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56A -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56A
KR20200000156A KR1020180072108A KR20180072108A KR20200000156A KR 20200000156 A KR20200000156 A KR 20200000156A KR 1020180072108 A KR1020180072108 A KR 1020180072108A KR 20180072108 A KR20180072108 A KR 20180072108A KR 20200000156 A KR20200000156 A KR 20200000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lead wire
heat generat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493B1 (ko
Inventor
김천중
Original Assignee
(주)보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은 filed Critical (주)보은
Priority to KR1020180072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4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류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 다발을 구비하고 수밀되게 절연 피복된 발열부와;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도전성이 우수한 동선과 이 동선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피복층을 구비하고, 전원공급부에서 인출된 리드선; 발열부와 리드선 사이에 개재되는 땜납층; 발열부와 리드선 및 땜납층의 결선(結線) 부위를 둘러싸는 알루미늄층과, 알루미늄층과 발열부의 일부 및 리드선의 일부를 밀봉하는 테프론 코팅층을 구비하여, 발열부와 리드선을 전기연통가능하게 결선하는 결속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중공부에 발열부를 배치하고, 골프장 그린의 지중에 매설되게 배치된 분배관; 및 분배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탄소섬유 열선과 합금 열선으로 구성된 다중 열선을 발열부의 발열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 {Heating system for green of golf course using multi-heat fib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aging golf green using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온열, 온풍, 송풍, 급수, 온수를 제공할 수 있는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golf)는 골프채로 골프공을 쳐서 그린의 홀컵에 골프공을 홀인시키는 스포츠의 일종으로, 타수의 적고 많음으로 승부를 겨룬다.
일반적으로, 골프장(특히, 그린)은 동절기에 저온으로 인해 지면이 종종 결빙된다. 골프공이 결빙 상태의 그린 위로 낙하하는 경우에 평소와 달리 불규칙하게 공이 튀어 올라 최적의 퍼팅 조건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외에도, 골퍼는 결빙 상태의 그린 위에서 미끄러지는 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국내의 계절적 요건으로 인해, 양질의 그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발열매트를 지면 아래에 매립하여 골프장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발열매트는 절연재를 도체금속선의 외주면에 코팅하여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있지만 열전도율이 그리 높지 않고 발열매트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해 그린 주변에 식생되어 있는 잔디, 수목 등에 영향을 미칠 소지가 높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1882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방수(防水) 가공처리된 발열부와 함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서부를 갖춰 발열 뿐만 아니라 송풍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중으로 급수가능하도록 저수 탱크를 갖춰 양호한 상태의 골프장 그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열선을 포함한 발열부와 리드선과의 신뢰할 수 있는 결선(結線)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은, 전류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 다발을 구비하고 수밀되게 절연 피복된 발열부와;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도전성이 우수한 동선과 이 동선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피복층을 구비하고, 전원공급부에서 인출된 리드선; 발열부와 리드선 사이에 개재되는 땜납층; 발열부와 리드선 및 땜납층의 결선(結線) 부위를 둘러싸는 알루미늄층과, 알루미늄층과 발열부의 일부 및 리드선의 일부를 밀봉하는 테프론 코팅층을 구비하여, 발열부와 리드선을 전기연통가능하게 결선하는 결속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중공부에 발열부를 배치하고, 골프장 그린의 지중에 매설되게 배치된 분배관; 및 분배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서부;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열선 다발은 탄소섬유 열선과 합금 열선으로 구성된 다중 열선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열선 다발과; 구리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 또는 내열성 섬유로 구성되고, 열선 다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아 권취되는 전도성의 권취 테이프; 열선 다발을 속박하는 권취 테이프 외주면에 도포된 제1 피복층; 및 제1 피복층의 외주면에 배치된 제2 피복층;을 구비하는 발열부를 채용하는데, 열선 다발을 발열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피복층은 테프론 재질로 권취 테이프 외주면 둘레를 도포하고, 제2 피복층은 실리콘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에어 홀을 갖춘 분배관을 수단으로 하여 압축공기를 그린의 지중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다수의 에어 홀은 분배관의 두께방향으로 깔대기 형상으로 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땜납층을 발열부의 단부 둘레에서 제2 피복층과 제1 피복층을 탈피하여 노출된 권취 테이프 상에 배치되고, 권취 테이프와 동선 사이에 개재되어 열선 다발과 리드선의 전기연통을 돕는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분배관과 유체연통가능하게 배치된 저수 탱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데, 발열부과 전원공급부에서 인출된 리드선을 준비하는 단계와; 발열부과 리드선을 탈피하는 단계; 발열부의 노출된 권취 테이프 상에 땜납층을 배치하는 단계; 발열부의 단부에 배치된 땜납층과 리드선의 노출된 동선을 중첩되게 배치하는 단계; 발열부의 단부에 배치된 땜납층과 리드선의 동선을 연결하는 결선 부위에 알루미늄층을 위치고정하는 단계; 및 알루미늄층으로 덮여진 결선 부위와 발열부의 일부 및 리드선의 일부를 테프론 코팅층으로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탄소섬유 열선과 합금 열선으로 구성된 열선 다발과; 열선 다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아 권취되는 전도성의 권취 테이프; 열선 다발을 속박하는 권취 테이프 외주면에 도포된 제1 피복층; 및 제1 피복층의 외주면에 배치된 제2 피복층;을 구비한 발열부를 채용하는데, 열선 다발을 발열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피 단계에서, 본 발명은 발열부의 단부 둘레에 피복된 2중의 피복층을 제거하여 열선 다발을 속박하는 권취 테이프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리드선의 단부 둘레에 피복된 피복층을 제거하여 동선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땜납층의 배치 단계에서, 땜납층은 발열부의 노출된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층의 위치고정 단계에서, 알루미늄층은 발열부과 리드선의 결선 부위에 진공흡착방식으로 밀착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속이 비어 있는 가늘고 긴 분배관 내부에 일직선으로 결선된 발열부과 리드선을 삽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배관은 깔대기 형상의 에어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을 수단으로 하여 골프장 그린의 지중으로 온풍, 온열, 수분을 제공할 수 있는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탄소섬유 열선과 합금 열선으로 구성된 다중 열선을 수단으로 하는 발열부로 온열을 제공하는 한편 에어 콤프레서부를 통해 발열부를 수용한 분배관에 압축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발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수 탱크와 유체연통가능하게 분배관을 배관하여 수분을 적절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계절에 맞춰 골프장의 그린 상태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에어 홀을 천공한 분배관을 지중에 매설하여 지중 내부로 원활하게 송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소섬유 열선과 합금 열선을 발열체로 사용함으로써 사람과 그린 주변에 잔디 혹은 수목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여 수목의 성장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전도성의 권취 테이프를 수단으로 하여 열선 다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싸고 있어 열선 다발과 리드선의 동선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접촉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시스템에 신뢰할 수 있는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열선 다발 외주면 둘레에 2중으로 방수 가공된 피복층으로 둘러싸여 있는 발열부와 결속부를 통해 습기나 물기의 침투를 방지하여 발열시스템의 누전에 의한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열선 다발과 리드선(전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결속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내구성과 함께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매설된 발열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열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해된 원호부(A)의 단면도로서, 발열부와 리드선의 결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발열부와 리드선의 결선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이하 발열시스템)은 발열부(1)와, 발열부(1)에 전원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부(2), 발열부(1)와 전원공급부(2) 사이에 전기연통가능하게 개재된 리드선(3), 발열부(1)와 리드선(3)을 결선하는 결속부(5),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부(1)를 이격되게 배치하는 속이 비어 있는 가늘고 긴 분배관(6), 분배관(6)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서부(7)로 이루어져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분배관(6)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분배관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저수 탱크(8)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시스템은 골프장의 지중(地中), 바람직하기로는 그린(green)의 지중에 발열부(1)를 매립 설치하여, 전원공급부(2)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여 그린에 쌓여 있는 눈을 녹이거나 결빙을 방지하여 동절기 골프장의 원활한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전원공급부(2)는 전기연통가능하게 연결된 리드선(3)을 외부로 길이연장하고 있으며, 전원공급부(2)는 리드선(3)을 통해 열선 다발(11;도 4 참조)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발열시스템은 발열부를 직렬 연결하여 그린의 지중에 매립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발열부를 전원공급부에 병렬 연결(도 2 참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2)는 4개의 채널에서 예컨대 + 극선과 - 극선으로 구성된 한쌍의 리드선(3)을 각각 인출하고, 리드선(3)의 단부에 발열부(1)를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결선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2)를 통해 4개의 채널을 통해 220V의 전원전압을 미리 설정된 출력전압(60V~220V)으로 리드선(3)에 전원을 공급하여 하나 이상의 발열부(1)를 발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시스템은 각 채널에 연결된 발열부에 가정용 전압보다 낮은 약 60V의 정격전압으로 감압하여 감전사고방지, 전기절약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전원공급부(2)는 4개의 채널을 통해 4개의 발열부(1)를 발열시킬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하나 이상 혹은 복수의 발열부에 전류를 인가시킬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2)는 예컨대 발열부(1)를 매설한 그린의 지중 온도를 감지하여 리드선(3)에 공급 전원을 온(on)/오프(off) 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발열부(1)에 공급되는 전압량, 설정온도, 현 발열온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전원공급부(2)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배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 다발을 포함하는 발열부(1)의 외주면을 방수 가공방식으로 피복하여 발열효과와 함께 방수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수효과는 발열부(1) 내부로 물, 농약 등의 침투를 미연에 방지하여 발열부(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에어 콤프레서부(7)와 이 에어 콤프레서부(7)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된 분배관(6)을 통해 그린의 지중으로 압축공기를 분산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배관(6)은 전술되었듯이 내부 중공부에 발열부(1)를 배치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발열부(1)와 에어 콤프레서부(7)를 구동시켜 에어 콤프레서부(7)로부터 압축공기를 압축 분배관(6)으로 강제로 공급하는 동시에 분배관(6)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발열부(1)의 발열온도로 가열된 온열의 압축공기를 에어 홀(61)을 통해 분배관(6)이 매설된 주변 지중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동절기에 그린의 지중으로 온열의 압축공기를 송풍할 수 있어 지중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린이 단단해지는 것을 막아 골프공의 튀어가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그린의 퍼팅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설 부위에 잔디 또는 수목의 동사를 방지하고 발열부(1)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여 잔디 또는 수목의 성장 환경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발열부(1)의 작동을 중단하고 에어 콤프레서부(7)만을 구동시켜 에어 콤프레서부(7)로부터 압축공기를 압축 분배관(6)으로 강제로 공급하여 압축공기를 에어 홈(61)을 통해 분배관(6)이 매설된 주변 지중으로 분산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하절기에 그린의 지중으로 압축공기를 송풍할 수 있어 매설 부위에 잔디 또는 수목의 열사를 방지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시스템은 분배관(6)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된 저수 탱크(8)를 수단으로 하여 분배관(6)의 내부 중공부로 물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분배관(6)의 에어 홀(61)을 통해 압축공기 및/또는 수분을 골프장 그린의 지중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가뭄이 발생한 경우에, 본 발명은 잔디와 주변 수목에 주기적으로 수분을 제공하여 언제든지 골프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최상의 그린 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분배관(6)의 외주면 둘레를 예컨대 음이온이 방사될 수 있는 맥반석 모래, 유사 모래, 등과 같은 공극률이 작은 재질로 구성된 투수층(참조부호 없음)을 배치하는데, 분배관(6)의 에어 홀(61)을 통해 분배관에서 방사상으로 물, 공기, 열 등을 효율적으로 전달 및/또는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분배관으로 공급된 물 및/또는 압축공기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여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2), 에어 콤프레서부(7), 저수 탱크(8) 등을 개별적으로 혹은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C;controller)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에어 홀(61)이 분배관(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다수의 에어 홀(61)은 깔대기 형상으로 분배관(6)의 두께방향으로 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에어 홀(61)은 분배관의 내주면에 최대내경으로 형성되고 이의 외주면에 최소내경으로 형성된, 즉 내광외협(內廣外陜)의 깔대기 형상을 갖추고 분배관에 고르게 분산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이러한 깔대기 형상의 에어 홀은 연속의 법칙(law of continuity)에 따라 유체의 유속을 가변시켜 내부에서 외부(지중)로 압축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주면에 최소내경을 배치하고 있어 흙, 유수(빗물) 등의 내부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열시스템의 분배관의 내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에어 홀(61)을 갖춘 분배관(6) 내부에 발열부(1)를 배선하게 된다. 분배관은 에어 콤프레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에어 홀(61)을 통해 그린의 지중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골프장, 구체적으로 그린의 지중에 매설배치되어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저수 탱크에서 공급될 물을 발열부(1)와 분배관(6) 사이의 이격 틈새로 유동하고 에어 홀(61)을 통해 외부, 즉 그린의 지중으로 급수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골프장의 그린에만 국한되어 채용되지 않고 다른 지면에도 용이하게 매설가능하다. 선택가능하기로, 분배관(6)은 발열부(1)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파장을 외부로 방출가능하도록 투명한 테프론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투명한 분배관은 내부에 배치될 발열부(1), 발열부(1)의 일 단부에 결선되는 리드선(3), 그리고 발열부(1)와 리드선(3)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결속부(5;도 1 참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춰 이들의 배선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발열부(1)는 전류의 인가에 의해 발열하는 열선 다발(11)을 발열체로 하여 권취 테이프(12), 제1 피복층(13), 제2 피복층(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열선 다발(11)은 한 가닥 이상의 탄소섬유 열선(11a)과 한 가닥 이상의 극세선으로 이루어진 합금 열선(11b)으로 구성된 다중 열선일 수 있으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발열소재이다. 합금 열선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낮은 전원 하에서도 고온의 열을 짧은 시간 내에 유도할 수 있고 나노 단위로 얇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탄소섬유 열선은 전자파를 발생하지 않고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그 이상 온도로 증가하지 않는 항온특성으로 인해 안정된 발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얇은 두께의 합금 열선(11b)과 탄소섬유 열선(11a)을 합사하여 탄소섬유 열선만을 채용한 경우보다 최대 발열온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가열(heating)과 냉각(cooling)의 반복작업 하에서도 합금 열선의 내구성과 장력으로 발열부를 보완하여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열선 다발(11)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한 가닥 이상의 탄소섬유 열선(11a)과 한 가닥 이상의 합금 열선(11b)으로 조합된 다중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리드선(3)을 통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열선 다발(11)은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둘레를 권취 테이프(12)로 나선형으로 감아 탄소섬유 열선(11a)과 합금 열선(11b)을 상호 밀착되도록 합사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테이프(12)는 열선 다발(11)을 흐트러지지 않게 구속시키는 동시에 열선 다발(11)의 단부와 리드선(3)의 단부 사이의 접촉부에 존재하는 접촉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리드선(극선)은 열선 다발의 단부에 접촉되는데, 이는 전류의 유선(流線)을 단부에만 집중되어 접촉 저항이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전류손실을 유발시키는 한편 예상치 못한 국부 과열과 발화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열선 다발(11)과 권취 테이프(12) 간에 접촉 면적을 늘려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권취 테이프와 열선 다발을 이동하는 전류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소비전력을 낮춰 절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권취 테이프(12)는 구리 섬유와 함께 아라미드 섬유 또는 내열성 섬유를 위빙(weave)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도성의 권취 테이프는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 기재층의 내주면에 구리 섬유층으로 적층배열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권취 테이프(12)는 구리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 및 내열성 섬유를 위빙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권취 테이프(12)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리(copper) 섬유와 아라미드(aramid)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구리의 특성과 아라미드 섬유의 특성을 동시에 제공하여 각 조성물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구리는 각각의 열선(11a,11b)의 단부와 리드선(3)의 단부 사이의 접촉부에 존재하는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열선 다발(11)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열전달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아라미드 섬유는 내열성을 제공하는 한편 고온 하에서도 저수축, 고강도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권취 테이프는 아라미드 섬유로 인해 연성(延性)과 취성(脆性)을 갖는 구리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열선 다발(11)의 외주면 둘레에서 권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서, 권취 테이프는 권취 특성상 굴곡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열시스템은 발열부(1)의 방수효과, 절연효과 등을 제공하기 위해 2중의 피복층(13,14)으로 코팅처리될 수 있다. 제1 피복층(13)은 발열부의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권취 테이프(12) 외측에 피복되는 한편, 제2 피복층(14)은 발열부(1)의 최외층을 피복한다.
제1 피복층(13)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고 내열성, 절연 안정성,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제1 피복층(13)은 투명한 테프론 재질로 도포될 수 있다. 발열부(1)는 예컨대 열선 다발(11)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파장을 유지하기 위해 투명한 테프론 재질로 압출되거나 코팅처리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피복층(13)은 내열성과 방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실리콘 재질로 코팅될 수 있으며, 실리콘 재질의 제2 피복층은 외부충격의 완충 역할 뿐만 아니라 발열부에 굴곡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시스템은 발열부(1)의 권취 테이프(12)와 리드선(3)의 동선(31)을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발열부(1)의 단부 둘레를 둘러싼 제1 및 제2 피복층(13,14)을 탈피하고 노출된 권취 테이프(12) 외주면 둘레에 땜납층(4)을 배치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권취 테이프(12)와 동선(31) 사이에 땜납층(4)을 개재하는데, 동선(31)을 발열부(1)의 권취 테이프(12)에 확실하게 수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동시에 이들 간에 전류 도체층을 배치하여 접촉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발열부(1)의 단부와 리드선(3)의 단부의 결선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단면도로, 결속부는 도 1과 달리 분배관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결속부(5)를 통해 발열부(1)의 단부와 리드선(3)의 단부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바, 발열부(1)과 리드선(3)의 결선 부위에 신뢰할 수 있는 수밀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결선강도를 제공하여 단선되지 않게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접촉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로 상호 결선을 돕는다.
리드선(3)은 전원인 전원공급부(2)로부터 길이연장되어 발열부(1)의 발열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부(1)에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리드선(3)은 일반적인 전선일 수 있으며, 도전성이 우수한 동선(31)의 외주면 둘레를 피복층(34)으로 둘러싸고 있다.
발열부(1)는 이의 단부를 감싸고 있는 제2 피복층(14)과 제1 피복층(13)을 제거하여 열선 다발(11;11a,11b)을 감싸고 있는 권취 테이프(12)를 노출시키고, 리드선(3) 또한 동선(31)의 단부를 감싸고 있는 피복층(34)을 제거하여 동선(31)을 노출시킨다. 노출된 권취 테이프(12)는 도 4에 도해된 땜납층(4)으로 둘러싸인다. 노출된 동선(31)은 권취 테이프(12) 상에 배치된 땜납층(4)과 접촉되게 배치하고, 중첩배치된 동선(31)과, 땜납층(4), 권취 테이프(12), 및 열선 다발(11) 둘레를 알루미늄층(51)으로 고정지지한다. 알루미늄층(51)은 진공압착방식을 통해 소정의 형태로 변형되어 동선(31)과 땜납층(4) 및 권취 테이프(12)에 압력을 가하면서 고정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알루미늄층(51)은 동선(31)과 땜납층(4) 간에 도전성을 제공하는 한편 구리에 비해 인장강도가 높아 결선 부위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결속부(5)는 알루미늄층(51)으로 둘러싸여 고정된 리드선의 노출된 동선(31)과 발열부의 노출된 권취 테이프(12) 및 땜납층(4)의 결선 부위를 발열부(1)의 제1 피복층(13)과 동일한 투명한 테프론 코팅층(52)을 압출하거나 코팅처리하여, 발열부(1)과 리드선(3)의 결선을 마감처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열선을 이용한 발열시스템은 도 6a 내지 도 6g에 도시된 발열부와 리드선의 결선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를 통해 전반적인 제작 방법을 기술하도록 한다.
도 6a는 발열부(1)과 리드선(3)을 준비하는 단계(S100)를 도시한 것이다. 발열부(1)는 전류의 인가에 의해 발열작동하는 탄소섬유 열선(11a)와 합금 열선(11b)으로 구성된 열선 다발(11)을 포함하는데, 열선 다발(11)과, 열선 다발(1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열선 다발(11)을 고정하는 전도성의 권취 테이프(12), 권취 테이프(12)의 외주면에 도포된 테프론 재질의 제1 피복층(13), 및 제1 피복층(13)의 외주면에 도포된 실리콘 재질의 제2 피복층(14)으로 이루어진다. 권취 테이프(12)는 구리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선 다발(11)은 탄소섬유 열선(11a)을 상반부에 그리고 합금 열선(11b)을 하반부에 배열하여 도해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리드선(3)은 발열부(1) 내에 구비된 열선 다발(11)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전원공급부(2;도 1 참조)에서 길이연장된 구성부재로, 도전성이 우수한 동선(31)과 이 동선(31)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피복층(34)으로 이루어진다(도 4 참조).
도 6b는 발열부(1)과 리드선(3)을 탈피하는 단계(S200)를 도시한다.
탈피 단계(S200)는 발열부(1)의 단부와 리드선(3)의 단부를 전기연통가능하게 결선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발열부(1) 내의 권취 테이프(12)와 리드선(3)의 동선(31)을 서로 접촉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우선적으로, 발열부(1)는 리드선(3)과 마주보는 단부 둘레에 피복되어 있는 제2 및 제1 피복층(14,13)을 탈피시켜 열선 다발(11)을 권취하고 있는 전도성의 권취 테이프(12)를 적당한 길이로 노출시킨다.
그런 다음에, 작업자는 리드선(3)의 피복층(34)을 탈피하여 권취 테이프(12)에 배치될 동선(31)을 적당한 길이로 노출시킨다.
도 6c는 발열부(1)의 단부에 땜납층(4)의 배치 상태를 도해한 도면이다. 다시 말하자면, 탈피 단계(S200)에서 노출된 발열부(1)의 권취 테이프(12)는 이의 외주면 둘레에 땜납층(4)을 위치시킨다. 땜납층(4)은 발열부(1)의 권취 테이프(12)와 리드선(3)의 동선(31)을 전기연통가능한 전류 도체층일 뿐만 아니라 권취 테이프(12)와 동선(31)의 위치고정을 돕는 고정부재일 수 있다.
땜납층(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노출된 권취 테이프(12) 외주면 상에 강제로 끼워넣어질 수 있고, 이에 국한되지 않고 크림 땜납(solder paste)을 노출된 권취 테이프(12) 외주면 상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발열부(1)와 리드선(3)을 결선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열부(1)와 리드선(3)을 일직선 상에 정렬할 수 있다.
도 6d는 발열부(1)의 권취 테이프(12)와 리드선(3)의 동선(31)을 중첩되게 배치하는 단계(S400)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S400)에서, 동선(31)은 발열부(1)의 단부에 배치된 땜납층(4)의 외주면 상에 접촉되게 배치하여 발열부(1)과 리드선(3)을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돕는데, 동선(31)을 땜납층(4)의 외주면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권선하여 후속 공정 중에 땜납층(4)으로부터 동선(31)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동선(31)으로 권선시, 땜납층(4)과 권취 테이프(12)를 죄여 열선 다발(11)을 더욱 확실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다.
도 6e는 결선 부위에 알루미늄층(51)을 위치고정하는 단계(S500)를 도해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발열부(1)의 단부에 배치된, 다시 말하자면 노출된 권취 테이프(12) 둘레에 배치된 땜납층(4) 상에 동선(31)을 접촉시킨 결선 부위 둘레에 알루미늄층(51)을 배치한다. 알루미늄층(51)은 결선 부위 뿐만 아니라 발열부(1)의 제2 피복층(14) 일부와 리드선(3)의 피복층(34) 일부를 덮어씌울 수 있게 길이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작업자는 알루미늄층(51)으로 둘러싸여 있는 결선 부위를 지그(미도시)에 위치시킨 다음에 알루미늄층(51)을 압착하여, 열선 다발(11)과, 권취 테이프(12), 땜납층(4) 및 동선(31)은 알루미늄층(51)에 의해 고정지지될 수 있다. 땜납층(4)으로 둘러싸인 발열부(1)의 단자와 리드선(3)의 단자는 알루미늄층(52)을 압착하는 단계(S500)에 의해 열압착되면서 땜납층(4)을 용융시켜 땜납층(4)에 가고정된 동선(31)을 본접합하여 리드선과 발열부 간에 양호한 결속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알루미늄층(51)을 진공압착방식으로 압착하여 결선 부위와 알루미늄층(51) 사이에 습기 및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알루미늄층(51)과 결선 부위 사이에 유격공간을 없애 더욱 확실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f는 알루미늄층(51)으로 덮여진 결선 부위를 테프론 코팅층(52)으로 밀봉하는 단계(S600)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 배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테프론 코팅층을 부분절개하여 도해하고 있다.
테프론 코팅층(52)은 도시되었듯이 발열부(1)의 단부와 리드선(3)의 단부까지 덮을 수 있도록 결선 부위에 도포된다. 테프론 코팅층(52)은 투명한 테프론 재질로 마감처리되어 결선 부위를 외부와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테프론 코팅층(52)은 유연성을 갖춰 결선 부위에 굴곡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g는 결선된 발열부(1)과 리드선(3)의 외주면 둘레를 둘러싸는 분배관(6)을 도해하고 있다. 단계(S700)는 단계(S600)에서 일직선으로 결선된 발열부(1)과 리드선(3)을 속이 비어 있는 가늘고 긴 분배관(6) 내부로 삽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분배관(6)은 내열성, 내수성, 절연성, 및 유연성을 가진 투명한 테프론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분배관(6)은 발열부(1)과 리드선(3) 및 결속부(5)를 외부 환경과의 접촉을 차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열시스템을 다양한 환경조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본 발명은 분배관(6) 내부에 전술된 발열부(1)과 리드선(3) 및 결속부(5)를 수용하고 있어 수밀성을 극대화시켜 골프장, 그린의 지중에 매설시 외부 유체(물, 농약 등)의 침투와 접촉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분배관(6)은 다수의 에어 홀(61)을 통해 압축공기 및/또는 수분을 외부로 방출하여 주변의 지중 상태와 잔디 상태를 퍼팅에 적합하게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을 수단으로 하여 다양한 환경 하에서도 양호한 그린의 퍼팅 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동절기 하에서는 발열부(1)와 에어 콤프레서부(7)를 동시에 구동하여 지중에 미리 설정된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에어 콤프레서부(7)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발열부(1)로 가열하여 분배관(6)의 에어 홀을 통해 외부, 다시 말하자면 그린의 지중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한다(도 1 참조). 본 발명은 온풍을 그린의 지중으로 제공하여 그린의 결빙, 잔디 또는 수목의 동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하절기 하에서는 에어 콤프레서부(7)만을 구동시켜 지중에 신선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기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그린의 지중으로 제공하여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지열과 태양열 등에 위한 열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장마철과 같이 습윤상태의 그린에 신선한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지중에서 물기를 신속하게 배출 혹은 건조시켜 피팅의 최적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가뭄시, 본 발명은 저수 탱크(8)로부터 분배관(6)을 통해 그린의 지중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에어 콤프레서부(7) 및/또는 발열부(1)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발열부,
11 ----- 열선 다발,
11a ----- 탄소섬유 열선,
11b ----- 합금 열선,
12 ----- 권취 테이프,
13, 14 ----- 피복층,
2 ----- 전원공급부,
3 ----- 리드선,
31 ----- 동선,
34 ----- 피복층,
4 ----- 땜납층,
5 ----- 결속부,
51 ----- 알루미늄층,
52 ----- 테프론 코팅층,
6 ----- 분배관,
61 ----- 에어 홀,
7 ----- 에어 콤프레서부.

Claims (16)

  1. 전류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 다발(11)을 구비하고 수밀되게 절연 피복된 발열부(1)와;
    상기 발열부(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
    도전성이 우수한 동선(31)과 상기 동선(31)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피복층(34)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2)에서 인출된 리드선(3);
    상기 발열부(1)와 상기 리드선(3) 사이에 개재되는 땜납층(4);
    상기 발열부(1)와 상기 리드선(3) 및 땜납층(4)의 결선(結線) 부위를 둘러싸는 알루미늄층(51)과, 상기 알루미늄층(51)과 상기 발열부(1)의 일부 및 상기 리드선(3)의 일부를 밀봉하는 테프론 코팅층(52)을 구비하여, 상기 발열부(1)와 상기 리드선(3)을 전기연통가능하게 결선하는 결속부(5);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중공부에 상기 발열부(1)를 배치하고, 골프장 그린의 지중에 매설되게 배치된 분배관(6); 및
    상기 분배관(6)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서부(7);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열선 다발(11)은 탄소섬유 열선(11a)과 합금 열선(11b)으로 구성된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1)는,
    상기 열선 다발(11)과;
    구리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 또는 내열성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열선 다발(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아 권취되는 전도성의 권취 테이프(12);
    상기 열선 다발(11)을 속박하는 상기 권취 테이프(12) 외주면에 도포된 제1 피복층(13); 및
    상기 제1 피복층(13)의 외주면에 배치된 제2 피복층(14);을 구비하는 발열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복층(13)은 테프론 재질로 상기 권취 테이프 외주면 둘레를 도포하고,
    상기 제2 피복층(14)은 실리콘 재질로 코팅되는 발열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6)은 다수의 에어 홀(61)을 구비하는 발열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 홀(61)은 깔대기 형상으로 천공되어 있는 발열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땜납층(4)은 상기 발열부(1)의 단부 둘레에서 상기 제2 피복층(14)과 상기 제1 피복층(13)을 탈피하여 노출된 상기 권취 테이프(12) 상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 테이프(12)와 상기 동선(31)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6)과 유체연통가능하게 배치된 저수 탱크(8)를 추가로 구비하는 발열 시스템.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6)의 외주면 둘레에는 음이온이 방사될 수 있는 맥반석 모래 또는 유사 모래로 구성된 투수층이 구비된 발열시스템.
  9. 발열부(1)과 전원공급원에서 인출된 리드선(3)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발열부(1)과 상기 리드선(3)을 탈피하는 단계(S200);
    상기 발열부(1)의 노출된 권취 테이프(12) 상에 땜납층(4)을 배치하는 단계(S300);
    상기 발열부(1)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땜납층(4)과 상기 리드선(3)의 노출된 동선(31)을 중첩되게 배치하는 단계(S400);
    상기 발열부(1)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땜납층(4)과 상기 리드선(3)의 동선(31)을 연결하는 결선 부위에 알루미늄층(51)을 위치고정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알루미늄층(51)으로 덮여진 결선 부위와 상기 발열부(1)의 일부 및 상기 리드선(3)의 일부를 테프론 코팅층(52)으로 밀봉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제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1)는,
    탄소섬유 열선(11a)과 합금 열선(11b)으로 구성된 열선 다발(11)과;
    상기 열선 다발(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아 권취되는 전도성의 권취 테이프(12);
    상기 열선 다발(11)을 속박하는 상기 권취 테이프(12) 외주면에 도포된 제1 피복층(13); 및
    상기 제1 피복층(13)의 외주면에 배치된 제2 피복층(14);을 구비하는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제작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탈피 단계(S200)에서,
    상기 발열부(1)의 단부 둘레에 피복된 제2 피복층(14)과 제1 피복층(13)을 제거하여 열선 다발(11)을 속박하는 상기 권취 테이프(12)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리드선(3)의 단부 둘레에 피복된 피복층(34)을 제거하여 상기 동선(31)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제작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땜납층(4)의 배치 단계(S300)에서,
    상기 땜납층(4)은 상기 발열부의 노출된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제작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51)의 위치고정 단계(S500)에서,
    상기 알루미늄층(51)은 상기 발열부(1)과 상기 리드선(3)의 결선 부위에 진공흡착방식으로 부착되는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제작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속이 비어 있는 가늘고 긴 분배관(6) 내부에 일직선으로 결선된 상기 발열부(1)과 상기 리드선(3)을 삽통하는 단계(S700)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제작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6)은 깔대기 형상의 에어 홀(61)을 구비하는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의 제작방법.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중 열선을 이용한 발열시스템을 통해 골프장 그린의 지중으로 온풍 또는 수분을 제공할 수 있는,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
KR1020180072108A 2018-06-22 2018-06-22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 KR10216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08A KR102161493B1 (ko) 2018-06-22 2018-06-22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08A KR102161493B1 (ko) 2018-06-22 2018-06-22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56A true KR20200000156A (ko) 2020-01-02
KR102161493B1 KR102161493B1 (ko) 2020-10-20

Family

ID=6915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108A KR102161493B1 (ko) 2018-06-22 2018-06-22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4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064A (ko) * 2000-03-06 2001-09-15 이선행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잔디 경기장 지중 온도 조절시스템
KR20120083828A (ko) * 2011-01-18 2012-07-26 이성숙 전자파 차폐층을 갖는 탄소섬유 발열선
JP2013014890A (ja) * 2011-07-01 2013-01-24 Akio Yuda 融雪装置。
KR20130061882A (ko) 2011-12-02 2013-06-12 장희영 골프장 결빙 방지용 발열매트
KR20170006213A (ko) * 2015-07-07 2017-01-17 김승환 내구성이 향상된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과 전선 케이블의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 파이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064A (ko) * 2000-03-06 2001-09-15 이선행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잔디 경기장 지중 온도 조절시스템
KR20120083828A (ko) * 2011-01-18 2012-07-26 이성숙 전자파 차폐층을 갖는 탄소섬유 발열선
JP2013014890A (ja) * 2011-07-01 2013-01-24 Akio Yuda 融雪装置。
KR20130061882A (ko) 2011-12-02 2013-06-12 장희영 골프장 결빙 방지용 발열매트
KR20170006213A (ko) * 2015-07-07 2017-01-17 김승환 내구성이 향상된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과 전선 케이블의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 파이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493B1 (ko)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7931A (zh) 具有电加热元件的风能装置转子叶片
US7166804B2 (en) Terminal structure of superconducting cable and superconducting cable line therewith
KR101157187B1 (ko) 도로 융설용 케이블
KR20170006213A (ko) 내구성이 향상된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과 전선 케이블의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 파이프 장치
RU273490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области контактных участко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ых соединений
CN206237621U (zh) 一种耐高温耐腐蚀长寿命加热电缆
KR20130125346A (ko) 발열케이블
CN101562283B (zh) 用于两个超导体缆线的连接结构
KR102161493B1 (ko) 다중 열선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용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장 그린 관리 방법
JP2010539431A (ja) 発熱装置
CN101026910B (zh) 金属被覆型加热器和温度调节装置组件及其使用方法
KR102161497B1 (ko) 다중 열선을 이용한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수경재배방법
KR101081344B1 (ko) 매설형 전열장치 및 그 전열장치 제조방법
KR100824227B1 (ko) 베이킹 방법
CN106981337A (zh) 一种高效散热的承压电缆
CN209375031U (zh) 一种热熔式电缆中间连接结构
CN210722500U (zh) 一种具有余热回收功能的有机硅导热电缆
CN203840569U (zh) 一种复合发热线
KR101672921B1 (ko) 안정성이 개선된 동절기 배관 동파방지시스템
JPH11210026A (ja) 水道管の凍結防止装置
CN202269039U (zh) 一种双层绝缘发热电缆
CN217134105U (zh) 一种防电墙涉水绝缘套管
CA2578116C (fr) Dispositif de chauffage de terrains, notamment de sport
KR20160109089A (ko) 냉동유닛의 제상용 히터
WO2007065773A1 (en) Heating element particularly for obtaining an electric blan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