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91U -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91U
KR20200000091U KR2020180003049U KR20180003049U KR20200000091U KR 20200000091 U KR20200000091 U KR 20200000091U KR 2020180003049 U KR2020180003049 U KR 2020180003049U KR 20180003049 U KR20180003049 U KR 20180003049U KR 20200000091 U KR20200000091 U KR 202000000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connection
connecting member
auxiliary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166Y1 (ko
Inventor
켄지 야마우치
박상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3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16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장치 또는 보조 전원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몸체부(first body portion)와 제2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접속 부재(first connecting member)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나란하게 위치된 제2 접속 부재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at least one of both ends)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또는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 또는 보조 전원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CONNECTING DEVICE AND AUXILIARY POWER SUPPLY}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접속 장치 또는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휴대가 용이한 접속 장치 또는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액션 캠 등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이 일상화되었으며,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에는 음성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이나 동영상 재생, 인터넷 접속, 메모, 게임, 촬영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됨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고,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될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켜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을 더 확보할 수는 있으나, 이는 전자 장치의 크기나 부피를 증가시켜 휴대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는 예비 배터리를 휴대함으로써 낮은 배터리 용량을 일부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배터리 일체형 또는 내장형 전자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보조 전원 장치를 휴대할 수 있다. 별도의 보조 전원 장치라 함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내장한 보조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보조 전원 장치가 충분히 충전된 상태라면, 전원 확보가 어려운 야외에서도 손쉽게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전원 장치는 2차 전지가 내장된 본체와, 전자 장치를 본체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와 케이블을 휴대해야만, 야외나 대중 교통 등을 이용하면서도 보조 전원 장치를 통해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전원 장치를 활용함에 있어, 사용자로서는 본체와 케이블의 휴대가 번거로울 수 있다. 본체와 케이블을 파우치에 수납하여 휴대함으로써 정형화되지 않은 케이블 등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으나,휴대 품목이 늘어나 또 다른 번거로움을 유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어 휴대가 용이한 접속 장치 또는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필요에 따라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를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 장치 또는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장치 또는 보조 전원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몸체부(first body portion)와 제2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접속 부재(first connecting member)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나란하게 위치된 제2 접속 부재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at least one of both ends)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또는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장치는 한 쌍의 접속 부재(예: 수 커넥터(male connector))를 포함함으로써,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와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몸체부들 또는 연결부는 탄성체로 제작될 수 있고,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는 통상적인 충전 또는 데이터 케이블을 대체하면서도,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에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장치의 몸체부 또는 연결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여 접속 부재들 사이의 간격 또는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는, 전자 장치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와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가 전자 장치에 접속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가 전자 장치와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가 전자 장치와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가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는, 제1 몸체부(101), 제2 몸체부(102),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03) 및 복수의 접속 부재(111, 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는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03)를 통해 연결되어 서로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는 제1 방향, 예를 들면, 횡방향(X)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는 상기 횡방향(X)에 수직하는 두께 방향(Z)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3)는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at least one of both ends)을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상기 연결부(103)가 제공되어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 구성이 예시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장치(100)는, 상기 제1 몸체부(101), 상기 제2 몸체부(102) 및 상기 연결부(들)(10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슬릿(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몸체부(101), 상기 제2 몸체부(102) 및 상기 연결부(103)가 폐곡선을 이루어 상기 슬릿(131)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131)은 상기 횡방향(X)을 따라 연장된 장공(enlongated hole) 형상이면서, 상기 횡방향(X)에 수직하는 종방향(Y)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 사이에서 상기 접속 장치(10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부재(111, 121)는, 상기 제1 몸체부(101)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접속 부재(first connecting member)(111)와 상기 제2 몸체부(102)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접속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는 각각 상기 제1 몸체부(101) 또는 상기 제2 몸체부(102)의 표면에서 상기 종방향(Y)을 따라 돌출된 수 커넥터(male connec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속 부재(121)는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나란하게,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는 각각 대칭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는 USB-C 타입 규격을 만족하는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장치(100)는 상기 제1 몸체부(101)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103)들 중 하나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몸체부(102)의 내부로 연장된 배선(wiring), 예를 들면,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 부재(121)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4)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 중 하나는 제1 전자 장치에, 다른 하나는 제2 전자 장치 또는 보조 전원 장치에 각각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또는 보조 전원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또는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장치(100)는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접속 장치(1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부(101), 상기 제2 몸체부(102) 또는 상기 연결부(10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상기 접속 장치(100)의 각 부분을 구분하여 명칭을 부여한 것임에 유의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부(101), 상기 제2 몸체부(102) 또는 상기 연결부(103)는 탄성체,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우레탄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01), 상기 제2 몸체부(102) 또는 상기 연결부(103)는 실질적으로 상기 접속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외부 표면은 평면, 곡면 또는 경사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할 보조 전원 장치(예: 도 5 내지 도 8의 보조 전원 장치(200)의 본체(201)) 등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접속 장치(100)의 외형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장치(100)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 몸체부(101), 상기 제2 몸체부(102) 또는 상기 연결부(103)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 사이의 간격이 조절(E)될 수 있다. 예컨대,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슬릿(131)의 크기나 형상이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131)의 크기나 형상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 사이의 간격이 조절(E)될 수 있다.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상기 제1 몸체부(101) 또는 상기 제1 접속 부재(111)는 상기 제1 몸체부(101)이 탄성 변형되었을 때의 위치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선행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선행 실시예와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200)가 전자 장치(202)에 접속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200)가 전자 장치(202)와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통해 보조 전원 장치(200)가 전자 장치(202)와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가 보조 전원 장치(200)의 본체(201)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 장치(100)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200)는 상기 접속 장치(100)를 통해 전자 장치(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202)의 작동 전력 또는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장치(100)는 상기 전자 장치(202)와 다른 전자 장치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2)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221)를 포함하는 이통통신 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으로서, 인터페이스 커넥터(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23)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접속 부재(111) 또는 상기 제2 접속 부재(121)에 상응하는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로서, 충전 케이블 또는 데이터 케이블을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202)는 상기 접속 장치(100)를 통해 상기 보조 전원 장치(200)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접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원 장치(200)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내장한 본체(201)와 상기 접속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1)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접속 부재(111) 또는 상기 제2 접속 부재(121)에 상응하는 복수(예: 한 쌍)의 접속 홀(예: 제3 접속 부재(2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접속 부재(211)는 암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속 부재(211)들은 각각 서로 나란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는 상기 제3 접속 부재(211) 중 하나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속 장치(100)가 상기 본체(201)에 장착(도 8 참조)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 장치(100)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201)의 표면과 함께 동일한 평면, 경사면 또는 곡면을 이루게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파우치나 정형화되지 않은 케이블 등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상기 접속 장치(100)를 상기 본체(201)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보조 전원 장치(200)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접속 장치(10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2)에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2)는 상기 본체(201)와 마주보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 장치(100)를 통해 상기 본체(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23)가 상기 제3 접속 부재(211)와 인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 중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23)에, 다른 하나는 상기 제3 접속 부재(211) 중 하나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201)는 상기 접속 장치(10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202)에 연결되어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2)의 두께나 상기 전자 장치(202)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23)가 형성된 위치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23)와 상기 제3 접속 부재(211)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202)가 상기 본체(201)와 마주보는 상태로 밀착하더라도, 상기 전자 장치(202)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23)와 상기 제3 접속 부재(211)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 사이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장치(100), 예를 들어, 상기 제1 몸체부(101), 상기 제2 몸체부(102) 또는 상기 연결부(들)(103)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의 위치(또는 간격)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23)와 상기 제3 접속 부재(211)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전원 장치(200)는, 상기 제3 접속 부재(211)와 2차 전지(215) 사이에 배치된 제어 회로(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213)는, 예를 들면, 과충전 방지회로, 방전(예: 충전 전력 공급)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접속 부재(121)가 각각 상기 제3 접속 부재(211) 중 하나에 접속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접속 장치(100)를 상기 본체(201)에 결합하여 휴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회로(213)는 상기 2차 전지(215)의 충전 또는 방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의 변형 예(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 장치(1000)는 제1 몸체부(101)의 일단에 제공된 제1 결합 부재(1041)와 제2 몸체부(102)의 일단에 제공된 제2 결합 부재(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041)와 상기 제2 결합 부재(1042)는 각각, 영구 자석(1043)(또는 자성체)이나 스냅 핏(snap-fit)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결합 부재(1041)와 상기 제2 결합 부재(1042)는 서로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attachably/detachably)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부(101)의 타단과 상기 제2 몸체부(102)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003)는 주름 구조(10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름 구조(1031)는 상기 연결부(1003)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 부재(1041)와 상기 제2 결합 부재(1042)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의 일단에서는 도 3의 연결부(103)와 유사한 연결 구조(1004)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의 일단은 상기 연결 구조(1004)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1003)에 의해 연결되어 폐곡선 형상이 완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 부재(1041)와 상기 제2 결합 부재(1042)는 사용자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041)가 상기 제2 결합 부재(104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몸체부(101)와 상기 제2 몸체부(102)는 상기 연결부(1003)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동(P)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몸체부(101)는 상기 제2 몸체부(102)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로 회동(P)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몸체부(102)와 대면하는 위치로부터 180도 각도 위치 또는 그 이상의 각도 위치까지 회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부(101)가 상기 제2 몸체부(102)에 대하여 회동할 때, 상기 주름 구조(1031)는 수축 또는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름 구조(1031)는 상기 제2 몸체부(102)에 대하여 상기 제1 몸체부(101)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는 환경(또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 부재(1041)와 상기 제2 결합 부재(1042)가 상기 연결 구조(1004)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 장치(1000)는 전자 장치와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를 서로 마주보게 밀착한 상태로 접속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결합 부재(1041)와 상기 제2 결합 부재(1042)가 상기 연결 구조(1004)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 장치(1000)는 실질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접속 장치(100)와 동일하게 전자 장치와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부(101)가 상기 제2 몸체부(102)와 180도 각도를 이루게 배치된 상태라면, 전자 장치(예: 도 5의 전자 장치(202))와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예: 도 5의 본체(201))는 서로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 장치(10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0)는, 전자 장치와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밀착한 위치 또는 서로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위치에서 보조 전원 장치의 본체를 전자 장치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장치(예: 도 1 또는 도 11의 접속 장치(100, 10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몸체부(first body portion)와 제2 몸체부(예: 도 1의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접속 부재(first connecting member)(예: 도 1의 제1 접속 부재(111))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나란하게 위치된 제2 접속 부재(예: 도 1의 제2 접속 부재(121))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at least one of both ends)을 연결하는 연결부(예: 도 1 또는 도 11의 연결부(103, 100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또는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로 연장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예: 도 3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통해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한 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한 면에서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나란하게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연결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는 폐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는,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및 상기 연결부들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슬릿(예: 도 1의 슬릿(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한 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한 면에서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나란하게 돌출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접속 부재 또는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돌출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enlongated hol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에 제공된 제1 결합 부재(예: 도 11의 제1 결합 부재(1041));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단에 제공된 제2 결합 부재(예: 도 11의 제2 결합 부재(10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제2 결합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attachably/detachably)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을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에 연결하며, 내측면에 형성된 주름 구조(예: 도 11의 주름 구조(10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제2 결합 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원 장치는, 일면에 한 쌍의 접속 홀(예: 도 5의 제3 접속 부재(211))이 형성된 본체(예: 도 5의 본체(201))와, 상술한 접속 장치(예: 도 5의 접속 장치(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상기 접속 홀들 중 하나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 장치가 상기 본체와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예: 도 9의 2차 전자(215))를 내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보조 전원 장치는 제어 회로(예: 도 9의 제어 회로(2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상기 접속 홀들 중 하나에 각각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2차 전지의 충전 또는 방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접속 장치 101: 제1 몸체부
102: 제2 몸체부 103: 연결부
111: 제1 접속 부재 121: 제2 접속 부재
131: 슬릿 200: 보조 전원 장치
201: 본체 211: 접속홀

Claims (12)

  1.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몸체부(first body portion)와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접속 부재(first connecting member);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나란하게 위치된 제2 접속 부재;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at least one of both ends)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또는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접속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로 연장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통해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한 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한 면에서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나란하게 돌출된 접속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연결함으로써 폐곡선 형상을 가진 접속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 및 상기 연결부들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슬릿을 더 포함하는 접속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한 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한 면에서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나란하게 돌출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접속 부재 또는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돌출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enlongated hole) 형상을 가진 접속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에 제공된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단에 제공된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제2 결합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attachably/detachably) 제공된 접속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을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에 연결하며, 내측면에 형성된 주름 구조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상기 제2 결합 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하는(pivoting) 접속 장치.
  10. 보조 전원 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한 쌍의 접속 홀이 형성된 본체; 및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상기 접속 홀들 중 하나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 장치가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보조 전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내장한 보조 전원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부재와 상기 제2 접속 부재가 상기 접속 홀들 중 하나에 각각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2차 전지의 충전 또는 방전을 차단하는 보조 전원 장치.
KR2020180003049U 2018-07-03 2018-07-03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KR200497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49U KR200497166Y1 (ko) 2018-07-03 2018-07-03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49U KR200497166Y1 (ko) 2018-07-03 2018-07-03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91U true KR20200000091U (ko) 2020-01-13
KR200497166Y1 KR200497166Y1 (ko) 2023-08-18

Family

ID=6915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049U KR200497166Y1 (ko) 2018-07-03 2018-07-03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6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729A (ko) * 2014-03-31 2015-10-08 이건일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KR101592113B1 (ko) * 2014-08-14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60197445A1 (en) * 2015-01-02 2016-07-07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Building set for organizing electronic items, or accessories
KR200481073Y1 (ko) * 2015-10-30 2016-08-09 김계숙 밀착형 보조 배터리
KR20170116953A (ko) * 2017-03-31 2017-10-20 김재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729A (ko) * 2014-03-31 2015-10-08 이건일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KR101592113B1 (ko) * 2014-08-14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60197445A1 (en) * 2015-01-02 2016-07-07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Building set for organizing electronic items, or accessories
KR200481073Y1 (ko) * 2015-10-30 2016-08-09 김계숙 밀착형 보조 배터리
KR20170116953A (ko) * 2017-03-31 2017-10-20 김재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166Y1 (ko)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7468B2 (en) Portable computer and portable docking station arrangement
US9502817B2 (en) Connec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743999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external access port
US20170264991A1 (en) Headphone or earphone assembly having a pivotable usb charging connector integrated into a housing thereof
US20070042821A1 (en) Wrist watch-type headset assembly
US20020187806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inimizing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value of electromagnetic waves
US8142230B2 (en) Earphon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6926554B2 (en) Portable device connection apparatus and system
US9160826B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9502915B2 (en) Charg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and terminal
US20170346321A1 (en) Disposable Charg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WO2017000833A1 (zh) 一种移动终端
US20070058351A1 (en) Multifunction modular electronic apparatus
JP4972697B2 (ja) 電子装置
KR20200000091U (ko)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KR101397859B1 (ko) 공간 활용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결합 구조
US8877368B2 (en) Thin battery
US9793641B1 (en) Plug receptacle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US20200366109A1 (en) Portable power bank
US20090113103A1 (en) Cascade type charge assembly
US10732671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N110417948B (zh) 一种移动终端
US10950984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low-impedance ground connection
KR20170001537U (ko) 카드형 보조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