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518U -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주름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주름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518U
KR20200000518U KR2020180004022U KR20180004022U KR20200000518U KR 20200000518 U KR20200000518 U KR 20200000518U KR 2020180004022 U KR2020180004022 U KR 2020180004022U KR 20180004022 U KR20180004022 U KR 20180004022U KR 20200000518 U KR20200000518 U KR 202000005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mountains
valley
hollow corrugated
m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기업
신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기업, 신현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기업
Priority to KR2020180004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518U/ko
Publication of KR20200000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05C17/00516Shape or geometry of the outlet orifice or the outlet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05C17/00506Means for connecting the outlet element to, or for disconnecting it from, the hand tool or its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제1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 R1을 갖는 제1 내지 제3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산과 제2 산 사이에는 제1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산과 상기 제3 산 사이에는 제2 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주름관의 타측에는 반지름 R2를 갖는 제 4 내지 제6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4 산과 제5 산 사이에는 제3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5 산과 제6 산 사이에는 제4 골이 형성되며, 제2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이 R1을 갖는 제7 내지 제9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7산과 제8 산 사이에는 제5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8 산과 제9 산 사이에는 제6 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주름관과 상기 제2 주름관의 연결시 상기 제1 주름관의 제6 산의 후면부에 상기 제2 주름관의 제7산의 전면부를 밀착시키고, 상기 제6 산의 내주면이 상기 제7 산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하며 밀어 넣는 작용으로 상기 제6 산이 상기 제7 산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제6산의 내주면이 상기 제8 산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하여 두 개의 제1 2 중공형 주름관을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중공형 주름관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된 중간부는 자바라 형태로서 구부러짐이 자유롭고, R1< R2이며, 상기 제1 주름관과 제2 주름관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을 형성되어서, 실리콘 작업시 상기 중공형 주름관의 노즐이 닿지 않는 부위에서도 상기 제1 주름관과 상기 제2 주름관을 연결하여 실리콘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주름관의 결합구조{A LENGTH VARIABLE CORRUGATE TUBE AND COMBINATION STRUCTRUE OF THE SAME}
본 고안은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을 원하는 장소에 구부려서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름관은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름관은 일반적으로 블로우 성형방법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블로우 성형은 주름관 이외에 의약품 용기나 음료 용기 및 각종 중공형 용기를 성형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흡기계 또는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덕트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중공관체로서, 대개는 블로우 성형(Blow molding) 방식으로 성형된다.
블로우 성형방식은 중공체를 성형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의 경우에도 중공체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블로우 성형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우 성형방식은, 중공 성형 또는 취입 성형이라고도 하는 데, 압출이나 사출에 의해 튜브 상으로 예비 성형된 패리슨(parison)을 금형 사이에 끼워 넣은 후, 그 내부에 고온의 공기를 불어넣어 부풀게 해서 냉각 소화시켜 특정한 형태의 고형물을 만드는 성형 방법으로, 이러한 블로우 성형의 구체적인 공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방식의 덕트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료 수지를 압출기에 주입하여 원통형의 압출물인 튜브상의 패리슨(1)을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한 튜브 상의 패리슨(1)을 2개의 분할된 금형(3, 5) 사이에 끼워 넣은 후, 그 금형(3, 5)을 닫은 상태로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위치된 패리슨(1) 내에 고온의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패리슨(1)이 캐비티 형태로 부풀도록 블로우 단계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패리슨(1)이 금형(3, 5)의 캐비티 형태로 다 부풀게 되면 그 상태에서 냉각을 진행하고, 상온 가까이 식어서 고화되면, 금형(3, 5)를 열어 블로우 성형제품(7)에 붙어 있는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제품의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로우 성형은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실리콘 노즐과 같은 연결 부위 또는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할 때, 이를 이용하여 자바라 타입이어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고, 절단이 자유롭기 때문에 어떤 지역에서라도 실리콘을 주입할 수 있는 특징을 갖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자바라적 특성과 연결부위를 플라스틱 성형 방법 중 블로우 성형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구조에 대한 발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0001) 등록실용신안(20-0196518호: 실리콘 수지 노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부위를 플라스틱 사출성형 방법 중의 하나인 블로우 성형을 이용하여 중공형의 주름관을 형성하고, 직경이 작은 주름관을 직경이 큰 주름관에 끼우면 직경이 큰 주름관의 산과 직경이 작은 주름관의 산이 겹쳐지면서 견고하게 결합하게 될 수 있는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상을 띠고 있는 주름관은 통상적으로 양끝단의 사이에 자바라형으로 성형하여 구부림 등의 동작을 자유롭게 제어하여 실리콘 주입이 어려운 영역에서도 실리콘 주입 공정을 실시할 수 있어야 하는 데, 이러한 자유로운 동작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주름관들을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어서 길이를 변경시키는데 제약이 없어야 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외부 적인 부가 기구(니플과 같은 관이음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유롭게 결합하고 결합력도 우수하여 빠지거나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 구조는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제1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 R1을 갖는 제1 내지 제3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산과 제2 산 사이에는 제1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산과 상기 제3 산 사이에는 제2 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주름관의 타측에는 반지름 R2를 갖는 제 4 내지 제6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4 산과 제5 산 사이에는 제3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5 산과 제6 산 사이에는 제4 골이 형성되며, 제2 주름관의 일측에는 지름이 작은 크기를 갖는 반지름이 R1을 갖는 제7 내지 제9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7산과 제8 산 사이에는 제5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8 산과 제9 산 사이에는 제6 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주름관과 상기 제2 주름관의 연결시 상기 제1 주름관의 제6 산의 후면부에 상기 제2 주름관의 제7산의 전면부를 밀착시키고, 상기 제6 산의 내주면이 상기 제7 산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하며 밀어 넣는 작용으로 상기 제6 산이 상기 제7 산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제6산의 내주면이 상기 제8 산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하여 두 개의 제1 2 중공형 주름관을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2 중공형 주름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2 중공형 주름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는 산과 골이 연속된 형상으로서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이 R1인 외경을 갖는 제1 내지 3 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산 사이에는 제1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지 제3 산 사이에는 제2 골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주름관의 타측에는, 반지름이 R2인 외경을 갖는 제4 내지 6 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산과 제 5 산 사이에는 제3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5 산과 제6 산 사이에는 제4 골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주름관은 블로우 성형방법으로 성형되고, 재질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형성되어 자바라 형으로 형성되어 구부러짐이 자유롭고, R1 <R2이고, 실리콘 주입 작업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자유로운 시공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리콘 작업 시, 실리콘 노즐이 닿지 않거나 실리콘 건이 들어가지 않는 부위라고 하더라도, 또는 턱진 하부 구석의 실리콘 작업 시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일측과 타측의 끝단 사이에 형성된 자바라 부위를 통해서 실리콘 작업에 대한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시에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추가적인 작업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 구조를 통하여 길이의 변형이 자유롭고, 휘어짐에 아무런 제약이 작용하지 않는 형성을 취하면서도 내구성 측면에서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길이 변경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방식의 덕트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리콘 수지 노즐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여조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사용되던 실리콘 수지 노즐의 개략적인 사용상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로우 성형 방법으로 성형된 노즐을 포함하는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중공형 주름관에서 중공형 주름관의 연결 부위인 일측과 타측의 사이에 형성된 자바라 영역을 포함하는 중간부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중공형 주름관과 제2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 구조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구조 및 주름관에 대하여 논의한다.
도 2는 실리콘 수지 노즐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여조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젤 상태의 실리콘 수지가 수용되는 실리콘 수지통(17)에 체결 사용되는 노즐(21)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을 원뿔형상으로 형성하되, 몸체 일측은 만곡지게 절곡 형성하고, 상기 노즐(21)의 일측 선단 내부에는 실리콘 수지통(17)이 일측에 형성한 유출구(18)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22)와 체결되는 나사(22)를 포함하여 체결된다.
도 3은 종래 사용되던 실리콘 수지 노즐의 개략적인 사용상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삽입홈(12)에 실리콘 수지통(17)이 삽입되면, 한 손으로는 몸체(11)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손잡이(13)를 잡은 후, 방아쇠를 당겼다 놓았다를 반복하는 데, 상기와 같이 방아쇠를 당겼다 놓았다를 반복하면 후퇴되었던 투입봉(15)이 조금씩 전진하여 실리콘 수지통(17)의 후단에 밀착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노즐(21)을 도포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고, 방아쇠를 당겼다 놓았다 하게 되면 투입봉(15)이 전진하여 실리콘 수지통(17)에 수용된 실리콘 수지를 밀어내게 되어 상기 실리콘 수지는 노즐(21)을 통해 유출되며 필요부위에 도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포 방식을 따른다고 할 때,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부분에 테프론(Teflon)을 감아서 금속 상호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킨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 부위의 잡착력이 향상되면서 연결 부분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부를 포함하는 중공형 주름관(200)이 연결 부위(120)에서 다른 중공형 주름관(210)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중공형 주름관(200. 210)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각각의 중공형 주름관을 블로우(blow) 사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블로우 사출공정은 자바라 타입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신축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로우 성형은 주름관 이외에 의약품 용기나 음료용기나 각종 중공형(hollow type) 용기를 성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로우 성형은, 일측에 고정된 고정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으로부터 일정기리이격되게 배치되어 고정금형에 대하여 밀착 분리 가능하도록 왕복 직선 운동되는 이송금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금형과 이송금형의 마주하는 면에는 원하는 형상의 용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캐비티(cabity)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블로우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고자 할 때에는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튜브 형상의 패리슨(1)을 고정금형과 이송금형 사이에 위치시킨 후 이송금형을 고정금형 쪽으로 이송시켜 고정금형과 이송금형의 마주하는 면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리슨내부로 공기를 불어넣으면 패리슨(1)이 고정금형과 이송금형에 형성된 캐비티의 형상에 따라 팽창되면서 원하는 제품의 형상이 성형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로우 성형 방법으로 성형된 노즐을 포함하는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부(110)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부위(1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위(120)에는 다른 중공형 주름관이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된 중공형 주름관은, 상기 중공형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이 R1인 외경을 갖는 제1 내지 제3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산 사이에는 제1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내지 제3산 사이에는 제2 골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중공형 주름관의 타측에는 반지름이 R2인 외경을 갖는 제4 내지 6 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산과 제5 산 사이에는 제3골이 형성되고, 제5산과 제6산 사이에는 제4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주름관(210)은 전술한 블로우 성형방법으로 성형되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어 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R2 >R1 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상기 노즐부(110)를 포함하는 중공형 주름관(200)에 중공형 주름관(210)을 결합시킬 때, 상기 노즐부(110)를 포함하는 중공형 주름관의 가장 마지막에 형성된 산(convex 영역, 121) 쪽으로 상기 중공형 주름관(210)의 일측에 형성된 반지름이 R1인 외경을 갖고 있는 제1 내지 제3 산(131, 132, 133)을 포함하는 영역을 접근시킬 때, 제1산의 전면부를 밀착시키고, 상기 노즐부(110)를 포함하는 중공형 주름관(200)의 가장 마지막에 형성된 산(121)에 상기 중공형 주름관(130)의 제1산(131)을 삽입하여 상기 중공형 주름관(210)의 외주면(제1 산(131)에 해당하는 영역)이 상기 노즐부(110)를 포함하는 중공형 주름관(120)의 내주면(상기 노즐부(110)를 포함하는 중공형 주름관(200)의 마지막 산(121)의 내주면에 해당하는 영역)에 의하여 둘러싸인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산(121)의 내주면의 앞에 형성되는 마지막 골(도면번호 미부여)의 내측으로 상기 중공형 주름관(130)의 제1 산(131)이 통과하고, 외경이 마지막 골보다 넓은 산(도면번호 미부여)에 제1 산(131)이 안착된 형태가 되며, 이러한 형태가 됨에 따라 노즐부(110)를 포함하는 중공형 주름관(120)의 타측에 형성된 산과 골 들에 중공형 주름관(130)의 제1 내지 3산(131, 132, 133)의 외주면과 제1 골과 제2 골의 외주면이 둘러싸인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5는 중공형 주름관에서 중공형 주름관의 연결 부위인 일측과 타측의 사이에 형성된 자바라 영역을 포함하는 중간부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간부(130)는 자바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바라형태라고 하는 것은 플렉시블(flexible)하다는 뜻으로, 구부림이 자유롭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굴곡진 부분이라고 하더라도 구부려서 실리콘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외기와는 밀봉된 상태이어서 외기의 유출은 없도록 하되, 실리콘의 이동에는 문제 또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120, 130)의 경우에는 중간부(130)에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중공형 주름관(120, 130)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에 형성된 연결 부위에는 중공형 주름관의 제1산(131), 상기 제1 산(131)에 인접하여 제1골(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골(134)의 측면으로는 바로 연속하여 제2산(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부위(120)와 중간부(130)가 산과 골이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된 경우 블로우 성형 방법으로 1회의 성형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재질적인 특성상 유연성을 가질 수 있어서 니플(nipple)과 같은 부속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산과 골의 결합을 통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로우 사출과 같은 1회의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어서 생산이 용이하고 유지관리 보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할 수 잇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바라 형태를 취하게 되면, 본원 바렴ㅇ의 노즐부(110)가 닿지 않는 부위, 실리콘 건의 특성상 삽입하기 어려운 영역, ㅓㅌㄱ진 하부 구석등과 같은 장소에서도 자바라부인 중간부(130)를 자유롭게 구부려서 삽입하여 실리콘 주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중공형 주름관(130)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산들의 외경(R1)과 후단부를 구성하는 산들의 외경(R2)에서 수학식 1과 같은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수학식 1]
R1 < R2
중공형 주름관(130)의 선단부를 다른 중공형 주름관의 후단부에 쉽게 빠지지 않는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중공형 주름관과 제2 중공형주름관의 결합하는 구조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중공형 주름관과 제2 중공형 주름관의 관계로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도 4와 달리 상기 제1 중공형 주름관과 상기 제2 중공형 주름관은 동일한 규격을 가질 수 있다.
동일한 규격이라 함은 선단부에 형성된 산과 골 및 후단부에 형성된 산과 골이 같은 규격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중공형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 R1을 갖는 제1 내지 제3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산과 제2 산 사이에는 제1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산과 상기 제3 산 사이에는 제2 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형 주름관의 타측에는 반지름 R2를 갖는 제 4 내지 제6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4 산과 제5 산 사이에는 제3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5 산(128)과 제6 산(129) 사이에는 제4 골(126)이 형성되며, 제2 중공형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이 R1을 갖는 제7 내지 제9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7산(131)과 제8 산(132) 사이에는 제5골(134)이 형성되고, 상기 제8 산(132)과 제9 산(133) 사이에는 제6 골(미도시)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중공형 주름관과 상기 제2 중공형 주름관의 연결시 상기 제1 중공형 주름관의 제6 산의 후면부에 상기 제2 중공형 주름관의 제7산(131)의 전면부를 밀착시키고, 상기 제6 산(129)의 내주면이 상기 제7 산(17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하며 밀어 넣는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6 산(129)이 상기 제7 산(131)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제 6산(129)을 제7 산(131)이 통과하여 제6산(129)의 앞쪽에 위치한 제4골(126)을 지나가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6산(129)의 내주면이 상기 제8 산(13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하여 두 개의 제1, 2 중공형 주름관을 결합시킬 수 있고, 제4 골의 내주면(126)에는 상기 제2 중공형 주름관의 제1 골의 외주면(134)이 둘러싸인 상태일 수있다.
물론 이들 사이에서는 어떠한 테프론으로 도포 작업을 수행한다든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작용을 하지 않더라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라는 플라스틱의 특성상, 팽창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쉽게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특성상 절단하기도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절단 공정을 통하여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제1 중공형 주름관과 제2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잇는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패리슨 3: 금형
5: 금형 7: 블로우 성형제품
10: 투입기 11:몸체
12: 삽입홈 13: 손잡이
14: 방아쇠 15: 투입봉
17: 실리콘 수지통 21:노즐
22: 나사
110: 노즐부 120:연결부위
121: 노즐부를 포함하는 중공형 주름관에 형성된 마지막 산
130: 중간부 131: 중공형 주름관의 제1산
132: 중공형 주름관의 제2산
133; 중공형 주름관의 제3산
134: 중공형 주름관의 제1골 135: 중공형 주름관의 제2골
200: 노즐부를 포함하는 중공형 주름관
210: 중공형 주름관

Claims (3)

  1.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제1 중공형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 R1을 갖는 제1 내지 제3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산과 제2 산 사이에는 제1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산과 상기 제3 산 사이에는 제2 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형 주름관의 타측에는 반지름 R2를 갖는 제 4 내지 제6 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4 산과 제5 산 사이에는 제3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5 산과 제6 산 사이에는 제4 골이 형성되며,
    제2 중공형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이 R1을 갖는 제7 내지 제9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7산과 제8 산 사이에는 제5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8 산과 제9 산 사이에는 제6 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형 주름관과 상기 제2 중공형 주름관의 연결시 상기 제1 중공형 주름관의 제6 산의 후면부에 상기 제2 주름관의 제7산의 전면부를 밀착시키고, 상기 제6 산의 내주면이 상기 제7 산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하며 밀어 넣는 작용으로 상기 제6 산이 상기 제7 산을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제6산의 내주면이 상기 제8 산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하여 두 개의 제1 2 중공형 주름관을 결합시킬 수 있고,
    R1< R2이며,
    실리콘 작업시 상기 중공형 주름관의 노즐이 닿지 않는 부위에서도 상기 제1 중공형 주름관과 상기 제2 중공형 주름관을 연결하여 실리콘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중공형 주름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2 중공형 주름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는 산과 골이 연속된 형상으로서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의 결합 구조.
  3.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주름관의 일측에는,
    반지름이 R1인 외경을 갖는 제1 내지 3 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산 사이에는 제1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지 제3 산 사이에는 제2 골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주름관의 타측에는,
    반지름이 R2인 외경을 갖는 제4 내지 6 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산과 제 5 산 사이에는 제3 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5 산과 제6 산 사이에는 제4 골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주름관은 블로우 성형방법으로 성형되고,
    재질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형성되어 자바라 형으로 형성되어 구부러짐이 자유롭고,
    산과 골들을 포함하며,
    R1<R2이며,
    실리콘 주입 작업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자유로운 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중공형 주름관.
KR2020180004022U 2018-08-29 2018-08-29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주름관의 결합구조 KR202000005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22U KR20200000518U (ko) 2018-08-29 2018-08-29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주름관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22U KR20200000518U (ko) 2018-08-29 2018-08-29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주름관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18U true KR20200000518U (ko) 2020-03-10

Family

ID=6976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022U KR20200000518U (ko) 2018-08-29 2018-08-29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주름관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51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18Y1 (ko) 2000-04-17 2000-09-15 조병재 실리콘 수지 노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18Y1 (ko) 2000-04-17 2000-09-15 조병재 실리콘 수지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1472B1 (en) Applicator for tampons
KR101239558B1 (ko) 의료용 액체를 홀딩하도록 사용되는 리셉터클을 제조하기 위한 패리슨 및 제조 방법
US20170065781A1 (en) Tracheostomy tube assemblies, inner cannulae and methods of manufacture
ES2043693T3 (es)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on de un cuerpo hueco de plastico con cuerpo moldeado por soplado.
EP08082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ubular container with closure means
RU2002129295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й трубы с двойными стенками 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муфтой
KR20200000518U (ko)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주름관 및 그 주름관의 결합구조
ES2733069T3 (es) Sistema para la fabricación de zócalos integrados en tuberías de plástico de orientación biaxial
JP4752657B2 (ja) 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71060A (ja) 蛇腹付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MX2010012983A (es) Aparatos y metodos de punzon en molde.
CN102107521A (zh) 一种吹塑机
JPS6361170B2 (ko)
JPH08290465A (ja) ブロー成形方法
JP2000000880A (ja) ブロ―成形装置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5086847B2 (ja) 樹脂製の筒状部品の製造方法
JP3653428B2 (ja) 3次元ブロー形成における開口面積拡大方法
CN201613632U (zh) 双模头吹塑机
CN104918766A (zh) 用于流体产品的保持器以及用于制造这种保持器的方法
CN113086685B (zh) 一体成型接料管及其吹塑加工方法
GB2255546A (en) Blow moulded container with attached handle
KR200237792Y1 (ko) 합성수지재 덕트
JP3590599B2 (ja) 簡易型ブロ−成形装置
CN110539472A (zh) 一种气囊结构及吹塑成型方法
CN103980527A (zh) 辐照交联热缩发泡管、防滑花纹管、制备方法及挤出机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