize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the next emergency induction lamp. The evacuation path may be determined by selecting the path having the lowest weight based on the weight set in the path, and then selecting the path having the lowest weight as the path to the next emergency induction. 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 10, when a fire occurs in the first emergency induction lamp, an infinite weight is set in the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and the second emergency induction light connected to the first emergency induction light, the remaining emergency induction light The distances between the emergency guide lights and the emergency guide lights, which are connected to the emergency guide lights 4 in the area adjacent to the emergency guide lights, are added to the paths. Can be set. Then, when the position of the firefighters is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2,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which is movabl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2 is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1 and 3, and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253 is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2 and emergency 1 lamp. By comparing the weights set in the path between the guide lights and the weights set in the path between the 2nd emergency guide and the 3rd emergency induction light, the route to the 3rd emergency induction light having a lower weight is selected, an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ove from the 3rd emergency induction light. By comparing the weights set in the route (Emergency Induction Light No. 3-> Emergency Induction Light No. 3, Emergency Induction Light No. 3-> Emergency Induction Light No. 5), select the route to Emergency No. 5 Emergency Induction Light with low weight, and Compare the weights set in the movable path (Emergency induction lamp # 5-> Emergency induction lamp # 5, Emergency induction lamp # 5-> Emergency induction lamp # 7). The path can be selected. Therefore,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253 may determine the route connected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2-> 3-> 5-> 7 in the example shown in FIG.

출력 모듈(240)은 대피경로 결정부(253)로부터 결정된 대피경로를 기초로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단계 S640). 바람직하게, 출력 모듈(240)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최단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방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정보는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고, 표시된 화살표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초록색 대피 경로로 소방대원 또는 시민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output module 240 outputs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ed by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253 (step S640). Preferably, the output module 240 may output di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shortest evacuation path throug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indicated by an arrow, and the firefighter or citizen may move along the green evacuation path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the indicated arrow.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비상유도등(110)을 통하여 상황 탐지 방법이 수행됨과 동시에 비상유도등(110), 제1 단말기(120), 제2 단말기(130), 및 서버(140) 간에 수행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erformed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the first terminal 120, the second terminal 130, and the server 140 while the situation detection method is performed throug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described above. It demonstrates.

제1 단말기(120)는 비상유도등(110)과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비상유도등(110)은 식별자, 위치정보, 및 기압정보를 제1 단말기(120)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20)는 식별자, 상태정보, 위치정보, 및 라우팅 요청정보를 비상유도등(110)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20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Preferably,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periodically transmits the identifier,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arometric pressure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20, and,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first terminal 120. Can transmit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20 may periodically transmit the identifier, statu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routing request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먼저, 비상유도등(110)은 제1 단말기(120)와의 주기적인 통신에 따른 신호세기를 기초로 제1 단말기(120)의 건물출입여부를 판단하고, 건물출입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2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상유도등(110)은 제1 단말기(120)와의 주기적인 통신 중 RSS(Received Signal Strength)의 값이 -60dBm 이하인 경우, 해당 제1 단말기(120)는 비상유도등(110)과의 거리가 2~3m 이내에 해당하므로 해당 제1 단말기(120)가 건물에 투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irst,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120 enters or exits a building based on signal strength according to periodic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2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uilding access information is entered into a second terminal ( 130). Preferably,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has a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when the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is -60 dBm or less during periodic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20. Is within 2 to 3m,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terminal 120 has been put into the building.

바람직하게, 제1 단말기(120)는 통신모듈(310)을 통하여 비상유도등(110)으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위치정보, 및 기압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terminal 120 may estimate the location based on the identifier, location information, and barometric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20)와 비상유도등(110)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내에 있으면, 비상유도등(110)의 위치가 제1 단말기(120)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20)의 위치정보 획득부(341)는 셀아이디(Cell-ID) 방식에 기초하여, 비상유도등(110)과의 통신에 따른 신호세기를 기초로 비상유도등(110)과의 거리가 1m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비상유도등(110)의 위치를 제1 단말기(120)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통신에서의 신호세기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b)는 로라 통신에서의 신호세기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신호세기가 노란색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비상유도등과의 거리가 1m 이내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may be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of the first terminal 120 is based on the cell ID method, and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If it is determined that is within 1m,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may be determined as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For example, FIG. 11 (a) shows the change in signal strength in Wi-Fi and Bluetooth communication, and FIG. 11 (b) shows the change in signal strength in Laura communication, where the signal strength is in the yellow region. If includ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is within 1m.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20)와 비상유도등(110)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내에 있지 않으면, 비상유도등(110)으로부터 수신한 통신신호의 신호세기, 통신신호를 수신한 3개 이상의 비상유도등들간의 거리정보, 또는 보행추측항법(PDR)에 의하여 추정된 이동거리에 따라 제1 단말기(12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단말기(120)의 위치정보 획득부(341)는 신호세기를 기초로 비상유도등(110)과의 거리가 1m 이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신호세기 및 센서 모듈(3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재귀적 필터(Reculsive Filter)를 이용해 결합하여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is not within a specific distanc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three or more emergency induction light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or the movement distance estimated by the walking estimation navigation system (PDR). Preferab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of the first terminal 120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is not within 1 m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acquires the signal from the signal strength and the sensor module 320. The combined information can be combined using a recursive filter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 획득부(341)는 센서 모듈(3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PDR(Pedestrian Dead Reckoning)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120)의 실시간 이동거리를 추정하고, 이동거리에 대하여 측정된 신호세기를 기초로 거리에 따른 통신신호의 신호세기 감쇄 모델([식 2] 참조)을 이용하여 경로 감쇄 지수(

Figure pat00005
)를 추정(Calibration)한다. 경로 감쇄 지수는 환경에 따라 매우 다른 값을 가지므로, 본 발명은 거리 정보의 산출에 있어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PDR을 이용하여 경로 감쇄 지수를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estimates the real-time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terminal 120 by using PDR (Pedestrian Dead Reckoning)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or module 320,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the path attenuation index (see [Equation 2]) is used for the signal strength attenuation model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ver distance.
Figure pat00005
) Is estimated. Since the path attenuation index has a very different valu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the path attenuation index in real time using the PDR to improve the accuracy in calculating the distance information.

[식 2]

Figure pat00006
[Equation 2]
Figure pat00006

여기에서,

Figure pat00007
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신호세기(dBm),
Figure pat00008
는 1m 거리에서의 신호세기,
Figure pat00009
는 1m,
Figure pat00010
는 정규 무작위 변수(normal random variable),
Figure pat00011
는 경로 감쇄 지수(path loss exponent), d는 PDR을 통하여 측정된 이동거리에 해당하고,
Figure pat00012
는 0일 수 있다.From here,
Figure pat00007
Is the signal strength (dBm) measured in real time,
Figure pat00008
Is the signal strength at 1m distance,
Figure pat00009
Is 1 m,
Figure pat00010
Is a normal random variable,
Figure pat00011
Is the path loss exponent, d is the moving distance measured through PDR,
Figure pat00012
May be zero.

위치정보 획득부(341)는 [식 2]로부터 획득된 경로 감쇄 지수를 기초로, 비상유도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20)와 3개 이상의 각 비상유도등들 간의 거리(d)를 [식 3]과 같이 추정하고, 3개 이상의 비상유도등들 간의 거리들을 기초로 삼각측량에 따라 제1 단말기(12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위치정보 획득부(341)는 비컨노드A로부터 측정된 실시간 신호세기(PL)를 [식 3]에 대입하여 비컨노드A로부터 이동노드M 간의 거리Da를 계산하고, 비컨노드B로부터 측정되는 실시간 신호세기를 [식 3]에 대입하여 비컨노드B로부터 이동노드M간의 거리Db를 계산하고, 비컨노드C로부터 측정되는 실시간 신호세기를 [식 3]에 대입하여 비컨노드C로부터 이동노드M간의 거리 Dc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컨노드A, B, C는 3개의 비상유도등을 나타내고, 이동노드는 제1 단말기(120)를 나타낸다. 그 다음, 위치정보 획득부(341)는 Da, Db, 및 Dc를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i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0 and each of the three or more emergency induction lamps using signal strength measured in real tim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based on the path attenuation index obtained from [Equation 2]. It is possible to estimate (d) as shown in [Equation 3] and obtain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according to triangulation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ree or more emergency induction lamp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2,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calculates the distance Da between the beacon node A and the mobile node M by substituting the real-time signal strength PL measured from the beacon node A into [Equation 3]. The distance Db between the mobile node M from the beacon node B i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real time signal strength measured from the beacon node B into [Equation 3], and the real time signal strength measured from the beacon node C is substituted into [Equation 3]. The distance Dc between the mobile nodes M can be calculated from the beacon node C. Here, the beacon nodes A, B, and C represent three emergency induction lamps, and the mobile node represents the first terminal 120. Next,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may perform triangulation using Da, Db, and Dc.

[식 3]

Figure pat00013
[Equation 3]
Figure pat00013

여기에서,

Figure pat00014
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신호세기(dBm),
Figure pat00015
는 1m 거리에서의 신호세기,
Figure pat00016
는 1m,
Figure pat00017
는 정규 무작위 변수(normal random variable),
Figure pat00018
는 경로 감쇄 지수(path loss exponent), d는 제1 단말기(120)와 비상유도등 간의 거리에 해당한다.From here,
Figure pat00014
Is the signal strength (dBm) measured in real time,
Figure pat00015
Is the signal strength at 1m distance,
Figure pat00016
Is 1 m,
Figure pat00017
Is a normal random variable,
Figure pat00018
Denotes a path loss exponent, and d denote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0 and an emergency induction.

그 다음, 위치정보 획득부(341)는 삼각측량에 따라 획득된 위치와 PDR에 의한 위치를 아래의 [식 4]에 따라 재귀적으로 수행하여 결합한다.Then,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1 combines the position obtained by triangulation and the position by the PDR recursively according to Equation 4 below.

[식 4]

Figure pat00019
[Equation 4]
Figure pat00019

여기에서, A는 PDR에 의한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Matrix),

Figure pat00020
는 PDR에 의한 위치,
Figure pat00021
는 PDR에 의한 위치에 대한 가중치,
Figure pat00022
은 삼각측량에 의한 위치에 대한 가중치,
Figure pat00023
는 삼각측량에 의한 위치,
Figure pat00024
는 칼만 게인(Kalman Gain),
Figure pat00025
는 공분산, I는 아이덴티티 매트릭스(Identity Matrix)에 해당한다.Here, A is a variable (Matrix) indic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vious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by the PDR,
Figure pat00020
Location by PDR,
Figure pat00021
Is the weight for position by PDR,
Figure pat00022
Is the weight for position by triangulation,
Figure pat00023
Is the position by triangulation,
Figure pat00024
Is the Kalman Gain,
Figure pat00025
Is the covariance and I is the identity matrix.

[식 4]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PDR에 의한 위치는 아래의 [식 5]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추정된다.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quation 4], first, the position by the PDR is estimated in real time using Equation 5 below.

[식 5]

Figure pat00026
[Equation 5]
Figure pat00026

여기에서,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는 현재 위치의 x축 및 y축 좌표값,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는 이전 위치의 x축 및 y축 좌표값,
Figure pat00031
은 보행자의 보폭(즉, 제1 단말기(120)를 소지한 사람의 보폭),
Figure pat00032
는 진행방향 성분이다. [식 5]를 행렬적으로 다시 정리하면 [식 6]과 같고, 여기에서,
Figure pat00033
이 [식 4]의 A값이고,
Figure pat00034
이 [식 4]의 B값이다.From here,
Figure pat00027
Wow
Figure pat00028
Is the x- and y-axis coordinates of the current position,
Figure pat00029
And
Figure pat00030
Is the x- and y-axis coordinates of the previous position,
Figure pat00031
Is the stride length of the pedestrian (ie, the stride length of the person carrying the first terminal 120),
Figure pat00032
Is the direction of travel component. Reordering Equation 5 matrixwise is the same as Equation 6, where
Figure pat00033
Is the A value of [Equation 4],
Figure pat00034
It is B value of this [Equation 4].

[식 6]

Figure pat00035
[Equation 6]
Figure pat00035

또한, [식 4]의 수식 이전에 아래의 [식 7]의 관계식이 성립한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Expression 7 below holds true before the expression of Expression 4.

[식 7]

Figure pat00036
[Equation 7]
Figure pat00036

여기에서,

Figure pat00037
는 삼각측량에 의하여 측정된 위치 좌표값,
Figure pat00038
는 PDR에 의하여 측정된 위치 좌표값이다. [식 7]은 아래의 [식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고, [식 8]을 참조하면, [식 4]에서 H가 나타내는 값은
Figure pat00039
이다.From here,
Figure pat00037
Is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 measured by triangulation,
Figure pat00038
Is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 measured by the PDR. [Equation 7]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8] below, referring to [Equation 8], the value represented by H in [Equation 4] is
Figure pat00039
to be.

[식 8]

Figure pat00040
[Equation 8]
Figure pat00040

바람직하게, [식 4]에서

Figure pat00041
는 PDR 및 삼각측량에 의하여 획득된 위치를 어떠한 비중으로 결합할지 조절하는 변수이고, [식 4]의 3번째 줄에 기재된 수식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42
는 PDR 및 삼각측량에 의하여 계산되는 두 위치의 차이를 지속적으로 추정하는 변수로서, 상수(Constant)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I는 행렬의 대각 성분이 1이고 나머지 성분은 0인 행렬이다.Preferably, in [Formula 4]
Figure pat00041
Is a variable controll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position obtained by PDR and triangulation, and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through the equation described in the third line of [Equation 4].
Figure pat00042
Is a variable that continuously estim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sitions calculated by PDR and triangulation, and may be preset as a constant. I is a matrix whose diagonal component is 1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0.

바람직하게, [식 4]에서 Q 및 R의 값은 제1 단말기(120)가 위치하고 있는 환경 및 온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Q 값은 온도에 따른 센서의 민감성 변화에 따라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온에 해당하는 26.5℃에서 가장 안정적이다. 이를 제외한 온도에서는 센서의 노이즈로 인한 영향이 커지므로, Q 값은 센서 모듈(320)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6.5℃를 기준으로 Q값이 증가하면 PDR의 가중치는 감소하고, Q값이 감소하면 PDR의 가중치는 증가한다.Preferably, the values of Q and R in Equation 4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emperature at which the first terminal 120 is located. The Q valu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change of the sensor with temperature, and is most stable at 26.5 ° C. corresponding to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At the temperature other than this, since the influence due to the noise of the sensor increases, the Q valu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20. For example, if the Q value is increased based on 26.5 ° C., the weight of the PDR decreases, and if the Q value decreases, the weight of the PDR increases.

바람직하게, R값은 환경에 따른 신호대잡음비(SNR)에 따라 조절될 수 있고, 아래의 [식 9]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에서 지상으로 오는 신호의 SNR은 노이즈의 영향으로 음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장애물이 없을 경우에는 양의 값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R값이 증가하면 삼각측량의 가중치는 감소하고, R 값이 감소하면 삼각측량의 가중치는 증가한다.Preferably, the R valu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gnal-to-noise ratio (SN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Equation 9 below. For example, the SNR of the signal coming from the basement to the ground may have a negative value due to the influence of noise, and if there is no obstacl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the SNR may have a large value as the positive value and the R value increases. The weight of the triangulation decreases, and if the value of R decreases, the weight of the triangulation increases.

[식 9]

Figure pat00043
[Equation 9]
Figure pat00043

여기에서,

Figure pat00044
는 SNR이 음수값을 가지더라도 R이 양수값을 가질 수 있을 만큼 큰 값으로 기설정된 값이다. From here,
Figure pat00044
Is a value preset to be large enough that R can have a positive value even if the SNR has a negative value.

또한, 제1 단말기(120)는 비상유도등(110)의 기압 센서(220)로부터 측정된 값을 기초로 고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20)는 비상유도등(110)의 기압 센서(220)로부터 제공받은 기압 정보에 대해 바이어스(bias)를 보정하고, 보정후의 값을 기설정된 층별 레퍼런스 기압값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레퍼런스 기압값이 가리키는 층을 기초로 제1 단말기(120)의 고도를 추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20 may estimate the altitude based on the value measured from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220 of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3, the first terminal 120 corrects a bias with respect to the air press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ir pressure sensor 220 of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and presets the value after correction by floor. The altitude of the first terminal 120 may be estimated based on the floor indicated by the reference air pressure value that is most similar to the reference air pressure value.

제2 단말기(130)는 비상유도등(110) 또는 제1 단말기(120)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비상유도등(110) 또는 제1 단말기(12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제2 단말기(130)는 제1 단말기(120)로부터 제1 단말기(120)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비상유도등(110)을 통하여 제1 단말기(120)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120)는 라우팅 요청 정보를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비상유도등(110)으로 전송하여,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비상유도등(110)을 통해 제2 단말기(130)로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second terminal 130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or the first terminal 120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or the first terminal 120. Preferably, the second terminal 130 directly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erminal 120 from the first terminal 120, or deliver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120 throug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I can receive it. That is, the first terminal 120 transmits the routing request information to another first terminal or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so that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130 through the other first terminal or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It i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20)는 제2 단말기(130)와 일정시간 이상 통신이 되고 있지 않은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된다(단계 S710). 바람직하게, 제1 단말기(120)의 통신모듈(310)은 제2 단말기(130)와의 최근 통신 횟수를 기초로 통신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신모듈(310)이 제2 단말기(130)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신호, 즉, 비콘 기능을 하는 통신 메시지를 3회 이상 미수신하면, 제2 단말기(130)와 통신 연결이 끊긴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irst terminal 12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terminal 130 has not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terminal 13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tep S710).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of the first terminal 120 may determine whether communication is maintained based on the number of recent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13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If th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130, that is, the communication message having a beacon function is not received three or more time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130 has been lost.

단계 S710에서 제2 단말기(130)와 일정시간 이상 통신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제1 단말기(120)가 제2 단말기(130)와 통신이 불가능하면, 제1 단말기(120)는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비상유도등(110)에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720). 바람직하게, 제1 단말기(120)는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라우팅(Routing) 요청 플래그(Flag)와 함께 비상유도등(110) 또는 다른 제1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라우팅 요청 플래그는 “Set(1)”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Off(0)”로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단말기(120)가 직접 제2 단말기(130)로 데이터 전송이 불가하여 비상유도등(110) 또는 다른 제1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의 라우팅이 필요한 경우에는 라우팅 요청 플래그가 Set(1)으로 설정되어 데이터가 전송되고, 라우팅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라우팅 요청 플래그가 Off(0)로 설정되어 데이터가 전송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10 that the second terminal 130 is not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terminal 130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when the first terminal 120 cannot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erminal 130, the first terminal 120 communic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other connected first terminal or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step S720). Preferably, the first terminal 12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or another first terminal together with a routing request flag. Here, the routing request flag may be set to “Set (1)” or “Off (0)”, and the first terminal 120 cannot directly transmit data to the second terminal 130. If routing of data throug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or other first terminal is required, the routing request flag is set to Set (1) and data is transmitted. If routing is not necessary, the routing request flag is Off (0). Data is transmitted.

라우팅 요청 플래그와 함께 제1 단말기(120)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신한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비상유도등(110)는 제1 단말기(120)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제2 단말기(130)에 전달한다(단계 S730). The other first terminal or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110 which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together with the routing request flag,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to the second terminal 130. It passes to (step S730).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20)의 라우팅 요청 정보와 함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가 비상유도등(110)으로 전송된 경우, 비상유도등(110)은 기설정된 비상유도등간 가중치(도 9 참조)를 기반으로 건물 출입구에 위치한 비상유도등까지 메시지의 라우팅을 수행하고, 건물 출입구에 위치한 비상유도등은 전달받은 메시지를 제2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20)의 라우팅 요청 정보와 함께 위치 정보 및 상태정보가 다른 제1 단말기로 전송된 경우, 다른 제1 단말기는 또다른 제1 단말기로의 라우팅을 통하여 제2 단말기(120)와 통신이 가능한 제1 단말기까지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거나, 또는 비상유도등과 통신이 가능한 제1 단말기까지 정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라우팅의 횟수에는 제한이 없다. 여기에서, 비상유도등으로 전달된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상유도등 간의 라우팅을 통하여 제2 단말기(130)로 전송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outing request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the emergency induction light 110 is a weight between the predetermined emergency induction light (see FIG. 9). Based on the routing of the message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at the entrance to the building,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at the building entrance can transmit the received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130).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outing request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20 are transmitted to another first terminal, the other first terminal is routed to another first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ermin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first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120 o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first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mergency induction or the like, and the number of routings is not limited. Her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130 through routing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as described above.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탐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Whil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상황 탐지 시스템
110: 비상유도등
120: 제1 단말기
130: 제2 단말기
140: 서버
100: situation detection system
110: emergency induction light
120: first terminal
130: second terminal
140: server

Claims (9)

비상유도등;
상기 비상유도등과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비상유도등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비상유도등은,
진동 센서 및 기압센서;
상기 진동 센서 및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아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 모듈;
상기 진동 센서 및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 및 상기 제어 모듈에서 판단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다른 비상유도등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서 판단된 상황에 따라 안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유도등은, 상기 제1 단말기와의 주기적인 통신에 따른 신호세기를 기초로 제1 단말기의 건물출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건물출입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라우팅 요청 정보를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비상유도등으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비상유도등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Emergency induction lamps;
A first terminal period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And
And a second terminal periodicall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or the first terminal.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Vibration sensor and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to determine a situation;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and information on a situ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module with other emergency induction lamps; And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itu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module,
The emergency induction and the lik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according to the periodic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building access to the first terminal,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access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first terminal cannot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routing request information to another first terminal or emergency induction and the lik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other first terminal or the emergency induction. Situation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측정된 진동 신호를 제공받아 특정 대역의 진동에 대한 진폭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And receiving a vibration signal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to monitor an amplitude of vibration of a specific ba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진폭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다른 비상유도등과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module,
When the amplitud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situation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emergency situation is shared with other emergency indu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공유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까지의 대피 경로를 결정하되, 상기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에 대한 정보 및 비상유도등 간의 경로는 기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modul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hared emergency situ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 the evacuation route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in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but the path between the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in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the emergency induction Situation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e-stor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비상유도등 간의 각 경로에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상기 건물의 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비상유도등의 위치까지의 최단 대피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에 따라 비상상황을 감지한 비상유도등과 연결되는 경로의 가중치는 무한대로 설정되고, 상기 비상유도등 간의 각 경로의 거리에 따라 가중치가 설정되고, 상기 비상상황을 감지한 비상유도등과의 거리에 따라 추가가중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modul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weights are set for each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and the shortest evacuation path from the position of the user to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using the set weights. The weight of the path connected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which detects the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is set to infinity, the weight is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each path between the emergency induction lamps, and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The situation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weight is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결정된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하여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방향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module,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evacuation path through the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vacuation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라우팅 요청 정보를 상기 비상유도등으로 전송한 경우, 상기 비상유도등은, 기설정된 비상유도등간 가중치를 기반으로 건물 출입구에 위치한 비상유도등까지 메시지의 라우팅을 수행하고, 건물 출입구에 위치한 비상유도등은 전달받은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the routing request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routes the message to the emergency induction lamp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based on a preset weight between emergency induction lamps and the emergency located at the building entrance. Induction light is a situation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비상유도등의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공받아 고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erminal,
The situation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estimating the altitude received from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such as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비상유도등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terminal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first terminal directly from the first terminal 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emergency induction.
KR1020190148481A 2019-11-19 2019-11-19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KR1020865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481A KR102086541B1 (en) 2019-11-19 2019-11-19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481A KR102086541B1 (en) 2019-11-19 2019-11-19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942A Division KR102049418B1 (en) 2018-06-25 2018-06-25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32A true KR20200000832A (en) 2020-01-03
KR102086541B1 KR102086541B1 (en) 2020-03-10

Family

ID=6915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481A KR102086541B1 (en) 2019-11-19 2019-11-19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54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134B1 (en) * 2007-10-22 2010-02-1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ultidirectional Emergency Guide Lamp, Emergency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07458A (en) * 2009-07-16 2011-01-24 김도형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missing child using rfid
KR20150018215A (en) * 2013-08-09 2015-02-23 (주)서전기전 Power distributing board having cutting-off system of equipped seismic-sensing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KR20150134472A (en) 2014-05-21 2015-12-02 세빈기술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a disaster field
KR101841536B1 (en) * 2016-11-18 2018-03-26 주식회사 더원소프트 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134B1 (en) * 2007-10-22 2010-02-1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ultidirectional Emergency Guide Lamp, Emergency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07458A (en) * 2009-07-16 2011-01-24 김도형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missing child using rfid
KR20150018215A (en) * 2013-08-09 2015-02-23 (주)서전기전 Power distributing board having cutting-off system of equipped seismic-sensing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KR20150134472A (en) 2014-05-21 2015-12-02 세빈기술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a disaster field
KR101841536B1 (en) * 2016-11-18 2018-03-26 주식회사 더원소프트 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541B1 (en)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50639C (en) Tracking and accountability device and system
US8618931B2 (en) Position-monitoring device for persons in a tunnel system
CA2691537C (en) Dynamic resource assignment and exit information for emergency responders
US20180146343A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r absence of user within specific space
KR20180090933A (en) Intelligent gas leakage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US90536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 multi-story buildings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KR102108963B1 (en) Method for actively guiding emergency evacuation route
KR101965158B1 (en)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KR101755533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JP2009044394A (en) Radio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11272500B2 (en) Unified facility communications system with device location
KR101917215B1 (en) Disaster preparedness guid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1185405B1 (en) Terminal and Exit course guide system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650774B1 (en) Meht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Shelter Course
KR1020865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KR1020494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KR101859907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field
KR20120033607A (en) System for grasping a present place of rescuer
US106348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bile devices in extreme ambient conditions
US9858791B1 (en) Tracking and accountability device and system
KR101972538B1 (en) Indoor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KR20160093448A (en) Electronic fire detector by bluetooth ibeacon transmitter and receiving system
EP361146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localization in extreme ambient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