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156B1 -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156B1
KR101614156B1 KR1020150138827A KR20150138827A KR101614156B1 KR 101614156 B1 KR101614156 B1 KR 101614156B1 KR 1020150138827 A KR1020150138827 A KR 1020150138827A KR 20150138827 A KR20150138827 A KR 20150138827A KR 101614156 B1 KR101614156 B1 KR 10161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board
camera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준기
Original Assignee
홍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준기 filed Critical 홍준기
Priority to KR102015013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이 이용하는 도구와 큐알(QR) 코드를 이용하여 주변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카메라(200)를 통해 입력된 큐알(QR) 코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큐알(QR) 코드 정보를 음성과 영상으로 변환하는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 큐알(QR) 코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100)로 전송하는 카메라(200); 상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서 분석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300); 상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서 분석된 영상을 출력하는 LCD(400); 상기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용 보드(100), 카메라(200), 스피커(300) 및 LCD(4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존의 점자 블록에 큐알(QR) 코드가 그려진 이미지를 점착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점자 블록을 새로 제작해서 문제를 해결하지 않아도 되며 저렴한 비용으로 장애인에게 주변 정보를 안내할 수 있으며, 시각, 청각, 인지장애, 노인 등 많은 범위의 사회적 약자에게 큐알(QR) 코드를 이용한 주변 정보 안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QR(Quick Response) code scanning system for blind person}
본 발명은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주변정보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이 이용하는 도구와 큐알(QR) 코드를 이용하여 주변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은 혼자 힘으로는 목적지를 찾아가기 어렵다. 때문에 맹도견이나 타인의 힘을 빌리게 되는데, 육체적으로나 심적으로 매우 불편한 일이다. 특히 언제라도 외출하고 싶을 때 동반자 없이 혼자 자유롭게 외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도우미의 도움 없이 목표 지점까지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IT 전자 기기가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IT 전자기기는 전방의 장애물을 알아서 탐지하고 이동경로 상의 정확한 보행선을 유도하며, 전체 보행 경로를 안내해 준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지팡이 등에 부착하면 매우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가령, 현재 시각장애인은 점자 블록과, 백색 지팡이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것이 가장 보편화 되어 있다. 최근에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기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보행 보조기기 지팡이만을 의지하여 동반자 없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가는 것은 쉽지 않다. 즉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은 감지하지만 이동경로를 알려주지 못하는 결정적 한계가 있다.
또한 GPS 시스템은 전체적인 이동경로 정보를 제공해 주지만 보도와 같이 좁은 공에서 정확한 보행지점을 알려줄 정도로 해상도가 높지 않은 결정적 단점이 있다. 특히 목적지에 도달하면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RFID 태그를 점자 블록 등에 설치하고,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그 정보를 읽어들여 위치를 확인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보행안내 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인식 범위가 상이한 각각의 장치만으로는 시각장애인의 이동 경로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안내할 수 없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06401호(2011년 01월 20일 공개 - 시각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91437호(2011년 12월 07일 공고 -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 시스템) 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66477호(2014년 06월 02일 공개 - 시각장애인 보행안내 시스템 및 방법) 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9542호(2014년 11월 07일 공고 - 시각장애인 길안내를 위한 지팡게이션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애인들이 이동 중 필수적으로 휴대하여야 하는 장애인용 도구에 각종 다양한 정보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큐알(QR) 코드를 스캔하여 큐알(QR) 코드의 정보를 영상과 음성으로 장애인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주변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은 카메라(200)를 통해 입력된 큐알(QR) 코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큐알(QR) 코드 정보를 음성과 영상으로 변환하는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 큐알(QR) 코드 영상을 촬영하여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용 보드(100)로 전송하는 카메라(200);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서 분석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300);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서 분석된 영상을 출력하는 LCD(400);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용 보드(100), 카메라(200), 스피커(300) 및 LCD(4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는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큐알(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LCD(40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부(110)와,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큐알(QR) 코드를 분석하는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와,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스피커(300)에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LCD(400)에서는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큐알(QR) 코드 처리부(130)와, 큐알(QR)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 연결된 카메라(200), 스피커(300) 및 LCD(400)에 처리할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140)와,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스피커(300)에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음성변환부(150)와, LCD(400)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인식부(160)와, 건전지(500)로부터의 전원을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 및 영상변환부(110), 큐알(QR) 코드 분석부(120), 큐알(QR) 코드 처리부(130), 메모리부(140), 음성변환부(150), 터치인식부(160) 및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터치인식부(160)의 터치에 따라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큐알(QR)의 정보가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와 큐알(QR) 코드 처리부(130)에서 분석 및 처리되면 스피커(300)와 LCD(400)를 통해 음성 및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영상변환부(110)와 음성변환부(150)에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는 지팡이(600)로 구성되는 경우 지팡이(600)의 내부 중 하부에 QR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00)가 구비되고, 카메라(200)는 케이블을 통해 지팡이 손잡이에 연결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 설치보드(610) 내부에 형성된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 연결되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 설치보드(610)의 상부에는 스피커(300)와 LCD(400)와 형성되고, 지팡이(600) 하부는 카메라(200)를 보호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투명보호 캡(620)이 구성되며, LCD(400)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버튼 클릭 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python(파이썬) 코드가 이용되고, 카메라 촬영 및 큐알(QR) 코드 인식을 위한 명령어 및 카메라 셋팅, 음성 출력은 쉘 스크립트(shell script)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40)에 프로그램되고, 지팡이(600)는 ABS, 스테인레스를 재료로 하여, 에폭시나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작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의 점자 블록에 큐알(QR) 코드가 그려진 이미지를 점착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점자 블록을 새로 제작해서 문제를 해결하지 않아도 되며 저렴한 비용으로 장애인에게 주변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둘째, 시각, 청각, 인지장애, 노인 등 많은 범위의 사회적 약자에게 큐알(QR) 코드를 이용한 주변 정보 안내가 가능하다.
셋째, 장애인 스스로 현재 위치 파악 및 주변의 위험물이나 주요 기관을 알 수 있으며, 자신의 개인 정보도 내장하여 실종이나 미아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점자블록이 시각장애인만을 위한 사회적 비용이 아닌 다양한 사회적 약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 전환이 가능하고, 지방자치에서 지역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다섯째, GPS 방식과는 달리 지하(지하철, 지하도, 건물 지하) 에서도 장애인용 도구를 통한 안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를 지팡이에 구현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장애인용 보도 블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큐알(QR) 코드를 부착한 장애인용 보도 블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큐알(QR) 코드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버튼 클릭시 실행되는 python 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카메라 촬영 및 큐알(QR) 코드 인식 소프트웨어 실행 shell script 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카메라 셋팅 및 추가 화면 출력 shell script 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카메라에 촬영된 큐알(QR) 코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는 shell script 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의 제품 초기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의 제품 전원 온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의 카메라 작동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의 시각 정보 출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를 지팡이에 구현 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은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용 보드(100), 카메라(200), 스피커(300), LCD(400) 및 건전지(500)로 구성된다.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는 카메라(200)를 통해 입력된 큐알(QR) 코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큐알(QR) 코드에 대하여 스피커(300)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고, LCD(400)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건전지(5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카메라(200), 스피커(300) 및 LCD(400)로 공급한다. 한편 LCD(400)는 영상을 출력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 LCD로 구성된다.
카메라(200)는 영상을 입력받아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100)로 전송하는데, 웹캠(webc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피커(300)는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서 분석된 음성을 출력한다.
LCD(400)는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서 분석된 영상을 출력하는데,
건전지(500)는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용 보드(100), 카메라(200), 스피커(300) 및 LCD(4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는 영상변환부(110), 큐알(QR) 코드 분석부(120), 큐알(QR) 코드 처리부(130), 메모리부(140), 음성변환부(150), 터치인식부(160), 전원공급부(170) 및 제어부(180)로 구성된다.
영상변환부(110)는 카메라(100)로부터 촬영된 큐알(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LCD(40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영상으로 변환한다.
큐알(QR) 코드 분석부(120)는 카메라(100)로부터 촬영된 큐알(QR) 코드를 분석한다.
큐알(QR) 코드 처리부(130)는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스피커(300)에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LCD(400)에서는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메모리부(140)는 큐알(QR)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 연결된 카메라(200), 스피커(300) 및 LCD(400)에 처리할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음성변환부(150)는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스피커(300)에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변환한다.
터치인식부(160)는 LCD(400)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한다.
전원공급부(170)는 건전지(500)로부터의 전원을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 공급한다.
제어부(180)는 영상변환부(110), 큐알(QR) 코드 분석부(120), 큐알(QR) 코드 처리부(130), 메모리부(140), 음성변환부(150), 터치인식부(160) 및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를 지팡이에 구현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를 지팡이에 구현한 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팡이(600)의 내부 중 하부에 QR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00)가 구비되고, 카메라(200)는 케이블을 통해 지팡이 손잡이에 연결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 설치보드(610) 내부에 형성된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 연결된다.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 설치보드(610)의 상부에는 스피커(300)와 LCD(400)와 형성된다.
그리고 지팡이(600) 하부는 카메라(200)를 보호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투명 보호캡(62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팡이(600)는 ABS, 스테인레스 등을 재료로 할 수 있으며, 에폭시를 이용하여 그 외형을 제작하거나 최근에 각광받는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장애인용 보도 블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큐알(QR) 코드를 부착한 장애인용 보도 블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큐알(QR) 코드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인 장애인용 보도 블럭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란색 바탕에 점형이나 선형의 돌출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점형이나 선형의 보도 블럭에 따라 시각장애인은 보행할 때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으로 위치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시각장애인이 위치와 방향을 제대로 알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보도 블럭은 시각장애인이 보도의 형태나 보행 코스에 대해서 어느 정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횡단보도·지하철도역·버스정류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됩니다. 블록의 형태는 발바닥의 촉감, 시각장애인용 흰 지팡이의 터치 기술, 일반 보행자와의 관계, 도시 미관 등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된다.
이러한 보도 블럭은 정보의 인지와 구별에 따라 크게 위치표시용과 방향표시용으로 나뉜다. 위치표시용은 점자유도블록이라고도 한다. 보행 분기점·대기점·시발점·종료지점 등의 위치를 표시하며, 위험물이나 위험지역을 알리는 역할도 합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큐알(QR) 코드를 부착한 장애인용 보도 블럭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형의 보도블럭에 큐알(QR) 코드를 부착하였다.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시각장애인이나 주변에 대한 인지능력이 부족한 노인의 경우 집 밖을 돌아다니기가 상당히 힘이 든 경우가 있는데 이는 주변이 어딘지 잘 알지를 못해 혼자 돌아다니다 보면 길을 잃기가 쉽고 실제로 하루 평균 노인 미아 접수 건이 200여 건이나 되기도 한다.
큐알(QR) 코드는 바코드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격자무늬의 2차원 코드로써,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받고 있다.
이러한 큐알(QR) 코드는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 형식의 코드로, ‘QR’이란 ‘Quick Response’의 머리글자이다.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 정보만 저장할 수 있는 반면 QR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ASCII) 최대 4,296자, 이진(8비트) 최대 2,953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 바코드보다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이 뛰어나다. 바코드가 주로 계산이나 재고관리, 상품확인 등을 위해 사용된다면 QR코드는 마케팅이나 홍보, PR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QR코드는 QR코드 만들기 사이트를 이용해 누구나 자신만의 QR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즉, 개인사업자나 무엇인가를 홍보하고 싶은 사람은 명함에 고유의 QR코드를 부착함으로써 자신을 소개할 수 있고, SNS나 오프라인 광고지에 삽입해 자신이 알리고 싶은 것을 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 및 장점을 이용하여 도 6과 같이 큐알(QR) 코드를 만들어 장애인용 보도 블럭에 붙인다면 장애인들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버튼 클릭(TOUCH)시 실행되는 python 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카메라 촬영 및 큐알(QR) 코드 인식 소프트웨어 실행 shell script 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카메라 셋팅 및 추가 화면 출력 shell script 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카메라에 촬영된 큐알(QR) 코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는 shell script 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은 LCD(400)를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버튼 클릭 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python(파이썬) 코드를 이용하고, 카메라 촬영 및 큐알(QR) 코드 인식을 위한 명령어 및 카메라 셋팅, 음성 출력 등을 shell script 를 이용하여 구성된 예를 보여준다. 다시 말하면 특별한 어려움 없이 구성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장점이라 할 수 있고, 그와 같은 장점에 의해 저렴한 가격에 우수한 품질의 장애인에게 필요한 보조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의 제품 초기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의 제품 전원 온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의 카메라 작동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의 시각 정보 출력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의 LCD로 구성되는 화면에 큐알(QR) 코드에 따른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은 물론 청각장애인에게도 유리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를 지팡이에 구현 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를 지팡이에 구현 한 일 예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로 구현하여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용 보드
110 : 영상변환부 120 : 큐알(QR) 코드 분석부
130 : 큐알(QR) 코드 처리부 140 : 메모리부
150 : 음성변환부 160 : 터치인식부
170 : 전원공급부 180 : 제어부
200 : 카메라 300 : 스피커
400 : LCD 500 : 건전지
600 : 지팡이
610 :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 설치보드
620 : 투명 보호캡

Claims (3)

  1. 정사각형상의 점자 블록의 블록 바디의 상면에 주의, 정지를 유도하거나 진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돌출된 돌출부에 복수의 큐알(QR) 코드 각각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점자 블록 위를 사용자가 지팡이(6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걸어가는 동안에 상기 지팡이(600)를 상기 점자 블록의 돌출부에 접촉하여 정보를 인지할 때 상기 지팡이(600)의 카메라(200)가 돌출부에 위치하는 큐알(QR) 코드를 촬영하여 큐알(QR) 코드 영상을 생성하면 상기 큐알(QR) 코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큐알(QR) 코드 정보를 음성과 영상으로 변환하는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
    큐알(QR) 코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용 보드(100)로 전송하는 카메라(200);
    상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서 분석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300);
    상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서 분석된 영상을 출력하는 LCD(400);
    상기 큐알(QR) 코드 해석 장치용 보드(100), 카메라(200), 스피커(300) 및 LCD(4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는 상기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큐알(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LCD(40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부(110)와,
    상기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큐알(QR) 코드를 분석하는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와,
    상기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스피커(300)에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상기 LCD(400)에서는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큐알(QR) 코드 처리부(130)와,
    상기 큐알(QR)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 연결된 상기 카메라(200), 스피커(300) 및 LCD(400)에 처리할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140)와,
    상기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큐알(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스피커(300)에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음성변환부(150)와,
    상기 LCD(400)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인식부(160)와,
    상기 건전지(500)로부터의 전원을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 및
    상기 영상변환부(110), 큐알(QR) 코드 분석부(120), 큐알(QR) 코드 처리부(130), 메모리부(140), 음성변환부(150), 터치인식부(160) 및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상기 터치인식부(160)의 터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큐알(QR)의 정보가 상기 큐알(QR) 코드 분석부(120)와 큐알(QR) 코드 처리부(130)에서 분석 및 처리되면 상기 스피커(300)와 LCD(400)를 통해 음성 및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영상변환부(110)와 음성변환부(150)에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는
    지팡이(600)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지팡이(600)의 내부 중 하부에 QR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200)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200)는 케이블을 통해 지팡이 손잡이에 연결된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 설치보드(610) 내부에 형성된 큐알(QR) 코드 해석장치용 보드(100)에 연결되며,
    상기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장치 설치보드(610)의 상부에는 상기 스피커(300)와 LCD(400)와 형성되고,
    상기 지팡이(600) 하부는 카메라(200)를 보호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투명보호 캡(620)이 구성되며,
    상기 LCD(400)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버튼 클릭 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python(파이썬) 코드가 이용되고, 상기 카메라 촬영 및 큐알(QR) 코드 인식을 위한 명령어 및 카메라 셋팅, 음성 출력은 쉘 스크립트(shell script)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50138827A 2015-10-01 2015-10-01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 KR10161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27A KR101614156B1 (ko) 2015-10-01 2015-10-01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27A KR101614156B1 (ko) 2015-10-01 2015-10-01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156B1 true KR101614156B1 (ko) 2016-04-21

Family

ID=5591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827A KR101614156B1 (ko) 2015-10-01 2015-10-01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1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9452A (zh) * 2017-11-22 2018-02-09 佛山市海科云筹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充电的盲杖
CN107736995A (zh) * 2017-11-22 2018-02-27 佛山市海科云筹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扫描二维码的盲杖
CN107913160A (zh) * 2017-11-22 2018-04-17 佛山市海科云筹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电子支付功能的盲杖
WO2020245991A1 (ja) * 2019-06-06 2020-12-10 マクセル株式会社 道案内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携帯情報端末
KR20240033444A (ko) 2022-09-05 2024-03-12 조정우 점자를 이용한 qr코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368A (ja) * 1998-09-30 2000-04-21 Hajime Oishi 盲人用ガイドシステム
US7267281B2 (en) 2004-11-23 2007-09-11 Hopkins Billy D Location, orientation, product and color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blind or visually impair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368A (ja) * 1998-09-30 2000-04-21 Hajime Oishi 盲人用ガイドシステム
US7267281B2 (en) 2004-11-23 2007-09-11 Hopkins Billy D Location, orientation, product and color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blind or visually impaire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9452A (zh) * 2017-11-22 2018-02-09 佛山市海科云筹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充电的盲杖
CN107736995A (zh) * 2017-11-22 2018-02-27 佛山市海科云筹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扫描二维码的盲杖
CN107913160A (zh) * 2017-11-22 2018-04-17 佛山市海科云筹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电子支付功能的盲杖
WO2020245991A1 (ja) * 2019-06-06 2020-12-10 マクセル株式会社 道案内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携帯情報端末
KR20240033444A (ko) 2022-09-05 2024-03-12 조정우 점자를 이용한 qr코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156B1 (ko) 장애인용 큐알(qr) 코드 해석 시스템
Jafri et al. Computer vision-based object recogni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an indoors environment: a survey
Jain Path-guided indoor navig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minimal building retrofitting
KR101841531B1 (ko) Nfc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KR20130086861A (ko) 전자식지팡이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Dunai et al. Obstacle detector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102324740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객체 위치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50097043A (ko) 스마트 안경 및 지팡이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보조 시스템 및 방법
Takizawa et al. Kinect cane: Object recognition aids for the visually impaired
Shukla et al. Enhancing User Navigation Experience, Object identification and Surface Depth Detection for" Low Vision" with Proposed Electronic Cane
US8812231B1 (en) GPS guided walking cane
KR101847764B1 (ko) 시각장애인용 정보 획득 시스템
KR20160028891A (ko) 깊이 카메라와 방향 센서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장애물 인식 장치
Ilag et al. Design review of Smart Stick for the Blind Equipped with Obstacl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30031423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움직임센서 및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촉각신호로 변환되는 시스템
KR101683160B1 (ko) 시각장애인용 사물 인지 시스템
Zhang et al. A multiple sensor-based shoe-mounted user interface designed for navigation systems for the visually impaired
Zhang et al. Development of a shoe-mounted assistive user interface for navigation
KR102034599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여 손목으로 점자를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스마트 밴드 시스템
KR20180049470A (ko) 대형 재난 현장 대응을 위한 nfc 태그 환자 식별띠 및 비콘을 이용한 응급 이송 관리 스마트 시스템
KR20170004303A (ko) 스마트 손잡이
Takatori et al. Development of voic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by using IC tags
KR20140104122A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장치
WO2020245991A1 (ja) 道案内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携帯情報端末
Bolla et al. Object Detection in Computer Vision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