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593A - 레버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593A
KR20190141593A KR1020190068720A KR20190068720A KR20190141593A KR 20190141593 A KR20190141593 A KR 20190141593A KR 1020190068720 A KR1020190068720 A KR 1020190068720A KR 20190068720 A KR20190068720 A KR 20190068720A KR 20190141593 A KR20190141593 A KR 20190141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housing
connector
cam pi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952B1 (ko
Inventor
유우이치 모토시게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레버 커넥터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피팅되고 분리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제1 커넥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캠 핀, 및 상기 레버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캠 핀을 가압하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피팅력 및 분리력을 가하는 캠 홈을 포함한다. 상기 캠 핀은 캠 홈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캠 핀은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의 횡방향 측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제거 방향과 직교하는 선에 대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분리측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 커넥터(lever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레버의 회전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피팅력(fitting force) 및 분리력(detachment force)을 가하는 레버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243559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142107호
전술한 레버 커넥터에 있어서, 레버에 대한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레버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레버가 길어졌을 때는 레버 크기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전체 커넥터의 크기 증가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좋은 조작성을 보장하고 또한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레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커넥터는 다음의 (1) 내지 (3)을 특징으로 한다.
(1) 레버 커넥터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피팅되고/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2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캠 핀; 및
상기 레버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 핀을 가압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피팅력 및 분리력을 가하는 캠 홈을 포함하며, 상기 캠 핀은 상기 캠 홈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피팅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캠 핀은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의 횡방향측 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제거 방향과 직교하는 선에 대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분리측 상에 배치된다.
(2) 상기 (1)에 따른 레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피팅함으로써/제거함으로써 삽입된/제거된 터미널을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중심 및 상기 캠 핀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중심선의 2개의 측부 상에 배치된다.
(3) 상기 (2)에 따른 레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 및 상기 캠 핀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중심선으로부터 등거리로 배치된다.
상기 (1)의 구성을 갖는 레버 커넥터에 따라, 상기 캠 핀은 레버의 회전중심의 횡방향측 상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제거 방향과 직교하는 선에 대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분리측 상에 배치되므로, 상기 레버의 캠 홈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레버와 전체 커넥터 모두는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홈의 형상은 레버의 캠 홈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원호(arc)에 더욱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이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추가로 가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압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피팅력 및 분리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2)의 구성을 갖는 레버 커넥터에 따라, 회전중심 및 상기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피팅력 및 분리력이 가해지는 캠 핀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중심선의 2개의 측부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가해진 피팅력 및 분리력이 균형 잡힌 방식으로 가해지므로, 상기 스위치 유닛의 터미널이 매끄럽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위치 유닛의 온/오프 조작이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3)의 구성을 갖는 레버 커넥터에 따라, 상기 회전중심 및 캠 핀은 스위치 유닛의 중심선으로부터 등거리로 배치되며, 따라서 레버의 회전에 의해 가해진 피팅력 및 분리력이 더욱 균형 잡힌 방식으로 가해질 수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의 터미널이 매끄럽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조작성이 보장될 수 있고 또한 크기의 감소가 달성될 수 있는 레버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간략하게 기재되었다. 본 발명의 상세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재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모드(이하, "실시예"로서 지칭됨)를 읽음으로써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취한 레버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버 커넥터의 레버의 회전중심과 캠 홈에 대해 이동하는 캠 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참조 예(reference example)에 따라, 레버 커넥터의 레버의 회전중심과 캠 홈에 대해 이동하는 캠 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참조 예에 따라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8b는 참조 예에 따라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9a 및 9b는 캠 홈의 가이드 형상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가이드 형상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b는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가이드 형상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레버의 회전 중, 캠 홈으로부터 캠 핀에 의해 수용되는 힘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에서 캠 핀 상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경사각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레버의 회전중심과 캠 홈의 캠 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에서 캠 핀 상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경사각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레버의 회전중심과 캠 홈의 캠 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가압력 방향의 경사각과 레버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취한, 레버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1)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피팅될 수 있고, 또한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레버(3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30)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레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과 제1 커넥터 하우징(10) 사이에, 피팅력 및 분리력이 가해진다.
전기 시스템 등의 유지 보수 시 작업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레버 커넥터(1)는 전원 공급 유닛과, 예를 들어 전기 차량이나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차량의 부하 사이의 통전을 차단하는 서비스 플러그로서 사용된다. 특히,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피팅되었을 때, 상기 전원 공급 유닛과 부하 사이에는 전기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유닛과 부하 사이의 통전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차단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외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부분(10a)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플랜지 부분(10a)을 케이스에 고정함으로써 전원 공급 장치 등에 장착된다. 한 쌍의 캠 핀(11)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2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그 상면이 개방된 수용 관형 부분(12)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 관형 부분(12)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주 터미널(13)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형 부분(12)의 내측에 제공된다. 상기 각각의 주 터미널(13)은 도전성 금속 재료로 형성된 버스 바아(bus bar)를 포함한다. 각각의 주 터미널(13)은 그 일 단부에 암형(female) 터미널 부분(14)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등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선(2)이 상기 각각의 주 터미널(13)의 타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암형 터미널을 포함하는 한 쌍의 서브 터미널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형 부분(12)의 내측에 제공된다. 상기 서브 터미널(16)의 각각에는 신호선(signal line)(3)이 연결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또한 외주 관형 부분(21) 및 피팅 관형 부분(2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 샤프트(23)는 상기 외주 관형 부분(21)의 2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한 쌍의 주 로크 클로(lock claw)(28)는 상기 외주 관형 부분(21)의 2개의 측면의 단부 근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피팅 관형 부분(22)은, 그 하부 부분이 개방되고 또한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관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직사각형 형상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형 부분(12)의 외형보다 미세하게 더 작다. 상기 피팅 관형 부분(22)의 외주측의 기저부에는 패킹(29)이 제공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피팅 관형 부분(22)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형 부분(12)에 피팅되도록, 상기 수용 관형 부분(12)의 상부측으로부터 피팅된다. 그 후, 상기 피팅 튜브 부분(22)이 상기 수용 관형 부분(12) 내로 피팅되므로, 상기 수용 관형 부분(12)은 피팅 관형 부분(22)과 외주 관형 부분(21)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또한, 상기 피팅 관형 부분(22)이 수용 관형 부분(12)에 피팅되었을 때, 상기 수용 관형 부분(12)의 상단부의 내주면이 상기 패킹(29)과 밀착 접촉되어, 상기 수용 관형 부분(12)과 피팅 관형 부분(22) 사이의 공간은 방수성을 갖는다.
도전성 금속 재료로 형성된 주 버스 바아(24)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내측에 제공된다. 상기 주 버스 바아(24)는 그 2개의 단부 부분에 한 쌍의 수형(male) 터미널 부분(25)을 포함한다. 상기 수형 터미널 부분(25)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주 터미널(13)의 암형 터미널 부분(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주 버스 바아(24)의 수형 터미널 부분(25)이 주 터미널(13)의 암형 터미널 부분(14)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주 터미널(13)에 연결된 전원 공급선(2)이 상기 주 버스 바아(24)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전성 금속 재료로 형성된 서브-버스 바아(26)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피팅 관형 부분(22)의 내측에 제공된다. 상기 서브-버스 바아(26)는 한 쌍의 수형 터미널 부분(27)을 포함한다. 서브-버스 바아(26)의 수형 터미널 부분(27)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서브 터미널(1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버스 바아(26)의 수형 터미널 부분(27)이 서브 터미널(16)에 연결되었을 때, 서브 터미널(16)에 연결된 신호선(3)은 서브-버스 바아(26)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 커넥터(1)는 주 버스 바아(24)의 주 터미널(13) 및 수형 터미널 부분(25)을 각각 포함하는 주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버스 바아(26)의 서브 터미널(16)과 수형 터미널 부분(27)을 각각 포함하는 서브-스위치 유닛(SSw)을 포함한다. 레버 커넥터(1)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주 스위치 유닛(MSw)이 켜지고 전원 공급선(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는, 전원 공급 회로가 형성되며, 서브-스위치 유닛(SSw)이 켜지고 신호선(3)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는, 신호 회로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3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또한 한 쌍의 아암 부분(31) 및 연결 부분(32)을 포함한다. 하나의 아암 부분(31)의 일 단부는 상기 연결 부분(32)에 의해 다른 아암 부분(31)의 일 단부에 연결되며, 각각의 아암 부분(31)은 타 단부에 샤프트 수용 구멍(34)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지지 샤프트(23)는 아암 부분(31)의 샤프트 수용 구멍(34)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0)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캠 홈(35)은, 레버(30)의 한 쌍의 아암 부분(31) 상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캠 핀(11)은 캠 홈(35)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각각의 캠 홈(35)은 캠 핀(11)이 삽입/제거될 수 있는 삽입 부분(35a), 상기 삽입 부분(35a)과 연통하는 만곡 부분(35b), 및 상기 만곡 부분(35b)과 연통하는 굴곡 부분(35c)을 포함한다. 상기 만곡 부분(35b)은 삽입 부분(35a)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수용 구멍(34)의 중심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굴곡 부분(35c)은 상기 만곡 부분(35b)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수용 구멍(34)의 중심을 향해 굴곡된다.
캠 핀(11)이 캠 홈(35)에서 이동할 때, 상기 레버(30)는 제1 작동 위치(도 4에 도시된 위치)와 제2 작동 위치(도 6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된다. 상기 제1 작동 위치에서는, 캠 핀(11)이 삽입 부분(35a) 내로 삽입된다. 제2 작동 위치에서는, 캠 핀(11)이 상기 굴곡 부분(35c)의 가장 깊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에서,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로부터 제2 작동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는 피팅 방향을 향해 피팅력이 가해지며,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로부터 제1 작동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는 분리 방향을 향해 분리력이 가해진다.
주 로크 구멍(36)은 레버(30)의 아암 부분(31) 및 연결 부분(32)의 근처 부분에 형성된다. 주 로크 클로(28)는 이들 주 로크 구멍(36)과 결합된다. 상기 주 로크 클로(28)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주 관형 부분(21) 상에 형성된다. 또한, 주 로크 부분(MR)은 주 로크 클로(28) 및 주 로크 구멍(36)으로 구성된다. 주 로크 부분(MR)에 있어서, 상기 주 로크 클로(28)는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주 로크 구멍(36)과 결합되므로, 상기 레버(30)가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로킹되어, 상기 레버(30)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완전히 피팅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로킹된다. 또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는 레버 커넥터(1)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완전히 피팅되어 이들이 상기 주 로크 부분(MR)에 의해 로킹된 상태를 지칭한다.
다음에,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피팅되는/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피팅 케이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피팅하기 위해,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배치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가깝게 된다.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피팅 관형 부분(22)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형 부분(12) 내에 피팅된다.
그 후,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피팅 관형 부분(22)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형 부분(12) 내에 피팅되며, 캠 핀(11)이 상기 삽입 부분(35a)으로부터 레버(30)의 캠 홈(35)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일시적으로 피팅된다(도 4 및 5 참조).
이런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는,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한다. 그 후, 캠 핀(11)이 상기 만곡 부분(35b) 및 굴곡 부분(35c)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에 피팅력이 가해져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로 당겨지므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로 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일단 상기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로 되었다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피팅 관형 부분(22)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형 부분(12)에 완전히 피팅되어, 상기 수용 관형 부분(12)이 피팅 관형 부분(22)과 상기 외주 관형 부분(21)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또한, 상기 수용 관형 부분(12)의 상단부의 내주면이 패킹(29)에 밀착 접촉되므로, 수용 관형 부분(12)과 피팅 관형 부분(22) 사이의 공간이 방수성을 갖는다.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주 버스 바아(24)의 수형 터미널 부분(25)은 주 터미널(13)의 암형 터미널 부분(14)에 각각 연결된다. 즉, 주 스위치 유닛(MSw)이 켜지고, 주 터미널(13)에 연결된 전원 공급선(2)이 주 버스 바아(24)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서브-버스 바아(26)의 수형 터미널 부분(27)은 서브 터미널(16)에 각각 연결된다. 즉, 서브-스위치 유닛(SSw)이 켜지고, 서브 터미널(16)에 연결된 신호선(3)이 상기 서브-버스 바아(26)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주 관형 부분(21) 상에 형성된 주 로크 클로(28)는, 주 로크 부분(MR)에서 레버(30)의 주 로크 구멍(36)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로킹되어, 레버(30)의 회전이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주 로크 부분(MR)이 레버(30)의 회전을 규제하므로,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완전히 피팅된 상태로 로킹되어,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를 유지한다.
(분리 케이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2 작동 위치에 배치된 레버(30)가 파지되어 위로 당겨진다. 그 후,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주 로크 클로우(28)가 레버(30)의 주 로크 구멍(36)으로부터 이탈하여,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를 유지하는 주 로크 부분(MR)에 의한 레버(30)의 로크가 해제되므로, 레버(30)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회전 가능한 레버(30)는 제1 작동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그 후,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캠 핀(11)이 굴곡 부분(35c) 및 만곡 부분(35b)을 따라 이동하여,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에 분리력이 가해진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로 있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가 된다(도 4 및 5 참조).
일단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로 되었다면, 서브-버스 바아(26)의 수형 터미널 부분(27)이 서브 터미널(16)로부터 각각 인출된다. 즉, 서브-스위치 유닛(SSw)이 꺼지고, 신호선(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다. 상기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로부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피팅 관형 부분(22)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형 부분(12)으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주 버스 바아(24)의 수형 터미널 부분(25)이 주 터미널(13)의 암형 터미널 부분(14)으로부터 인출된다. 따라서 주 스위치 유닛(MSw)이 꺼지고, 상기 전원 공급선(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다.
이어서, 레버(30)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제공된 캠 핀(11) 사이의 위치 관계가 기재될 것이다. 레버(30)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지지 샤프트(23)에 의해 지지되며, 캠 핀(11)은 레버(30)의 캠 홈(35)에 대해 이동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 측이 하부측으로 기재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피팅/분리 방향이 상부-하부 방향으로 기재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레버의 회전중심과 상기 캠 홈에 대해 이동하는 캠 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a는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1)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캠 핀(11)은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지지 샤프트(23)에 의해 지지된 레버(30)의 회전중심(O)의 횡방향측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캠 핀(11)은 레버(3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고 또한 분리측인 삽입/제거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선(X)의 상부측 상에 배치된다. 또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레버(30)의 회전중심(O)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캠 핀(11)은, 주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스위치 유닛(SSw)의 중심선(CL)(도 2 참조)의 2개의 측부 상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중심(O) 및 캠 핀(11)은 중심선(CL)으로부터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위치에 있는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로 회전하도록 당겨졌을 때, 캠 핀(11)이 캠 홈(35)을 따라 아래로 가압되므로, 지지 샤프트(23)는 캠 핀(11)에 대해 위로 가압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분리 방향을 향해 변위된다.
다음에,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가 기재될 것이다.
도 8은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에서 레버의 회전중심과 상기 캠 홈에 대해 이동하는 캠 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a는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8b는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1A)에 있어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캠 핀(11)은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30)의 회전중심(O)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즉, 캠 핀(11)은 레버(3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수평선(X)의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레버(30)의 회전중심(O) 및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캠 핀(11)은, 실질적으로 주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스위치 유닛(SSw)의 중심선(CL) 상에 배치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위치에 있는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로 회전하도록 당겨졌을 때, 캠 핀(11)이 캠 홈(35)을 따라 아래로 가압되므로, 상기 지지 샤프트(23)는 캠 핀(11)에 대해 위로 가압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분리 방향을 향해 변위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1) 및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1A)에 캠 홈(35)을 설정하는 방법이 기재될 것이다.
도 9는 캠 홈의 가이드 형상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에서 가이드 형상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9b는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에서 가이드 형상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로부터 주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스위치 유닛(SSw)를 온/오프하기 위한 삽입/제거 스트로크는 S로 설정되며, 또한 레버(30)의 회전중심(O)과 캠 핀(11) 사이의 초기 간격은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는 P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홈(35)을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먼저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배치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캠 핀(11)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어서,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배치된 일시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캠 핀(11)의 위치(도 9a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가 결정된다. 그 후, 캠 홈(35)의 가이드 형상(곡선)은,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캠 핀(11)의 위치와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캠 핀(11)의 위치 사이에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1)에 있어서, 캠 핀(11)은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레버(3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수평선(X)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캠 홈(35)의 가이드 형상(35G)이 설정되었을 때, 가이드 형상(35G)의 수평 길이는 삽입/제거 스트로크(S)와 동일한 길이(S)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30)에 형성된 캠 홈(35)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으며, 또한 레버(30)가 소형화될 수 있다.
(참조 예의 케이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홈(35)을 설정하는 경우에, 먼저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배치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캠 핀(11)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어서,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배치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캠 핀(11)의 위치(도 9b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가 결정된다. 그 후, 캠 홈(35)의 가이드 형상(곡선)은 레버(30)가 제2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캠 핀(11)의 위치와 상기 레버(30)가 제1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캠 핀의 위치 사이에서 설정된다.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1A)에 있어서, 상기 캠 핀(11)은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레버(30)의 회전중심(O) 아래의 수직선인 중심선(CL)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캠 홈(35)의 가이드 형상(35G)이 설정되었을 때, 캠 홈(35)의 가이드 형상(35G)의 수평 길이는 초기 간격(P)을 삽입/제거 스트로크(S)에 추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길이(S+P)이다. 이에 따라, 레버(30)에 형성된 캠 홈(35)의 길이가 증가되고, 또한 레버(30)의 크기가 증가된다.
다음에, 레버(30)의 회전 중 상기 캠 핀(11) 상에 작용하는 힘이 기재될 것이다.
도 10은 레버의 회전 중 상기 캠 홈으로부터 상기 캠 핀에 의해 수용되는 힘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가 회전되어 캠 핀(11)이 캠 홈(35)에 대해 이동되었을 때, 레버(30)의 회전력을 수반하는 가압력(F)이 캠 홈(35)의 벽면으로부터 캠 핀(11)에,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각(θ)으로, 가해진다. 이에 따라, 레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의 분리력(피팅력)으로서, 수직 방향으로의 가압력(F1 = Fcosθ)의 분력(F1)이 가해진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의 가압력(F2 = Fsinθ)의 분력(F2)이, 분리력(피팅력)으로서 가해지지 않고 낭비된다. 이에 따라, 수직 방향에 대한 가압력(F)의 경사각(θ)을 감소시킴으로써, 레버(30)의 회전력을 수반하는 가압력(F)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되고, 분리력(피팅력)으로서 가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1)에 있어서, 가이드 형상(35G)은 레버(30)에 형성된 캠 홈(35)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원호에 더욱 근사할 수 있다. 그 후, 캠 홈(35)의 벽면과 캠 핀(11) 사이의 접촉 부분이 수직 축선에 접근하므로, 수직 방향에 대한 가압력(F) 방향의 경사각(θ)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30)의 회전력을 수반하는 가압력(F)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분리력(피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참조 예에 따른 레버 커넥터(1A)에서는, 레버(30)에 형성된 캠 홈(35)의 길이가 증가되며, 따라서 캠 홈(35)의 가이드 형상(35G)은 큰 곡률을 갖는 굴곡된 형상으로 된다. 그러면, 캠 홈(35)의 벽면과 캠 핀(11) 사이의 접촉 부분이 수직 축선으로부터 멀리 있고, 수직 방향에 대한 가압력(F)의 방향의 경사각(θ)이 증가된다. 따라서 분력(F2)이 커지고, 분리력(피팅력)으로는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분력(F2)은 레버(30)의 회전력을 수반되는 가압력(F)에서의 낭비적인 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레버 커넥터(1)에 따라, 캠 핀(11)은 레버(30)의 회전중심(O)의 횡방향측 상에 배치되며, 또한 회전중심(O)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삽입/제거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선(X)에 대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분리측 상에 배치되므로, 레버(30)의 캠 홈(35)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30)와 전체 커넥터 모두가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캠 홈(35)의 형상은 레버(30)의 캠 홈(35)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원호에 더욱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F)이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추가로 가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압력(F)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그리고 피팅력 및 분리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스위치 유닛(SSw)의 중심선(CL)의 2개의 측부 상에는, 회전중심(O) 및 상기 레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피팅력 및 분리력이 가해지는 캠핀(11)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피팅력 및 분리력이 균형 잡힌 방식으로 가해지므로, 상기 주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스위치 유닛(SSw)의 터미널이 매끄럽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고, 주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스위치 유닛(SSw)의 온/오프 동작이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회전중심(O) 및 캠 핀(11)은 주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스위치 유닛(SSw)의 중심선(C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피팅력 및 분리력이 더욱 균형 잡힌 방식으로 가해질 수 있고, 또한 주 스위치 유닛(MSw) 및 보조 스위치 유닛(SSw)의 터미널이 매끄럽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레버 커넥터(1)는 상기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유닛과 부하 사이의 통전을 차단하는 서비스 플러그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레버 커넥터(1)는 서비스 플러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회로를 도통/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커넥터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조를 갖는 레버 커넥터(1)는, 레버(30)를 15°회전시킴으로써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할 때의 레버각(α)과, 삽입/제거 방향인 수직 방향에 대해 가압력(F) 방향의 경사각(θ) 사이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와 비교된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에서 상기 캠 핀 상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경사각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레버의 회전중심과 캠 홈의 캠 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에서 상기 캠 핀 상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경사각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레버의 회전중심과 캠 홈의 캠 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에서 레버(3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수평선 상에는, 캠 핀(11)이 배치되었다.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에서 레버(3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수직선 상에는, 캠 핀(11)이 배치되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레버(30)의 회전중심(O)과 캠 핀(11)의 피치는 14.0 ㎜으로 설정되었으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스트로크 양은 레버 커넥터(1) 및 레버 커넥터(1A)에서 20.5 mm로 설정되었다.
(레버각 α = 15°)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15°이었을 때,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15.00°이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15°이었을 때,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42.44°이었다.
(레버각 α = 30°)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30°이었을 때,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20.62°이었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30°이었을 때,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36.07°이었다.
(레버각 α = 45°)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45°이었을 때,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11.42°이었다.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45°이었을 때,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32.69°이었다.
(레버각 α = 60°)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60°이었을 때,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6.68°이었다.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60°이었을 때,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28.86°이었다.
(레버각 α = 75°)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75°이었을 때,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25.00°이었다.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각(α)이 75°이었을 때,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에서는, 가압력(F)의 경사각(θ)이 23.10°이었다.
도 13은 레버(30)의 레버각(α)과 가압력 방향의 경사각(θ)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에 있어서,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의 경사각(θ)은 실선으로 도시되고,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의 경사각(θ)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의 경사각(θ)은, 레버각(α)이 75°일 때,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의 경사각(θ)보다 미세하게 더 클 수 있다. 그러나 레버 각(α)이 75° 이외인 경우, 가압력(F)의 경사각(θ)은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의 경사각보다 더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에서 가압력(F)의 평균 경사각(θ)은 참조 예의 레버 커넥터(1A)에 비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레버 커넥터(1)에 따라, 캠 홈(35)의 형상은 레버(30)의 캠 홈(35)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원호에 더욱 근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F)을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추가로 가함으로써 경사각(θ)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제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의 가압력(F)의 작용으로 인한 가압력(F)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압력(F)이 피팅력 및 분리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적절히 수정, 개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의 재료, 형상, 크기, 숫자, 배치 위치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한 선택적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커넥터의 실시예의 특징은 다음의 [1] 내지 [3]으로 간단히 요약된다.
[1] 레버 커넥터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피팅될 수 있는/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30);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캠 핀(11); 및
상기 레버(30)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 핀(11)을 가압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피팅력 및 분리력을 가하는 캠 홈(35)을 포함하며, 상기 캠 핀(11)은 상기 캠 홈(35)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완전히 피팅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캠 핀(11)은 상기 레버(30)의 회전중심(O)의 횡방향측 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중심(O)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삽입/제거 방향과 직교하는 선(X)에 대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분리측 상에 배치된다.
[2] 상기 [1]에 따른 레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피팅함으로써/제거함으로써 삽입된/제거된 터미널을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주 스위치 유닛(MSw), 서브-스위치 유닛(SSw)]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O) 및 상기 캠 핀(11)은 상기 스위치 유닛[주 스위치 유닛(MSw), 서브-스위치 유닛(SSw)]의 중심선(CL)의 2개의 측부 상에 배치된다.
[3] 상기 [2]에 따른 레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O) 및 상기 캠 핀(11)은 상기 스위치 유닛[주 스위치 유닛(MSw), 서브-스위치 유닛(SSw)]의 중심선(C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된다.

Claims (4)

  1. 레버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피팅되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캠 핀; 및
    상기 레버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 핀을 가압하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피팅력 및 분리력을 가하는 캠 홈을 포함하며, 상기 캠 핀은 상기 캠 홈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피팅된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캠 핀은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의 횡방향측 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제거 방향과 직교하는 선에 대해,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분리측 상에 배치되는, 레버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을 피팅함으로써/제거함으로써 삽입된/제거된 터미널을 갖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 및 상기 캠 핀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중심선에 대해 2개의 측부 상에 배치되는, 레버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중심 및 상기 캠 핀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중심선(CL)으로부터 등거리로 배치되는, 레버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 핀은 상기 최종적으로 피팅된 상태에서 상기 선 상에 배치되는, 레버 커넥터.
KR1020190068720A 2018-06-14 2019-06-11 레버 커넥터 KR102125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13681A JP6793683B2 (ja) 2018-06-14 2018-06-14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18-113681 2018-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593A true KR20190141593A (ko) 2019-12-24
KR102125952B1 KR102125952B1 (ko) 2020-06-23

Family

ID=6883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720A KR102125952B1 (ko) 2018-06-14 2019-06-11 레버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19068B2 (ko)
JP (1) JP6793683B2 (ko)
KR (1) KR102125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32A1 (ko) 2019-11-07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1858B1 (ko) * 2020-10-12 2022-04-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2107A (ja) 2003-11-10 2005-06-02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5203163A (ja) * 2004-01-14 2005-07-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90004122U (ko) * 2007-10-29 2009-05-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커넥터
KR20100006553U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JP2012243559A (ja) 2011-05-19 2012-12-10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3033606A (ja) * 2011-08-01 2013-02-1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ユニット
US20130126205A1 (en) * 2011-11-21 2013-05-23 Yazaki Corporation Power source circuit shutoff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0635A (en) * 1991-06-25 1993-07-2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with lever
JPH11329579A (ja) 1998-05-08 1999-11-30 Yazaki Corp コネクタ結合構造
JP2002093522A (ja) * 2000-09-13 2002-03-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659783B2 (en) * 2001-08-01 2003-12-09 Tyco Electronics Corp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variable resistance to reduce arcing
JP5707166B2 (ja) * 2010-11-09 2015-04-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2107A (ja) 2003-11-10 2005-06-02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5203163A (ja) * 2004-01-14 2005-07-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90004122U (ko) * 2007-10-29 2009-05-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커넥터
KR20100006553U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JP2012243559A (ja) 2011-05-19 2012-12-10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3033606A (ja) * 2011-08-01 2013-02-1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ユニット
US20130126205A1 (en) * 2011-11-21 2013-05-23 Yazaki Corporation Power source circuit shutoff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32A1 (ko) 2019-11-07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1858B1 (ko) * 2020-10-12 2022-04-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93683B2 (ja) 2020-12-02
US10819068B2 (en) 2020-10-27
KR102125952B1 (ko) 2020-06-23
US20190386429A1 (en) 2019-12-19
JP2019216065A (ja)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673B2 (en) Lever fitting type power supply circuit breaking apparatus
JP5119112B2 (ja) 雄コネクタ、雌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
US9171685B2 (en) Power source circuit shutoff apparatus
US20050098419A1 (en) Lever fitting-type power supply circuit breaker
US10637193B2 (en) Power supply circuit disconnection device
KR101083859B1 (ko) 수형 커넥터, 암형 커넥터, 및 커넥터
KR102125952B1 (ko) 레버 커넥터
JP3798280B2 (ja)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EP2538501B1 (en) Connector
CN108879159A (zh) 一种具有防开路功能的连接器
CN114696166A (zh) 连接器组件
US20200136287A1 (en) Connection assembly, female contact, and connection method thereof
CN110600939B (zh) 供电电路断路装置
JP7028840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6940540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2104338A (ja) 電源回路遮断装置
CN209786209U (zh) 分体式导电夹紧机构及具有该机构的接线端子
CN110931991A (zh) 分体式导电夹紧机构及具有该机构的接线端子
CN219204459U (zh) 光伏接线盒组件
JP7311294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CN217903014U (zh) 稳压断电保护器
JP4234521B2 (ja) 電源遮断コネクタ
JP2023156650A (ja) サービスプラグ
KR20200004323A (ko) 서비스 플러그
KR19990069409A (ko) 메모리모듈용 레버타입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