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566A -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566A
KR20190140566A KR1020180067151A KR20180067151A KR20190140566A KR 20190140566 A KR20190140566 A KR 20190140566A KR 1020180067151 A KR1020180067151 A KR 1020180067151A KR 20180067151 A KR20180067151 A KR 20180067151A KR 20190140566 A KR20190140566 A KR 20190140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110B1 (ko
Inventor
박행운
Original Assignee
박행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행운 filed Critical 박행운
Priority to KR1020180067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110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G05D2201/0203
    • G05D2201/021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은 바닥 부재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가 삽입된 상기 바닥 부재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바닥 부재에 미리 삽입된 망점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코드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코드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METHOD OF PROVIDING POSITION USING FLOOR RESOURCES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오피스텔 및 관공서 등에서는 바닥면에 사람의 발을 편하게 하거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비닐장판, 대리석, 타일 등을 설치한다
아울러, 현대의 홈 오토메이션에서는 필수적으로 무인자동되는 자율이동로봇이 화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현재 자율이동로봇이 이동공간 또는 이동영역에서 자율적인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동중인 자율이동로봇 또는 이동을 시작할 자율이동로봇이 위치한 절대적인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분이다.
한편, 시작장애이들은 혼자 힘으로는 목적지를 찾아가기 어렵다. 때문에 맹도견이나 타인의 힘을 빌리게되는데 육체적으로나 심적으로 매우 불편한 일이다. 특히, 언제라도 외출하고 싶을 때 동반자 없이 혼자 자유롭게 외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도우미의 도움 없이 목표 지점까지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IT 전자 기기가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IT 전자 기기는 전방의 장애들을 알아서 탐지하고 이동 경로 상의 정확한 보행서을 유도하며, 전체 보행 경로를 안내해 준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지팡이 등에 부착하면 매우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가령, 현재 시각장애인들은 점자 블록과 백색 지팡이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것이 가장 보편화 되어 있다. 최근에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기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보행 보조기기 지팡이만으 의지하여 동반자 없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가는 것은 쉽지 않다. 즉,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은 감지하지만 이동 경로를 알려주지 못하는 결정적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위치 제공 장치가 스마트 지팡이로 구현되는 경우 장애인들이 이동 중 필수적으로 휴대하여야하는 장애인용 도구를 이용하여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장애인들에게 위치 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제공 장치가 로봇 청소기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영역만을 청소할 수 있거나 이미 청소가 완료된 영역의 재청소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는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위치 제공 장치가 스마트 지팡이로 구현되는 경우 장애인들이 이동 중 필수적으로 휴대하여야하는 장애인용 도구를 이용하여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장애인들에게 위치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위치 제공 장치가 로봇 청소기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영역만을 청소할 수 있거나 이미 청소가 완료된 영역의 재청소를 실행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위치 제공 장치가 로봇 청소기로 구현되는 경우 위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위치 제공 장치가 스마트 지팡이로 구현되는 경우 위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위치 제공 장치가 스마트 지팡이로 구현되어 위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위치 제공 장치”는 로봇 청소기, 스마트 지팡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스마트 자팡이는 바닥에 닿는 부분에 카메라가 있어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에게 길을 안내할 수 있는 지팡이이고, 로봇 청소기는 아래면에 카메라가 있어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만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바닥 자재”는 실내 및 실외의 바닥의 포장 시 사용되는 자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바닥 자재는 마루, 장판, 대리석, 타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망점"은 바닥 자재 별로 해당 바닥 자재가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코드에 따라 다수의 점으로 이루어진다. 망점은 바닥 자재가 프린트를 통해 생성되는 경우 바닥 자재의 색과 가장 유사한 색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바닥 자재가 장판인 경우 장판 무늬를 프린트하는 과정에서 무늬의 색상과 가장 유사한 색상으로 바닥 자재가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코드에 따라 생성된 망점을 삽입하기 때문에 바닥 자재에 코드가 삽입된 것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제공 시스템은 코드 삽입 장치(100), 바닥 자재(200), 위치 제공 장치(300) 및 코드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코드 삽입 장치(100)는 바닥 자재(200)가 특정 위치에 설치되기 전에 바닥 자재(200) 별로 해당 바닥 자재(200)가 사용되는 위치의 정보에 해당하는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이다.
코드 삽입 장치(100)는 바닥 자재(200)에서 데이터 삽입 영역을 결정하고, 데이터 삽입 영역에 해당 바닥 자재(200)가 사용되는 위치의 정보에 해당하는 코드를 생성하여 삽입한다.
예를 들어, 코드 삽입 장치(100)는 해당 바닥 자재가 사용되는 위치의 정보 “ABCD”에 해당하는 코드가 1011 이고, 1에 해당하는 망점은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고 정의되어 있고 0에 해당하는 망점은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고 정의되어 있으면, 데이터 삽입 장치는 4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을 생성한다.
이때, 코드 삽입 장치(100)는 바닥 자재(200)의 종류 별로 서로 다른 방법의 코드 삽입 방법을 이용하여 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삽입 장치(100)는 바닥 자재(200)가 장판인 경우 바닥 자재(200)의 생성 가정 중 장판 무늬를 프린트하는 과정에서 무늬의 색상과 가장 유사한 색상으로 바닥 자재(200)가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코드에 따라 생성된 망점을 함께 프린트하여 삽입하기 때문에 바닥 자재에 코드가 삽입된 것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코드 삽입 장치(100)에 의해 바닥 자재(200)가 특정 위치에 설치되기 전에 바닥 자재 별로 해당 바닥 자재(200)가 사용되는 위치의 정보에 해당하는 코드가 삽입되기 때문에 위치 제공 장치(300)가 바닥 자재(200)를 스캔하여 바닥 자재(200)에 미리 삽입된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바닥 자재(200)에 설치된 곳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위치 제공 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바닥 자재(200)의 상면을 이동하면서 바닥 자재(200)를 스캔하여 미리 삽입된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바닥 자재(200)가 있는 위치를 인식하여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위치 제공 장치(300)는 로봇 청소기, 스마트 지팡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 제공 장치(300)가 로봇 청소기로 구현되는 실시예는 이하의 도 2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고, 위치 제공 장치(300)가 스마트 지팡이로 구현되는 실시예는 이하의 도 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위치 제공 장치(300)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기 전에 바닥 부재가 설치되는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코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바닥 부재의 상면을 이동하면서 상기 바닥 부재를 스캔한다.
그런 다음, 위치 제공 장치(300)는 바닥 부재에 미리 삽입된 망점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생성하고, 코드 관리 서버(400)와 연동하여 상기 코드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위치 제공 장치이 로봇 청소기로 구현된 경우의 동작 과정 및 스마트 지팡이로 구현된 경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위치 제공 장치가 로봇 청소기로 구현되는 경우 위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치 제공 장치(300)가 자동 이동 장치(즉, 로봇 청소기(500))로 구현되는 경우 아래면에 카메라가 있어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만을 청소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5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청소 대상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청소를 시작하며, 바닥 자재의 상면을 이동하면서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로봇 청소기(5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청소 대상 위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청소 대상 위치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위치의 청소를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로봇 청소기(500)는 청소 대상 위치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동일하면 해당 위치의 청소를 진행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로봇 청소기(500)는 청소 대상 위치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청소 대상 위치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위치의 청소를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5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청소 대상 위치 정보 “거실”을 청소해야 하는 경우, 청소를 시작하여 바닥 자재의 상면을 이동하면서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만일, 로봇 청소기(500)는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추출한 위치 정보가 “거실”인 경우, 청소 대상 위치 정보 “거실”과 동일하기 때문에 해당 위치의 청소를 진행한다.
하지만, 로봇 청소기(500)는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추출한 위치 정보가 “주방”인 경우, 청소 대상 위치 정보 “거실”과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위치의 청소를 진행하지 않는다.
도 3은 도 1의 위치 제공 장치가 스마트 지팡이로 구현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위치 제공 장치가 스마트 지팡이로 구현되어 위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제공 장치(300)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장치(즉, 스마트 지팡이(600))로 구현되는 경우 스마트 지팡이(600)는 바닥에 닿는 부분에 카메라(510)가 있어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미리 삽입된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700)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에게 길을 안내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 지팡이(6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마트 지팡이(600)로 바닥을 짚어가며 걸어가는 경우, 스마트 지팡이(600)는 바닥 자재의 상면을 이동하면서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스마트 지팡이(600)는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7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지팡이(600)는 바닥 자재의 상면을 이동하면서 바닥 자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하고,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A”를 추출한 후 위치 정보 “A”를 사용자 단말(700)에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700)은 스마트 지팡이(6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에 스마트 지팡이(6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따라 경로 이탈 여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의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가 “A ->B->C”이고, 사용자의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에 스마트 지팡이(6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A”가 존재하면 경로 이동 정보를 출력한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의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가 “A ->B->C”이고, 사용자의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에 스마트 지팡이(6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D”가 존재하지 않으면 경로 이탈 정보를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제공 장치(300)는 바닥 부재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가 삽입된 상기 바닥 부재를 스캔한다(단계 S510).
위치 제공 장치(300)는 바닥 부재에 미리 삽입된 망점을 추출한 후(단계 S520) 상기 추출된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생성한다(단계 S530). 위치 제공 장치(300)는 코드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코드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한다(단계 S530).
도 5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위치 제공 장치(300)는 종류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하거나 내부에서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이벤트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제공 장치(300)는 자동 이동 장치(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해당 위치에 설치된 바닥 부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한 후 상기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를 비교한 후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위치의 청소를 실행합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제공 장치(300)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지팡이)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경로 이탈 정보를 외부 장치를 통해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제공 장치(300)은 스캔부(310), 코드 생성부(320), 위치 정보 제공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스캔부(310)는 바닥 부재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가 삽입된 상기 바닥 부재를 스캔한다.
코드 생성부(320)는 스캔부(310)에 의해 바닥 부재가 스캔되면, 바닥 부재에 미리 삽입된 망점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생성한다.
위치 정보 제공부(330)는 코드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코드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한다.
제어부(340)는 위치 제공 장치의 종류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하거나 내부에서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이벤트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40)는 상기 위치 제공 장치가 자동 이동 장치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해당 위치에 설치된 바닥 부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한 후 상기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
만일, 제어부(340)는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동일한 경우 미리 결정된 이벤트(즉, 청소)를 실행하고,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40)는 상기 위치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경로 이탈 정보를 외부 장치를 통해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코드 삽입 장치
200: 바닥 자재
300: 위치 제공 장치
310: 스캔부
320: 코드 생성부
330: 위치 정보 제공부
340: 제어부
400: 코드 관리 서버
500: 로봇 청소기
600: 스마트 지팡이

Claims (8)

  1. 위치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바닥 부재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가 삽입된 상기 바닥 부재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바닥 부재에 미리 삽입된 망점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코드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코드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공 장치의 종류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하거나 내부에서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제공 장치가 자동 이동 장치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해당 위치에 설치된 바닥 부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한 후 상기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경로 이탈 정보를 외부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가 삽입된 바닥 부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5. 위치 제공 장치에 있어서,
    바닥 부재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가 삽입된 상기 바닥 부재를 스캔하는 스캔부;
    상기 바닥 부재에 미리 삽입된 망점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코드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코드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공 장치의 종류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하거나 내부에서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이벤트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제공 장치가 자동 이동 장치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해당 위치에 설치된 바닥 부재를 스캔하여 망점을 추출한 후 상기 망점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경로 이탈 정보를 외부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KR1020180067151A 2018-06-12 2018-06-12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218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51A KR102189110B1 (ko) 2018-06-12 2018-06-12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51A KR102189110B1 (ko) 2018-06-12 2018-06-12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66A true KR20190140566A (ko) 2019-12-20
KR102189110B1 KR102189110B1 (ko) 2021-01-06

Family

ID=6906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151A KR102189110B1 (ko) 2018-06-12 2018-06-12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537B1 (ko) * 2021-02-22 2021-12-03 (주)대경기술단 드론을 이용한 건축물 감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825A (ja) * 2000-11-30 2002-06-11 Hitachi Cable Ltd 視覚障害者誘導・警告情報通知システム
KR100856051B1 (ko) * 2006-12-01 2008-09-02 주식회사 이비 시각 장애인용 전자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825A (ja) * 2000-11-30 2002-06-11 Hitachi Cable Ltd 視覚障害者誘導・警告情報通知システム
KR100856051B1 (ko) * 2006-12-01 2008-09-02 주식회사 이비 시각 장애인용 전자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537B1 (ko) * 2021-02-22 2021-12-03 (주)대경기술단 드론을 이용한 건축물 감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110B1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il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electronic aid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10532003B2 (en) Guide robot and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21513B1 (ko) 시각 장애인에게 시각 정보를 촉각 정보로 전달하는 그래픽 햅틱전자보드 및 방법
CN110251004B (zh) 扫地机器人及其清扫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Hemachandra et al. Following and interpreting narrated guided tours
CN104737085B (zh) 用于自主地检测或处理地面的机器人和方法
WO2019159587A1 (ja) リスク評価システム及びリスク評価方法
JP2004246856A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20190140566A (ko) 코드가 삽입된 바닥 자재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Ito et al. Tactile paving detection by dynamic thresholding based on HSV space analysis for developing a walking support system
JP2005103722A (ja) 協調ロボット装置、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ロボット装置
Rajendr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oice assisted smart glasse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google vision api
CN108027609A (zh) 管家机器人及控制方法
KR20180018211A (ko) 자가 학습 로봇
KR20180114537A (ko) 자가 학습 로봇
Boissy et al. Usability testing of a mobile robotic system for in-home telerehabilitation
Shandu et al. AI based pilot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102021394B1 (ko) 인공 지능형 이용자 기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방법
Kuramochi et al. Recognition of elevators with the Kinect can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Ching et al. SINVI: smart indoor navig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CN105989343A (zh) 导盲犬检测装置及检测方法
Sampath et al. Obstacle classification through acoustic echolocation
CN109129460B (zh) 机器人管理系统
Cai et al. Navigating Real-World Challenges: A Quadruped Robot Guiding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Diverse Environments
Jubril et al. A multisensor electronic traveling aid for the visually impai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