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378A - 개선된 클렌징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클렌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378A
KR20190142378A KR1020197034840A KR20197034840A KR20190142378A KR 20190142378 A KR20190142378 A KR 20190142378A KR 1020197034840 A KR1020197034840 A KR 1020197034840A KR 20197034840 A KR20197034840 A KR 20197034840A KR 20190142378 A KR20190142378 A KR 20190142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composition
composition
surfactant
weight
clea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티아나 브라체첸
호르헤 마리아 크리스티나 구에데스
자클린 모라이스
크리스티나 비숍
마르니 덱스터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4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계면활성제 및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설페이트-무함유 클렌징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클렌징 조성물은 적당히 농후하며 원하는 수준의 투명성을 갖는다. 약산성인 본 클렌징 조성물은 피부 및/또는 눈에 순하다.

Description

개선된 클렌징 조성물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및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설페이트-무함유(sulfate-free) 클렌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클렌징 조성물은 적당히 농후하며 원하는 수준의 투명성(clarity)을 갖는다. 약산성인 본 클렌징 조성물은 피부 및/또는 눈에 순하다(mild).
다수의 상이한 성분들이 클렌징 조성물의 클렌징 기능을 수행하는 데 유용하다. 계면활성제가 유용한 성분의 한 부류이다. 일부 계면활성제는 잠재적으로 자극적이며, 그 자체로는 순한 클렌징 조성물에 적합하지 않을 것이다.
순수한 또는 농축된 형태의 소정의 계면활성제의 잠재적인 자극 효과에도 불구하고,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조성물을 개질함으로써 피부 및 눈에 순하게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개질은, 예를 들어 조성물에 덜 자극적인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하거나 조성물 내의 계면활성제의 양을 희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렌징 조성물은, 특히 샴푸에서, 적절한 클렌징 효과 및 선택적으로 컨디셔닝 효과를 여전히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낮은 수준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덜 자극적인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에서 점도를 증강시키기 위해 증점제의 사용을 보통 필요로 한다. 그러나, 양이온성 컨디셔닝제가 사용되는 경우, 증점제의 사용은 투명한 외관을 유지하는 데 기술적 난제를 가져온다. 그 결과, 조성물은 혼탁해 보이거나 크림 같이(creamy) 보인다. 조성물에 설페이트 기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가 부재하는 경우에 상황이 더 힘들어지는데, 그 이유는 설페이트 무함유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전형적으로 최종 조성물을 증점시키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소비자에 의해 요구되는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설페이트-무함유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이다. 그러한 효과에는 순함(mildness), 클렌징 및/또는 컨디셔닝 성능, 높은 투명성의 외관, 적절한 점도 및 약산성 pH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클렌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하나의 양쪽성(amphoteric) 계면활성제, 및 2가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으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하나는 이세티오네이트인, 상기 계면활성제 시스템;
컨디셔닝제;
방부제 시스템; 및
증점제를 포함한다.
본 클렌징 조성물은 IL-1 a 방출의 피부 순함 점수(skin mildness score)가 약 300 pg/ml 미만이고, pH가 약 3.5 내지 약 5.5이고,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LV를 6 rpm으로 사용한 25℃에서의 점도가 약 1,000 내지 9,000 cP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계면활성제가 대체되거나 첨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SLSS 및 구매가능한 경쟁 제형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샘플인 TH1, TH2 및 TH3에 대한 거품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SLSS 및 구매가능한 경쟁 제형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샘플인 TH1, TH2 및 TH3에 대한 거품 높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클렌징 조성물"(또는 대안적으로 "클렌저")은 사용자의 피부 또는 모발로부터 더러움 및/또는 기름기를 클렌징하는 데 유용한 유동성 조성물을 지칭한다. 클렌징 조성물은 제한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피부 및/또는 모발에 도포되고, 이어서 와이프 또는 다른 도구로 세척 또는 와이핑함으로써 제거되도록 의도된다.
클렌징 조성물 또는 그 성분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설페이트-무함유"는 설페이트 기를 갖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이 "설페이트-무함유" 조성물(또는 "설페이트가 부재하는 조성물")인 경우, 생성되는 조성물에는 설페이트 기를 갖는 어떠한 성분도 결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성분들의 모든 백분율은 중량 백분율이다. 일부 태양에서, 백분율은 최종 클렌징 조성물에 대한 중량%이며, 일부 태양에서, 중량 백분율은 기재된 특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최종 클렌징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계면활성제의 블렌드(blend)인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양은,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최종 클렌징 조성물에 대한 중량 백분율로, 또는 대안적으로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대한 중량 백분율로 기재될 수 있다. 성분이 추가의 식별자 없이 특정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경우, 중량%는 최종 클렌징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자들은 순하고, 농후하고, 투명하며, 사용자의 피부 또는 모발에 적합한 클렌징 및 컨디셔닝 효과를 여전히 제공할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특히, 아기, 유아(toddler), 및 어린이를 포함하는 어린 사람의 피부 또는 모발에 사용될 수 있는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조성물은 사용 시에 약산성 pH, 예를 들어 약 3.5 내지 5.5, 또는 약 4.5 내지 5.5를 갖는 것이 요구되었다. 원하는 pH 수준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pH 조절제 또는 조정제가 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pH 조정제에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과 같은 산이 포함된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및 눈에 순하다. 순함은 낮은 또는 무시할 만한 수준의 자극으로 사용자의 피부 또는 모발에 도포되는 제품의 능력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및/또는 눈에 대한 순함은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시험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에피덤(EpiDerm)™ 피부 모델
에피덤™(미국 매사추세츠주 애쉬랜드 소재의 매트텍 코포레이션(MatTek Corporation))은 화학, 약학 및 피부 케어 제품 시험을 위한 시험관 내 모델 시스템이다.
에피덤™ 피부 키트(미국 매사추세츠주 애쉬랜드 소재의 매트텍 코포레이션)를 사용하여, 조직이 담긴 용액을 사용 시까지 2 내지 8℃에서 보관한다.
처리 전날에, 하이드로코르티손 무함유-검정 배지(HCF-AM)가 담긴 6-웰 플레이트에서 에피덤™ 조직을 배양하고, 37 ± 1℃에서 공기 중 5 ± 1% CO2의 가습된 분위기(표준 배양 조건)에서 하룻밤 평형을 이루게 하였다.
각각의 에피덤™ 조직이 독립적인 샘플로 간주된다. 조직 배양을 개시한지 16시간 이상 후에, 조직 아래로부터 배지를 제거하고, 0.9 mL의 신선하고 미리 가온된 HCF-AM을 각각의 웰에 첨가한다. 각각의 시험 물품(test article)(100 μl)을 3개의 조직 상에 도포하고, 음성 대조군(100 μl의 멸균, 탈이온 H2O)을 6-웰 플레이트 내의 다른 3개의 조직에 첨가한다. 1시간의 노출 기간의 종료 시에, 각각의 조직을 헹굼당 대략 0.5 ml의 칼슘- 및 마그네슘-무함유 둘베코(Dulbecco)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CMF-DPBS)(퀄리티 바이올로지칼(Quality Biological))로 5회 헹군다. 헹굼 후에, 0.9 ml의 신선한 HCF-AM이 담긴 새로운 6-웰 플레이트의 지정된 웰에 각각의 조직을 넣고, 노출 후(post-exposure) 인큐베이션 기간(24 시간) 동안 표준 배양 조건에서 인큐베이팅한다.
생존력 분석(Viability Assay)
조직 생존력은 생육가능한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석시네이트 탈수소효소에 의해 황색 테트라졸륨 염 3-(4,5-다이메틸티아졸-2-일)-2,5-다이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를 자주색 포르마잔 염료로 환원시키는 것에 기초한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따뜻한 MTT 첨가 배지 중 MTT의 1.0 mg/ml 용액을 사용 전 2시간 이내에 제조한다.
24시간의 노출 후 인큐베이션의 완료 시에, 조직을 그의 인큐베이션 배지로부터 꺼내고, CMF-DPBS로 헹구고, 블로팅 건조시키고, 웰당 300 μl의 MTT 용액이 담긴 미리 표지된 24-웰 플레이트로 옮긴다. 후속 사이토카인 분석을 위해 각각의 조직 아래로부터의 남아 있는 배지를 급속-냉동(-60℃ 이하)한다.
MTT 중에서 3 ± 0.1시간의 인큐베이션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준비된 에피덤™ 조직을 흡수지 상에 블로팅하고, 웰당 2.0 ml의 아이소프로판올이 담긴 24-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실온에서 진탕한다. 2시간 후에, 조직 추출물의 200 μl 분취물의 흡광도를 550 nm에서 측정한다(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 소재의 몰레큘러 디바이시즈(Molecular Devices) VMax(등록상표) 키네틱(Kinetic)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시험 물품에 노출된 조직의 생존력을 계산하고, 음성 대조군-처리된 조직의 생존력에 대한 백분율로서 표시한다. 조직 생존력 값은 각각의 실험에서 시험한 3개의 독립적인 웰로부터의 평균값으로 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의 피부 순함 점수는 80% 초과의 MTT 세포 생존력이어야 한다.
IL-1α 면역분석
IL-1α는 염증의 생성을 담당하는 인터류킨 1 패밀리의 사이토카인이다. 이것은 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뿐만 아니라 호중구, 상피 세포, 및 내피 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이것은 피부 장벽 기능의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시험관 내 모델이 개인 케어 제품의 순함 또는 자극 잠재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문헌[Bernhofera et al., IL-1α and IL-1ra secretion from epidermal equivalents and the prediction of the irritation potential of mild soap and surfactant-based consumer products, Toxicology in Vitro, 13(2);231-239, April 1999].
에피덤에 대한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알앤디 시스템즈(R&D Systems,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소재)로부터의 키트를 사용하여 IL-1α 농도를 결정한다.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수집된, 해동된 배지 샘플을 니트(neat)로 그리고 1:10 희석물로서 시험하여, 판독치를 분석의 선형 범위 내에 유지한다. 각각의 시험에 대해 보고된 IL-1α 값은, 각각의 실험에서 시험 물품당 사용되고 2벌씩 도말한 3개의 독립적인 조직으로부터의 평균값이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의 피부 순함 점수는 약 300 pg/ml 미만의 IL-1α 방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0 pg/ml 미만의 IL-1α 방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pg/ml 미만의 IL-1α 방출,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0 pg/ml 미만의 IL-1α 방출이어야 한다.
에피오큘러(EpiOcular)™ 시험
에피오큘러™는 원료 성분 및 최종 제형의 눈 안전성(ocular safety)에 대한 시험관 내 시험이다. 이는 눈과 접촉하는 물질의 순함을 평가하기 위한 비-동물 시험관 내 대안으로서 업계에서 수년간 사용되어 왔다.
에피오큘러™ 인간 세포 구축물 키트(Human Cell Construct Kit)(미국 매사추세츠주 애쉬랜드 소재의 매트텍 코포레이션)를 사용하여, 인간 세포 구축물이 담긴 용액을 사용 시까지 2 내지 8℃에서 보관한다. 투여일에, 에피오큘러™ 분석 배지를 대략 37℃로 가온한다. 0.9 mL의 분석 배지를 6-웰 플레이트의 적절한 웰에 분취한다. 6-웰 플레이트를 시험 물품 및 노출 시간을 나타내도록 표지한다. 밀봉된 패키지의 개봉 전에 아가로스 겔과 세포 배양 삽입물 사이의 기포에 대해 구축물을 검사한다. 기포가 세포 배양물 면적의 50% 초과를 덮고 있는 배양물은 사용하지 않는다. 24-웰 운반 용기를 비닐 봉지에서 꺼내고, 그의 표면을 70% 에탄올로 소독한다. 에피오큘러™ 인간 세포 구축물을 6-웰 플레이트로 무균적으로 옮긴다. 이어서, 구축물을 37 ± 1℃에서 공기 중 5 ± 1% CO2의 가습된 분위기(표준 배양 조건)에서 1시간 이상 동안 인큐베이팅한다. 이어서, 배지를 흡인하고, 0.9 mL의 신선한 분석 배지를 에피오큘러™ 인간 세포 구축물 아래의 각각의 분석 웰에 첨가한다. 처리를 개시할 때까지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에 되돌려 놓는다.
시험 물품을 멸균 탈이온수 중 3% w/v 희석물로서 시험 시스템에 투여한다(양성 및 음성 대조군, 1.0% 트리톤(Triton)(등록상표)-X-100 및 존슨즈(Johnson's)(등록상표) 베이비 샴푸(Baby Shampoo)를 각각 멸균 탈이온수 중 10% w/v 희석물로서 시험 시스템에 투여한다). 시험 물품을 미리 표지된 원뿔형 튜브 내로 칭량하여 각각의 시험 물품 희석물을 제조한다. 멸균 탈이온수를 3% w/v 또는 10% w/v 희석물이 성취될 때까지 첨가하고, 도포 전에 튜브를 와동(vortex)시킨다. 본 보고서의 나머지에서는, 각각의 시험 물품 희석물을 시험 물품으로 지칭한다.
존슨즈(등록상표) 베이비 샴푸는 하기 성분들을 갖는다:
방향제(fragrance); 폴리쿼터늄-10;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글리세린;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 물; 소듐 트라이데세스 설페이트; 테트라소듐 EDTA;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벤조산나트륨; 에틸헥실글리세린; 페녹시에탄올;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시트르산; 옐로(Yellow) 6; 옐로 10; 수산화나트륨.
에피오큘러™ 배양물을 시험 물품으로 2벌씩 특정 노출 시간(0.33 내지 16시간, 각각 4개의 시점)에 처리한다. 100 마이크로리터의 각각의 시험 물품을 각각의 에피오큘러™ 인간 세포 구축물에 도포한다. 음성 대조군(노출 시간 대조군)의 2벌의 배양물, 100 μL의 멸균 탈이온수(미국 메릴랜드주 게이더스버그 소재의 퀄리티 바이올로지칼)를 0.25시간, 4시간, 8시간 및 24시간 동안 노출시킨다. 양성 대조군의 2벌의 배양물, 100 μL의 0.3% 트리톤(등록상표)-X-100 (피셔(Fisher))을 15분 및 45분 동안 노출시킨다. 이어서, 노출된 배양물을 적절한 양의 시간 동안 표준 배양 조건에서 인큐베이팅한다. 적절한 노출 시간 후에, 에피오큘러™ 배양물을 칼슘 및 마그네슘-무함유 둘베코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Ca++Mg++ 무함유-DPBS)로 광범위하게 헹구고 세척 배지를 따라낸다. 헹굼 후, 조직을 5 mL의 분석 배지로 옮겨, 10 내지 20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하여 조직 내로 흡수된 임의의 시험 물품을 제거한다. 따뜻한 MTT 첨가 배지 중 MTT의 1.0 mg/mL 용액을 사용 전 2시간 이내에 제조한다. 3/10 mL의 MTT 용액을 미리 표지된 24-웰 플레이트의 지정된 웰에 첨가한다. 에피오큘러™ 구축물을 Ca++Mg++ 무함유 DPBS로 헹군 후에 적절한 웰로 옮긴다. 트레이를 대략 3시간 동안 표준 배양 조건에서 인큐베이팅한다. MTT 용액을 사용한 인큐베이션 기간 후, 에피오큘러™ 배양물을 흡수지 상에 블로팅하여 여분의 액체를 제거하고, 각각의 지정된 웰에 2.0 mL의 아이소프로판올이 담긴 미리 표지된 24-웰 플레이트로 옮긴다. 플레이트를 파라필름(parafilm)으로 밀봉하고, 마지막 노출 시간이 될 때까지 냉장고(2 내지 8℃)에서 보관한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2시간 이상 동안 실온에서 진탕한다. 추출 기간의 종료 시에, 세포 배양 삽입물 내의 액체를, 세포 배양 삽입물을 취한 웰 내로 따라낸다. 추출 용액을 혼합하고, 200 μL를 96-웰 플레이트의 적절한 웰로 옮긴다. 200 μL의 아이소프로판올을 블랭크(blank)로 지정된 2개의 웰에 첨가한다. 몰레큘러 디바이시즈 Vmax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웰의 550 nm에서의 흡광도(OD550)를 측정한다.
미가공 흡광도 값을 캡처한다. 블랭크 웰의 평균 OD550을 계산한다. 음성 대조군의 보정된 평균 OD550 값을, 이들의 평균 OD550 값으로부터 블랭크 웰의 평균 OD550 값을 빼서 결정한다. 개별 시험 물품 노출 시간 및 양성 대조군 노출 시간의 보정된 OD550 값을, 이들의 OD550 값으로부터 블랭크 웰의 평균 OD550 값을 빼서 결정한다. 모든 계산은 엑셀(Excel) 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대조군에 대한 %를 계산할 수 있다. 세로축 상의 대조군에 대한 % 및 가로축 상의 시험 물품 또는 양성 대조군 노출 시간으로 노출 시간 응답 곡선을 플롯한다. ET50은 시험 집단이 고정 농도 또는 특정 용량의 독소에 노출될 때 정의된 효과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노출 시간에 대해 사용된다. 각각의 플롯으로부터 ET50 값을 내삽한다. ET50을 결정하기 위하여, 하나의 노출 시간은 50% 초과의 상대 생존율을 초래하고, 하나의 노출 시간은 50% 미만의 생존율을 초래하는 2개의 연속 지점을 선택한다. 2개의 선택 지점을 사용하여 수학식 y = m(x) + b에 대한 기울기 및 y-절편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ET50을 결정하기 위해, y = 50에 대해 방정식을 푼다. 모든 노출 시점이 50% 초과의 생존율을 나타낸 경우, ET50 값은 최장 시험 물품 노출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순함은 에피덤™-ET50 시험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시험은 가능하다면 원액(neat liquid) 시험 물품(및/또는 필요에 따라 투여 용액)의 pH의 측정 및 ET50(MTT 환원을 50% 감소시키는 노출 시간)을 측정하는 확정 분석(definitive assay)으로 이루어진다. 시험 물품의 독성은 노출 시간에 대한 상대적 조직 생존력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생존력은 대조군 및 시험 물품-처리된 배양액 내에서의 MTT의 NAD(P)H-의존성 마이크로솜 효소 환원에 의해 (그리고, 더 적은 정도로, MTT의 석시네이트 탈수소효소 환원에 의해) 측정될 것이다. 데이터는 노출 시간에 대한 상대적 생존율(상대적 MTT 전환율)의 형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의 피부 순함 점수는 약 10시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시간 초과,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시간 초과여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눈에 대한 순함은 에피오큘러™-ET50 시험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 시험은 직접 MTT 환원 전위 및 가능하다면 원액 시험 물품(및/또는 필요에 따라 투여 용액)의 pH의 측정 및 단일의 확정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시험 물품의 독성은 조직 생존력을 대조군의 50%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노출 시간(ET50)에 의해 평가될 것이다. 생존력은 대조군 및 시험 물품-처리된 배양액 내에서의 MTT의 NAD(P)H-의존성 마이크로솜 효소 환원에 의해 (그리고, 더 적은 정도로, MTT의 석시네이트 탈수소효소 환원에 의해) 측정될 것이다. 데이터는 시험 물품 노출 시간에 대한 상대적 생존율(상대적 MTT 전환율)의 형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의 조성물 및 방법의 눈 순함 점수는 약 10시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시간 초과,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시간 초과여야 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순함은 전술한 IL-1α 면역분석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점도
본 조성물은 분배기로부터 분배되어 사용자의 피부 및/또는 모발 상에 도포될 때 유동성 및 유용성(usability)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 점도를 가져야 한다. 조성물의 점도는 제로-전단 점도 시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클렌징 조성물의 제로-전단 겉보기 점도(zero-shear apparent viscosity)의 결정을 응력 제어 유량계(AR-2000™, 미국 델라웨어주 뉴캐슬 소재의 티에이 인스트루먼츠 리미티트(TA Instruments Ltd.))에서 수행하였다. 정상 상태 전단 응력 스위프(sweep)를, 콘-플레이트 기하학적 형상(cone-plate geometry)을 사용하여 25.0 ± 0.1℃에서 수행하였다. 데이터 획득 및 분석을, 리올로지 어드밴티지(Rheology Advantage) 소프트웨어 v4.1.10(미국 델라웨어주 뉴캐슬 소재의 티에이 인스트루먼츠 리미티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뉴턴 유체의 제로-전단 겉보기 점도를 소정 범위의 전단 응력(0.02 내지 1.0 Pa)에 걸쳐 얻은 점도 값의 평균으로 보고한다. 유사소성(전단-박화) 유체의 경우, 제로-전단 겉보기 점도는 전단 응력 스위프 데이터를 엘리스(Ellis) 점도 모델에 피팅시킴으로써 계산하였다. 달리 언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점도는 센티푸아즈(cP) 단위로 제공된다.
일부 태양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도가 LV#2, 6 rpm으로 25℃에서 약 1,000 내지 9,000 cP일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점도는 LV#2, 6 rpm으로 25℃에서 약 2,500 내지 약 5,000 cP일 수 있다. 또 다른 태양에서, 점도는 LV#2, 3 rpm으로 25℃에서 약 1,000 내지 약 9,000 cP일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투명성'은 후술한 바와 같은 투명성 시험에 의해 결정할 때 조성물이 약 9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0.5% 초과,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5% 초과의 광 투과율을 가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투명한 조성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광 산란 시험에 의해 결정할 때, 조성물의 계수율(count rate)이 약 70 kcts/s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kcts/s 미만,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kcts/s 미만일 것임을 의미할 것이다.
투명성을 결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광원에 대비하여 광 강도를 감소시키는 반사, 굴절 및 흡수와 같은 상호작용을 최소로 하여 샘플을 가로지르는 광의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투명성이 클수록 샘플과 광 사이의 상호작용이 더 낮아진다. 따라서, 투명한 조성물의 투과율은 10 cm의 셀 경로를 갖는 유리 큐벳 및 800 nm(파장)에서 UV 분광법에 의해 측정할 때 40.000 초과이다.
대안적으로, 투명성은 하기와 같은 투명성 시험 및/또는 광 산란 시험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투명성 시험
투명성 시험 절차는, 측정할 조성물의 1 cm 셀 샘플을 제조하는 단계; 및 800 nm의 파장에서 1 cm 셀을 갖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소재의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Agilent Technologies)의 애질런트 8453 UV-가시광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그러한 샘플과 관련된 % 광 투과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희석 없이 각각의 클렌징 조성물에 대해 투명성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를 %T, 즉 1 cm 셀에서의 클렌징 조성물을 통한 %투과율로서 보고한다.
광 산란 시험
광을 산란시키는 콜로이드성 집합체에 의해 클렌저의 투명성을 결정한다. 더 투명한 클렌저는 전형적으로 단지 작은 콜로이드성 집합체만을 가질 것이다. 광 파장의 1/3 정도의 더 큰 콜로이드성 집합체는 광을 산란시키며 혼탁하거나 흐린(turbid) 용액을 생성할 것이다.
클렌저 샘플을 25.0℃에서 작동하는 제타사이저 나노(Zetasizer Nano) ZS DLS 기기(미국 매사추세츠주 사우스보로우 소재의 맬번 인스트루먼츠, 인크.(Malvern Instruments, In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기기를 맬번 디스퍼젼 테크놀로지 소프트웨어(Malvern Dispersion Technology Software)와 통합시켰다. 미여과된 샘플 용액을 3%로 희석하고 큐벳(12 mm 정사각형 폴리스티렌 큐벳, DTS0012) 내로 10 mm 표시까지 분배하고, 뚜껑을 덮었다. 위치 4.65 mm에서 4 mW He-Ne, 633 nm 레이저로 감쇠(attenuation) 7에서 측정을 행하였다. 온도를 25℃에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3회 반복 및 매회마다 11회 실행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레이저(633 nm)는 클렌징 조성물에 입사되고 콜로이드성 집합체로부터 산란되어 검출기로 다시 되돌아간다. 혼탁한 클렌징 용액은 더 많은 그리고 더 큰 콜로이드성 입자를 가질 것이며, 따라서 검출기로의 더 많은 산란 및 더 높은 계수율을 생성할 것이다.
본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발포성(foamable)일 수 있으며, 이는 조성물이 물과 접촉하여 모발 또는 피부에 도포되는 동안 거품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산성이며, 예를 들어 pH가 약 3.5 내지 약 5.5, 또는 약 4.0 내지 약 5.0이다. pH가 약 5.5 미만인 클렌저가 피부의 자연적인 산성막(acid mantle)을 지지하는 데 유익하다.
사용자의 피부 및/또는 모발의 원하는 클렌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클렌징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요구된다. 그러나, 설페이트-함유 계면활성제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설페이트-무함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더 낮은 정도의 투명성을 갖는 혼탁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에서 증점이 더 어려워서, 추가의 증점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점제의 첨가는 또한 최종 조성물에서 투명성 수준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투명성 결여는 전형적으로 그러한 조성물이 불투명한 패키지로 판매되게 한다. 그것이 소정 용도를 위해 충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태양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패키지로 패키징되고 판매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컨디셔닝제(들)를 또한 포함한다.
여전히 충분한 클렌징을 제공하는 설페이트-무함유 계면활성제 시스템에서 투명성, 점도 및 순함의 올바른 균형을 달성함에 있어서의 문제는 주목할 만하다. 한 성분의 첨가는 용액을 증점시키고 원하는 점도를 제공할 수 있지만, 투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 수준 또는 다른 성분의 감소는 투명성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클렌징 유효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계면활성제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은 다른 성분을 가용화할 수 있고 투명성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피부 및/또는 눈에 더 이상 순하지 않은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이는 생성되는 조성물과 관련된 투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 더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모든 기준을 충족시키면서 여전히 원하는 클렌징 제품을 제공하는 조성물을 알아내었다.
조성물은 폴리쿼터늄 제제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수의 증점제가 바람직하지 않게 혼탁한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점도가 바람직한 수준에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문제는 pH를 더 중성 수준(예를 들어, 약 7)으로 변경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산성인, 예를 들어 약 3.5 내지 5.5 또는 약 4.0 내지 약 5.0인 pH를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증점제 없이 바람직하게 점성인 조성물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계면활성제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그러나, 더 높은 계면활성제 양은 순함의 감소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적합한 피부 및/또는 눈 순함 수준, 약산성 pH, 전술한 바와 같은 점도 수준, 및 10 cm의 셀 경로를 갖는 유리 큐벳 및 800 nm(파장)에서 UV 분광법에 의해 측정할 때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바람직한 계면활성제 시스템, 컨디셔닝제,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설페이트-무함유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와 다른 성분들의 독특하고 놀라운 블렌드를 통해 종래 기술의 문제를 극복한다.
계면활성제 시스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하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각각의 유형의 계면활성제 중 1가지 초과, 각각의 유형의 계면활성제 중 2가지 초과, 3가지 초과의 계면활성제, 또는 4가지 초과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5가지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적합한 클렌징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다른 성분들과 조합될 때, 상기에 요구되고 설명된 특성을 충족시키는 적합한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최종 클렌징 조성물의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또는 클렌징 조성물의 약 7.5 중량% 내지 약 12.5 중량%, 또는 클렌징 조성물의 약 9 중량% 내지 약 1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약 1:2:2 내지 약 1:2:3의 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제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이세티오네이트)와 제2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타우레이트 또는 설포석시네이트)의 조합이 약 1:1 내지 약 5:1의 비로 존재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제2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보다 더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태양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들(예를 들어, 라우레이트 및 글루코사이드)의 조합이 각각 약 1:1 내지 약 1:5의 비로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글루코사이드는 라우레이트의 양의 2배보다 큰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계면활성제 블렌드 내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블렌드의 약 5 내지 30 중량%, 또는 계면활성제 블렌드의 약 15 내지 25 중량%의 합계량으로 존재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최종 조성물의 약 0.2 내지 5 중량% 또는 조성물의 약 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하나로서 타우레이트 또는 다른 설포석시네이트를 포함한다. 타우레이트 또는 설포석시네이트는 시스템 내의 총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약 10 내지 80 중량%, 또는 시스템 내의 총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약 15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타우레이트 또는 설포쿠시네이트는 최종 클렌징 조성물의 약 0.02 내지 4 중량% 또는 약 0.1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한 가지 예시적인 타우레이트는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이다. 추가적인 타우레이트에는, 예를 들어 소듐 메틸 라우로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미리스토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올레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팔미토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스테아로일 타우레이트, 소듐 메틸 미리스토일 타우레이트, 소듐 코코일 타우레이트, 및 소듐 라우로일 타우레이트가 포함된다. 적합한 설포석시네이트에는, 예를 들어, 다이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 C12-14 파레스-1 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 C12-14 파레스 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 세테아릴 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 세틸 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 코코-글루코사이드 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 코코-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 코코일 부틸 글루세스-10 설포석시네이트, 다이소듐 스테아릴 설포석시네이트 및 다이소듐 트라이데실설포석시네이트가 포함된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는 상이한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러한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이세티오네이트가 포함된다. 이세티오네이트의 존재는 하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성물에 추가적인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놀랍게도 밝혀졌다. 이세티오네이트는 시스템 내의 총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약 30 내지 95 중량%, 또는 시스템 내의 총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약 40 내지 8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세티오네이트는 최종 클렌징 조성물의 약 0.06 내지 약 4.8 중량%, 또는 약 0.4 내지 2.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한 가지 예시적인 이세티오네이트는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이다. 다른 적합한 이세티오네이트에는, 예를 들어, 소듐 수소화 코코일 메틸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메틸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미리스토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미리스토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올레오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올레일 메틸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팜 커넬로일 이세티오네이트, 및 소듐 스테아로일 메틸 이세티오네이트가 포함된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시스템 내에 적어도 하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또한 포함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총량은 계면활성제 시스템 내의 모든 계면활성제의 약 25 중량% 내지 70 중량%, 또는 계면활성제 시스템 내의 전체 계면활성제의 약 3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최종 클렌징 조성물의 약 1.2 내지 10.5 중량% 또는 약 2.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에는, 예를 들어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과 같은 베타인이 포함된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시스템 내에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또한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총량은 계면활성제 시스템 내의 모든 계면활성제의 약 20 중량% 내지 60 중량%, 또는 계면활성제 시스템 내의 전체 계면활성제의 약 35 내지 4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유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예를 들어,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와 같은 라우레이트, 및 데실 글루코사이드 또는 코코글루코사이드와 같은 글루코사이드가 포함된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서로 상이하다.
일부 태양에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는 (a) 약 10 내지 약 18,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산, 및 (b)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로부터 유도된다.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는 평균 약 10 내지 약 12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80개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는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1 몰당 평균 약 1 내지 약 3개의 지방산 잔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의 예에는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평균 약 8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라우르산의 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인,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는 크로다(Croda; 영국 이스트 요크셔 소재)로부터 상표명 "트윈(Tween) 28"로 구매가능하다. 대략 2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된 소르비톨 무수물과 소르비톨의 혼합물의 라우레이트 모노에스테르인 폴리소르베이트 20은 크로다(영국 이스트 요크셔 소재)로부터 상표명 "트윈 20"으로 구매가능하다.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사이드는 선형 알킬 글루코사이드일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클렌징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적어도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약 10 내지 60 중량%, 또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약 1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약 20 내지 95 중량%, 또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약 50 내지 8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클렌징 조성물의 약 0.1 내지 6 중량%, 또는 클렌징 조성물의 약 0.3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클렌징 조성물의 약 0.2 내지 9.5 중량%, 또는 클렌징 조성물의 약 1.2 내지 4.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라우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컨디셔닝제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조성물은 시스템이 클렌징 및 컨디셔닝 목적에 유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컨디셔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컨디셔닝제는 공지되어 있으며 클렌징 조성물에 유용성을 제공하지만, 소정 컨디셔닝제와 증점제의 조합은 바람직하지 않은 투명성 결여를 야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폴리쿼터늄 컨디셔닝제를 클렌징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에 언급된 투명성 문제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은 다른 제제, 예를 들어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및 아디페이트에 비해 폴리쿼터늄 제제가 바람직함을 알아내었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다른 컨디셔닝제는 종종 폴리쿼터늄 제제와 동일하거나 비견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 더 많은 양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적합한 폴리쿼터늄 제제에는, 예를 들어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5,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39, 및 폴리쿼터늄-53이 포함된다. 폴리쿼터늄-10이 바람직한 컨디셔닝제이지만, 다른 것도 고려된다. 일부 태양에서, 본 조성물은 단지 하나의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에서, 유일한 컨디셔닝제는 폴리쿼터늄-10일 수 있다. 폴리쿼터늄 제제는 최종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 내지 약 0.3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쿼터늄 제제(들)에 더하여, 글리세린을 컨디셔닝제 시스템 내에 포함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글리세린은 선택적인 성분이며, 약 0 중량%(글리세린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또는 최종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6 중량%, 또는 최종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크림 같은 느낌을 제공하는 컨디셔닝 시스템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들 실시 형태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및/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매끄러운(smooth)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매끄러운 컨디셔닝제는 0%(매끄러운 컨디셔닝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또는 최종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최종 조성물의 약 0.15 중량% 내지 약 0.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사용될 수 있는 컨디셔닝제 시스템 내의 다른 성분에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5,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53, 및 PEG-12 다이메티콘이 포함된다.
일부 태양에서는, 최종 클렌징 조성물에서 "고 컨디셔닝" 시스템을 갖는 것이 요구되는 반면, 다른 태양에서는 최종 클렌징 조성물에서 "저 컨디셔닝" 시스템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들은 상대적인 용어이며, 서로에 대한 컨디셔닝제(들)의 양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 예에서, 저 컨디셔닝 시스템은 최종 조성물의 약 0.15 중량%의 양의 폴리쿼터늄 화합물(예를 들어, PQ-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 조성물의 약 0.50 중량%의 양의 글리세린 또는 글리세린 대체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고 컨디셔닝 시스템은 최종 조성물의 약 0.20 중량%의 양의 폴리쿼터늄 화합물(예를 들어, PQ-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 조성물의 약 1.0 중량%의 양의 글리세린 또는 글리세린 대체물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한다면, 저 컨디셔닝 시스템 또는 고 컨디셔닝 시스템 중 어느 하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크림형 컨디셔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증점제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조성물은 분배기로부터 분배되고 사용자의 피부 및/또는 모발 상에 도포될 때 특정 점도를 제공한다. 일부 태양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도가 LV#2, 6 rpm으로 25℃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3 rpm으로 25℃에서 약 1,000 내지 9,000 cP일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점도는 LV#2, 6 rpm으로 25℃에서 약 2,500 내지 약 5,000 cP일 수 있다. 원하는 농후성(thickness)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증점제가 시도되었지만, 다수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투명성 결여 또는 다른 결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에 유용한 증점제에는, 때때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다이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150) 다이스테아레이트로 지칭되는, 스테아르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이에스테르인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다른 폴리에틸렌 글리콜에는, 예를 들어 PEG-120 메틸 글루코스 다이올레에이트, PEG-18 글리세릴 올레에이트/코코에이트, PEG-55 프로필렌 글리콜 올레에이트, PEG-200 수소화 글리세릴 팔메이트; 및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가 포함된다. 증점제는, 원하는 점도 수준을 제공하도록 그러나 전술한 투명성 및 순함 수준이 여전히 달성되어야 함을 염두에 두고 임의의 원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증점제는 최종 조성물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4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최종 조성물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pH 조정제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최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산성이다.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르산을 비롯한 산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유용한 산성 성분에는, 예를 들어 락트산, 글리콜산, 및 살리실산이 포함된다. pH 조정제는 원하는 pH 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요구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종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최종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는, 더 많은 pH 조정제가 필요할 수 있는 반면, 다른 태양에서는, 더 적은 pH 조정제가 필요할 수 있다. pH 조정제를 포함시켜 특별히 원하는 수준의 산성도를 달성하는 것이 유용하지만, pH 조정제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방부제
제품의 저장 수명(shelf life) 및 최대 수명(longevity)을 제공하기 위해 방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로서, 방부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벤조산나트륨, 벤조산, 소르브산 및 그의 염,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및 그의 염, 페녹시에탄올, 카프릴릴 글리콜, 클로르페네신,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 시스템은 임의의 원하는 양으로, 예를 들어 최종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최종 조성물의 약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성분들
본 조성물은 최종 조성물의 약 6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또는 최종 조성물의 약 7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의 물 또는 다른 수성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킬레이팅제, 예를 들어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다이소듐을 포함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조성물에 유용한 다른 킬레이팅제에는, 예를 들어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테트라소듐 및 테트라소듐 글루타메이트 다이아세테이트가 포함된다. 킬레이팅제는 최종 조성물의 약 0.001 중량% 내지 약 0.25 중량%, 또는 최종 조성물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0.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조성물은 방향제, 착색제, 및 다른 미적 성분과 같은 선택적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경우, 방향제 및 착색제는 조성물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6 중량%의 합계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착색제는 완전히 투명한 조성물을 달성하는 데 덜 바람직할 수 있지만, 최종 조성물이 상기에 정의된 투명성의 정의를 충족시킨다면 포함될 수 있다.
불투명화제
본 발명의 일부 태양에서, 전술한 조성물은 중간 조성물일 수 있으며, 그에 추가의 불투명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불투명화제의 첨가는 조성물에 우유 같은 및/또는 크림 같은 외관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불투명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조성물이 바람직하게는 농후성 및 투명성을 비롯한 전술한 속성을 가져야만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불투명화제/진주광택제는 글리콜 다이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다이스테아레이트,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테아르산 및 그의 염 및 알칸올아미드 고급 지방산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
본 출원에 기재된 클렌징 조성물은, 예를 들어 펌프-스타일 패키지, 압착 병 또는 튜브 등을 포함하는 원하는 임의의 유형의 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다. 구매 시에 사용자에게 조성물의 투명성이 보일 수 있도록 패키지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사용 방법
제품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피부 또는 모발에 도포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제품은 손으로 직접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장치, 예를 들어 워시클로스(washcloth), 스펀지 또는 다른 장치가 제품을 도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도움이 되도록 젖은 모발 또는 피부에 도포된다. 조성물을 원하는 수준의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약 5초 내지 약 5분 동안 도포 영역 상에 놓아 둔 다음, 물로 세척하여 도포 영역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순함, 투명성, 농후성 및 산성도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키면서, 설페이트-무함유, 계면활성제 기반 클렌징 조성물이 달성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조성물에 소정 성분을 첨가하는 것이 한 기준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다른 기준에는 그렇지 못 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상당한 수의 시험을 진행하였다. 투명성과 농후성의 조합을 달성하는 것이 특히 어려웠으며, 따라서 전술한 투명성 및 농후성 기준을 충족시키는 클렌징 조성물을 갖는 것이 특히 요구된다.
초기 계면활성제 블렌드
개발된 제1 조성물은, 각각이 설페이트-무함유인, 베타인(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우레이트(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글루코사이드(데실 글루코사이드), 및 타우레이트(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들의 블렌드를 포함하였다. 방부제로서 벤조산나트륨을 최종 조성물의 0.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타우레이트는 조성물의 2.16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였고, 베타인은 조성물의 1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였고, 라우레이트는 조성물의 4.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였고, 글루코사이드는 조성물의 4.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였다. 계면활성제 블렌드 외에, 조성물은 또한 약 1%의 양의 글리세린, pH 4.0 내지 5.0이 되게 하는 적당량의 시트르산, 및 100%가 되게 하는 적당량의 물을 포함하였다.
모발 클렌징 및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뿐만 아니라 컨디셔닝제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성물의 0.2 중량%의 양의) 컨디셔닝제 폴리쿼터늄 10을 첨가하였다. 그러나, 생성된 시스템은 투명하지만, 너무 묽은 것으로 나타났다(조성물 C1). 더 투명한 조성물을 제공하면서 또한 조성물을 증점시키고자 시도하기 위해, 베르사틱스(versathix)(PEG-15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및) PPG-2 하이드록시에틸 코크아미드), 카보폴(Carbopol) EDT 2020(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카보폴 아쿠아(Aqua) SF2(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4), 글루코메이트(glucomate) DOE-120(PEG-120 메틸 글루코스 다이올레에이트), 및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몇몇 증점제를 시험하였고, 이들 중 어느 것도 투명하고 점성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증점제를 최종 조성물의 1 중량% 내지 3 중량%의 다양한 양으로 시험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생성된 조성물(C2 내지 C7)은 점성이거나 약간 점성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다수가 혼탁함 또는 백색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었다. 증점제로서의 1 중량%의 양의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는 약간 혼탁하지만 적절하게 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한 증점제들을 고려하면,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가 컨디셔닝제와 함께 5.0 미만의 pH의 투명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가장 유망한 증점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투명하지 않은 채로 유지되었으며, 본 출원인은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개질하고자 하였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증가
본 출원인은 더 높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준을 갖도록 조성물 내의 계면활성제 블렌드를 개질하여 컨디셔닝제를 가용화시키기 원하였지만, 전술한 시험 기준 하에서 조성물이 여전히 순한 것으로 여겨지도록, 총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농도를 안전하고 바람직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상기에서 확인된 4가지 계면활성제를 시험 조성물에 여전히 포함시켰지만, 계면활성제들의 상대적인 비를 변경하였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20:40:40; 15:45:40; 20:50:30; 20:30:50의 상이한 중량비로 시험하였다. 각각의 시험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부의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와 1부의 데실 글루코사이드의 블렌드였다. 각각의 시험된 조성물에서, 방부제 및 컨디셔닝제는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하기 표 2를 참고하라.
[표 2]
Figure pct00002
비교예(C9 및 C10)는 투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20:40:40 및 20:30:50의 비(중량 기준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C8 및 C11은 약간의 투명성을 나타내지만 충분한 점도가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전히 점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더 높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함량(20:40:40)을 갖는 조성물 C8은 더 쉽게 증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우레이트의 대체 또는 조합
본 발명자들은, 설페이트-무함유 계면활성제가 조성물을 증점시키는 것이 악명 높게 어렵다고 알려져 있음을 이해하면서, 원래의 계면활성제 블렌드에서 타우레이트에 더하여 그리고 그를 대체하여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시험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 기재되었으나 타우레이트를 (a) 이세티오니에이트 단독, (b) 설포석시네이트 단독, (c) 타우레이트와 이세티오네이트의 1:1 중량비 블렌드 및 (d) 타우레이트와 설포석시네이트의 1:1 중량비 블렌드로 대체한 조성물을 시험하였다. 블렌딩된 조성물 (c) 및 (d)의 경우, 증점제를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지만, 블렌딩된 조성물 (a) 및 (b)에서는 증점제를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시험된 조성물에서, 방부제 및 컨디셔닝제는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하기 표 3을 참고하라.
[표 3]
Figure pct00003
비교예 C12 내지 비교예 C15는 이세티오네이트 및 설포석시네이트의 대체 또는 그와의 조합이 C8과 비교할 때 더 우수한 농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타우레이트는 유일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였지만, 타우레이트 및 이세티오네이트의 사용은 더욱 투명하고 점성인 조성물의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조성물은 여전히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원하는 속성의 적절한 조합이 결여되었다.
글루코사이드 및 라우레이트의 비율의 변경
본 발명자들은 또한 조성물의 투명성을 개선하면서 조성물을 증점시키기 위한 상이한 개질을 고려하였는데, 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데실 글루코사이드와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사이의 비율을 변경시키는 것이었다. 시험된 시스템은 9%의 활성 물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오직 타우레이트(SCMT)만을 함유하는 20:40:40 음이온성:양쪽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블렌드의 균형에 기초하였다. 각각의 시험된 조성물에서, 방부제 및 컨디셔닝제는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하기 표 4를 참고하라.
[표 4]
Figure pct00004
비교예 C8, 비교예 C16 내지 비교예 C19에 대해 표 4에 기재된 결과에 기초하면, 데실 글루코사이드는 제형 점도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는 투명성에 더 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라우레이트 함량을 갖는 조성물(C16)은 더 우수한 투명성 그러나 불량한 점도를 나타내었고, 더 높은 글루코사이드 함량을 갖는 조성물(C19)은 충분한 점도를 나타내었지만 투명성이 결여되었다. 조성물 C18은 투명성과 점도 사이의 양호한 균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우레이트 조합 및 글루코사이드/라우레이트 비율
글루코사이드/라우레이트 비율을 변경하였을 때 나타난 결과(표 4)와 함께, 타우레이트를 대체하여 수행된 시험에서 나타난 실험 결과(표 3)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글루코사이드/라우레이트 비율에 더하여 타우레이트 대체를 사용하여 초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개질하였다. 각각의 시험된 조성물에서, 방부제 및 컨디셔닝제는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표 5를 참고하라.
[표 5]
Figure pct00005
비교예 C18에서 영감을 얻은 글루코사이드/라우레이트 비율 변경에 더하여, 비교예 C14로부터의 타우레이트와 이세티오네이트의 조합은, 본 발명의 실시예 I1 및 실시예 I2를 포함하는, 적합하게 점성이고 투명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3에 기재된 시험에 기초하면, 타우레이트와 설포쿠시네이트(다이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또는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이 적합하게 투명하고 점성인 조성물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결정되었다. 그러나, 이세티오네이트의 포함은 전술한 순함 특성 및 클렌징 효율을 여전히 달성하면서 투명하고 점성인 조성물을 달성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사용된 데실 글루코사이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 I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코코글루코사이드로 대체될 수 있으며,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는 다이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I4) 또는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I5)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와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와 다이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또는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와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의 계면활성제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세티오네이트와 타우레이트 또는 제2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서 비율이 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I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점성이고 투명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들 사이의 최적의 균형에 관하여, 시스템 내의 총 계면활성제 양은 본 발명의 실시예 I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하는 투명성 및 점도를 유지하면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사용된 증점제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 I8에 기재된 바와 같이 PEG-200 수소화 글리세릴 팔메이트;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로 대체될 수 있고, 점성이고 투명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표 6]
Figure pct00006
발포 속성
표준 절차에 의해 거품 형성을 유도하고 광 후방 산란 기술을 사용하여 그의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거품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거품 형성을 위한 표준 절차는, 부피 측정으로, 1 mL의 0.5% 시험 용액을 분광광도계 튜브로 옮기고 150 사이클/분으로 설정된 플랫폼 혼합기로 2분 동안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0.5% m/v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장비: 터비스캔(Turbiscan)™ 클래식 MA 2000 안정성 분석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샘플인 TH1, TH2, TH3을 SLES(양성 대조군으로서 12.5% w/v로 사용되는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및 구매가능한 경쟁 샴푸 제형과 비교하였다.
TH1, TH2 및 TH3은 하기 성분들을 갖는다:
Figure pct00007
구매가능한 경쟁 샴푸 제형은 하기 성분들을 갖는다: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소듐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33, 소듐 라우릴 이세티오네이트, 라우르산, 수산화나트륨,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소듐 탤로우에이트, 소듐 아이소티오네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소듐 코코에이트, 소듐 팜 커넬레이트; 글리세린, 스테아르산, 폴리쿼터늄-10, 다이메티코놀, 카프릴릴 글리콜; 페녹시에탄올, 물, 향료(parfum), 테트라소듐 EDTA, 및 에티드론산.
결과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 1은 SLES 및 구매가능한 경쟁 샴푸 제형(C.A.)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샘플인 TH1, TH2 및 TH3에 대한 거품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SLES(도 2에서 SLSS) 및 구매가능한 경쟁 제형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샘플인 TH1, TH2 및 TH3에 대한 거품 높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거품 밀도는 소비자 인식과 관련이 있는데, 즉 밀도가 높을수록 크림 같다는 인식이 더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설페이트를 함유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거품 밀도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양호한 거품 안정성을 가짐을 보여주는데, 즉 거품이 유지되는 시간이 길수록 더 안정하다.
거품 높이는 발포 능력과 관련되는데, 즉 높이가 높을수록 시스템의 발포 능력이 더 높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설페이트를 함유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거품 높이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실험 결과의 요약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발포 능력, 투명성, 점도 및/또는 피부 및/또는 눈에 대한 순함을 포함하는 원하는 속성을 제공하는 조성물을 달성하기 위해 상당한 실험적 노력을 기울였다. 본 발명자들은, 원래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원하는 속성을 충족시키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계면활성제들의 블렌드에서 시작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함께 작용하여 바람직한 조성물을 형성하는 성분들의 허용가능한 블렌드를 알아내었다.

Claims (17)

  1. 클렌징 조성물로서,
    a.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하나의 양쪽성(amphoteric) 계면활성제, 및 2가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하나는 이세티오네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계면활성제 시스템;
    b. 컨디셔닝제;
    c. 방부제 시스템; 및
    d. 증점제를 포함하며;
    상기 클렌징 조성물에는 설페이트 계면활성제가 부재하고, 상기 클렌징 조성물은 IL-1α 방출의 피부 순함 점수(skin mildness score)가 약 300 pg/ml 미만이고, pH가 약 3.5 내지 약 5.5이고, 점도가 25℃에서 약 1,000 내지 9,000 cP인, 클렌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조성물은 투명성 점수(clarity score)가 40,000 초과인, 클렌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베타인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타우레이트와 이세티오네이트의 조합 또는 이세티오네이트와 설포쿠시네이트의 조합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레이트는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인, 클렌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세티오네이트는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인, 클렌징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레이트 및 글루코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레이트는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사이드는 데실 글루코사이드 또는 코코글루코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제는 폴리쿼터늄 성분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 시스템은 벤조산나트륨 또는 벤조산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 PEG-200 수소화 글리세릴 팔미테이트 또는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조성물은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정제는 산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조성물은 pH가 약 3.5 내지 약 5.5인, 클렌징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조성물은 점도가 25℃에서 약 1,000 내지 9,000 cP인, 클렌징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상기 클렌징 조성물의 약 3 내지 5 중량%의 양의 베타인; 상기 클렌징 조성물의 약 0.5 내지 2 중량%의 양의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상기 클렌징 조성물의 약 1 내지 5 중량%의 양의 글루코사이드; 상기 클렌징 조성물의 약 0.1 내지 5 중량%의 양의 타우레이트; 및 상기 클렌징 조성물의 약 0.1 내지 5 중량%의 양의 이세티오네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KR1020197034840A 2017-05-04 2018-05-04 개선된 클렌징 조성물 KR20190142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1213P 2017-05-04 2017-05-04
US62/501,213 2017-05-04
PCT/US2018/031041 WO2018204752A1 (en) 2017-05-04 2018-05-04 Improved cleansing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378A true KR20190142378A (ko) 2019-12-26

Family

ID=6255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840A KR20190142378A (ko) 2017-05-04 2018-05-04 개선된 클렌징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80318195A1 (ko)
EP (1) EP3618800A1 (ko)
KR (1) KR20190142378A (ko)
CN (1) CN110582266A (ko)
AU (1) AU2018261164B2 (ko)
BR (1) BR112019023059B1 (ko)
CA (1) CA3060378A1 (ko)
MX (1) MX2019013070A (ko)
WO (1) WO2018204752A1 (ko)
ZA (1) ZA2019080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3804B1 (en) * 2017-05-04 2019-08-20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 of using cleansing composition that improves touch between caregiver and child
DE102017216244B4 (de) * 2017-09-14 2022-08-11 Henkel Ag & Co. Kgaa Mildes Gesichtsreinigungsprodukt basierend auf einer Mizellentechnologie
EP3598966A1 (en) * 2018-07-26 2020-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WO2020233972A1 (en) 2019-05-21 2020-11-26 Unilever Plc Lamellar liquid cleansers comprising acyl isethionate and methyl acyl taurate surfactant mixtures
WO2021076860A1 (en) * 2019-10-18 2021-04-22 Ethox Chemicals, Llc Sulfate-free surfactant system
BR112022008424A2 (pt) * 2019-10-30 2022-07-1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Limpador sólido espumável sem sulfato
US11975090B2 (en) 2019-10-30 2024-05-0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Sulfate-free, foam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an isethionate/betaine surfactant system
FR3115208B1 (fr) * 2020-10-19 2022-11-04 Chanel Parfums Beaute Composition cosmétique transparente, sans sulfates à haute teneur en parfum
CA3195392A1 (en) * 2020-11-13 2022-05-19 Bivash Ranjan Dasgupta Wash composition
CN112957289A (zh) * 2021-02-05 2021-06-15 克利黛尔生物科技(杭州)有限公司 不含增稠剂的洁面霜配方、生产工艺及其产品
CN113456509A (zh) * 2021-06-23 2021-10-01 广州雅纯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沐浴露及其制备方法
CN116035933B (zh) * 2023-01-18 2024-03-29 张家港格瑞特化学有限公司 一种个人清洁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0122A (en) * 1967-05-12 1971-06-29 Colgate Palmolive Co Shampoo composition
US6329353B1 (en) * 1999-05-12 2001-12-11 Goldschmidt Chemical Corporation Clear personal care formulations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other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DE102006034533A1 (de) * 2006-07-24 2008-01-31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en zur Restrukturierung von Haaren mit besonderen Harnstoffderivaten
EP2532343A1 (en) * 2011-06-10 2012-12-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Hair cleansing composition
US9724283B2 (en) * 2011-12-01 2017-08-08 L'oreal Hair cleansing composition
CN106232098A (zh) * 2013-12-11 2016-12-14 赫尔克里士公司 不含硫酸盐的个人护理清洁组合物
US10039939B2 (en) * 2014-10-01 2018-08-07 L'oreal Sulfate-free cleansing composition with thickener
WO2016147196A1 (en) * 2015-03-16 2016-09-22 Galaxy Surfactants Ltd. Concentrated and self-preserving compositions of mild surfactants for transparent and skin-ph personal care formulations
CN104825344A (zh) * 2015-04-22 2015-08-12 上海彤颜实业有限公司 一种专用于眼线膏的无油卸妆液
WO2017140799A1 (en) * 2016-02-16 2017-08-24 Rhodia Operations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uch compositions
WO2017140802A1 (en) * 2016-02-16 2017-08-24 Rhodia Operations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uch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4752A1 (en) 2018-11-08
CA3060378A1 (en) 2018-11-08
AU2018261164A1 (en) 2019-10-31
MX2019013070A (es) 2019-12-11
CN110582266A (zh) 2019-12-17
BR112019023059A2 (pt) 2020-06-09
BR112019023059A8 (pt) 2022-07-26
BR112019023059B1 (pt) 2023-02-23
ZA201908023B (en) 2022-03-30
US20180318195A1 (en) 2018-11-08
AU2018261164B2 (en) 2023-10-05
EP3618800A1 (en) 2020-03-11
RU2019138461A (ru) 2021-06-04
RU2019138461A3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61164B2 (en) Improved cleansing compositions
CN111631974B (zh) 皂氨型洁面产品及其制备方法
RU2619209C2 (ru) Составы с полиглицериловыми неионными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ыми веществами (пав)
AlQuadeib et al. Pharmaceutical evaluation of different shampoo brands in local Saudi market
RU2725999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цвиттерионные алкилалканоиламиды и/или алкилалканоаты
ES2609610T3 (es) Limpiador para el aseo personal con sistemas tensioactivos suaves que comprenden compuestos de alcanoílo definidos y un producto tensioactivo de isetionato de acilo graso definido y un agente beneficioso para la piel o el cabello opcional
US6533873B1 (en) Suspending clear cleansing formulation
CN110693747B (zh) 一种表面活性剂组合物、包含其的女士香氛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20130141654A (ko) 세정제 조성물
CN105853271A (zh) 含荼薇花提取物的个人清洁组合物
JP2015107927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AU2010359047B2 (en) Foaming cleanser
RU2771809C2 (ru) Улучшенные очищающие композиции
JPWO2011043226A1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6179184B2 (ja) 毛髪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83405A (zh) 具有二氧化硅颗粒感官指示剂的皮肤清洁制剂
RU2760187C1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RU2254119C1 (ru) Пена-крем для ванн
KR100921174B1 (ko) 분지형 설포아세테이트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액상 인체세정제 조성물
JP2006188435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US20200337963A1 (en) No rinse hand cleansing composition
JPH03281700A (ja)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CN117956966A (zh) 并入天然有益剂例如亚麻籽油的固体个人护理组合物和用于其的方法
CN113712840A (zh) 温和的清洁组合物
JP2021095404A (ja) 透明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