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315U - 홀컵 대용 마커 - Google Patents

홀컵 대용 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315U
KR20200000315U KR2020180003517U KR20180003517U KR20200000315U KR 20200000315 U KR20200000315 U KR 20200000315U KR 2020180003517 U KR2020180003517 U KR 2020180003517U KR 20180003517 U KR20180003517 U KR 20180003517U KR 20200000315 U KR20200000315 U KR 202000003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accommodation space
golf bal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김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우 filed Critical 김선우
Priority to KR2020180003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315U/ko
Publication of KR20200000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7Markers for golf cups or holes, e.g. fl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207/0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홀컵의 크기와 같거나 홀컵의 크기보다 작은 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퍼팅한 골프공이 바디부 위로 지나갈 때 골프공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센서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면 사운드를 출력하는 출력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사운드의 출력신호를 출력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홀컵 대용 마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홀컵 대용 마커{MARKER FOR SUBSTITUTING HOLECUP}
본 고안은 골프 연습용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팅 연습용품에 관한 것으로 자칫 지루해 질 수 있는 퍼팅연습을 그린에서 홀컵에 집어넣는 것 같은 실감나는 퍼팅연습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골프 퍼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퍼팅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여러 가지 형태의 홀을 돌면서 드라이브샷, 아이언샷, 벙커샷 및 퍼팅 등을 병행하여 그린의 홀컵으로 골프공을 골인시키는 스포츠 경기로써 최저 타수로 홀컵에 공프공을 넣는 선수가 이기는 경기이다.
이 중에서도 퍼팅은 골프 경기의 최종 마무리 단계로써, 주로 홀컵과 근접된 거리에서 골프공을 홀컵에 넣는 것이고, 사용자는 다양한 형상의 그린 위에서 그린의 상태 및 형상에 따른 방향 설정 및 골프공의 속도를 나타내는 타격 세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홀컵에 골프공을 퍼팅하게 되며, 골프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정확판 퍼팅 기술의 습득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퍼팅 동작시 초심자는 물론 숙련자라 하더라도 퍼팅기술을 익히기가 용이하지 않고, 실제 퍼팅시에는 심리적 부담까지 가중되어 불안한 퍼팅 동작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하며, 타구 방향이 뒤틀리는 실수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골프 퍼터로 퍼팅연습을 하는 퍼팅 연습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하여 조작하는 입력부와, 여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입력부와 표시부가 연결되어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로 출력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와 연결되어 외부의 제어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퍼터로 타격한 골프공이 부딪히게 되며, 골프공이 부딪히는 충격으로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전송하는 압전센서와, 본체부에 내장되어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압전센서를 이용한 골프퍼팅 연습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고, 퍼팅 속성상 지루함을 해소시킬 수 없을뿐더러 고가여서 구입이 쉽지 않으며, 휴대성이 떨어져 사용상 공간에 제약이 발생하고, 특히 실내에서만 사용되어 그린에 나와 있는 기분을 느낄 수 없으며, 퍼팅 자세와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1434호(2010.02.11. 공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퍼팅한 골프공이 위로 지나가면 이를 감지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퍼팅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홀모양과 같으면서도 홀보다 적게 만들어 퍼팅 집중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홀보다 작은 목표물을 겨냥하면 퍼팅 집중력이 향상), 아울러 휴대하고 다니면서 퍼팅매트가 필요없으며, 또한 공간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홀컵의 크기와 같거나 홀컵의 크기보다 작은 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퍼팅한 골프공이 바디부 위로 지나갈 때 골프공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센서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면 사운드를 출력하는 출력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사운드의 출력신호를 출력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홀컵 대용 마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홀컵의 크기와 같거나 홀컵의 크기보다 작은 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퍼팅한 골프공이 바디부 위로 지나갈 때 골프공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센서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발광소자를 구비하며, 제어부로부터 발광신호를 수신하면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신호를 발광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홀컵 대용 마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퍼팅한 골프공이 위로 지나가면 이를 감지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퍼팅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홀모양과 같으면서도 홀보다 적게 만들어 퍼팅 집중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홀보다 작은 목표물을 겨냥하면 퍼팅 집중력이 향상), 아울러 휴대하고 다니면서 퍼팅매트가 필요없으며, 또한 공간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컵 대용 마커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홀컵 대용 마커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홀컵 대용 마커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홀컵 대용 마커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고안에 따른 홀컵 대용 마커(1)는 골프 퍼팅 능력을 향상시키고, 그린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바디부(10), 센서부(20), 출력부(30), 전원부(40), 제어부(50) 및 발광부(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골프공이 홀컵에 골인하려면 골프공이 홀컵을 지나쳐야 한다. 최근 과학적 연구에 의하면 퍼팅시 골프공을 홀컵에 골인시킬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퍼팅거리와 관계없이 골프공의 속도가 45 내지 60cm 정도 홀을 지날 만큼의 스피드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속도로 골프공이 홀컵에 접근하게 되면 중도에 골프공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골프공이 목적라인을 따라 지나가게 되므로 홀컵에 골인할 확률이 증가되는 것이다. 아울러, 퍼팅 연습시 퍼팅된 골프공의 궤적을 눈으로 보는 것 보다는 귀로 듣게 되면 퍼팅시 사용자의 머리와 몸을 고정시켜 퍼팅 자세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홀보다 작은 목표물을 설정(겨냥)하면 실제 경기중 홀은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이는 느낌이 되어 퍼팅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바디부(10)는 홀컵의 크기와 같거나 이보다 작은 동전 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홀컵의 크기는 직경이 108mm인데, 상기 바디부(10)는 퍼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휴대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직경 30~108mm의 범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바디부(10)의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퍼팅한 골프공이 바디부 위로 지나갈 때 대략 45.5~45.9g의 무게를 갖는 골프공(B)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2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예컨대 골프공이 바디부(10) 위로 지나갈 때 부딪히는 충격으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압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력부(30)는 상기 바디부(10)의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제어부(50)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면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그린에서 퍼팅한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고, 사운드로 인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시켜 숏퍼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사운드는 골프공(B)이 홀컵에 골인될 때 나는 소리, 예컨대 "땡그랑"과 같은 생동감이 있는 소리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40)는 상기 바디부(10)의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전원이 필요한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40)는 무전원 사용을 위한 태양 전지판으로 전기를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바디부(10)의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전원부(4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센서부(2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사운드의 출력신호를 출력부(30)로 송신한다.
더불어, 상기 센서부(20), 출력부(30), 전원부(40) 및 제어부(50)는 하나로 모듈화된 모듈(M)로 바디부(10)의 수용공간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2b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홀컵 대용 마커(1)는 빛을 내는 발광소자를 구비한 발광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60)는 제어부(50)로부터 발광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발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센서부(2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사운드의 출력신호를 출력부(30)로 송신할 수도 있고, 발광부(60)로 발광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홀컵 대용 마커(1)는 퍼팅한 골프공이 위로 지나가면 이를 감지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퍼팅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홀모양과 같으면서도 홀보다 적게 만들어 퍼팅 집중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홀보다 작은 목표물을 겨냥하면 퍼팅 집중력이 향상), 아울러 휴대하고 다니면서 퍼팅매트가 필요없으며, 또한 공간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홀컵 대용 마커
10. 바디부
20. 센서부
30. 출력부
40. 전원부
50. 제어부
60. 발광부
B. 골프공
M. 모듈
P. 퍼터

Claims (7)

  1. 홀컵의 크기와 같거나 홀컵의 크기보다 작은 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퍼팅한 골프공이 바디부 위로 지나갈 때 골프공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센서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면 사운드를 출력하는 출력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사운드의 출력신호를 출력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홀컵 대용 마커.
  2. 제 1항에 있어서,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발광소자를 구비하며, 제어부로부터 발광신호를 수신하면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홀컵 대용 마커.
  3. 홀컵의 크기와 같거나 홀컵의 크기보다 작은 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퍼팅한 골프공이 바디부 위로 지나갈 때 골프공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센서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발광소자를 구비하며, 제어부로부터 발광신호를 수신하면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부;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발광신호를 발광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홀컵 대용 마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출력부, 전원부 및 제어부는 하나로 모듈화된 모듈로 바디부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컵 대용 마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발광부, 전원부 및 제어부는 하나로 모듈화된 모듈로 바디부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컵 대용 마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는 골프공이 홀컵에 골인될 때 나는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컵 대용 마커.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골프공이 바디부 위로 지나갈 때 공의 무게로 눌러지는 압력(충격) 또는 지나가는 속도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컵 대용 마커.
KR2020180003517U 2018-07-30 2018-07-30 홀컵 대용 마커 KR202000003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517U KR20200000315U (ko) 2018-07-30 2018-07-30 홀컵 대용 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517U KR20200000315U (ko) 2018-07-30 2018-07-30 홀컵 대용 마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15U true KR20200000315U (ko) 2020-02-07

Family

ID=6949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517U KR20200000315U (ko) 2018-07-30 2018-07-30 홀컵 대용 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31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34B1 (ko) 2009-04-17 2010-02-11 (주)피에조랩 압전센서를 이용한 골프퍼팅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34B1 (ko) 2009-04-17 2010-02-11 (주)피에조랩 압전센서를 이용한 골프퍼팅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2811B2 (en) Smart putter for golf club
US20080207347A1 (en) Golf swing trainer and method of improving a golf swing
US10758805B2 (en) Digital putting diagnosis device
JP6405018B2 (ja) ゴルフトレーニング器具、ゴルフトレーニング方法及びゴルフ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KR101314644B1 (ko) 가상현실 겨루기 방법
KR20170068889A (ko) 스마트 샌드백
KR102265374B1 (ko) 에이밍 기능이 구비된 퍼팅정보 제공 장치
KR20180061889A (ko) 골프 그립용 센서모듈과 스마트 골프 그립
KR101355882B1 (ko) 골프 스윙연습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20200000315U (ko) 홀컵 대용 마커
KR102220723B1 (ko) 태권도용 전자호구 및 이를 이용한 판정시스템
KR102258643B1 (ko) 골프 연습장치
KR100941434B1 (ko) 압전센서를 이용한 골프퍼팅 연습장치
KR101599408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KR101954901B1 (ko) 훈련용 활
KR101851461B1 (ko) 타격지점 및 타격시점을 지시하는 레이저 스윙장치.
KR200418102Y1 (ko) 골프연습장 스위치박스
KR102399445B1 (ko) 자성체를 이용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2184085B1 (ko) 골프 클럽의 어드레스를 위한 에이밍 장치
US11833405B2 (en) Golf shot alignment system
KR101687730B1 (ko) 스윙 방향 안내 기능을 가진 골프 클럽
KR20020017906A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950242B1 (ko) 스윙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1911546B1 (ko) 골프연습장치
JP2018089145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用バ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595;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5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0

Effective date: 2020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