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73Y1 - 밀착형 보조 배터리 - Google Patents

밀착형 보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73Y1
KR200481073Y1 KR2020150007061U KR20150007061U KR200481073Y1 KR 200481073 Y1 KR200481073 Y1 KR 200481073Y1 KR 2020150007061 U KR2020150007061 U KR 2020150007061U KR 20150007061 U KR20150007061 U KR 20150007061U KR 200481073 Y1 KR200481073 Y1 KR 200481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harging
battery
battery cell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숙
Original Assignee
김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숙 filed Critical 김계숙
Priority to KR2020150007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의 몸체가 스마트폰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화나 조작을 위한 파지에 큰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충전 중에도 휴대가 편리한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 스마트폰(10)를 충전시키는 보조 배터리(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밀착형 보조 배터리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셀(22); 상기 배터리 셀(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무선충전 송신모듈에서 발생된 제 1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셀(22)의 충전을 유도하는 무선충전 수신모듈(26); 상기 배터리 셀(22) 및 상기 무선충전 수신모듈(26)이 장착된 몸체(20); U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일측 종단(32a)은 상기 몸체(20)의 하단에 연결된 연결부(30); 및 상기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셀(22)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스마트폰(10)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1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40);을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10)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40)이 상기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몸체(20)의 전면은 상기 스마트폰(10)의 후면에 접하여 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밀착형 보조 배터리{CONTACT TYPE SUPPLEMENTARY BATTERY}
본 고안은 밀착형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배터리의 몸체가 스마트폰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화나 조작을 위한 파지에 큰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충전 중에도 휴대가 편리한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는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잡아 다양한 방면에서 생활에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전자기기로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더불어 모바일 단말기의 주변기기나 악세서리 상품에 대한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제한된 전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의 특성상 보조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큰 용량과 신속한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배터리 기술의 개발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모바일 단말기의 보조 배터리를 나타낸다. 종래 많이 사용되어 온 보조 배터리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바일 단말기와 보조 배터리를 전원 공급선으로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길게 늘어진 전원 공급선이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으며, 보조 배터리 자체에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도 1b와 같은 전원 공급선이 없는 형태의 보조 배터리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도 1b의 보조 배터리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시 걸리적거리게 되어 사용에 불편을 준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이 높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보통 종래에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완충시킨 후, 사용의 편의를 위해 보조 배터리를 분리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가 완전히 충전이 된 상태라도 계속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대기 전력소모 외에는 지장이 없으므로 보조 배터리를 떼어내지 않고 항시 연결하게 되면 사용이 더욱 편리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편리하게 충전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보조 배터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118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52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조 배터리의 몸체가 스마트폰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화나 조작을 위한 파지에 큰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충전 중에도 휴대가 편리한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계에 큰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잘못 건드려 파손되거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적은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절곡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두께에 관계없이 범용적인 적용이 가능한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를 상시 연결하여 스마트폰에 계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보조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스마트폰 내부 배터리의 성능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충전 배선이 별도로 필요 없으며 충전이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 스마트폰(10)를 충전시키는 보조 배터리(100)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밀착형 보조 배터리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셀(22); 상기 배터리 셀(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무선충전 송신모듈에서 발생된 제 1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셀(22)의 충전을 유도하는 무선충전 수신모듈(26); 상기 배터리 셀(22) 및 상기 무선충전 수신모듈(26)이 장착된 몸체(20); U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일측 종단(32a)은 상기 몸체(20)의 하단에 연결된 연결부(30); 및 상기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셀(22)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스마트폰(10)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1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40);을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10)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40)이 상기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몸체(20)의 전면은 상기 스마트폰(10)의 후면에 접하여 밀착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20) 및 상기 연결부(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20)의 상부와 상기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 사이를 잇는 보강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4)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몸체(20)의 전면이 상기 스마트폰(10)의 후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1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연결부(30) 부분의 상기 보강부재(24)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연결부(30)의 절곡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의 일측 종단(32a)은 상기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전면 및 후면의 크기는 상기 스마트폰(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10)의 충전 중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전면에 부착되어 충전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22)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스마트폰(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전달 차단 패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차단 패드(50)는 상기 몸체(20)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다.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의 몸체가 스마트폰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화나 조작을 위한 파지에 큰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충전 중에도 휴대가 편리한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계에 큰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잘못 건드려 파손되거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적은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절곡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두께에 관계없이 범용적인 적용이 가능한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를 상시 연결하여 스마트폰에 계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보조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스마트폰 내부 배터리의 성능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충전 배선이 별도로 필요 없으며 충전이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모바일 단말기의 보조 배터리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b의 A-A'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밀착형 보조 배터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고안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제안하고자 하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밀착형 보조 배터리(100)는 몸체(20), 연결부(30), 커넥터 모듈(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구성은 상호 의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구성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별도로 또는 통합하여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몸체(20)는 본 고안의 밀착형 보조 배터리(100)의 본체를 이루며,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넓적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몸체(2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몸체(20)의 전면 부분은 스마트폰(10)의 후면에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몸체(20)의 전면은 평평하게 구성된다.
몸체(20)의 크기는 스마트폰(1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가 스마트폰(10)보다 크게 된다면 보조 배터리(100)가 스마트폰(10)에 장착되는 경우 몸체(20)가 스마트폰(10)의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을 줄 수 있다.
몸체(20)의 전면에는 열전달 차단 패드(50)가 설치된다. 열전달 차단 패드(50)는 배터리 셀(22)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스마트폰(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20) 내부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b의 A-A'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밀착형 보조 배터리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20)의 내부에는 전력이 저장되는 배터리 셀(22)과 배터리 셀(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 수신모듈(26) 등이 장착된다.
무선충전 수신모듈(26)은 배터리 셀(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유도방식으로 배터리 셀(22)을 충전한다. 무선충전 수신모듈(26)은 외부의 무선충전 송신모듈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나 전기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배터리 셀(22)의 충전을 유도한다.
몸체(20)와 연결부(30)의 내부에는 보강부재(24)가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24)는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20)의 상부와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을 잇는다.
보강부재(24)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연결부(30)는 몸체(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30)는 U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30)의 일측 종단(32a)은 타측 종단(32b)보다 높게 형된다. 연결부(30)의 일측 종단(32a)은 몸체(20)의 하단에 연결되고,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에는 커넥터 모듈(40)이 고정 설치된다.
커넥터 모듈(40)은 스마트폰(1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40)이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되는 경우, 배터리 셀(22)에 저장된 전력이 스마트폰(10)의 내부 배터리에 공급되면서 스마트폰(10)이 충전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밀착형 보조 배터리를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PC,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에 설치된 커넥터 모듈(40)이 스마트폰(10)의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됨으로써 스마트폰(10)이 충전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40)이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되는 경우, 몸체(20)의 전면은 스마트폰(10)의 후면에 접하여 밀착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밀착형 보조 배터리(100)는 스마트폰(10)에 연결되어 상시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나, 밀착형 보조 배터리(100)에서 발생되는 열은 스마트폰(10)의 내부 배터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내부 배터리의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20)의 전면에 열전달 차단 패드(50)를 부착하며, 열전달 차단 패드(50)는 스마트폰(10)과 몸체(2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열전달 차단 패드(50)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1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스마트폰(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나아가, 열전달 차단 패드(50)는 몸체(20)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동절기와 같이 낮은 기온의 환경에서는 스마트폰(10)의 내부 배터리가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밀착형 보조 배터리(100)에서 발생되는 열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열전달 차단 패드(50)를 분리하여 밀착형 보조 배터리(1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스마트폰(1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마트폰(10)의 두께에 따라 연결부(30)의 절곡 정도를 조절할 필요가 생긴다. 충전상태에서 몸체(20)의 전면이 스마트폰(10)의 후면에 접할 수 있도록 사용자는 연결부(30) 부분의 보강부재(24)에 외력을 인가하여 연결부(30)의 절곡 정도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스마트폰
12: 디스플레이부
14: 전원입력단자
20: 몸체
22: 배터리 셀
24: 보강부재
26: 무선충전 수신모듈
30: 연결부
40: 커넥터 모듈
50: 열전달 차단 패드
100: 밀착형 보조 배터리

Claims (7)

  1.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 스마트폰(10)를 충전시키는 보조 배터리(100)에 있어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셀(22);
    상기 배터리 셀(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무선충전 송신모듈에서 발생된 제 1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셀(22)의 충전을 유도하는 무선충전 수신모듈(26);
    상기 배터리 셀(22) 및 상기 무선충전 수신모듈(26)이 장착된 몸체(20);
    U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일측 종단(32a)은 상기 몸체(20)의 하단에 연결된 연결부(30); 및
    상기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셀(22)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스마트폰(10)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1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40);을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10)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40)이 상기 전원입력단자(14)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몸체(20)의 전면은 상기 스마트폰(10)의 후면에 접하여 밀착되고,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20) 및 상기 연결부(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20)의 상부와 상기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 사이를 잇는 보강부재(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24)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몸체(20)의 전면이 상기 스마트폰(10)의 후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1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연결부(30) 부분의 상기 보강부재(24)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연결부(30)의 절곡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연결부(30)의 일측 종단(32a)은 상기 연결부(30)의 타측 종단(32b)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20)의 전면 및 후면의 크기는 상기 스마트폰(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10)의 충전 중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몸체(20)의 전면에 부착되어 충전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22)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스마트폰(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전달 차단 패드(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 차단 패드(50)는 상기 몸체(20)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보조 배터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50007061U 2015-10-30 2015-10-30 밀착형 보조 배터리 KR200481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61U KR200481073Y1 (ko) 2015-10-30 2015-10-30 밀착형 보조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61U KR200481073Y1 (ko) 2015-10-30 2015-10-30 밀착형 보조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073Y1 true KR200481073Y1 (ko) 2016-08-09

Family

ID=5671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061U KR200481073Y1 (ko) 2015-10-30 2015-10-30 밀착형 보조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91U (ko) * 2018-07-03 2020-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745A (ja) * 1989-08-30 1991-04-10 Nitto Denko Corp ウエハ保護シートの剥離方法
KR200408529Y1 (ko) 2005-11-28 2006-02-13 주식회사 뉴 테크맨 휴대단말기기용 보조 배터리
KR20120007004U (ko) * 2011-04-01 2012-10-10 주식회사 뉴지로 휴대폰 커버형 보조 배터리팩
KR20130141769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20140060157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51184B1 (ko) 2014-09-26 2015-09-08 김영조 보조배터리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용 대용량형 배터리 케이스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745A (ja) * 1989-08-30 1991-04-10 Nitto Denko Corp ウエハ保護シートの剥離方法
KR200408529Y1 (ko) 2005-11-28 2006-02-13 주식회사 뉴 테크맨 휴대단말기기용 보조 배터리
KR20120007004U (ko) * 2011-04-01 2012-10-10 주식회사 뉴지로 휴대폰 커버형 보조 배터리팩
KR20130141769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20140060157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51184B1 (ko) 2014-09-26 2015-09-08 김영조 보조배터리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용 대용량형 배터리 케이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91U (ko) * 2018-07-03 2020-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KR200497166Y1 (ko) 2018-07-03 2023-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070182363A1 (en) Portable power supply
US20090314400A1 (en)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4103513U (zh) 一种支持两种供电方式的手机备用电源
CN204967898U (zh) 一种可无线/有线双模充电的手机外壳
US20130112824A1 (en) Structure for placing electronic device
CN204697129U (zh) 无线充电手机壳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CN103840495A (zh) 一种移动设备的接触式充电装置
US20190267763A1 (en) Power interface, mobile terminal and power adapter
KR200481073Y1 (ko) 밀착형 보조 배터리
KR101945842B1 (ko)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US20150288216A1 (en) Remote wireless charging system
CN214707215U (zh) 磁吸式充电设备
KR101516321B1 (ko) 스마트폰용 전원공급장치
KR20160102678A (ko) 휴대형 다기능 충전 배터리팩
CN216390607U (zh) 一种两用无线充电器
KR200212929Y1 (ko) 벨트형 배터리
CN208571718U (zh) 无线快速充电器
CN220122637U (zh) 一种易于收纳的无线充电移动电源
CN207910207U (zh) 一种三合一数据线
CN213846293U (zh) 一种应用于电子设备充电的智能移动电源
US8035336B2 (en) Charger slipcover and handheld device
US2014018520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