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539U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539U
KR20200000539U KR2020190003368U KR20190003368U KR20200000539U KR 20200000539 U KR20200000539 U KR 20200000539U KR 2020190003368 U KR2020190003368 U KR 2020190003368U KR 20190003368 U KR20190003368 U KR 20190003368U KR 20200000539 U KR20200000539 U KR 202000005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low rigidity
width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로 구로다
요스케 소가베
나츠미 오무라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00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트성이 뛰어난 동시에,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은, 평면시에서, 착용 시에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향하는 중앙 영역(AC)와,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의 뒤쪽측에 인접하는 뒤쪽 영역(AB)을 갖고, 뒤쪽 영역에 있어서 표면 시트(2) 및 흡수체(4)를 일체화하는 압착부(14)를 구비한다. 압착부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 중심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부(P1, P2)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은, 평면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교차부 중의 중앙 영역측의 교차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걸치도록 연달아 설치되고,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고안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로부터 배설되는 액상의 배설물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한 압축 홈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 압착 홈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제 1 중앙 홈과, 배설구 맞닿음 영역의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는 앞쪽 영역 또는 뒤쪽 영역에 배치된 제 1 환상(環狀) 홈을 구비한다. 이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 1 환상 홈에 의해, 배설구 맞닿음 영역으로부터 앞쪽 영역 또는 뒤쪽 영역으로 흐르는 액상 배설물을 그 내측으로 인입(引入)하여 외측으로 이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 2012-50699호 공보
그런데,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고간부(股間部)에 접촉하면서 장시간에 걸쳐 착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위화감이나 불쾌감 등을 생기지 않게 하도록,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추종(追從)하여 변형하기 쉬운(즉, 피트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착용 시에,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향하는 중앙 영역(배설구 맞닿음 영역을 포함함)에, 폭 방향의 길이 방향 중심선측을 향하는 압력이 가해지면, 중앙 영역 및 그 근방의 표면 시트나 흡수체가 길이 방향 중심선측으로 가까워진다. 그 결과, 중앙 영역 및 뒤쪽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돌출된 상태, 즉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보아 산 접기의 상태가 될 수 있다. 그 경우,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길이 방향의 단부, 예를 들면 뒤쪽측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하는 압착부로는, 뒤쪽 영역에, 길이 방향 중심선에 교차하도록 배치된 압착 홈을 생각할 수 있다. 길이 방향 중심선에 교차하는 압착 홈은, 길이 방향의 뒤쪽측을 향하는 액상 배설물의 흐름을 폭 방향으로 넓혀, 흡수체의 폭넓은 영역에 액상 배설물을 흡수시켜, 뒤쪽측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압착부의 형상으로서, 목적이나 용도에 따른 다양한 형상이 생각되며, 예를 들면, 곡선이나 직선이나 그것들을 조합한 형상, 환상의 형상 등을 들 수 있고,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평면시(平面視)에서 비대칭인 형상(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이 아닌 형상)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흡수성 물품에 귀여움을 부여하여 착용자의 생리 시의 우울한 기분을 완화시키기 위해, 꽃이나 하트 등의 형상을 이용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의 제조 시에,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이 반송 방향(MD)과 평행해지도록 반송할 때, 압착부가 폭 방향에 어긋나는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 압착부의 형상을 비대칭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1에 있어서, 뒤쪽 영역에 있는 압착 홈으로서 제 1 환상 홈에 대해서 생각한다. 제 1 환상 홈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점을 갖고, 길이 방향 중심선과 교차하는 굴곡점은 하나 이하이다. 이 굴곡점의 배치로부터, 제 1 환상 홈은,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평면시에서 비대칭인 형상이 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제 1 환상 홈으로서,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한쪽으로 쏠려 비대칭으로 배치된 하트 형상의 홈이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환상 홈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이나 뒤쪽 영역이,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보아 산 접기의 상태가 될 때, 산 접기의 절선(折線)은,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산 접기의 정부(頂部)가 둔부의 둔열(臀裂)을 따라 위치하므로, 피트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뒤쪽 영역에서는 제 1 환상 홈이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이기 때문에, 제 1 환상 홈을 지나는 절선은, 제 1 환상 홈의 형상에 영향을 받아 길이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산 접기의 정부가 둔부의 둔열로부터 어긋나 버려, 착용자가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느끼는 등 피트성이 저하하는 동시에, 액상 배설물의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것은, 압착 홈이 환상 홈이 아닌 경우에도 해당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피트성이 뛰어난 동시에,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다음과 같다. (1)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고,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과,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을 지나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선을 가지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평면시에서, 착용 시에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향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의 뒤쪽측에 인접하는 뒤쪽 영역을 갖고, 상기 뒤쪽 영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일체화하는 압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착부는, 평면시에서,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평면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부 중의 상기 중앙 영역측의 상기 교차부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걸치도록 연달아 설치되고,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길이 방향 저(低)강성부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뒤쪽 영역에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앙 영역으로부터 뒤쪽 영역으로 이행해 온 액상 배설물이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때, 뒤쪽 영역의 압착부가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이다(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이 아니다). 그러나, 길이 방향 저강성부가 압착부의 교차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걸치도록, 즉 평면시에서 교차점과 겹치도록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기 때문에, 뒤쪽 영역은, 길이 방향 저강성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폭 방향으로 접히기 쉬운 특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착용 시에, 중앙 영역 및 뒤쪽 영역이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보아 산 접기의 상태가 될 때, 압착부의 교차부를 걸치는 길이 방향 저강성부에서 뒤쪽 영역이 접혀, 산 접기가 형성된다. 즉,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산 접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산 접기의 정부를 둔부의 둔열의 위치로 할 수 있어, 피트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2)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있어서의 상기 압착부와 상기 폭 방향으로 겹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길이 방향 저강성부는, 길이 방향 중심선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압착부가 폭 방향으로 겹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압착부가 길이 방향 중심선에 사영(射影)되었을 때에, 길이 방향 저강성부는,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있어서의, 압착부의 사영과 길이 방향 중심선이 겹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길이 방향 저강성부는, 압착부가 존재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의 최대폭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길이 방향 저강성부가 충분히 길기 때문에, 압착부의 형상에 관계없이,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산 접기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3)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는,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평량부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길이 방향 저강성부가 흡수체의 저평량부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뒤쪽 영역을, 길이 방향 저강성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길이 방향 저강성부에 있어서 산 접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4) 상기 뒤쪽 영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폭 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달아 설치되고,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폭 방향 저강성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산 접기가 뒤쪽 영역에 형성되면, 산 접기의 정도에 따라서는 뒤쪽 영역의 단부가 둔부의 곡면으로부터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에 대처하기 위해, 뒤쪽 영역의 단부가 둔부의 곡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뒤쪽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다른쪽의 단 가장자리까지, 폭 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저강성부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착용자의 자세나 움직임에 따라서는, 그 저강성부보다도 뒤쪽측의 부분의 움직임이 격렬하거나 또는 커져, 그 저강성 부분이 주저앉아 버려, 그 뒤쪽측의 부분의 산 접기가 길이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길이 방향 저강성부의 폭 방향의 양측에, 폭 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폭 방향 저강성부를 구비하고, 또한, 길이 방향 저강성부와 폭 방향 저강성부는 서로 이격시키고 있다. 그 폭 방향 저강성부에 의해, 뒤쪽 영역을 둔부의 곡면을 따라 더 구부리기 쉬워져, 뒤쪽 영역을 그 단부까지 둔부에 접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길이 방향 저강성부와 폭 방향 저강성부와의 사이가 이격하는 것, 즉 양자 사이에 저강성이 아닌 부분이 존재함으로써, 그 폭 방향 저강성부가 주저앉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뒤쪽측의 부분의 산 접기가 길이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들에 의해, 피트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5) 상기 폭 방향 저강성부는,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다른 저평량부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폭 방향 저강성부가 흡수체의 저평량부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폭 방향 저강성부의 저평량부에 의해, 뒤쪽 영역을 보다 안정적으로 둔부를 따르게 할 수 있고, 길이 방향 저강성부와 폭 방향 저강성부와의 사이의 저강성이 아닌 부분에 의해, 폭 방향 저강성부가 주저앉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6)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의 상기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압착부의 폭의 치수보다도 큰,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길이 방향 저강성부의 폭 방향의 치수가 압착부의 폭의 치수(굵기)보다도 크므로, 길이 방향 저강성부에 있어서 산 접기를 형성할 때, 압착부의 형상의 영향을 보다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길이 방향 저강성부에 있어서 산 접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7) 상기 압착부는, 평면시에서, 환상의 형상을 갖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압착부가 환상의 형상을 가지므로, 액상 배설물을 그 내측으로 인입하여 외측으로 이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길이 방향의 뒤쪽측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단, 그때, 압착부의 환상 영역의 강성이 높아져, 뒤쪽 영역이 산 접기의 상태가 되기 어려워진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뒤쪽 영역이 길이 방향 저강성부를 구비하고 있어, 압착부의 영역의 강성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뒤쪽 영역을 산 접기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들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8) 상기 압착부는, 상기 환상의 형상의 일부에, 상기 환상의 형상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적어도 2개의 볼록 부분을 갖는, 상기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압착부가 환상의 형상의 일부에, 환상의 형상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적어도 2개의 볼록 부분을 갖는 경우, 한쪽의 볼록 부분과 다른쪽의 볼록 부분과의 사이에 굴곡점이 생긴다. 그와 같은 압착부의 굴곡점은 산 접기의 기점이 되기 쉽고, 그 때문에, 산 접기의 절선이 길이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뒤쪽 영역이 길이 방향 저강성부를 구비하고 있어, 압착부의 굴곡점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산 접기의 절선이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르는 것과 같은 산 접기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들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9)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교차부에 대응하는 비피부면측의 표면에, 피부측을 향하여 패인 패임부를 갖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에 있어서의 교차부에 대응하는 비피부면측의 표면에 패임부를 갖고 있으므로, 흡수체를 둔부를 따라 위로 볼록하게 변형하기 쉬워, 뒤쪽 영역을 보다 용이하게 산 접기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피트성이 뛰어난 동시에,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의 제조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실시 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생리용 패드를 예로 설명한다. 단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의 종류 및 용도는 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주제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다른 흡수성 물품으로는, 예를 들면 팬티 라이너, 경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를 들 수 있다.
도 1∼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 1은 생리용 패드(1)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는,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는다. 도 1에 그려진 생리용 패드(1)에서는, 상측 및 하측을 각각 길이 방향(L)의 전측 및 후측으로 하고, 좌측 및 우측을 각각 폭 방향(W)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하고, 지면(紙面)에 대하여 앞측 및 안측을 각각 두께 방향(T)의 상측 및 하측으로 한다. 생리용 패드(1)는, 폭 방향(W)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가상선)과, 길이 방향(L)의 중심을 지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선(CW)(가상선)을 갖는다.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향하는 방향 및 측을 각각 폭 방향(W)의 내향 및 내측으로 하고, 멀어지는 방향 및 측을 각각 폭 방향(W)의 외향 및 외측으로 한다. 한편, 폭 방향 중심선(CW)을 향하는 방향 및 측을 각각 길이 방향(L)의 내향 및 내측으로 하고, 멀어지는 방향 및 측을 각각 길이 방향(L)의 외향 및 외측으로 한다.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둔 생리용 패드(1)를 두께 방향(T)의 상측으로부터 보는 것을 「평면시」라고 하고, 평면시로 파악되는 형상을 「평면 형상」이라고 한다.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임의의 방향을 「평면 방향」이라고 한다. 위에 위치한 장착자가 생리용 패드(1)를 장착했을 때, 두께 방향(T)에서 상대적으로 장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측 및 먼 측이 되는 측을 「피부측」 및 「비피부측」이라고 한다. 이들 정의는, 생리용 패드(1)의 각 자재에도 공통으로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생리용 패드(1)(윙부를 제외함)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으로 길고 폭 방향(W)으로 짧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길이 방향(L)의 양단 가장자리가 대략 반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단, 그 형상은, 길이 방향(L)으로 길고 폭 방향(W)으로 짧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타원형, 모래시계형 또는 그들과 유사한 형상을 들 수 있다. 생리용 패드(1)는 대략 직사각형의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W)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윙부(6)를 구비하고 있고, 윙부(6)는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다. 단, 윙부(6)의 형상은, 예를 들면 반원형이나 반타원형이어도 된다.
생리용 패드(1)는, 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2)와, 비피부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裏面) 시트(3)와,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와의 사이에 배치된 액체 흡수성 및 액체 홀딩성의 흡수체(4)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체(4)는, 흡수성 코어(4a)와 그것을 피복하는 코어 랩(4b)을 포함한다. 생리용 패드(1)에서는,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면과 흡수체(4)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로 접합되고, 흡수체(4)의 비피부측의 면과 이면 시트(3)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로 접합되며,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면의 가장자리부(윙부(6)를 포함함)와 이면 시트(3)의 피부측의 면의 가장자리부(윙부(6)를 포함함)는 접착제 또는 열 시일로 접합된다. 또한, 생리용 패드(1)는, 복수의 흡수체(또는 복수의 흡수성 코어)가 적층되어도 된다. 또, 생리용 패드(1)는, 추가로, 보조 시트 또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보조 시트는, 예를 들면 표면 시트(2)와 흡수체(4)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사이드 시트의 각각은, 예를 들면 표면 시트(2) 또는 보조 시트에 있어서의 비피부측의 폭 방향(W)의 양단부의 각각에, 폭 방향(W)의 내측의 단부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그 경우, 표면 시트(2) 또는 보조 시트 및 한 쌍의 사이드 시트와 이면 시트(3)와의 사이에 흡수체(4)가 위치한다. 또한, 생리용 패드(1)는,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에 외장 시트를 구비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리용 패드(1)는, 추가로 고정부(7, 8)를 구비한다.
생리용 패드(1)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의 중앙 약간 앞쪽 근처에서 폭 방향(W)의 중앙에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이 설정된다.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은, 생리용 패드(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 또는 맞닿는 영역이다.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은, 흡수성 물품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서 설정된다.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은, 길이 방향(L)에서 흡수체(4)의 중앙 약간 앞쪽 근처에, 흡수체(4)의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의 약 1/4∼1/2의 길이로, 폭 방향(W)에서 흡수체(4)의 대략 중앙에, 흡수체(4)의 폭 방향(W)의 전체 길이의 약 1/2∼1/3의 폭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생리용 패드(1)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해 앞쪽 영역(AF), 중앙 영역(AC) 및 뒤쪽 영역(AB)을 갖는다. 중앙 영역(AC)은 착용 시에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향하는 영역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을 포함한다. 앞쪽 영역(AF) 및 뒤쪽 영역(AB)은 각각 중앙 영역(AC)의 길이 방향(L)의 앞쪽 및 뒤쪽측에 인접하는 영역이다.
생리용 패드(1)는, 뒤쪽 영역(AB)(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의 길이 방향(L)의 뒤쪽)에 위치하고, 표면 시트(2) 및 흡수체(4)를 일체화하는 압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압착부(14)는, 표면 시트(2)와 흡수체(4)를 두께 방향(T)으로 압착하여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14)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 즉 하트형을 갖고 있다. 압착부(14)는, 길이 방향 중심(CL)과 교차하는, 2개의 교차부(P1, P2)를 포함하고 있다. 단, 압착부(14)의 형상은, 이 예에 제한되지 않고, 뒤쪽 영역(AB)에,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선대칭이 아닌 형상)으로,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부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그와 같은 압착부(14)는, 길이 방향(L)의 뒤쪽으로 향하는 액상 배설물의 흐름을 폭 방향(W)으로 넓혀, 길이 방향(L)의 양단부의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체(4)의 폭넓은 영역에 액상 배설물을 흡수시켜, 뒤쪽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비대칭인 형상은, 생리용 패드(1)의 제조 시에,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이 반송 방향(MD)과 평행해지도록 반송하는 경우, 성능상 문제 없을 정도로 압착부(14)가 폭 방향(W)에 어긋났을 때, 그 어긋남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압착부(14)는 그들 모양을 가장자리를 두른 홈상 또는 점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된다. 압착부(14)의 형상으로는, 평면시에서, 예를 들면 곡선상, 직선상, 점상, 그들의 조합,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평면시에서, 하트형(본 실시 형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별형, 꽃형, 잎형, 얼굴형, 생물 외형과 같은 환상(環狀)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으로부터 뒤쪽 영역(AB)으로 흐르는 액상 배설물을 그 내측으로 인입하여 외측으로 이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형상에 따라서는, 귀여움을 부여하여 착용자의 생리 시의 우울한 기분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은 환상의 형상으로는, 그 일부에, 환상의 형상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갖고, 양 부분의 사이에 굴곡점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하트형의 압착부(14)에서는, 2개의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볼록 부분(14Q1, 14Q2)을 갖고, 양 볼록 부분의 사이에 굴곡점(R)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리용 패드(1)는, 추가로, 표면 시트(2)와 흡수체(4)를 두께 방향(T)으로 압착하여 홈상으로 형성된 압착부(11∼15)를 구비한다. 한 쌍의 압착부(12, 12 및 13, 13)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의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위치하며,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폭 방향(W)으로 확산하는 액상 배설물을 길이 방향(L)으로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압착부(11)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의 길이 방향(L)의 앞쪽에 위치하고,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L)의 앞쪽으로 향하는 액상 배설물의 흐름을 폭 방향(W)으로 넓혀, 앞쪽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압착부(15)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XA) 내에 위치하며, 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액상 배설물을 두께 방향(T)으로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압착부(12, 13, 15)는 중앙 영역(AC), 압착부(11)는 앞쪽 영역(AF)에 각각 위치한다. 또한, 압착부(11∼13, 15)의 형상은,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보다 광범위하게 확산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 생리용 패드(1)는, 압착부(11∼13, 15)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흡수체(4)는, 액체 흡수 성능 및 액체 홀딩 성능을 갖는 층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으로 길고, 길이 방향(L)의 양단부가 대략 반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흡수체(4)는,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강성부(LB)와, 저강성부(LB) 이외의 부분, 즉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강성부(HB)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4)의 저강성부(LB)는, 평면시에서, 뒤쪽 영역(AB)에서, 길이 방향(L)을 따라,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겹치도록 연달아 설치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평면시에서, 교차부(P1, P2)(압착부(14)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교차하는 부분) 중의 중앙 영역(AC)측의 교차부(P1)를, 길이 방향(L)을 따라 걸치도록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띠상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의 근방으로부터 길이 방향(L)의 단 가장자리까지 형성되고, 길이 방향(L) 앞쪽에 위치하는 앞쪽 저강성부(LB5a)와, 뒤쪽에 위치하는 뒤쪽 저강성부(LB5b)를 포함하고 있다. 단,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이 예에 제한되지 않고, 평면시에서, 압착부(14)의 교차부 중의 중앙 영역(AC)측의 교차부를, 길이 방향(L)을 따라 걸치도록 연달아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그것에 의해, 흡수체(4)의 변형 시에, 압착부(14)보다도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기점으로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적어도,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압착부(14)가 폭 방향(W)으로 겹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14)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사영(射影)되는 경우, 길이 방향 중심선(CL)의 점(Z1)으로부터 점(Z2)의 범위로 사영된다. 따라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적어도,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CL)이 압착부(14)의 사영과 겹치는 범위, 즉 점(Z1)으로부터 점(Z2)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의 길이 방향(L)의 치수(길이)는, 적어도 점(Z1)으로부터 점(Z2)까지의 치수(길이) 이상이다. 그것에 의해, 압착부(14)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기점으로 흡수체(4)를 변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의 폭 방향(W)의 치수(폭)는, 압착부(14)의 폭의 치수(굵기)보다도 크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앞쪽 저강성부(LB5a))의 폭 방향(W)의 치수(D1)는, 압착부(14)의 폭의 치수(D2)보다도 크다. 그것에 의해, 압착부(14)를 기점으로 한 흡수체(4)의 변형보다도,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기점으로 한 흡수체(4)의 변형을 생기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의 저강성부(LB)는, 평면시에서, 뒤쪽 영역(AB)에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측에,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로부터 이격하도록, 폭 방향 중심선(CW)에 평행하게 연달아 설치된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단, 폭 방향(W)의 양측에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로부터 이격한다는 것은,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로부터 폭 방향(W)에 평행하게 이격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폭 방향(W)에 평행하게 이격하고, 또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의 길이의 약 1/3 범위에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내측 단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방향(L)으로 떨어진 범위(단,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에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의 길이의 약 1/3 범위란,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에서의 산 접기의 도달하기 쉬운 범위이다. 또, 폭 방향 저강성부(LB4)와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이격시키는 거리로는, 예를 들면, 흡수체(4)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폭의 1/10∼1/2을 들 수 있고, 1/8∼1/4이 바람직하다. 단 흡수체(4)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폭은,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폭 방향 저강성부(LB4)의 위치에서의 폭으로 한다. 이 경우,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와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와의 사이에는, 그들 저강성부(LB4, LB5)보다도 강성이 높은 고강성부(HBS, HBS)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의 저강성부(LB)는, 또한, 폭 방향 중심선(CW)에 평행하게 연달아 설치된 폭 방향 저강성부(LB1∼LB3, LB6)를 포함하고 있다. 폭 방향 저강성부(LB1)는, 흡수체(4)에 있어서, 앞쪽 영역(AF)과 중앙 영역(AC)과의 경계 근방의 중앙 영역(AC)에, 소정 폭으로 폭 방향(W)으로 연재(延在)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앞쪽 영역(AF)을 몸에 따르게 하기 위함이다. 폭 방향 저강성부(LB2, LB2)는, 흡수체(4)에 있어서, 각각 중앙 영역(AC)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중앙부(배설구 맞닿음 영역(XA))를 제외한 양측에, 소정 폭으로 폭 방향(W)으로 연재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폭 방향 저강성부(LB3, LB3)는, 흡수체(4)에 있어서, 각각 중앙 영역(AC)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중앙부(배설구 맞닿음 영역(XA))를 제외한 양측에, 소정 폭으로 폭 방향(W)으로 연재하고, 저강성부(LB2, LB2)의 길이 방향(L)의 뒤쪽으로 간격을 띄우고 위치하고 있다. 중앙 영역(AC)을 몸에 따르게 하기 위함이다. 폭 방향 저강성부(LB6)는, 흡수체(4)에 있어서, 뒤쪽 영역(AB)의 길이 방향(L)의 대략 중앙부에, 소정 폭으로 폭 방향(W)으로 연재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뒤쪽 영역(AB)을 몸에 따르게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저강성부(LB1∼LB4, LB6)는, 모두 흡수체(4)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단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저강성부(LB1∼LB4, LB6) 중 적어도 하나가 흡수체(4)의 단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앞쪽 저강성부(LB5a)에서는, 길이 방향(L)의 앞쪽의 단부가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 사이로 연장되고, 뒤쪽의 단부가 폭 방향 저강성부(LB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앞쪽의 단부가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 사이까지 연장되지 않아도 되고, 뒤쪽의 단부가 폭 방향 저강성부(LB6)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뒤쪽 저강성부(LB5b)에서는, 길이 방향(L)의 앞쪽의 단부가 폭 방향 저강성부(LB6)에 연결되고, 뒤쪽의 단부가 흡수체(4)의 단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앞쪽의 단부가 폭 방향 저강성부(LB6)에 연결되지 않아도 되고, 뒤쪽의 단부가 흡수체(4)의 단 가장자리에 도달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강성부(HB)로서, 고강성부(HB1∼HB4)를 포함한다. 고강성부(HB1)는, 흡수체(4)에 있어서, 폭 방향 저강성부(LB1)보다도 길이 방향(L)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고강성부(HB2)는, 흡수체(4)에 있어서,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폭 방향 저강성부(LB1)와 폭 방향 저강성부(LB6)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폭 방향 저강성부(LB2, LB3)를 제외함). 고강성부(HB3, HB4)는, 흡수체(4)에 있어서, 폭 방향 저강성부(LB6)보다도 길이 방향(L)의 뒤쪽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의 폭 방향(W)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고강성부(HBS, HBS)는, 고강성부(HB2)에 있어서의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 사이, 또는,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와 앞쪽 저강성부(LB5a)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저강성부(LB)는, 흡수체(4)를 구성하는 액체 흡수성 및 액체 홀딩성의 흡수성 재료, 예를 들면 친수성 섬유나 고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이며, 저평량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고강성부(HB)는, 흡수체(4)를 구성하는 흡수성 재료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이며, 고평량부라고 할 수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앞쪽 저강성부(LB5a))나, 폭 방향 저강성부(LB4)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고강성부(HBS)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다. 그리고,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의 흡수체(4)의 저평량부에 대응하는 부분(위치)은, 고평량부에 대응하는 부분(위치)보다도 강성이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접어 구부리기 용이하다.
흡수체의 평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시트로부터 5mm×10mm 크기의 부분을 잘라내어 시료로 했다. (2) 시료를 100℃ 이상의 공기 분위기에서 건조했다. (3) 시료의 질량을 측정했다. (4) 질량의 측정치를 시료의 면적으로 나눗셈하여 시료의 평량을 산출했다. (5) 10개의 시료의 평량을 평균한 값을 시트의 평량으로 했다.
단, 저강성부(LB)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흡수체(4)에 두께 방향(T)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입(切入)(예시: 하프 컷, 풀 컷)을 넣은 부분이나, 흡수체(4)에 있어서의 흡수성 재료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 등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그 경우, 고강성부(HB)는, 흡수체(4)에 절입이 없는 부분이나, 흡수체(4)에 있어서의 흡수성 재료의 밀도가 높은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착부(11∼15)는, 약하게 압착되어, 얕은 위치에 형성되고,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밀도부(LPA)와, 강하게 압착되어, 깊은 위치에 형성되며,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밀도부(HPA)를 갖는다. 단, 「얕다」 및 「깊다」의 기준은,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으로 한다. 저밀도부(LPA) 및 고밀도부(HPA)는, 각 압착부에 있어서의 얕은 위치의 저부(底部) 및 깊은 위치의 저부라고 할 수 있다. 압착부(11∼15)의 저밀도부(LPA) 및 고밀도부(HPA)는, 흡수체(4)의 흡수성 코어(4a) 내에 위치한다. 단, 고밀도부(HPA)는 비피부측의 코어 랩(4b)에 도달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부(14)는, 폭 방향 저강성부(LB4) 및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앞쪽 저강성부(LB5a))에 있어서, 얕은 위치에 형성된 저밀도부(LPA) 및 깊은 위치에 형성된 고밀도부(HPA)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에서의 교차부(P1)에 대응하는 비피부면측의 표면에, 피부측을 향하여 패인 패임부(BTA)를 갖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앞쪽 저강성부(LB5a))에 있어서, 압착부(14)가 길이 방향 중심선(CL)(도 3에서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포함하는 폭 방향(W)에 수직인 평면(FT))과 교차하는 교차부(P1)에 대응하는 비피부면측의 표면에, 피부측을 향하여 패인 패임부(BT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교차부(P1)가, 앞쪽 저강성부(LB5a)에 위치하며, 압착부(14)에 위치하고, 또한, 패임부(BTA)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흡수체(4)는, 교차부(P1)를 기점으로 하여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저강성부(LB)의 두께는 예를 들면 0.8∼20mm를 들 수 있고, 각 고강성부(HB)의 두께는, 예를 들면 1∼30mm를 들 수 있다. 각 저밀도부(LPA)의 이면 시트(3)로부터의 높이는, 예를 들면 0.3∼10mm를 들 수 있고, 각 고밀도부(HPA)의 이면 시트(3)로부터의 높이는, 예를 들면 0.2∼9mm를 들 수 있으며, 각 패임부(BTA)의 이면 시트(3)로부터의 높이는, 예를 들면 0.2∼4mm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된 각 고강성부, 각 저강성부, 각 압착부의 수나 위치나 형상은 예시이며, 본 고안은, 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면 시트(2), 흡수체(4), 이면 시트(3), 보조 시트 및 고정부(7, 8)의 재료로는, 생리용 패드(1)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2)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액체 투과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이들의 복합 시트를 들 수 있다. 부직포로는, 예를 들면 천연 섬유(예시: 코튼), 재생 섬유, 무기 섬유, 합성 수지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시트(2)의 평량으로는, 예를 들면 5g/㎡∼100g/㎡를 들 수 있고, 20g/㎡∼50g/㎡가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2)의 두께로는, 예를 들면 0.2∼5mm를 들 수 있다. 흡수체(4)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펄프 섬유나 합성 섬유와 같은 흡수성 섬유,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들 수 있다. 흡수체(4)의 섬유의 평량으로는, 예를 들면 5∼1000g/㎡를 들 수 있다. 이 중, 고강성부(고평량부)(HB)의 평량은, 예를 들면 150∼1000g/㎡를 들 수 있고, 흡수성의 관점 및 장착성의 관점에서 300∼600g/㎡가 바람직하다. 한편, 저강성부(저평량부)(LB)의 평량은, 예를 들면 50∼300g/㎡를 들 수 있고, 흡수성의 관점 및 변형성의 관점에서 50∼150g/㎡가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예를 들면 0∼500g/㎡를 들 수 있고, 10∼400g/㎡가 바람직하다. 흡수체(4)의 두께는, 예를 들면 1∼40mm를 들 수 있고, 5∼30mm가 바람직하다. 흡수체(4)가 흡수성 코어와 코어 랩을 구비하는 경우, 흡수성 코어의 재료로는, 흡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들 수 있고, 코어 랩의 재료로는, 티슈와 같은 액체 투과성의 친수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면 시트(3)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방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합성 수지 필름, 부직포와 합성 수지 필름의 복합 시트, SMS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보조 시트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부직포, 펄프 섬유,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고정부(7, 8)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점착제를 들 수 있다. 각 자재간의 접합용 접착제로는, 생리용 패드(1)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지의 재료,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a)는,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와는 달리, 흡수체(4)에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갖지 않는 생리용 패드(1a)의 뒤쪽 영역(AB)을 나타낸다. 한편, 도 4(b)는,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이며, 흡수체(4)에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갖는 생리용 패드(1)의 뒤쪽 영역(AB)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여, 생리용 패드(1a)에서는, 뒤쪽 영역(AB)에 압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앙 영역(AC)으로부터 뒤쪽 영역(AB)으로 이행해 온 액상 배설물이 뒤쪽 영역(AB)의 단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 여기에서, 뒤쪽 영역(AB)의 압착부(14)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비대칭이기 때문에, 뒤쪽 영역(AB)은, 압착부(14)의 형상에 있어서의 굴곡점끼리를 연결한 직선(Q1)을 따라 접히기 쉬운 특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착용 시에, 중앙 영역(AC) 및 뒤쪽 영역(AB)이 표면 시트(2)측으로부터 보아 산 접기의 상태가 될 때, 압착부(14)의 굴곡점끼리를 연결한 직선(Q1)을 따라 뒤쪽 영역(AB)이 접혀, 산 접기가 형성될 우려가 있다. 즉, 산 접기의 절선은, 압착부(14)의 비대칭인 형상에 영향을 받아 길이 방향 중심선(CL)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산 접기의 정부가 둔부의 둔열로부터 어긋나 버려, 착용자가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느끼는 등 피트성이 저하하는 하는 동시에, 액상 배설물의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4(b)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에서는, 뒤쪽 영역(AB)에 압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앙 영역(AC)으로부터 뒤쪽 영역(AB)으로 이행해 온 액상 배설물이 뒤쪽 영역(AB)의 단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뒤쪽 영역(AB)의 압착부(14)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해 비대칭이다. 그러나,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가 압착부(14)의 교차부를 길이 방향(L)을 따라 걸치도록, 즉 평면시에서 교차점과 겹치도록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또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다. 그 때문에, 뒤쪽 영역(AB)은, 압착부(14)의 형상에 있어서의 굴곡점끼리를 연결한 직선이 아니라,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따라, 즉 도면 중의 직선(Q2)을 따라 폭 방향(W)으로 접히기 쉬운 특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착용 시에, 중앙 영역(AC) 및 뒤쪽 영역(AB)이 표면 시트(2)측으로부터 보아 산 접기의 상태가 될 때, 압착부(14)의 교차부를 걸치는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따라, 즉 직선(Q2)을 따라 뒤쪽 영역(AB)이 접혀, 산 접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따른 산 접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산 접기의 정부를 둔부의 둔열의 위치로 할 수 있어, 피트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적어도,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압착부(14)가 폭 방향(W)에 겹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있어서의 압착부(14)의 사영의 범위, 즉 점(Z1)으로부터 점(Z2)의 사이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압착부(14)가 존재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L)의 최대폭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가 충분히 길기 때문에, 압착부(14)의 형상에 관계없이,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따른 산 접기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는, 흡수체(4)에 있어서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평량부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뒤쪽 영역(AB)을,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에서 길이 방향(L)을 따라 폭 방향(W)으로 용이하게 산 접기로 접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에 있어서 산 접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뒤쪽 영역(AB)에 있어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측에,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로부터 이격하도록, 폭 방향 중심선(CW)에 평행하게 연달아 설치되고,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를 구비하고 있다. 그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a)는,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와는 달리,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로부터 이격하지 않고 연결된 폭 방향 저강성부(LB4')를 갖는 생리용 패드(1a)의 뒤쪽 영역(AB)을 나타낸다. 한편, 도 5(b)는,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이며,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로부터 이격한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를 갖는 생리용 패드(1)의 뒤쪽 영역(AB)을 나타낸다.
생리용 패드(1a)에서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따른 산 접기가 뒤쪽 영역(AB)에 형성되면, 산 접기의 정도에 따라서는 뒤쪽 영역(AB)의 단부가 둔부의 곡면으로부터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5(a)를 참조하여, 뒤쪽 영역(AB)의 단부가 둔부의 곡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뒤쪽 영역(AB)에 있어서, 폭 방향(W)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다른쪽의 단 가장자리까지, 폭 방향 중심선(CW)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폭 방향 저강성부(LB4')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폭 방향 저강성부(LB4')에 의해, 뒤쪽 영역(AB)의 단부를 둔부의 곡면을 따르게 할 수 있다. 단, 착용자의 자세나 움직임에 따라서는, 그 폭 방향 저강성부(LB4')보다도 뒤쪽측의 부분의 움직임이 커져, 폭 방향 저강성부(LB4')가 주저앉아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폭 방향 저강성부(LB4')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한쪽측(예시: 우측)의 부분이 크게 중앙 영역(AC)측으로 움츠러들고(도면 중, 화살표 Y1), 길이 방향 중심선(CL)이 폭 방향(W)의 우측으로 쏠려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같이 어긋날 우려가 있다(도면 중, 화살표 K1). 그렇게 되면, 뒤쪽 영역(AB)의 산 접기가 길이 방향 중심선(CL)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5(b)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에서는, 뒤쪽 영역(AB)의 단부가 둔부의 곡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뒤쪽 영역(AB)에 있어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의 폭 방향(W)의 양측에,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로부터 이격하도록 폭 방향 중심선(CW)을 따라 연장되는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를 형성하고 있다.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에 의해, 뒤쪽 영역(AB)을 둔부의 곡면을 따라 더 구부리기 쉬워져, 뒤쪽 영역(AB)을 그 단부까지 둔부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와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의 사이가 이격하는 것, 즉 양자 사이에 고강성부(HBS, HBS)가 존재함으로써,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가 주저앉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보다도 뒤쪽측의 부분의 산 접기가 길이 방향 중심선(CL)으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들에 의해, 착용자의 자세나 움직임에 관계없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AB)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강성부(HBS, HBS)는, 길이 방향(L)의 앞쪽의 부분이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에 연속적으로 도달하고, 길이 방향(L)의 뒤쪽의 부분이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를 넘어 뒤쪽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강성부(HBS, HBS)의 길이 방향(L)의 앞쪽의 부분이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삼방(三方)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역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에 의해 폭 뒤쪽 영역(AB)을 둔부의 곡면을 따라 구부리기 쉽게 하여 피트성을 향상시키면서,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의 액상 배설물을 고강성부(HBS, HBS)(HB2) 내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의 뒤쪽을 향하여 확산시킬 수 있어, 뒤쪽 영역(AB)을 액상 배설물의 흡수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압착부(14)는, 평면시에서, 흡수체(4)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 가장자리에, 다른 압착부에 개재하지 않고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압착부(14)와 흡수체(4)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다른 압착부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14)와 흡수체(4)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다른 압착부를 갖지 않음으로써,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에 의한 뒤쪽 영역(AB)을 둔부의 곡면을 따라 구부리기 쉽게 하는 효과를 유지하기 쉬워, 뒤쪽 영역(AB)을 그 둔부에 피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는, 흡수체(4)에 있어서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다른 저평량부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뒤쪽 영역(AB)을 보다 안정적으로 둔부를 따르게 할 수 있고,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와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와의 사이의 고강성부(HBS, HBS)에 의해, 폭 방향 저강성부(LB4, LB4)가 주저앉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의 폭 방향(W)의 치수는, 압착부(14)의 폭의 치수보다도 크다. 그것에 의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에 있어서 산 접기를 형성할 때, 압착부(14)의 형상의 영향을 보다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에 있어서 산 접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압착부(14)는, 평면시에서, 환상의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액상 배설물을 그 내측으로 인입하여 외측으로 이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길이 방향(L)의 뒤쪽측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단, 그때, 압착부(14)의 환상의 영역의 강성이 높아져, 뒤쪽 영역(AB)이 산 접기의 상태가 되기 어려워진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생리용 패드(1)에서는, 뒤쪽 영역(AB)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구비하고 있고, 압착부(14)의 영역의 강성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뒤쪽 영역(AB)을 산 접기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들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AB)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압착부(14)는, 환상의 형상의 일부에, 환상의 형상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적어도 2개의 볼록 부분(14Q1, 14Q2)을 갖는다. 그 경우, 한쪽의 볼록 부분(14Q1)과, 다른쪽의 볼록 부분(14Q2)과의 사이에 굴곡점이 생길 수 있다. 그와 같은 압착부의 굴곡점은 산 접기의 기점이 되기 쉽고, 그 때문에, 산 접기의 절선이 길이 방향 중심선(CL)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생리용 패드(1)에서는, 뒤쪽 영역(AB)이 길이 방향 저강성부(LB5)를 구비하고 있고, 압착부(14)의 굴곡점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산 접기의 절선이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따르는 것과 같은 산 접기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들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AB)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흡수체(4)에 있어서의 교차부(P1)에 대응하는 비피부면측의 표면에, 피부측을 향해 패인 패임부(BTA)를 갖는다. 그 때문에, 흡수체(4)를 둔부를 따라 위로 볼록하게 변형하기 쉬워, 뒤쪽 영역(AB)을 보다 용이하게 산 접기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트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뒤쪽 영역(AB)의 단부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생리용 패드(1)의 제조 장치(3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예에서는, 생리용 패드(1)의 길이 방향(L)이 반송 방향(MD)이 되도록 하여 각 자재가 형성되어, 반송된다. 단,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이 반송 방향(MD)이 되도록 하여 각 자재가 형성되어, 반송되어도 된다.
우선, 회전 드럼(111)이 회전되어, 재료 공급기(113)로부터 공급된 적섬 재료가, 패턴 플레이트(112)의 부압실(111N)에 연통(連通)한 홈 내에 퇴적하여, 홈 내에 적섬체(AB)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패턴 플레이트(112)의 홈에는, 깊은 홈, 즉 고강성부(고평량부)(HB) 형성용 홈과, 얕은 홈, 즉 저강성부(저평량부)(LB) 형성용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적섬 재료가, 깊은 홈에 퇴적됨으로써 고강성의 부분이 형성되고, 얕은 홈에 퇴적됨으로써 저강성의 부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패턴 플레이트(112)가 적섬체(AB)와 함께 정압실(111P)에 도달하면, 적섬체(AB)가 패턴 플레이트(112)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연속 시트상의 상층 티슈 시트(UT)가 롤(WR1)로부터 반송 벨트(115)에 공급된다. 상층 티슈 시트(UT)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1)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적섬체(AB)는, 반송 벨트(115) 상의 상층 티슈 시트(UT)의 한쪽의 면 위에 꽉 눌러진다. 그것에 의해, 적섬체(AB)와 상층 티슈 시트(UT)가 적층된 제 1 반제품(P1)이 형성된다. 제 1 반제품(P1)은 석션 장치(116)로 흡인되면서, 반송 벨트(115)로 반송된다.
다음으로, 연속 시트상의 하층 티슈 시트(LT)가 롤(WR2)로부터 반송 벨트(115)에 공급된다. 하층 티슈 시트(LT)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2)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하층 티슈 시트(LT)의 한쪽의 면이 반송 벨트(115) 상의 제 1 반제품(P1)에 꽉 눌러진다. 그것에 의해, 하층 티슈 시트(LT)와 제 1 반제품(P1)(적섬체(AB)와 상층 티슈 시트(UT))이 적층된 제 2 반제품(P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 2 반제품(P2)은 압압(押壓) 장치(120)로 압압되고, 절단장치(130)로 흡수체(4)의 형상으로 절단된다. 그것에 의해 제 3 반제품(P3)이 형성된다. 제 3 반제품(P3)은, 실질적으로는 흡수체(4)(단, 저강성부(LB), 고강성부(HB)를 갖지만 압착부를 갖지 않음)이고, 적섬체(AB)가 흡수성 코어이며, 상층·하층 티슈 시트(UT·LT)가 코어 랩이다. 제 3 반제품(P3)은, 반송 롤(141)에 수수(授受)된다.
이어서, 연속 시트상의 표면 시트(TS)가 롤(WR3)로부터 반송 벨트(140)에 공급된다. 표면 시트(TS)의 한쪽의 면에 도포 장치(303)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다. 반송 롤(141)로부터 공급되는 제 3 반제품(P3)은, 표면 시트(TS)의 한쪽의 면에 꽉 눌러진다. 그것에 의해, 제 3 반제품(P3)(흡수체(4))과 표면 시트(TS)가 적층된 적층체인 제 4 반제품(P4)이 형성된다. 제 4 반제품(P4)은 반송 벨트(140)로 압착장치(150)에 공급된다.
이어서, 제 4 반제품(P4)이 압착장치(150)의 한 쌍의 제 1 롤(151) 및 제 2 롤(152)에 압착되어, 복수의 압착부(11∼14)가 동시에 형성된다. 또한, 제 4 반제품(P4)이 압착장치(160)의 한 쌍의 제 1 롤(161) 및 제 2 롤(162)에 압착되어, 복수의 압착부(15)가 형성된다. 그것에 의해, 복수의 압착부(11∼15)를 구비하는 제 5 반제품(P5)이 형성된다. 이때, 표면 시트(TS)의 텐션이나 표면 시트(TS) 및 핫멜트 접착제의 평량 등을 제어함으로써, 제 5 반제품(P5)에 있어서의 압착부(11∼15)와 반대측의 면에는, 패임부(BTA)가 형성된다. 제 5 반제품(P5)은 반송 롤(170)에 수수된다. 또한, 압착부(11∼14)는 각각 다른 압착장치로 형성해도 된다.
이어서, 연속 시트상의 이면 시트(BS)가 롤(WR4)로부터 반송 롤(171)에 공급된다. 이면 시트(BS)의 한쪽의 면에는 도포 장치(304)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다. 반송 롤(171)로부터 공급되는 이면 시트(BS)는, 제 5 반제품(P5)의 한쪽의 면에 반송 롤(170) 상에서 꽉 눌러진다. 그것에 의해, 제 5 반제품(P5)과 이면 시트(BS)가 적층된 제 6 반제품(P6)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제 6 반제품(P6)이 주위 절단장치(180)에 의해 주위 부분이 절단되어, 생리용 패드(1)의 형상으로 분리된다. 그것에 의해 제 7 반제품(P7)이 형성된다. 제 7 반제품(P7)은, 실질적으로 생리용 패드(1)(도 1)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생리용 패드(1)가 제조된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와 비교하면, 도 7의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는, 압착부(11, 14)의 형상이 상위한다. 즉, 도 1의 생리용 패드(1)의 압착부(11, 14)는 모두 단일의 하트의 형상을 갖지만, 도 7의 생리용 패드(1)의 압착부(11, 14)는 모두 단일의 목화(코튼)의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에도, 도 7의 생리용 패드(1)는, 도 1의 생리용 패드(1)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와 비교하면, 도 8의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는, 압착부(11, 14)의 형상이 상위한다. 즉, 도 1의 생리용 패드(1)의 압착부(11, 14)는 모두 단일의 하트의 형상을 갖지만, 도 8의 생리용 패드(1)의 압착부(11)는 단일의 목화(코튼)의 형상을 갖고, 압착부(14)는 2개의 목화(코튼)의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에도, 도 8의 생리용 패드(1)는, 도 1의 생리용 패드(1)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고안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 형태끼리를 조합하거나, 변경하거나 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1 : 생리용 패드(흡수성 물품)
2 : 표면 시트
4 : 흡수체
14 : 압착부
AC : 중앙 영역
AB : 뒤쪽 영역
P1, P2 : 교차부
LB5 : 길이 방향 저강성부

Claims (9)

  1.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고,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과,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을 지나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선을 가지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평면시(平面視)에서, 착용 시에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향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의 뒤쪽측에 인접하는 뒤쪽 영역을 갖고,
     상기 뒤쪽 영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일체화하는 압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착부는, 평면시에서,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평면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차부 중의 상기 중앙 영역측의 상기 교차부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걸치도록 연달아 설치되고,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길이 방향 저강성부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과 상기 압착부가 상기 폭 방향으로 겹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는,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평량부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 영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폭 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달아 설치되어,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폭 방향 저강성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 저강성부는,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다른 저평량부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저강성부의 상기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압착부의 폭의 치수보다도 큰,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평면시에서, 환상의 형상을 갖는, 흡수성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환상의 형상의 일부에, 상기 환상의 형상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적어도 2개의 볼록 부분을 갖는,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교차부에 대응하는 비피부면측의 표면에, 피부측을 향하여 패인 패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2020190003368U 2018-08-31 2019-08-14 흡수성 물품 KR20200000539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4021 2018-08-31
JPJP-P-2018-164021 2018-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39U true KR20200000539U (ko) 2020-03-10

Family

ID=6976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368U KR20200000539U (ko) 2018-08-31 2019-08-1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00000539U (ko)
CN (1) CN211884259U (ko)
TW (1) TWM59324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4215B2 (ja) * 2020-07-03 2022-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0699A (ja) 2010-09-01 2012-03-15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0699A (ja) 2010-09-01 2012-03-15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93248U (zh) 2020-04-11
CN211884259U (zh)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2875U (ja) 吸収性物品
US8993832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compressed grooves
EP2151220A1 (en) Absorptive article
US20100168707A1 (en) Absorptive article
WO2010030007A1 (ja) 吸収性物品
US9901490B2 (en) Disposable pant type undergar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M496462U (zh) 吸收性物品
CN110913817B (zh) 吸收性物品
JP5297785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06470655B (zh) 吸收性物品
US20050234418A1 (en) Sanitary napkin
JP4514593B2 (ja) 吸収性物品
KR20200000539U (ko) 흡수성 물품
JP4912069B2 (ja) 吸収性物品
WO2013084516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053806B2 (ja) 生理用ナプキン
WO2020241556A1 (ja) 吸収性物品
JP4771912B2 (ja) 吸収性物品
JP6898978B2 (ja) 吸収性物品
JP6577854B2 (ja) 吸収性物品
JP6591279B2 (ja)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体及び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体の製造方法
WO2023233785A1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の製造方法
JP2017118888A (ja) 吸収性物品
JP2006181185A (ja) 吸収性物品
JP4884172B2 (ja) 生理用ナプ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