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206A -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206A
KR20190140206A KR1020180066710A KR20180066710A KR20190140206A KR 20190140206 A KR20190140206 A KR 20190140206A KR 1020180066710 A KR1020180066710 A KR 1020180066710A KR 20180066710 A KR20180066710 A KR 20180066710A KR 20190140206 A KR20190140206 A KR 20190140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ver
strip
blood collection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8006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0206A/ko
Publication of KR2019014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061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167Adjustable piercing speed of skin piercing element, e.g. blade, needle, lancet or canula, for example with varying spring force or pneuma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의 채혈과 동시에 혈당 측정이 가능하여 혈당 검사가 간편하고, 정확한 혈당 측정결과를 확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일면에 채혈용 바늘 또는 레이저가 입사되는 포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와 마주하는 타면에 채혈구멍이 형성되어 채혈부위가 위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포트부와 채혈구멍 사이에 센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STRIP ASSEMBLEY FOR BLOOD GLUCOSE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혈액의 채혈과 동시에 혈당 측정이 가능하여 혈당 검사가 간편하고, 정확한 혈당 측정결과를 확보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혈당은 혈액 속에 함유된 포도당을 의미하는 것으로, 혈당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식사요법,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약물치료 등이 필요하고, 이에 더하여 자신의 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 및 점검하는 혈당 검사가 중요하다.
혈당 검사는 특히 당뇨병을 진단하고 관리하기 위해 실시하는 기본적인 검사로서, 가끔씩 병원을 방문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일상에서의 혈당 상태를 꾸준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중에 나와 있는 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스스로 혈당 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기존의 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바늘 등으로 손가락 끝을 찔러 피를 내어 검사용 시험지인 스트립에 묻히면, 혈당측정기가 스트립에 묻은 혈액 속의 포도당을 감지하여 혈당을 표시해준다.
그런데, 기존의 혈당측정 방법은 혈액이 묻게 되는 스트립을 신체 부위로 가져와 직접 접촉하여 혈액을 묻히게 됨으로써, 스트립에 혈액을 묻히기까지의 과정이 번거롭고, 그 과정에서 검사자의 능숙함이나 신중함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스트립에 혈액을 묻힌 후에, 검사혈이 묻은 스트립을 혈당측정기에 삽입하여 혈당 검사를 진행함으로써, 스트립을 혈당측정기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검사혈에 이물이 묻을 수 있는 우려가 있고, 또한 스트립이 혈당측정기에 삽입되기 전까지 검사혈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는바, 혈당 측정결과가 부정확하게 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131462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혈액의 채혈과 동시에 혈당 측정이 가능하여 혈당 검사가 간편하고, 정확한 혈당 측정결과를 확보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면에 채혈용 바늘 또는 레이저가 입사되는 포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와 마주하는 타면에 채혈구멍이 형성되어 채혈부위가 위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포트부와 채혈구멍 사이에 센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포트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가 상기 혈당측정기의 레이저가 발사되는 부분과 마주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일단부에 포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단자노출홈이 형성된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와 겹쳐져서 결합되고, 상기 포트부와 마주하는 일단부에 채혈구멍이 형성된 제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의 단자부가 상기 단자노출홈 내에 위치되어, 상기 단자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의 내면과 제2커버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스트립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 스트립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와,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커버의 테두리에 상호 대응하는 형상의 조립홀 및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와,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커버의 테두리가 초음파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포트부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창이 형성되어 레이저가 투과될 수 있다.
상기 투명창은 포트부의 둘레에 형성된 케이스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트부는 타공이 형성되어 바늘이 투과될 수 있다.
상기 채혈구멍은 일정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혈구멍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에 채혈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혈구멍을 중심으로 케이스의 외면 일부에 오목한 형상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채혈부위를 접촉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채혈용 바늘 또는 레이저에 의해 채혈부위에서 혈액이 나오게 되면, 채혈이 이루어진 혈액이 즉각적으로 스트립에 묻게 됨으로써, 혈액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스트립에 묻힐 수 있어, 혈당검사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스트립이 혈당측정기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스트립에 혈액을 묻히게 됨으로써, 스트립에 묻혀진 혈액에 이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스트립에 혈액이 묻는 즉시 혈당 검사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스트립에 묻은 검사혈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는바, 보다 정확한 혈당 측정결과를 확보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어셈블리의 외관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립어셈블리가 혈당측정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어셈블리를 제1케이스 측에서 바라본 형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어셈블리를 제2케이스 측에서 바라본 형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어셈블리에서 포트부에 투명창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어셈블리에서 포트부에 타공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는, 케이스(100)와 스트립(20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케이스(100)는 일면에 채혈용 바늘 또는 레이저가 입사되는 포트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110)와 마주하는 타면에 채혈구멍(130)이 형성되어 채혈부위가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케이스(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양면 중 일면에 포트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포트부(110)를 통해 케이스(100)의 내부에 채혈용 레이저가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포트부(110)와 반대되는 부분에 위치한 케이스(100)의 타면에는 원형의 채혈구멍(130)이 형성되어 채혈부위인 손가락 끝 부분이 올려지게 되고, 이에 상기 포트부(110)를 통해 입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채혈부위에 올려진 손가락 부분을 채혈할 수 있게 된다.
스트립(2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포트부(110)와 채혈구멍(130) 사이에는 혈액이 묻게 되는 센서부(210)가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포트부(110)를 통해 입사되는 채혈용 바늘 또는 레이저에 의해 채혈구멍(130)에 올려진 채혈부위에서 혈액이 나오게 되면, 혈액이 센서부(210) 위에 떨어지게 되어 스트립(200)에 묻게 된다. 따라서, 채혈이 이루어진 혈액이 즉각적으로 스트립(200)에 묻게 됨으로써, 혈액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스트립(200)에 묻힐 수 있어, 혈당검사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트립어셈블리(20)는 혈당측정기(10)에 장탈착 가능할 수 있고, 특히 스트립어셈블리(20)가 혈당측정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채혈과 동시에 혈당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의 외면에는 원형의 포트부(1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110)가 상기 혈당측정기(10)의 바늘 또는 레이저가 발사되는 부분과 마주하여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포트부(110)의 측면에 장착돌기(180)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돌기(180)가 혈당측정기(10)에 장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혈당측정기(10)에는 상기 장착돌기(180)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장착돌기(180)가 끼워져 장착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포트부(110)와 마주하는 혈당측정기(10)에는 바늘 또는 레이저가 발사되는 부분이 구비되어, 상기 혈당측정기(10)에서 발사된 바늘 또는 레이저가 포트부(11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에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트립(200)이 혈당측정기(10)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스트립(200)에 혈액을 묻히게 됨으로써, 스트립(200)에 묻혀진 혈액에 이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스트립(200)에 혈액이 묻는 즉시 혈당 검사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스트립(200)에 묻은 검사혈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는바, 혈당 측정결과가 정확하게 나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0)는 제1커버(100a)와 제2커버(100b)를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커버(100a)는 일단부에 포트부(11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대략 'U'형상의 단자노출홈(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커버(100b)는 상기 제1커버(100a)와 겹쳐져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포트부(110)와 마주하는 일단부에 채혈구멍(130)이 형성되고, 상기 타단부 외면에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를 혈당측정기(10)에 장탈착시에 사용된다.
특히, 상기 스트립(200)의 단자부(220)가 상기 단자노출홈(120) 내에 위치되어, 상기 단자부(220)가 외부로 노출되고,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220)는 상기 혈당측정기(10)에 장착시 혈당측정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혈액의 성분을 혈당측정기(10)에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100a)의 내면과 제2커버(100b)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스트립(200)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160)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60) 내에 스트립(200)이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립(200)은 얇고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스트립(200)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160)이, 예컨대 제1커버(100a)의 내면과 제2커버(100b)의 내면 모두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60) 내에 스트립(200)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커버(100a)와 제2커버(100b)는 홈과 돌기의 조립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커버(100a)의 내면 테두리와,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커버(100b)의 내면 테두리에는 상호 대응하는 형상의 조립홀(170a) 및 조립돌기(170b)가 복수 형성되어 상기 조립홀(170a)과 조립돌기(170b)의 결합에 의해 제1커버(100a)와 제2커버(100b)가 조립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상기 제1커버(100a)와 제2커버(100b)가 접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제1커버(100a)의 내면 테두리와,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커버(100b)의 내면 테두리가 초음파 접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트부(110)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트부(110)에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창(112)이 형성되어 레이저가 투과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트부(110) 뿐만 아니라, 제1커버(100a)와 제2커버(100b)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이저가 입사되는 포트부(110) 부분에 투명창(112)이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에 의해 채혈부위에 그을음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포트부(110)를 통해 레이저가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된다.
아울러, 상기 투명창(112)은 포트부(110)의 둘레에 형성된 케이스(10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포트부(110) 둘레에 형성된 제1커버(100a)의 두께 대비하여 투명창(112)의 두께를 적어도 50% 이하의 얇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투명창(112)을 투과한 레이저를 이용한 채혈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트부(110)의 다른 예시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트부(110)에는 타공(114)이 형성되어, 바늘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즉, 바늘이 입사되는 포트부(110) 부분에 타공(114)이 형성되어, 상기 타공(114)을 통해 바늘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이 된다.
한편, 제2커버(100b)에 형성된 채혈구멍(130)은 일정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채혈구멍(130)의 입구(130a)측과 출구(130b)측 사이에 채혈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채혈공간(140)의 입구(130a)와 센서부(210) 사이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여 그 간격 사이에 채혈공간(140)이 조성됨으로써, 채혈부위가 센서부(210)를 향해 돌출되는 공간과 함께 채혈부위에서 채혈된 혈액이 방울진 형상으로 나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혈액이 센서부(210)에 더욱 잘 묻게 된다.
아울러, 상기 채혈구멍(130)을 중심으로 케이스(100)의 외면 일부에 오목한 형상을 갖는 안착부(150)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50)에 채혈부위를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채혈부위인 손가락 끝 부분 형태에 맞추어 안착부(150)를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채혈부위가 안착부(150)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혈용 바늘 또는 레이저에 의해 채혈부위에서 혈액이 나오게 되면, 채혈이 이루어진 혈액이 즉각적으로 스트립(200)에 묻게 됨으로써, 혈액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스트립(200)에 묻힐 수 있어, 혈당검사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더욱이, 스트립(200)이 혈당측정기(10)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스트립(200)에 혈액을 묻히게 됨으로써, 스트립(200)에 묻혀진 혈액에 이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스트립(200)에 혈액이 묻는 즉시 혈당 검사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스트립(200)에 묻은 검사혈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는바, 보다 정확한 혈당 측정결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혈당측정기
20 : 스트립어셈블리
100 : 케이스
100a : 제1커버
100b : 제2커버
110 : 포트부
112 : 투명창
114 : 타공
120 : 단자노출홈
130 : 채혈구멍
130a : 입구
130b : 출구
140 : 채혈공간
150 : 안착부
160 : 수용홈
170a : 조립홀
170b : 조립돌기
180 : 장착돌기
200 : 스트립
210 : 센서부
220 : 단자부

Claims (11)

  1. 일면에 채혈용 바늘 또는 레이저가 입사되는 포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와 마주하는 타면에 채혈구멍이 형성되어 채혈부위가 위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포트부와 채혈구멍 사이에 센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스트립;을 포함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포트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가 상기 혈당측정기의 바늘 또는 레이저가 발사되는 부분과 마주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단부에 포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단자노출홈이 형성된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와 겹쳐져서 결합되고, 상기 포트부와 마주하는 일단부에 채혈구멍이 형성된 제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의 단자부가 상기 단자노출홈 내에 위치되어, 상기 단자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내면과 제2커버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스트립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 스트립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와,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커버의 테두리에 상호 대응하는 형상의 조립홀 및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와,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커버의 테두리가 초음파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창이 형성되어 레이저가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포트부의 둘레에 형성된 케이스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는 타공이 형성되어 바늘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혈구멍은 일정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혈구멍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에 채혈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혈구멍을 중심으로 케이스의 외면 일부에 오목한 형상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채혈부위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KR1020180066710A 2018-06-11 2018-06-11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KR20190140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10A KR20190140206A (ko) 2018-06-11 2018-06-11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10A KR20190140206A (ko) 2018-06-11 2018-06-11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206A true KR20190140206A (ko) 2019-12-19

Family

ID=6905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710A KR20190140206A (ko) 2018-06-11 2018-06-11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02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350A (ko) 2020-10-16 2022-04-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충전 커패시터를 이용한 혈당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350A (ko) 2020-10-16 2022-04-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충전 커패시터를 이용한 혈당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1408B2 (en) Handheld diabetes managing device with light pipe for enhanced illumination
US7731900B2 (en) Body fluid testing device
JP3337670B2 (ja) 体液サンプルを分析し検出装置で読み取るための試験片
WO2011008581A2 (en) Devices, methods, and kits for determining analyte concentrations
US20070085995A1 (en) Wearable glucometer
ATE493929T1 (de) Integriertes blutprobemessgerät mit teststreifen
JP2003275192A (ja) 血液分析装置
DE19958930A1 (de) Optikausricht- und -kalibriersystem
CN110177503A (zh) 用于检测体液中的至少一种分析物的可植入传感器元件及方法
JP2004248820A (ja) 血液分析装置
KR20190140206A (ko) 혈당측정기용 스트립어셈블리
CA2580810A1 (en) Biological test strip
KR102200165B1 (ko) 포도당 테스트 배열체 및 방법
KR100943095B1 (ko) 변기용 소형 뇨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뇨성분 분석방법
KR20220156907A (ko) 체액 중의 분석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437893B2 (ja) 脈波計
KR101915727B1 (ko) 시료 채취 기구
JP2010185750A (ja) 体液分析センサ及び分析チップ
US116623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 situ measuring and collecting samples of analyte concentration in bodily fluids
JP2011007717A (ja) 測定デバイス及び測定装置
JP5011936B2 (ja) 血液検査装置
CN108601562B (zh) 用于血液和/或组织液分析物的测量装置
CN114136933A (zh) 一种基于微流道芯片的葡萄糖荧光传感检测装置与方法
JPH0395457A (ja) 試験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