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523A -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 Google Patents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523A
KR20190142523A KR1020180069527A KR20180069527A KR20190142523A KR 20190142523 A KR20190142523 A KR 20190142523A KR 1020180069527 A KR1020180069527 A KR 1020180069527A KR 20180069527 A KR20180069527 A KR 20180069527A KR 20190142523 A KR20190142523 A KR 2019014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ort
expansion
breast
tissue expa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312B1 (ko
Inventor
허찬영
김병휘
신병호
전성현
문대희
이영직
배명훈
서다은
최영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06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312B1/ko
Priority to PCT/KR2019/007269 priority patent/WO2019245241A1/ko
Publication of KR2019014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6Breast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93Material properties pharmaceutically effec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부분에 돌출부(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둘레부(20)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10 및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 및 20)는 약물포트(30) 및 확장포트(40)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20)의 말단에는 다수의 약물배출구(32)를 포함하는 약물방출채널(31)이 구비되며, 상기 약물포트(30)와 약물방출채널(31)은 약물이동채널(33)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유방 절제 수술 후 일그러진 유방 모형을 재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 투입되는 약물의 퍼짐 및 흡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약물의 효과를 빠르게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TISSUE EXPANDER FOR BREAST RECONSTRUCTION}
본 발명은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방암 등 유방 관련 질병으로 인한 치료 후의 기대수명이 길어지고 미용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유방 절제 후 유방을 재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통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방 재건 방법의 일 예로, 1차적으로 조직확장기를 삽입하여 연부조직을 보형물이 들어갈 수준으로 늘린 후, 2차적으로 상기 조직확장기를 영구적인 보형물로 바꿔주는 유방 재건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317호에는 일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외 측을 향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둘레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와 상기 돌출부의 내 측에 형성되는 삽입공간에 장착되고 실리콘 또는 물이 구비되는 보형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재건용 소형 조직 확장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체내에 조직확장기 등의 보형물을 이식할 경우 이물반응(foreign body reaction)이 발생하여 보형물 주변 피막이 과도하게 생겨 딱딱해지는 현상인 구형구축(capsular contracture)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이식 환자들에게 고통 및 염증을 발생시켜 약물을 최소 2주에서 최대 1년까지도 복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환자들은 장기간 약물 복용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및 잦은 복용 횟수와 많은 양의 약물 복용으로 인한 약물 부작용을 겪게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공개특허 제10-2011-0137244호에는 약물저장소가 구비된 조직확장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별도의 라인으로 이어져 외부로 향하는 주입구가 있어, 조직 확장기를 체내에 삽입 시, 과도한 이물감과 함께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약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약물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하는 데 발생하는 불편 사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317호(2014.08.29.) 미국 공개특허 제10-2011-01327244호(2011.06.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물포트 및 확장포트가 별도로 구비된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는 일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둘레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약물포트 및 확장액을 주입할 수 있는 확장포트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의 말단에는 하나 이상의 약물배출구를 포함하는 약물방출채널이 구비되며, 상기 약물포트와 약물방출채널은 약물이동채널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는 수술 후 일그러진 유방 모형을 재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이동채널로 연결되는 약물포트 및 다수의 약물배출구를 포함함으로써, 체내에서 약물의 퍼짐 및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이로 인해 약물의 효과를 빠르게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약물이나 확장액 등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체내 삽입 시 별도의 주입구로 인한 이물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의 전면부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의 좌측면부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의 우측면부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내에 포함되는 약물포트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00)는 일 부분에 돌출부(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둘레부(20)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10 및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 및 20)는 약물포트(30) 및 확장포트(40)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20)의 말단에는 다수의 약물배출구(32)를 포함하는 약물방출채널(31)이 구비되며, 상기 약물포트(30)와 약물방출채널(31)은 약물이동채널(33)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유방 절제 수술 후 일그러진 유방 모형을 재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 투입되는 약물의 퍼짐 및 흡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약물의 효과를 빠르게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00)는 일 부분에 돌출부(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둘레부(20)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10 및 20)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10 및 20)는 약물포트(30) 및 확장포트(40)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20)의 말단에는 다수의 약물배출구(32)를 포함하는 약물방출채널(31)이 구비되는데 이 때, 상기 약물포트(30)와 약물방출채널(31)은 약물이동채널(33)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확장포트(40)는 확장액이 주입되는 주입구(41) 및 상기 주입된 확장액을 저장하는 저장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41)는 확장액의 주입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확장액의 주입을 위한 주입도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연질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입구(41) 내부에 강질의 분리벽(43)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주입도구가 저장부(42)로 직접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자성체가 구비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주입도구는 일 예로 주사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액은 일 예로 식염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주입구(41)를 통해 주입된 확장액은 분리벽(43) 적어도 일 면에 존재하는 구멍(44)을 통과함으로써 저장부(4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42)는 상기 돌출부(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확장액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저장부(42), 더 나아가 조직 확장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형물 이식을 위한 유방 내 공간을 점진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약물포트(30)는 체내에 필요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확장포트(40)와는 별개로 구비된다.
상기 약물포트(30)는 전술한 확장포트(40)와 마찬가지로 연질의 주입구(34) 및 강질의 분리벽(35)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34)를 통해 주입된 약물은 상기 강질의 분리벽(35)의 적어도 일 면에 존재하는 구멍(36)을 통해 이동하여 약물이동채널(33)을 통해 지지체(20) 말단에 구비된 약물방출채널(31)로 이동하며, 상기 약물방출채널(31)에 포함된 다수의 약물배출구(32)를 통해 체내로 전달된다.
이 때, 주입되는 약물은 상기 조직확장기를 체내에 삽입하고 있는 당사자 즉,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제한 없이 그에 필요한 약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생제, 류코트리엔 길항제(leukotriene antagositst), 비스테로이드계열의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s), 항암제(carcinostatis substanc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자피르루카스트(zafirlukast), 프란루카스트(pranlukast), 몬테루카스트(montelukast), 자일루톤(zileuton), 젠타마이신(gentamycin), 벤코마이신(vancomycin), 페니실린(penicillin), 린코마이신(lincomycin), 플로비프로펜(flurbiprofen), 이브로프로펜(ibu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직접적으로 암세포를 사멸하는 약물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치료에 사용되는 Aminolevulinic acid, Temoporfin 등과 같은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의 광민감제, 말단이 아민이나 수산기로 개질된 siRNA, antisense oligonucleotide, ribozyme 등의 유전자 치료제나 압타머(aptamer), 항체(antibody)등의 단백질 기반의 치료제일 수 있다.
또한, 체내에 이식된 조직확장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구형구축(capsular contracture)의 치료를 위해 투입되는 약물의 일 예로, 섬유화 억제제, 증식 억제제, 항허혈 복합체, 항응고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항암제와 상기 섬유화 억제제의 기능을 동시에 하는 약물도 물론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화 억제제는 구체적으로, 피르페니돈(pirfenidone), 마이토마이신(mitomycin), 아세틸 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제니스테인(genistein), 셀레노시스테인(selenocystine) 또는 트라닐라스트(tranilast)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식 억제제는 구체적으로, 타목시펜(tamoxifen), 할로푸지논(holofuginone), 비타민 C, 아시아티코사이트(asiaticoside), 시클로스포린 A(cyclosporine),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e), 비타민 A, D-페니실라민(D-penicillamine) 또는 리포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허혈 복합체는 구체적으로, Necrox-5 또는 Necrox-7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항응고제는 구체적으로, 조직 타입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issue type plasminogen activator), 우로키나아제(urokinase, 혈전용해제), 헤파린 또는 수라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물이동채널(33)은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약물방출채널(31)에는 고정 및 지지를 위한 돌출형 봉합부(50)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포트(40) 및 약물포트(30)는 그 자체에 주입구를 포함하고 있어, 별도의 주입구가 마련될 필요가 없고, 상기 별도의 주입구로 인해 부가되는 이물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확장포트(40) 및 약물포트(30)는 각각 서로 다른 극의 자성체(60, 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확장포트(40)가 N극의 자성체를 포함한다면 함께 구비되는 약물포트(30)는 S극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확장포트(40)가 S극의 자성체를 포함한다면 함께 구비되는 약물포트(30)는 N극의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확장포트(40) 및 약물포트(30)가 각각 서로 다른 극의 자성체(60, 61)를 포함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조직 확장기가 체내에 이식되었을 때 체외에서도 자성체를 이용하여 확장포트(40) 및 약물포트(30)의 구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00)는 일 부분에 돌출부(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둘레부(20)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10 및 20)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20)의 말단에는 다수의 약물배출구(32)를 포함하는 약물방출채널(31)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10 및 20)는 약물포트(30) 및 확장포트(40)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약물포트(30)와 약물방출채널(31)은 약물이동채널(33)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유방 절제 수술 후 일그러진 유방 모형을 재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 투입되는 약물의 퍼짐 및 흡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약물의 효과를 빠르게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00: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36: 구멍(약물포트)
10: 돌출부 40: 확장포트
20: 둘레부 41: 주입구(확장포트)
30: 약물포트 42: 저장부
31: 약물방출채널 43: 분리벽(확장포트)
32: 약물배출구 44: 구멍(확장포트)
33: 약물이동채널 50: 봉합부
34: 주입구(약물포트) 35: 분리벽(약물포트)
60, 61: 각각 서로 다른 극의 자성체

Claims (5)

  1. 일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둘레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약물포트 및 확장액을 주입할 수 있는 확장포트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의 말단에는 다수의 약물배출구를 포함하는 약물방출채널이 구비되며,
    상기 약물포트와 약물방출채널은 약물이동채널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포트는 확장액이 주입되는 주입구; 및 상기 주입된 확장액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포트 및 확장포트는 각각 서로 다른 극의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방출채널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돌출형 봉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KR1020180069527A 2018-06-18 2018-06-18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KR10214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27A KR102144312B1 (ko) 2018-06-18 2018-06-18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PCT/KR2019/007269 WO2019245241A1 (ko) 2018-06-18 2019-06-17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27A KR102144312B1 (ko) 2018-06-18 2018-06-18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523A true KR20190142523A (ko) 2019-12-27
KR102144312B1 KR102144312B1 (ko) 2020-08-14

Family

ID=6898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527A KR102144312B1 (ko) 2018-06-18 2018-06-18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4312B1 (ko)
WO (1) WO2019245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3788A2 (en) 2016-02-09 2018-12-19 Establishment Labs S.A. Transponders and sensors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531956A1 (en) 2016-10-28 2019-09-04 Establishment Labs S.A. Tissue expanders,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molds thereof
JP2023523286A (ja) * 2020-04-24 2023-06-02 アラーガ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ドレーン対応組織拡張デバイ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3017A1 (en) * 2009-12-22 2011-06-23 Mcclellan William T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expansion with fluid delivery and drainage system
KR20110132724A (ko) 2010-06-03 2011-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8317B1 (ko) 2013-04-25 2014-09-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 보존 유방 부분 절제술 후 유방 재건용 소형 조직 확장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7836B2 (en) * 2009-12-08 2012-05-01 Taris Biomedical, Inc. Tissue expander configured for drug delivery
US20150025563A1 (en) * 2013-07-22 2015-01-22 Reconstructive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tissue expander
US10799313B2 (en) * 2015-03-12 2020-10-13 Mentor Worldwide Llc Tissue expander with pectoral attachment
US20170035999A1 (en) * 2015-08-04 2017-02-09 Bandula Wijay Tissue Expander with Means to Deliver Antibiotics or Medication Uniformly on its Surface Using Multiple Channels Comprising Po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3017A1 (en) * 2009-12-22 2011-06-23 Mcclellan William T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expansion with fluid delivery and drainage system
KR20110132724A (ko) 2010-06-03 2011-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8317B1 (ko) 2013-04-25 2014-09-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 보존 유방 부분 절제술 후 유방 재건용 소형 조직 확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5241A1 (ko) 2019-12-26
KR102144312B1 (ko) 2020-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312B1 (ko) 유방 재건용 조직 확장기
US8167836B2 (en) Tissue expander configured for drug delivery
JP6162047B2 (ja) 薬物送達装置
ES2602361T3 (es) Prótesis de reconstrucción mamaria
EP1441799B1 (en) Device for delivering microdoses of agent to the ear
CN106413642B (zh) 真空辅助药物递送装置
JP5296383B2 (ja) 切除腔壁の治療のための留置治療装置
ES2564567T3 (es) Un revestimiento que comprende una red interpenetrante de poli(etilenglicol)-poli(lactida-glicolida-caprolactona)
Cima et al. Single compartment drug delivery
US10406335B2 (en)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prostate
JP2019218410A (ja) 薬物送達システム及びゲムシタビンによる膀胱がんの治療方法
WO2001043826A1 (en) Asymmetric radiation do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8515170A (ja) 眼球レンズ嚢の安定化ならびに白内障手術後の人工眼内レンズインプラントの回転を防ぐ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101332311B (zh) 具有药物缓释功能的载药编织网、其制造方法及其用途
AU2004291072B2 (en) Drug eluting brachytherapy methods and apparatus
CN207822261U (zh) 一种采用高分子聚合物连接管连接的放射性粒子链
US2016028736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ocal Delivery of Drug to Upper Urinary Tract
CN204275281U (zh) 一种胆道内化疗支架
CN211410672U (zh) 一种携带放射性粒子的球囊
RU2539040C1 (ru) Фаллоэндопротез в.х.битеева
US20160263398A1 (en) Triple endorectal ballooning system for prostate cancer radiotherapy
KR101062318B1 (ko) 의료시술용 보형물
Ekonomou et al. Drug Delivery Using Cold Plasma
CN205163329U (zh) 可携带内照射粒子装置及其制造模具
CN110267703A (zh) 药物递送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