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66A - 가스켓 - Google Patents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66A
KR20200000066A KR1020180071888A KR20180071888A KR20200000066A KR 20200000066 A KR20200000066 A KR 20200000066A KR 1020180071888 A KR1020180071888 A KR 1020180071888A KR 20180071888 A KR20180071888 A KR 20180071888A KR 20200000066 A KR20200000066 A KR 20200000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eal
ball valve
flange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928B1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to KR102018007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16K5/0689Packings between housing and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02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16K5/0673Composite pa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밸브용 시트링과 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볼 밸브용 시트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링부, 가이드링부의 일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 씰부 및 가이드링부의 타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 씰부를 포함하고, 제1 씰부 및 제2 씰부는 가이드링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씰부 및 제2 씰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고온 또는 극저온의 환경에서도 볼 밸브용 시트링과 플랜지 사이의 기밀을 보다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1 씰부 및 제2 씰부를 통해 다중으로 기밀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1 씰부, 가이드링부 또는 제2 씰부 중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볼 밸브용 시트링과 플랜지 사이의 기밀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켓{SEATRING FOR BALL VALVE}
본 발명은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볼 밸브용 시트링과 플랜지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유체 및 가스 등의 기체를 이송하는 배관에는 유체 및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로서 볼 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볼 밸브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우수한 밀폐 유지 기능을 구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1058호)은 오링, 흑연 또는 금속판을 사용한 가스켓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몸체에 구비되는 오링, 흑연 또는 금속판이 손상되는 경우 밀폐 기능 자체를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배관에 고온 또는 극저온의 유체가 흐르는 경우 온도에 따른 용적 변화에 따라 몸체와 볼 밸브의 볼 사이에 이격 구간이 발생하여 기밀 유지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5260호)는 하부에 홈이 형성된 시트링을 구비하고, 볼의 변형 발생시 시트링에도 동일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밀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볼 밸브의 시트링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2의 경우 시트링만 손상된 상태에서 배관에 고온 또는 극저온의 유체가 흐르게 되면 선행문헌 1과 마찬가지로 기밀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의 갑작스러운 개폐에 따른 수격 현상(해머 현상)이 생겨 배관 내부의 압력이 급상승하는 상황에서는 볼 밸브의 수명 및 안정성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이에 따라 지속적인 기밀 유지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이는 배관 내 유체 유출에 따른 배관 파손 및 공장 설비의 폭파 등의 큰 사로고 이어질 수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1058호 (2001.05.08. 등록)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5260호 (2016.02.12.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볼 밸브용 시트링과 플랜지 사이의 기밀을 다중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관 내 고온 또는 극저온의 유체가 흐르더라도 기밀 유지가 가능한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볼 밸브의 개폐에 따라 발생하는 수격현상으로부터 시트링 및 볼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볼 밸브의 볼 밸브용 시트링과 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링부, 가이드링부의 일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 씰부 및 가이드링부의 타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 씰부를 포함하고, 제1 씰부 및 제2 씰부는 가이드링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씰부, 가이드링부 및 제2 씰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고온 또는 극저온의 환경에서도 볼 밸브용 시트링과 플랜지 사이의 기밀을 보다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씰부, 가이드링부 및 제2 씰부를 통해 다중으로 기밀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1 씰부, 가이드링부 또는 제2 씰부 중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볼 밸브용 시트링과 플랜지 사이의 기밀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용 시트링과 가스켓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용 시트링 및 가스켓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에 의해 볼 밸브용 시트링과 플랜지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가스켓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밸브용 시트링(10) 및 가스켓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측’, ‘일 방향’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서 좌측 방향을 뜻하고, ‘타측’, ‘타 방향’은 도면에서의 우측 방향을 뜻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플랜지(20)의 내면’은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스켓과 접하는 면을 뜻한다. 즉, ‘플랜지(20)의 내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의 내측면 중에서 “>” 및 “<” 형상을 갖는 제1 브이링부(120) 및 제2 브이링부(220)의 상면과 “C” 및 역“C”형상을 갖는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상측을 향하는 곡면이 접하는 면을 뜻한다.
볼 밸브용 시트링(10)은 압력으로 인한 볼 밸브의 볼과 플랜지(20) 사이의 누수 및 볼 밸브에 구비된 볼의 과도한 변형을 막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볼 밸브용 시트링(10)는 볼 밸브의 볼과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일 측면 및 저면은 볼 밸브의 볼과 접하도록 구비된다(도 1 및 도 5 참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볼 밸브용 시트링(10)는 볼 밸브의 볼을 파손하지 않도록 마찰력이 작고 내부식성을 가지는 테플론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은 볼 밸브가 개폐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볼 밸브용 시트링(10)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볼 밸브용 시트링(10)는 플랜지(20)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볼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하게, 볼은 고온 또는 극저온으로 구비되는 유체가 흐름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할 수 있는데, 볼 밸브용 시트링(10)는 볼과 접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볼의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플랜지(20)에 균열이 생기는 경우 상기 이격 공간을 따라 플랜지(20)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유실될 수 있다. 또한,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플랜지(20) 및 볼 밸브의 내부로 습기 또는 불순물이 침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극저온의 환경에서 볼 밸브용 시트링(10)이 수축함에 따라,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구성이 바로 가스켓이다.
가스켓은 앞서 언급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개시되는 구성으로서,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링부(300), 가이드링부(300)의 일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몸체부(110)를 포함하는 제1 씰부(100) 및 가이드링부(300)의 타 방향에 위치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몸체부(120)를 포함하는 제2 씰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둘레 방향은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링부(300)가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방향을 뜻한다. 즉, 가이드링부(300)는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중심축을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내측에는 코일 형상의 제1 코어 스프링부 및 제2 스프링부가 각각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의 사이에 가스켓이 위치됨에 따라 이격 공간을 밀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랜지(20) 및 볼의 내부로 습기 또는 불순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플랜지(20)의 외부로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스켓의 각 구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가이드링부(300),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를 포함한다. 가이드링부(300)는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밀폐함과 동시에,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가 서로 접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가이드링부(300)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가이드링부(300)의 단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면(가이드링부(300)의 좌측면) 및 타면(가이드링부(300)의 우측면)이 호 형상으로 음각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링부(300)의 일면에는 호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는 제1 오목부, 타면에는 호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는 제2 오목부가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가이드링부(30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링부(300)가 구비됨에 따라,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 사이의 이격 공간이 과도하게 감소하여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가 형성된 가이드링부(300)가 구비됨에 따라,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가 상하방향으로 압축될 시 서로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이드링부(300)는 플랜지(20)의 내면 및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 보다 큰 면접촉을 이룸에 따라, 견고한 밀폐 상태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링부(300)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랜지(20)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유실 및 투입되는 습기에 의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며,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가이드링부(300)는 상기 특성을 모두 가지는 스테인리스강(SUS 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가이드링부(30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식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채택 가능하다. 가이드링부(300)의 재질적 특성에 따라, 가이드링부(300)는 플랜지(20)의 외부 온도가 고온 또는 극저온이거나, 플랜지(2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가 고온 또는 극저온인 경우에도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가 외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함으로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씰부(100)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씰부(20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하여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링부(300)의 재질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뿐만 아니라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씰부(100)는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씰부(100)는 가이드링부(300)의 일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몸체부(110) 및 제1 몸체부(110)의 일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일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 제1 브이링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씰부(100)는 가이드링부(300)와 마찬가지로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플랜지(20)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유실 및 투입되는 습기에 의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내열성을 가지는 테플론,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재질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씰부(100) 뿐만 아니라 후술할 제2 씰부(200)에도 적용되고,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는 제1 브이링부(120)가 가이드링부(300)의 일 방향에 배치되도록 위치를 한정한다. 이를 위해, 제1 몸체부(110)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몸체부(11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몸체부(110)는 가이드링부(300)의 일 방향에 배치되되 상면은 플랜지(20)의 내면과 접하고 하면은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몸체부(110)는 가이드링부(300)와 같이 플랜지(20)와 볼 밸브용 시트링(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제1 몸체부(110)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몸체부(1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1 씨링부(130)와 제1 브이링부(1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가압되어 변형될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후술한다.
제1 브이링부(120)는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브이링부(120)는 단면이 “>”형상을 가지도록 일방향으로 개구되고, 제1 몸체부(110)의 일단(제1 몸체부(110)의 좌측면을 뜻함)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씰부는 “
Figure pat00001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 브이링부(120)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양 끝단은 각각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1 브이링부(120)는 플랜지(20)와 볼 밸브용 시트링(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고, 선술한 가이드링부(300)와 같이 구비되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했을 때 다중으로 밀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압의 플랜지(20)의 내부에서 유체의 유실이 발생할 경우, 제1 브이링부(120)는 밀폐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브이링부(120)의 양 끝단은 유실된 유체에 의해 압력을 받는 경우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제1 브이링부(120)의 양 끝단은 유실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각각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을 향해 벌어져 보다 많은 면접촉을 이루게 되므로, 보다 견고한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된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여 제1 브이링부(120)에 작용할 경우, 제1 브이링부(120)는 상측 및 하측방향으로 더 벌어지게 된다. 즉, 유실된 유체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제1 브이링부(120)는 보다 견고한 밀폐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격 공간은 보다 기밀하게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브이링부(120)의 기능은 제2 브이링부(2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후술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 구비되는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유실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양 끝단은 각각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을 향해 벌어져 보다 많은 면접촉을 이루게 되므로, 유실된 유체의 압력이 클수록 보다 견고한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씰부(200)는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씰부(200)는 가이드링부(300)의 타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몸체부(120) 및 제2 몸체부(120)의 타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타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 제1 브이링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앞서 언급했듯이 제2 씰부(200)는 가이드링부(300)와 마찬가지로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플랜지(20)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유실 및 투입되는 습기에 의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내열성을 가지는 테플론,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재질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제2 브이링부(220)가 가이드링부(300)의 타 방향에 배치되도록 위치를 한정한다. 이를 위해, 제2 몸체부(120)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제2 브이링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면 그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2 몸체부(120)는 가이드링부(300)의 일 방향에 배치되되 상면은 플랜지(20)의 내면과 접하고 하면은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몸체부(120)는 가이드링부(300)와 같이 플랜지(20)와 볼 밸브용 시트링(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제2 몸체부(120)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몸체부(1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씨링부(230)와 타면에 형성되는 제2 브이링부(2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가압되어 변형될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후술한다.
제2 브이링부(220)는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브이링부(220)는 단면이 “<”형상을 가지도록 타방향으로 개구되고, 제2 몸체부(120)의 타단(제2 몸체부(120)의 우측면을 뜻함)에 형성된다. 즉, 제2 브이링부(220)는 가이드링부(300)를 중심으로 제1 브이링부(12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2 씰부는 “
Figure pat00002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2 브이링부(220)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양 끝단은 각각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2 브이링부(220)는 플랜지(20)와 볼 밸브용 시트링(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고, 선술한 가이드링부(300) 및 제1 브이링부(120)와 동반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했을 때 다중으로 밀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선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링부(300),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가 구비됨에 따라, 플랜지(20)와 볼 밸브용 시트링(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다중으로 밀폐할 수 있어, 플랜지(20) 내 유체가 유실되거나 플랜지(20) 외부의 습기 또는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언급한 가이드링부(300),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의 재질적 특성에 따라 고온 또는 극저온의 유체가 플랜지(20)을 따라 흐르거나, 고온 또는 극저온의 기후에서 플랜지(20)가 설치될 때 플랜지(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 밸브가 자연스럽게 개폐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술한 바와 같은 재질적 특성을 가지는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는 고온 또는 극저온의 기후에서도 각각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 접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하게, 고온 및 극저온의 기후에서는 플랜지(20) 및 볼 밸브용 시트링(10)이 팽창 및 수축함에 따라 이격 공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이 때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는 재질적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복원력을 통해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에 계속 접하게 된다. 따라서,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지속적인 기밀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볼 밸브의 개폐시 수격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는 상기 이격 공간을 밀폐하고 가이드링부(300)는 볼 밸브의 볼의 과도한 변형을 막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볼 밸브의 파손 및 유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의 형상의 변형은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비교하여, 제1 브이링부(120) 및 제2 브이링부(220)가 없는 대신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가이드링부(3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을 설명한다.
제1 씰부(100)는 가이드링부(300)의 일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몸체부(110) 및 제1 몸체부(110)의 일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타방향으로 개구된 “C”형상을 갖는 제1 씨링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씰부(100)는 플랜지(20)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유실 및 투입되는 습기에 의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내열성을 가지는 테플론,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재질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씰부(100) 뿐만 아니라 후술할 제2 씰부(200)에도 적용되고,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씨링부(130)는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씨링부(130)는 단면이 “C”형상을 가지도록 타방향으로 개구되고, 제1 몸체부(110)의 타단(제1 몸체부(110)의 우측면을 뜻함)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몸체부(110) 및 제1 씨링부(130)가 합쳐진 제1 씰부는 “
Figure pat00003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 씨링부(130)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은 각각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씨링부(130)는 플랜지(20)와 볼 밸브용 시트링(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다.
제2 씰부(200)는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씰부(200)는 가이드링부(300)의 타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몸체부(120) 및 제2 몸체부(120)의 일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일방향으로 개구된 역“C”형상을 갖는 제2 씨링부(230)를 포함한다.
제2 씨링부(230)는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씨링부(230)는 단면이 역“C”형상을 가지도록 일방향으로 개구되고, 제2 몸체부(120)의 일단(제2 몸체부(120)의 좌측면을 뜻함)에 형성된다. 즉, 제2 씨링부(230)는 가이드링부(300)를 중심으로 제1 씨링부(13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2 몸체부(120)와 제2 씨링부(230)가 합쳐진 제2 씰부는 “
Figure pat00004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2 씨링부(230)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은 각각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2 씨링부(230)는 플랜지(20)와 볼 밸브용 시트링(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고, 선술한 제1 브이링부(120)와 동반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했을 때 다중으로 밀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내측에는 제1 코어 스프링부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가 각각 구비된다(도 5 참조). 상세하게, 복원력을 가지는 제1 코어 스프링부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는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복원력을 향상시켜 밀폐기능을 극대화하고,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가 외력에 의해 상측 및 하측으로 과도하게 가압될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코어 스프링부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는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는 내부에 제1 코어 스프링부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가 없는 것과 비교했을 때, 보다 큰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온도 변화에 따른 플랜지(20)의 내면 및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의 크기가 변화할 때,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복원력을 통해 플랜지(20)의 내면 및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의 보다 견고한 면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는 외력에 의해 상측 및 하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제1 코어 스프링부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의 복원력에 의해 과도하게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파손되지 않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가 추가되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가 합쳐진 것으로서, 도 5와 같이 가이드링부(300), 제1 몸체부(110), 제1 브이링부(120), 제1 씨링부(130), 제2 몸체부(120), 제2 브이링부(220) 및 제2 씨링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링부(300),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120)는 앞서 선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가이드링부(300)이다.
제1 몸체부(110)는 가이드링부(300)의 일 방향(도 5의 좌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1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제1 브이링부(120)가 위치하며 타측에는 제1 씨링부(13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몸체부(110), 제1 브이링부(120) 및 제1 씨링부(130)가 합쳐진 제1 씰부(100)는 “
Figure pat00005
”단면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브이링부(120) 및 제2 씨링부(230)는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하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했을 때 보다 견고한 밀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링부(300)는 제1 씨링부(130)와 제2 씨링부(230)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접촉에 따른 형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씰부(100)가 외력에 의해 상측 및 하측으로 가압될 때, 제1 브이링부(120) 및 제1 씨링부(130)는 제1 몸체부(110)에 의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과도한 외력에 의해 제1 브이링부(120) 및 제1 씨링부(130)의 형태가 변하더라도 형태가 변한 제1 브이링부(120) 및 제1 씨링부(130)가 서로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브이링부(120) 및 제1 씨링부(130)의 파손을 지연 및 방지할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가이드링부(300)의 타 방향(도 5의 우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2 몸체부(120)의 타측에는 제2 브이링부(220)가 위치하며 일측에는 제2 씨링부(230)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제2 씰부(200)는 “
Figure pat00006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2 브이링부(220) 및 제2 씨링부(230)는 제1 브이링부(120) 및 제1 씨링부(130)와 마찬가지로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브이링부(120), 제1 씨링부(130), 제2 브이링부(220) 및 제2 씨링부(230)를 모두 구비하기 때문에, 이격 공간이 4중으로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격 공간을 보다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고, 제1 브이링부(120), 제1 씨링부(130), 제2 브이링부(220) 및 제2 씨링부(23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파손된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구성이 파손되지 않는다면 밀폐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내측에는 제1 코어 스프링부(140)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복원력을 가지는 제1 코어 스프링부(140)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는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복원력을 향상시켜 밀폐기능을 극대화하고,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가 외력에 의해 상측 및 하측으로 과도하게 가압될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제1 코어 스프링부(140)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는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는 온도 변화에 따른 플랜지(20)의 내면 및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의 크기가 변화할 때, 복원력을 가지는 제1 코어 스프링부(140)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에 의해 보다 큰 복원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플랜지(20)의 내면 및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급격한 온도 변화가 있어도 밀폐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는 외력에 의해 상측 및 하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제1 코어 스프링부(140)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의 복원력에 의해 과도하게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파손되지 않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2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선술한 제1 브이링부(120) 및 제2 브이링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형상의 제1 브이링부(1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형상의 제1 브이링부(120)가 구비되며, 제2 몸체부(210)의 일측에는 “>”형상의 제2 브이링부(2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형상의 제2 브이링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보다 견고하게 밀폐하기 위함이다. 즉, 2개의 제1 브이링부(120) 및 2개의 제2 브이링부(220)가 상기 플랜지(20)의 내면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상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이격 공간의 밀폐 상태를 보다 견고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플랜지(20)가 수중에 위치하여 플랜지(20)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쉽게 유입되는 것을 막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2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앞서 언급한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210)의 일측에는 역“C”형상의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가 구비되고,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210)의 타측에는 “C”형상의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플랜지(20)의 직경이 크거나 플랜지(20)의 외부의 압력이 큰 경우에 채택될 수 있다. 즉, 플랜지(20)가 큰 직경으로 구비됨에 따라, 플랜지(2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압이 높은 경우 볼 밸브의 개폐에 따라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구비되는 위치가 가변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볼 밸브용 시트링(10) 및 플랜지(20)의 이격 공간이 구비되는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하여 볼 밸브용 시트링(10) 및 볼 밸브의 볼이 본래의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5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210)의 내부에 선술한 제1 코어 스프링부(140)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가 더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제1 브이링부(120), 제2 브이링부(220)와 제1 씨링부(130), 제2 씨링부(230)의 위치가 바뀌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역”C”형상의 제1 씨링부(13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형상의 제1 브이링부(120)가 구비되며, 제2 몸체부(210)의 일측에는 “>”형상의 제2 브이링부(2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C”형상의 제2 씨링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는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다중으로 밀폐하는 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격 공간의 기밀한 밀폐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링부(300)는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볼 밸브용 시트링(10) 및 플랜지(20) 사이의 이격 공간이 과도하게 압축되어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가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 밸브와 플랜지(2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이격 공간의 밀폐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볼 밸브용 시트링 20: 플랜지
100: 제1 씰부 110: 제1 몸체부
120: 제1 브이링부 130: 제1 씨링부
140: 제1 코어 스프링부 200: 제2 씰부
210: 제2 몸체부 220: 제2 브이링부
230: 제2 씨링부 240: 제2 코어 스프링부
300: 가이드링부

Claims (5)

  1. 볼 밸브용 시트링(10)과 플랜지(20) 사이에 위치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볼 밸브용 시트링(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링부(300);
    상기 가이드링부(300)의 일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몸체부(110)를 포함하는 제1 씰부(100); 및
    상기 가이드링부(300)의 타 방향에 위치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몸체부(210)를 포함하는 제2 씰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씰부(100) 및 상기 제2 씰부(200)는 상기 가이드링부(3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부(10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일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일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 제1 브이링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씰부(200)는,
    상기 제2 몸체부(210)의 타단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제1 브이링부(12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2 브이링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부(10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타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타방향으로 개구된 “C”형상을 갖는 제1 씨링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씰부(200)는,
    상기 제2 몸체부(210)의 일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제1 씨링부(130)와 대칭되는 역“C”형상을 갖는 제2 씨링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부(100) 및 제2 씰부(200)는,
    상기 제1 씨링부(130) 및 제2 씨링부(230)의 내측에 각각 위치하는 코일 형상의 제1 코어 스프링부(140); 및 제2 코어 스프링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부(300)는,
    일면에 호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는 제1 오목부; 및
    타면에 호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KR1020180071888A 2018-06-22 2018-06-22 가스켓 KR10214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888A KR102149928B1 (ko) 2018-06-22 2018-06-22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888A KR102149928B1 (ko) 2018-06-22 2018-06-22 가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66A true KR20200000066A (ko) 2020-01-02
KR102149928B1 KR102149928B1 (ko) 2020-08-31

Family

ID=6915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888A KR102149928B1 (ko) 2018-06-22 2018-06-22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9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01A (ja) * 1997-06-27 1999-01-22 Kitz Corp 超低温用ボールバルブ
KR200231058Y1 (ko) 2001-02-05 2001-07-19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메탈 볼 밸브용 시트링
US20040178381A1 (en) * 2003-03-11 2004-09-16 Alagarsamy Sundararajan Valve with seat assembly
KR101595260B1 (ko) 2014-08-22 2016-0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볼 밸브의 시트 리테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01A (ja) * 1997-06-27 1999-01-22 Kitz Corp 超低温用ボールバルブ
KR200231058Y1 (ko) 2001-02-05 2001-07-19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메탈 볼 밸브용 시트링
US20040178381A1 (en) * 2003-03-11 2004-09-16 Alagarsamy Sundararajan Valve with seat assembly
KR101595260B1 (ko) 2014-08-22 2016-0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볼 밸브의 시트 리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928B1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5341B2 (en) Gate valve with seat assembly
US3713660A (en) Metal seal for a control valve or the like
US3787023A (en) Bellows valve
KR101353980B1 (ko) 초고순도 가스의 용기를 위한 밸브
US4363465A (en) Extreme temperature, high pressure balanced, rising stem gate valve with super preloaded, stacked, solid lubricated, metal-to-metal seal
US6260822B1 (en) Seat assembly for a gate valve
US20160281877A1 (en) Bracket used for ball valve and trunnion ball valve
US20150300509A1 (en) Floating Ball Valve
CN102575776A (zh) 蝶阀
US3631882A (en) Diaphragm valve
US9239114B2 (en) Compressable sealing ring assembly
US9194511B2 (en) Valve stem seal arrangement
KR100942264B1 (ko) 초저온 볼밸브
US20200386324A1 (en) Ball valve with cryogenic seat
WO2016155319A1 (zh) 多重保护的氯用波纹管截止阀
US3152786A (en) Bifaced gate valve having tapered seat sealing surfaces
ES2839873T3 (es) Conjunto de fuelle de vástago flexible
KR20200000066A (ko) 가스켓
US20140138082A1 (en) Thermally-sensitive triggering mechanism for selective mechanical energization of annular seal element
US10865901B2 (en) All-metal pressure relief valve
JP5061045B2 (ja) シールパッキ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ル構造
US11313479B2 (en) Non-pressure relieving ball valve
KR200395564Y1 (ko) 밸브스템용 패킹 조립체
KR102338790B1 (ko) 기밀 성능 개선을 위한 메탈실을 구비한 밸브
KR102508059B1 (ko) 글로브 밸브 씰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