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16U - 전기 그릴 팬 - Google Patents

전기 그릴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16U
KR20200000816U KR2020190000980U KR20190000980U KR20200000816U KR 20200000816 U KR20200000816 U KR 20200000816U KR 2020190000980 U KR2020190000980 U KR 2020190000980U KR 20190000980 U KR20190000980 U KR 20190000980U KR 20200000816 U KR20200000816 U KR 202000008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pan
electric grill
filter
oil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211Y1 (ko
Inventor
빙 야오 리우
슈 런 량
지엔 량 천
춘 하오 팡
요우 타이 천
Original Assignee
광동 마스터 일렉트리컬 업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마스터 일렉트리컬 업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광동 마스터 일렉트리컬 업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00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47J37/0722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5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그릴 팬에 관한 것으로, 본체, 4개의 직류 송풍기, 후라이 팬, 송풍기 지지대, 기름여과 팬, 수용부, 공기유입구, 공기유출구, 구멍, 만곡면, 본체의 메인하우징, 본체의 표면하우징, 필터, 물받침, 스위치, 가열파이프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설치를 통해, 송풍기의 구동 하에 순환 기류를 생성하고, 기류중의 연기가 필터를 거치고, 물받침을 통과하여 점차 제거된다.

Description

전기 그릴 팬{Electric grill pan}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용 전기 그릴 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바베큐 중 발생하는 연기와 폐유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기 그릴 팬에 관한 것이다.
전기 그릴 팬은 음식물 조리용 바베큐 가전 제품이다. 비록 종래 기술에 관한 전기 그릴 팬은 바베큐 중 형성된 폐유와 연기를 어느 정도 제거하지만(예를 들어 종래기술 중의 중국등록실용신안 '전기 그릴 팬'(출원번호 제201720742468.7호), 연기와 폐유 제거 효과를 더 향상하는 보다 더 바람직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연기 흡착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전기 그릴 팬과, 바베큐 중 형성된 폐유를 처리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아래 기술적 수단을 통해 구현된다.
1. 송풍기: 종래 기술에 따른 정전류 송풍기를 다수의 저압 직류 송풍기로 구성된 송풍기 그룹으로 변경하고, 전기 그릴 팬의 파워와 바베큐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송풍기의 최적 개수를 4개로 정했다. 전기 그릴 팬 위에 음식물이 많이 있고 발생하는 연기가 많은 경우, 적어도 4개의 송풍기의 풍량이 있어야만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실제 사용시, 전기 그릴 팬 상의 음식물과 발생하는 연기의 양에 따라 송풍기의 풍량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2. 기름여과 팬: 종래의 기름여과 팬의 구성을 변경했다. 종래의 기름여과 팬에 다수의 구멍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를 형성하고,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를 기름여과 팬의 서로 다른 면(특히 측면)에 형성하여, 송풍기 구동시 공기를 유입/유출시켜 순환풍을 생성한다. 이로써, 연기를 중복 및 순환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추가적인 개량으로서, 기름여과 팬에 형성된 공기유입구 또는 공기유출구의 구멍은 일반적인 통공이 아니라, 후라이 팬 방향의 구멍 측에 기름여과 팬과 일체로 성형된 하나의 만곡면을 형성했으며, 상기 만곡면은 후라이 팬(또는 그릴 팬)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로써 매우 바람직한 연기 흡입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추가적인 개량으로서,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는 후라이 팬(또는 그릴 팬)을 중심으로, 기름여과 팬의 두 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송풍기의 구동시 순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인 개량으로서, 공기유출구를 구성하는 모든 구멍의 횡단면의 총면적은 공기유입구를 구성하는 모든 구멍의 횡단면의 총면적보다 2/3만큼 더 작다.
3. 필터: 종래의 전기 그릴 팬을 토대로 필터를 추가했다. 필터의 일단은 본체에 연결되어, 순환풍에 의해 배출된 그릴 연기가 필터를 거쳐 1차 여과된다.
4. 물받침: 종래의 전기 그릴 팬을 토대로 물받침을 증설했다. 그릴 시 발생한 폐유가 기름여과 팬의 하부의 구멍을 통해 물받침에 떨어진다. 사용시, 물받침에는 폐유를 용해시키거나 흡수할 수 있는 물질 예컨대 물이 담겨져 있어, 폐유는 임의로 전기 그릴 팬 안에 떨어져 전기 그릴 팬을 더럽히거나 또는 자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또한, 필터를 거친 연기는 송풍기의 구동 하에 연기를 용해시키거나 흡수할 수 있는 물받침 중의 액체 표면에 송풍되므로, 상기 액체를 통해 추가적으로 연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개량을 통해 연기를 매우 바람직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그릴 팬이다.
도 2는 본체가 제거된 본 고안에 따른 제품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품의 기류 순환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의 기름여과 팬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1.5KW 전기 그릴 팬(1)은 본체(2), 4개의 DC12V·0.12A·회전수 7000r/min의 직류 송풍기(3), 후라이 팬(4), 송풍기 지지대(5), 기름여과 팬(6)(기름여과 팬(6)은 상부가 개구된 큐브 형태이다), 수용부(7), 기름여과 팬(6)의 측면 상의 공기유입구(8)와 공기유출구(9), 구멍(11), 만곡면(12), 본체의 메인하우징(13), 본체의 표면하우징(14), 필터(15), 물받침(16), 스위치(18), 가열파이프(19)를 포함한다. 본체(2)는 본체의 메인하우징(13)과 본체의 표면하우징(14)을 포함하고, 본체(2)의 상부에 수용부(7)가 형성되고, 기름여과 팬(6)은 이 수용부(7) 안에 설치되고, 후라이 팬(4)은 음식을 굽기 위해 기름여과 팬(6)의 바닥에 위치한다. 이로써 후라이 팬(4)과 수용부(7)는 음식물을 구울 수 있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기름여과 팬(6)의 하측에는 가열파이프(19), 물받침(16)이 있다. 본체(2)와 기름여과 팬(6)은 둘러싸여 하나의 상대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는 송풍기(3), 송풍기 지지대(5), 필터(15), 물받침(16) 등의 부품이 위치한다. 필터(15)의 일단은 안내홈을 통해 본체의 메인하우징(13)과 연결된다. 후라이 팬(4)은 기름여과 팬(6)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유입구(8) 및 공기유출구(9)와 기름여과 팬(6) 하부 사이의 거리는 후라이 팬(4)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는 위로 유동하기 때문에, 공기유입구(8)와 공기유출구(9) 이들 위치의 설치는 연기를 보다 더 바람직하게 배출하게 된다.
연기 제거 효과를 보다 더 향상하기 위해, 공기유입구(8)와 공기유출구(9)를 다수의 구멍(11)으로 형성하고, 공기유입구(8)와 공기유출구(9)를 기름여과 팬의 서로 다른 측면에 설치했다. 송풍기 구동시 공기가 유입/유출 되고 이에 더해 순환 기류(10)가 형성되어, 연기가 보다 더 바람직하게 여과된다.
또한, 구멍(11)은 일반적인 통공이 아니며, 구멍(11)의 후라이 팬(4) 방향에 기름여과 팬(6)과 일체로 성형된 하나의 만곡면(12)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12)이 후라이 팬(4) 방향으로 돌출되어, 매우 바람직한 연기 흡입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공기유입구(8)와 공기유출구(9)는 후라이 팬(4)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됨으로써, 송풍기의 구동시 순환 기류가 더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인 개량으로서, 공기유출구(9)를 형성한 모든 구멍(11)의 횡단면의 총면적은 공기유입구(8)를 형성한 모든 구멍(11)의 횡단면의 총면적보다 2/3만큼 더 작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은 아래와 같은 작동 과정을 포함한다.
1. 연기의 발생: 전원 스위치(18)를 켜면 가열 파이프(19)가 가열된다. 육류 등 음식물을 후라이 팬(4)에 놓으면 연기가 발생하고, 육류 음식물에서는 액체유(17)가 발생한다.
2. 연기 제거: 본체(2)와 기름여과 팬(6)이 둘러싸여 하나의 상대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송풍기(3), 송풍기 지지대(5), 필터(15), 물받침(16) 등 부품이 위치하므로, 음식물 조리시 발생한 연기는 송풍기(3) 구동시 공기유입구(8)를 통해 본체(2)로 유입되고, 공기유출구(9)를 통해 본체 밖으로 배출된 후, 송풍기(3)의 구동 하에 공기유입구(8)로부터 본체(2)로 다시 흡입되어, 순환 기류(10)를 형성한다. 본체(2)와 기름여과 팬(6)으로 구성된 상대적으로 밀폐된 공간에서는, 송풍기의 구동 하에 순환 기류(10)가 필터(15)을 거쳐 1차 여과된 후, 송풍기의 구동 하에 계속 전진하여 물받침(16)으로 유입되어, 팬 중의 물 또는 물질에 용해되거나 흡착되어 공기 중의 연기가 추가로 제거된다. 그후, 나머지 기류는 계속 전진하여, 공기유출구(9)를 통해 후라이 팬(4)의 상측에 유입된 후, 후라이 팬(4)의 상측의 기류가 송풍기(3)의 구동 하에 다시 공기유입구(8)를 거쳐 본체(2)로 유입되고, 그후 다시 필터(15)과 물받침(16)을 거친다. 이와 같이 순환하여, 매우 바람직한 연기 제거 효과를 얻게 된다.
3. 폐유(액체유(17)) 제거: 육류 음식물을 구울 때 발생하는 액체유(17)는 그릴 팬의 구멍을 통해 물받침(16)에 떨어져(물받침 중의 물질은 물일 수 있으며, 연기를 용해시키거나 흡착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액체유(17)는 물받침(16)에 수집되고 사람이 제거한다.
육류를 굽기 위해, 후라이 팬 대신 그릴 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각 부품을 충분히 이용하고, 순환 기류를 이용하여 연기를 순환 여과함으로써, 연기를 제거하고 육류 조리시 발생하는 액체유를 제거하는 기능을 매우 바람직하게 발휘한다.

Claims (13)

  1. 본체, 본체 내의 송풍기, 후라이 팬 또는 그릴 팬, 및 기름여과 팬을 포함하고, 상기 기름여과 팬은 상부가 개구된 큐브 형태이고, 상기 후라이 팬 또는 그릴 팬은 기름여과 팬의 바닥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굽는 데 이용되는, 전기 그릴 팬에 있어서,
    기름여과 팬의 측면에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는 후라이 팬 또는 그릴 팬을 중심으로 하고,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는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는 각각 다수의 구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멍의 후라이 팬 또는 그릴 팬 방향 측에는 기름여과 팬과 일체로 성형된 하나의 만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은 후라이 팬 또는 그릴 팬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 및 공기유출구와 기름여과 팬의 하부 사이의 거리는 후라이 팬 또는 그릴 팬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구를 형성한 모든 구멍의 횡단면의 총면적은 공기유입구를 형성한 모든 구멍의 횡단면의 총면적보다 2/3만큼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본체의 메인하우징과 본체의 표면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름여과 팬은 본체의 메인하우징 상의 수용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8. 제7항에 있어서,
    물받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침은 기름여과 팬의 하측에 설치되고, 그릴 팬에 형성된 기름은 기름여과 팬을 통해 물받침에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9. 제8항에 있어서,
    송풍기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송풍기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송풍기는 4개의 DC12V·0.12A·회전수 7000r/min의 직류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10. 제9항에 있어서,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고 필터의 일단에 있어서 본체와 연결된 부분은 기름여과 팬 상의 공기유입구에 근접하고, 상기 본체와 기름여과 팬은 하나의 상대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구성하며, 송풍기, 필터와 물받침은 모두 이 공간에 위치하며, 전기 그릴 팬이 작업 상태에 있는 경우, 송풍기가 작동하고, 상기 후라이 팬 또는 그릴 팬의 상측에는 송풍기 방향으로 유동하는 바람이 자연히 형성되어, 음식물을 구울 때 생성된 연기가 배출되고, 이 바람은 필터를 거쳐, 음식물을 구울 때 생성된 연기의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탈착 가능하도록 메인하우징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12. 제11항에 있어서,
    필터를 거친 연기는 송풍기의 구동 하에 물받침으로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본체의 메인하우징 양단의 안내홈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그릴 팬.
KR2020190000980U 2018-10-14 2019-03-11 전기 그릴 팬 KR20049321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660314.4U CN209202900U (zh) 2018-10-14 2018-10-14 电烤盘
CN201821660314.4 2018-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16U true KR20200000816U (ko) 2020-04-23
KR200493211Y1 KR200493211Y1 (ko) 2021-02-18

Family

ID=6713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980U KR200493211Y1 (ko) 2018-10-14 2019-03-11 전기 그릴 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22031U (ko)
KR (1) KR200493211Y1 (ko)
CN (1) CN20920290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57Y1 (ko) * 2020-08-19 2021-11-23 정평기 전기그릴
KR102463634B1 (ko) * 2022-06-15 2022-11-03 서효명 급식실 전기부침기의 조리 및 구이냄새 제거용 공기순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605B1 (ko) * 2021-05-27 2021-09-28 유영길 전기그릴
KR102489504B1 (ko) 2021-07-19 2023-01-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KR102663871B1 (ko) * 2022-02-14 2024-05-09 주식회사 케이테크랜드 구이기의 연기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037A (ja) * 2003-02-06 2004-08-26 Office Taoka:Kk 濾過器付きコップ蓋
KR20090001897U (ko) * 2007-08-24 2009-02-27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그릴의 그릴팬
US20160027059A1 (en) * 2014-07-23 2016-01-28 Target Brands Inc. Shopping systems, user interfaces and methods
KR101803836B1 (ko) * 2017-03-09 2017-12-04 최승혁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기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037A (ja) * 2003-02-06 2004-08-26 Office Taoka:Kk 濾過器付きコップ蓋
KR20090001897U (ko) * 2007-08-24 2009-02-27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그릴의 그릴팬
US20160027059A1 (en) * 2014-07-23 2016-01-28 Target Brands Inc. Shopping systems, user interfaces and methods
KR101803836B1 (ko) * 2017-03-09 2017-12-04 최승혁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기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57Y1 (ko) * 2020-08-19 2021-11-23 정평기 전기그릴
KR102463634B1 (ko) * 2022-06-15 2022-11-03 서효명 급식실 전기부침기의 조리 및 구이냄새 제거용 공기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2031U (ja) 2019-07-04
CN209202900U (zh) 2019-08-06
KR200493211Y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211Y1 (ko) 전기 그릴 팬
KR102109966B1 (ko) 직, 간접 열을 동시에 이용하는 복합구이기
RU2549938C2 (ru) Варочная панель с центральным отсосом кухонных паров вниз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WO2020077762A1 (zh) 电烤盘
JP2014044032A (ja) 無煙グリル
KR102179137B1 (ko) 냄새 및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우수한 전기 그릴
KR20110090407A (ko) 가정용 조리기구 커버
KR101819635B1 (ko) 이동형 스마트 불판
KR102340541B1 (ko) 전열 조리기구
KR102113730B1 (ko)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JP4466161B2 (ja) 厨房用循環型空気処理装置
KR101431508B1 (ko) 자동 공기순환 덕트장치
KR102127005B1 (ko) 냄새 및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우수한 전기 그릴
CN109691902A (zh) 一种具有吸烟功能的电烤盘
KR102453282B1 (ko) 연기커버가 구비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KR102270812B1 (ko) 구이 연기 제거장치
CN209220014U (zh) 电烤盘
KR102208632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CN209220015U (zh) 电烤盘
KR102250905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개량형 공기 순환식 로스터
CN209574442U (zh) 电烤盘
KR200439320Y1 (ko) 무연로스터
DE202020104229U1 (de) Vorrichtung zum Erhitzen und/oder Garen von Lebensmitteln
KR102489504B1 (ko)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