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464A - 플렉서블 배터리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464A
KR20190141464A KR1020180068270A KR20180068270A KR20190141464A KR 20190141464 A KR20190141464 A KR 20190141464A KR 1020180068270 A KR1020180068270 A KR 1020180068270A KR 20180068270 A KR20180068270 A KR 20180068270A KR 20190141464 A KR20190141464 A KR 2019014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lexible battery
electrode assembly
resin lay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희
조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8006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1464A/ko
Publication of KR2019014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01M2/027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배터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1패턴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제1패턴과 서로 일치하도록 제2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부수지층, 방습층 및 외부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수지층은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배터리{Flexible battery}
본 발명은 플렉서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두루마리형 디스플레이, 무선 헤드폰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플렉서블 배터리는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니켈-아연 배터리 등 다른 배터리와 비교할 때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가벼운 무게로 구현할 수 있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활용도를 가질 수 있다.
그 일환으로, 음극, 양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파우치 형태의 외장재에 봉지하는 파우치형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배터리는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소재로 외장재가 제작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높은 질량당 에너지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치형 배터리는 반복적인 밴딩시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가 수축 및 이완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거나 성능이 최초 설계치에 비하여 상당한 수준으로 감소되어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
외장재의 수축 및 이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외장재에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고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는 방안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외장재에만 패턴을 형성하면, 음극, 양극 및 분리막은 여전히 수축 및 이완에 의한 파손이 불가피하여 배터리 기능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파우치형 배터리의 외장재는 내부 수지층, 방습층 및 외부 수지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외부 수지층은 강도를 보강하고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장재에 패턴을 형성하더라도 외부 수지층을 구성하는 PET의 재질 특성상 수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더라도 PET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패턴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2-002349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장재를 구성하는 외부 수지층을 수축성이 좋은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하여 플렉서블 배터리의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충분한 깊이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재의 양 측단부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체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축전용량을 높일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1패턴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제1패턴과 서로 일치하도록 제2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부수지층, 방습층 및 외부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수지층은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외부수지층은 PET를 포함하지 않는 플렉서블 배터리.
또한,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체길이 중 일부 길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최대두께가 4.5mm 이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800mAh 이상의 대용량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최대두께가 4.5mm 이상인 것으로서,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전체길이 중 양단부를 포함하는 일부의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에 서로 일치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패턴은 밴딩시 최대 곡률이 R65 내지 R85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재의 재질을 연신성이 좋을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원활한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는 4.5mm 이상의 두께로 구현하더라도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할 수 있으며, 대용량, 일례로, 800mAh 이상의 축전용량을 가지는 대용량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전체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전극조립체가 외장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전극조립체와 외장재에 적용되는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서로 이웃하는 골부 또는 산부들간의 다양한 간격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전체개략도,
도 6은 도 5의 A-A 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 방향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5의 플렉서블 배터리가 밴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전해액과 함께 외장재(120)의 내부에 봉지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12), 음극(116) 및 분리막(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장재(120)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봉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112)은 양극집전체(112a) 및 양극 활물질(112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극(116)은 음극집전체(116a) 및 음극 활물질(116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집전체(112a) 및 음극집전체(116a)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시트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양극(112) 및 음극(116)은 각각의 집전체(112a,116a)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활물질(112b,116b)이 압착 또는 증착되거나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물질(112b,116b)은 집전체(112a,116a)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일부 면적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양극집전체(112a) 및 음극집전체(116a)는 각각의 몸체로부터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음극단자(118a) 및 양극단자(118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114)은 상기 양극(112) 및 음극(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양극(112)과 음극(116)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전자 전도성 격막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리막(114)은 부직포층(114a)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웹층(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웹층(114b)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섬유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나노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114)은 전해액으로 겔 폴리머 전해액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겔 폴리머 전해액의 함침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복합 다공성 분리막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지지체(matrix)로서 사용되며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와, 방사 가능한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어 전해액을 함침하고 있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극(112), 음극(116) 및 분리막(114)은 공지의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배터리에서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일반적인 내용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120)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전해액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외장재(120)는 외력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110)를 보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장재(120)는 한 쌍의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는 서로 맞접하는 테두리 측이 접착제를 통해 밀봉됨으로써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는 전체면적 중 테두리 측이 밀봉부(126)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이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수용부(125)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장재(120)는 상기 밀봉부(126)가 상기 수용부(125)를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외장재(120)는 상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가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후 상기 밀봉부를 구성하는 테두리측이 모두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혀진 후 맞접하는 나머지 부분이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20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126)가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접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밀봉부(126)는 상기 수용부(125)와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200)는 상기 수용부(125)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밀봉부(126)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수용부(125)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200)는 동일한 폭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밀봉부(126)의 폭만큼 데드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수용부(125)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넓어진 수용부(125)의 면적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전극조립체(110)의 크기 또는 면적을 넓힐 수 있음으로써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장재(120)는 내부수지층(121a,122a)과 외부수지층(121c,122c)의 사이에 방습층(121b,122b)이 개재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장재(120)는 내부수지층(121a,122a), 방습층(121b,122b) 및 외부수지층(121c,122c)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수지층(121c,122c)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일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수지층(121a,122a)은 테두리 측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층을 매개로 서로 접합됨으로써 배터리 내부에 구비되는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접합부재의 역할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내부수지층(121a,122a)은 통상적으로 배터리용 외장재에 구비되는 접합부재의 재질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일 수 있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미변성된 폴리프로필렌 및 산 변성된 폴리프로필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내부수지층은 미변성된 폴리프로필렌과 산 변성된 폴리프로필렌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습층(121b,122b)은 내부수지층(121a,122a)과 외부수지층(121c,122c)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부터 배터리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방습층(121b,122b)은 습기 및 전해액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밀도가 조밀한 금속층이나 고분자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습층(121b,122b)이 금속층일 경우 포일(foil)류의 금속박판이나 상기 외부수지층(121c,122c)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증착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습층(121b,122b)은 금속박판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구리, 인청동(phosphorbronze, PB), 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백동, 베릴륨-구리(Berylium-copper), 크롬-구리, 티탄-구리, 철-구리, 코르손 합금 및 크롬-지르코늄 구리 합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습층(121b,122b)은 평균두께가 5㎛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 10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50㎛일 수 있다.
이는, 방습층(121b,122b)의 평균두께가 5㎛ 미만이면 배터리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거나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될 우려가 있고, 특히 외장재(120)에 외력을 가해 패턴(119,124)을 형성하는 경우 습기가 침투하거나 전해액의 누액될 우려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상기 외부수지층(121c,122c)은 상기 방습층(121b,122b)의 일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장재(120)의 노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수지층(121c,122c)은 상기 외장재(120)가 유연성 및 연신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수지층(121c,122c)은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화합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화합물은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외부수지층(121c,122c)은 종래의 파우치형 배터리에서 강도를 보강하고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장재로 사용되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외장재(120)를 구성하는 외부수지층(121c,122c)의 재질로서 수축성이나 연신성이 떨어지는 PET를 사용하지 않고 유연성 및 연신성을 갖는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 및 연신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배터리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대용량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부(126)를 접더라도 접이부에서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접혀진 밀봉부(126)가 외부수지층(121c,122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상기 전극조립체(110)가 두꺼운 두께를 갖더라도 상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가 연신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화합물로 형성된 외부수지층(121c,122c)을 구비하므로 상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테두리측이 과도하게 절곡되더라도 파손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상기 전극조립체(110)를 구성하는 양극(112) 및 음극(116)의 적층수를 충분히 늘리더라도, 충분한 깊이를 가지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최대두께가 4.5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음으로써 폭이 33mm, 길이가 69mm인 작은 크기에서도 700mAh 이상의 대용량의 축전용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00,200)의 최대두께는 후술하는 패턴(119,124)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패턴(119,124)을 포함하는 두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상기 방습층(121b,122b)과 내부수지층(121a,122a) 사이에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방습층(121b,122b)과 내부수지층(121a,122a)의 접착력을 높여주는 역할과 함께, 외장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액이 외장재의 방습층(121b,122b)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산성의 전해액으로 방습층(121b,122b)이 부식되거나 내부수지층(121a,122a)과 방습층(121b,122b)이 박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배터리(100,200)의 사용과정 중에 이상 과열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플렉서블 배터리가 팽창하는 경우에도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접착층은 상기 내부수지층(121a,122a)과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층은 실리콘, 폴리프탈레이트,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PPa, acid modified polypropylene) 및 산 변성 폴리에틸렌(Pea, acid modified poly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상기 방습층(121b,122b)과 외부수지층(121c,122c) 사이에 드라이 라미네이트층(dry lamination layer)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방습층(121b,122b)과 외부수지층(121c,122c)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공지의 수성 및/또는 유성의 유기용제형 접착제를 건조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110)와 함께 수용부에 봉지되는 전해액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상의 전해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해액은 비수성 유기용매와 리튬염의 용질이 포함된 유기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100')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액상의 전해액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겔 폴리머 전해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100')는 전해액으로서 겔 상태의 폴리머 전해액을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해액으로 액상을 사용하는 경우 밴딩시 발생할 수 있는 누액 및 누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밴딩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19,124)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턴(119,124)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형성되는 제1패턴(119)과 상기 외장재(120)에 형성되는 제2패턴(1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턴(119)과 제2패턴(124)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패턴(119)과 제2패턴(124)이 항상 동일한 거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밴딩되거나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하더라도 항상 제1패턴(119)과 제2패턴(124)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반복적인 밴딩이 발생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는 휘어진 상태로 장착되더라도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을 통해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를 구성하는 기재 자체의 변형량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200)는 반복적인 밴딩이 일어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는 휘어진 상태로 장착되더라도 휘어지는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기재 자체의 변형량이 최소화됨으로써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가 휘어지는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파손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은 각각의 산부 및 골부가 상기 외장재(120) 및 전극조립체(110)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 및 골부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부 및 골부는 반원을 포함하는 호형단면, 삼각이나 사각을 포함하는 다각단면 및 호형단면과 다각단면이 상호 조합된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산부 및 골부는 동일한 피치 및 폭을 가질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피치 및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은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4 참조).
더불어,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산부간의 간격 또는 골부간의 간격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간격이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은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길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길이에 대하여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는 전체길이 중 일부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이 형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길이 중 양단부를 제외한 길이 중간부에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턴(119) 및 제2패턴(124)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는 상기 패턴(119,124)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 소정의 곡률로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가 4.5mm 이상의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용량의 배터리로 구현되더라도 상기 패턴(119,124)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는 4.5mm 이상의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용량의 배터리로 구현되더라도 전체길이 중 상기 패턴(119,124)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음으로써 휘어진 상태로 장착이 필요한 경우에도 원활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턴(119,124)을 통해 휘어진 부분의 최대 곡률은 R65 내지 R8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제품의 종류나 사용처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의 최대 곡률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패턴(119,124)이 형성되는 위치 역시 휘어짐이 필요한 위치에 맞게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65 내지 R8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200)가 파손되지 않고 상기 패턴(119,124)을 통해 최대로 휘어진 상태에서 최전방의 패턴으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1선과 최후방의 패턴으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2선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100' : 플렉서블 배터리 110 : 전극조립체
112 : 양극 114 : 분리막
116 : 음극 119 : 제1패턴
120 : 외장재 121 : 제1외장재
121a : 내부수지층 121b : 방습층
121c : 외부수지층 122 : 제2외장재
122a : 내부수지층 122b : 방습층
122c : 외부수지층 124 : 제1패턴
125 : 수용부 126 : 밀봉부

Claims (12)

  1.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1패턴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제1패턴과 서로 일치하도록 제2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부수지층, 방습층 및 외부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수지층은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배터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수지층은 PET를 포함하지 않는 플렉서블 배터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체길이 중 일부 길이에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지층은 단층 또는 다층의 CPP(casting polyprolypene)인 플렉서블 배터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플렉서블 배터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최대두께가 4.5mm 이상인 플렉서블 배터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8. 최대두께가 4.5mm 이상인 플렉서블 배터리로서,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플렉서블 배터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내부수지층, 방습층 및 외부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수지층은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배터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상기 전극조립체에 형성된 제1패턴과 상기 외장재에 형성된 제2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전체길이 중 양단부를 포함하는 일부의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에 서로 일치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밴딩시 최대 곡률이 R65 내지 R85가 되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KR1020180068270A 2018-06-14 2018-06-14 플렉서블 배터리 KR20190141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270A KR20190141464A (ko) 2018-06-14 2018-06-14 플렉서블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270A KR20190141464A (ko) 2018-06-14 2018-06-14 플렉서블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464A true KR20190141464A (ko) 2019-12-24

Family

ID=6902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270A KR20190141464A (ko) 2018-06-14 2018-06-14 플렉서블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14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897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리베스트 외장재 및 외장재를 이용한 배터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3491A (ko) 2010-09-02 2012-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우치형 플렉서블 필름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3491A (ko) 2010-09-02 2012-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우치형 플렉서블 필름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897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리베스트 외장재 및 외장재를 이용한 배터리
WO2022145809A1 (ko) * 2020-12-28 2022-07-07 주식회사 리베스트 외장재 및 외장재를 이용한 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7508B2 (ja) 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そ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を含む補助バッテリー
JP2020191293A (ja) 薄型電気化学セル
JP4065915B2 (ja) リチウム2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2次電池
JP6667509B2 (ja) 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そ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を含む補助バッテリー、及び、モバイル電子機器
JP5779828B2 (ja) 段差を有する電極組立体、それを含む電池セル、電池パック及びデバイス
KR101144879B1 (ko) 박형 이차전지셀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차전지 모듈
KR102303828B1 (ko)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조립체들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기화학소자
KR102122296B1 (ko)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US9929445B2 (en) Incorporating reference electrodes into battery pouch cells
EP2750241A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stepped levels and battery cell,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same
JP6315269B2 (ja) 密閉型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02878A (ko) 축전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0633B1 (ko) 전기화학 전지
US20190044097A1 (en) Reference electrode structures for lithium cells
KR102155707B1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2802A (ko) 다종 금속 차단층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130097881A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US20190348644A1 (en) High power battery and battery case
KR102227307B1 (ko) 전극 조립체
JP7049708B2 (ja) 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こ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補助バッテリー
KR101095343B1 (ko) 개선된 구조의 젤리-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21512465A5 (ko)
KR20190106219A (ko) 이차전지용 전해액,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플렉서블 배터리
KR102327294B1 (ko) 전기 에너지 저장 셀에 자착식 필름을 도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92092B1 (ko) 적층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