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875A - 촬상장치,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875A
KR20190139875A KR1020197030453A KR20197030453A KR20190139875A KR 20190139875 A KR20190139875 A KR 20190139875A KR 1020197030453 A KR1020197030453 A KR 1020197030453A KR 20197030453 A KR20197030453 A KR 20197030453A KR 20190139875 A KR20190139875 A KR 2019013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lens
coil
imag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지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25Detecting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253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초점 위치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촬상장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렌즈로부터의 피사체광을 광전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체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에 포함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한다. 검출부는,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는, 렌즈의 위치를 유도 기전력으로부터 검출한다. 본 기술은, 촬상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장치, 전자 기기
본 기술은 촬상장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렌즈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촬상장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촬상장치의 고화소화, 고성능화, 소형화 등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촬상장치의 고화소화나 고성능화에 따라, 촬상장치에 실장되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소자의 소비전력이 크게 되어 오고 있다.
또한 렌즈 초점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등의 소비전력도 크게 되어 오고 있기 때문에, 촬상장치로서의 소비전력도 커지는 경향에 있다.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구동 신호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하여, 소비전력을 반분 정도로 억제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액추에이터를 PWM 구동하면 자계(磁界)가 발생하고, 촬상소자의 외란 요인이 되어 노이즈가 혼입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해, 촬상소자의 구동 파형과 PWM 신호를 생성하는 오토 포커스 드라이버의 동기를 취하여, 촬상소자의 구동 시간 중의 불감대 영역에서, PWM 파형을 출력함으로써,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촬상장치에서, 고성능화의 하나로서, 렌즈의 초점 위치를 항상 검출하고, 렌즈를 빨리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에 홀 소자를 실장하고, 렌즈의 위치를 외부에 출력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포커스 구동 회로로부터의 PWM 신호로 구동 소자(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렌즈를 구동함에 의해, 렌즈의 초점을 변경하여, 오토 포커스를 실현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고성능의 렌즈의 위치 검출을 위해, 홀 소자를 탑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액추에이터를 PWM 구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에 의한 촬상소자의 노이즈를, 금속판을 가짐에 의해 자계를 차단(실드)함으로써,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PWM 신호(교류 신호)로, 여자 전력과 대향하여 배치된 검출 코일의 기전력에 응하여,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에서는, 검출 코일이 동작하는 렌즈측에 설치되어 있고, 여자 코일과 검출 코일의 평행 이동에서의 기전류(起電流)의 위상으로부터 위치 검출을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개2011-022563호 공보 일본 특개2014-082682호 공보 일본 특개2000-29583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홀 소자의 실장이 필요해지고, 액추에이터가 커짐에 의해 소형화가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홀 소자를 탑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촬상장치가 고가(高價)가 된다는 우려도 있다.
특허문헌 2에 의하면, 자계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판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이 사용되기 때문에, 촬상장치가 고가가 된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자계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판을 마련하여도, 촬상장치의 소형화에는 공헌하지 않는다.
근래의 액추에이터는, 렌즈의 외측에 코일이 배치되어 있고, 이 코일이 여자 전력에 응하여, 촬상소자의 수직측으로 이동하여, 초점 검출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대해, 특허문헌 3을 적용하면, 여자 전력의 코일과 검출 코일이 대향 배치되어 있고, 평행 이동으로는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즉, 근래의 액추에이터에 대해, 특허문헌 3을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고성능화, 저소비전력화, 소형화가 가능한 촬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한 측면의 촬상장치는,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의 상기 피사체광을 광전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체(基體)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포함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한 측면의 전자 기기는,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의 상기 피사체광을 광전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체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포함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한 측면의 촬상장치에서는,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렌즈로부터의 피사체광을 광전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체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 액추에이터에 포함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가 검출된다.
또한, 촬상장치, 전자 기기는, 독립한 장치라도 좋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라도 좋다.
본 기술의 한 측면에 의하면, 고성능화, 저소비전력화, 소형화가 가능한 촬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효과라도 좋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촬상장치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발생하는 자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형성되는 코일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검출 회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렌즈의 위치와 유도 기전량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몸체에 코일을 형성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몸체에 코일을 형성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스페이서에 코일을 형성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내시경 수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카메라 헤드 및 CCU의 기능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차외 정보 검출부 및 촬상부의 설치 위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에,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의 형태라고 한다)에 관해 설명한다.
<촬상장치의 구성>
본 기술은,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촬상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예를 들면, 휴대 단말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기술의 한 측면의 촬상장치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1)는, 피사체로부터의 피사체광을 광전변환하여 촬상하는 CCD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소자(11)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장치(1)는,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렌즈(16)를 가지며, 렌즈(16)를 투과한 광신호로부터, 적외광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 커트 필터(infrared cut filter)(17)를 갖고 있다. 또한, 촬상장치(1)는, 렌즈(16)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촬상소자(11)의 방향으로 상하로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18)도 갖는다.
또한 촬상장치(1)는, 액추에이터(18)를 외부로부터 컨트롤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드라이버(20)를 가지며, 촬상소자(11)의 전기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회로 기판(13)도 갖는다. 또한 여기서는, 회로 기판(13)이라고 기술하지만, 판형상의 기판이 아니라도 좋고, 회로 기체(基體)라도 좋다.
또한, 촬상장치(1)는, 촬상소자(11)와 회로 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금속 와이어(12)를 가지며, 촬상소자(11)와 회로 기판(13)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재(15)를 가지며, 전술한 액추에이터(18)와 회로 기판(13)을 고정하기 위한 스페이서(14)도 갖고 있다.
촬상장치(1)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전술한 오토 포커스 드라이버(20)는, 액추에이터(18)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을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액추에이터(18)는, 입력된 PWM 파형으로 렌즈(16)의 초점을 구동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회로 기판(13)은, PWM 파형으로 발생한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며, 검출된 유도 기전력으로부터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검출한 결과를 외부에 출력함에 의해, 고성능의 렌즈의 초점 이동을 실현하는 기능도 갖는다.
<유도 기전력의 검출에 관해>
도 2는, PWM 파형에 의한 발생하는 자계와, 그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액추에이터(18)는, 보이스 코일 모터 구조를 가지며, 코일(21)은, 스프링(23)에 의해 지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렌즈 캐리어의 측면에, 코일(21)이 마련되고, 코일(21)이 대항하는 측에, 마그넷(22)이 마련되어 있다.
코일(2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도면 중 상하 방향으로 힘이 발생한다. 이 발생된 힘으로, 렌즈 배럴이 지지하고 있는 렌즈(16)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촬상소자(11)의 거리가 변화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오토 포커스(AF : Auto-Focus)가 실현된다.
그런데, 코일(21)에 흘리는 전류를, 일정한 전압치를 갖는 신호(항상 Hi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신호)로 한 경우보다도, PWM 파형 구동의 신호(Hi와 Low가 소정의 주기로 교체되는 신호)로 한 쪽이, Hi의 상태가 계속되는 신호보다도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래서,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코일(21)에 공급하는 신호를, PWM 파형 구동의 신호로 한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자계가 발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계는, 렌즈(16)측부터, 촬상소자(11)를 향하는 방향의 자계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류 방향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자계는 발생하지만, 여기서는 도 2에 도시한 방향으로 자계가 발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계속한다.
발생한 자계는, 촬상소자(11)를 투과한다. 이 때문에, 촬상소자(11)에서 촬상되는 화상에 영향을 주어 버릴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자계의 영향을 받아, 노이즈가 발생하고, 그 잡음이 혼재된 화상(화상 신호)이, 촬상소자(11)로부터 출력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PWM 파형의 구동과 촬상소자(11)의 구동의 신호를 동기시켜, 촬상소자(11)의 노이즈가 되는 구동 기간에 자계를 발생시키지 않게 함으로써, 자계로부터의 노이즈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기에 의해, 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화상을, 촬상장치(1)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코일(21)에 PWM 파형 구동의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계는, 회로 기판(13)에도 도달한다. 이 회로 기판(13)에 도달하는 자계의 강도를 검출함으로써,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3)에는, 코일(32)이 마련되어 있다. PWM 파형 구동에서 발생한 자계와 수직 방향으로 코일(32)을 마련함에 의해, 코일(32)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고, 유도 기전력의 크기에 의해, 렌즈(16)(렌즈 홀더)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렌즈(16)(렌즈 홀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 환언하면, 렌즈(16)와 촬상소자(11)와의 간격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고성능의 렌즈 구동, 즉 오토 포커스를 실현할 수 있다.
우선 여기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3)상에 검출 회로(31)의 일부를 구성하는 코일(32)을 실장함으로써 유도 기전력을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검출 회로(31)의 일부를 구성하는 코일(32)의, 회로 기판(13)에의 실장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코일(32)은, 시점(始點)(32a)과 종점(終點)(32b)이 있고, 시점(32a)과 종점(32b)은,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검출 회로(31)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32)은, 루프 형상이기 때문에, 또한, 선에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시점(32a)과 종점(32b)중 일방은, 루프의 중간측에 위치하고, 타방은, 루프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시점(32a)과 종점(32b)을 검출 회로(31)에 접속하다, 환언하면, 시점(32a)과 종점(32b)부터 각각 선을 취출하는 것을 생각하면, 코일(32)은, 복수층에 걸쳐서, 형성될 필요가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한다. 가령, 회로 기판(13)을 1층으로 형성한 경우, 코일(32)의 시점(32a)은, 예를 들면, 도면 중 우하측의 점이 되고, 종점은, 코일(32)의 중앙 부분(도 3의 A에서 흑점으로 도시하였다)이 된다. 이 코일(32)의 중앙 부분에 있는 종점부터, 선을 취출하는 경우, 형성되어 있는 코일(32)과 겹쳐지는 부분이 없도록 취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3)을 2층으로 형성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회로 기판(13)은, 회로 기판(13-1)과 회로 기판(13-2)의 2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3-1)에는, 코일(32)의 시점(32a)이 형성되고, 그 시점(32a)부터, 외측부터 내측을 향하는 루프 형상으로 코일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13-1)상에 형성된 코일(32)의 중앙 부분에는, 1층째에서의 코일(32)의 종점이 형성되고, 그 종점부터, 2층째에서의 코일(32)의 시점이 접속되어 있다. 2층째의 회로 기판(13-2)산에서는, 코일(32)은, 시점부터, 내측부터 외측을 향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3-1)상에 형성된 시점(32a)부터, 회로 기판(13-2)상에 형성된 종점(32b)까지는, 루프 형상의 코일(3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회로 기판(13-1)상에 형성된 시점(32a)과, 회로 기판(13-2)상에 형성된 종점(32b)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검출 회로(31)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코일(3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는, 촬상소자(11)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회로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예에서는, 회로 기판(13)이, 2층인 경우를 예로 도시하였지만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층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도 3의 B에 도시한 예에서는, 회로 기판(13-1 내지 13-3)의 3층으로, 회로 기판(13)이 형성되고, 각 회로 기판(13)에, 루프 형상의 코일(32)이 형성되고, 각 층의 코일(32)은, 접속된 하나의 코일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층으로 회로 기판(13)을 형성한 경우, 예를 들면, 제1층째의 회로 기판(13-1)과 제3층째의 회로 기판(13-3)에는, 코일(32)을 형성하고, 제2층째의 회로 기판(13-2)에는, 코일(32)을 형성하지 않고, 회로 기판(13-2)은, 촬상소자(11)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기 위한 회로 전용으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한 경우, 회로 기판(13-2)에는, 회로 기판(13-1)상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32)과 회로 기판(13-3)상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32)을 접속하기 위한 배선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13)은, 복수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층에 걸쳐서, 코일(3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3)의 층수나, 층 구성은, 여기서 도시한 층수, 층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다른 층수, 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회로 기판(13)은, 예를 들면, FPC 등의 구리선으로 배선된 복수의 층(레이어)으로 구성된 기판이고, 촬상소자(11)(도 1)의 전기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역할을 갖는다. 그와 같은 회로 기판(13)에, 또한, 자계의 검출을 위해 구리선을 코일 형상으로 배선한다.
이와 같은 코일(32)에, 액추에이터(18) 내의 코일(21)(도 2)에 전류가 흐르는 때에 발생하는 자계가 흘러들어간다. 그 결과, 코일(32)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은, 페러데이의 법칙에 의해 구할 수 있다.
N감기의 코일을 꿰뚫는 자속이, Δt[s] 사이에, ΔΦ[Wb]만큼 변화할 때,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V)[V]은, 다음 식(1)으로 표시된다.
V=-N·ΔΦ/Δt … (1)
식(1)으로부터, 감는 수(N)가 많아지면, 유도 기전력도 커짐을 알 수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32)을 회로 기판(13)의 복수층에 걸쳐서 형성함으로써, 감는 수를 늘릴 수 있어서, 유도 기전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검출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일(32)에 접속되는 검출 회로(3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로 기판(13)은, 1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같이 도시하고, 설명을 계속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검출 회로의 구성>
도 4는, 검출 회로(31)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코일(32)에서 발생한 유도 기전력은, 검출 회로(31)의 증폭부(51)에 입력되어, 증폭된다. 증폭된 유도 기전력은, A/D(Analog/Digital) 변환부(52)에 입력되어, 아날로그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AF 컨트롤부(53)는, 액추에이터(18)를 제어하는 부분이고, A/D 변환부(52)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로, 렌즈(16)(도 1)의 초점 거리를 인식하고, 보정이 필요한 경우, 환언하면, 초점이 맞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 보정에 필요한 이동 거리에 응한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액추에이터(18)에 공급한다. 또한, AF 컨트롤부(53)는, 오토 포커스(AF)를 제어하는 제어부(5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액추에이터(18)에 공급하는 처리도 행한다.
검출 회로(31)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서 촬상장치(1) 내에 탑재되어도 좋고, 촬상장치(1) 밖에 탑재되어도 좋다. 또한, 집적 회로가 아니라, 소프트웨어로서 실현하여도 좋고, 카메라의 통합 CPU의 소프트웨어로서 실현하여도 좋다.
본 기술에서는, 유도 기전력을 검출하는 기능과, 그 유도 기전력에 의해 렌즈의 초점을 고정밀도로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며, 그들의 기능을, 상기한 바와 같이, 집적 회로나,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경우는 물론, 그 이외의 수법에서 실현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한다.
코일(32)에 흐르는 유도 기전력을 검출함으로써,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관계가 성립되기 때문이다. 도 5는, 렌즈(16)의 위치와 검출된 유도 기전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종축은, 렌즈의 위치를 나타내고, 횡축은, 유도 기전력의 전류량(디지털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11)와 렌즈(16)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오토 포커스가 실현된다. 따라서, 오토 포커스에 의해, 렌즈(16)와 코일(32)과의 거리도 변화한다. 또한 환언하면, 렌즈(16)가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액추에이터(18) 내의 코일(21)(도 2)도 이동한다.
코일(2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가, 코일(32)에 주는 영향은, 렌즈(16)(코일(21))가, 코일(32)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 크고, 렌즈(16)(코일(21))가, 코일(32)과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작다. 따라서, 렌즈(16)(코일(21))가, 코일(32)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 유도 기전력은 커지고, 렌즈(16)(코일(21))가, 코일(32)과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 유도 기전력은 작아진다.
이것을, 그래프로 도시하면, 도 5와 같은 그래프가 된다. 도 5는, 도면 중 상측부터 하측으로 감에 따라, 렌즈(16)가 코일(32)에 대해 근접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5 중 좌측부터 우측으로 감에 따라, 전류치는 커지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5에서는, 렌즈의 가동 범위의 중앙의 위치를 0으로 하고, 전류치도, 소정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를 플러스로 하고, 그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를 마이너스로 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그래프로부터, 유도 기전력은, 1차함수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판독할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유도 기전력과, 렌즈(16)의 위치는, 1대1의 관계에 있는 것을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32)에 흐르는 유도 기전력을 검출함으로써, 그때의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AF 컨트롤부(53)에 의해, 소망되는 위치(A)로 렌즈(16)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 후의 렌즈(16)의 위치인 위치(B)를, 검출 회로(31)에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소망되는 위치(A)와 검출된 위치(B)에 어긋남이 있는 경우, 그 어긋남을 보정하여, 소망되는 위치(A)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의 렌즈 이동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몸체에 검출 회로를 형성한 실시의 형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11)의 하측에 있는 회로 기판(13)에, 검출 회로(31)와 접속된 코일(32)을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하, 촬상소자(11)에 대해 렌즈(16)가 있는 측을 상측으로 하고, 회로 기판(13)이 있는 측을 하측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액추에이터(18)에 포함되는 코일(21)로부터의 자계는, 촬상소자(11)의 하측에 있는 회로 기판(13)뿐만 아니라, 렌즈(16)의 상측(수광면측)에도 발생하고 있다. 즉,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코일(21)로부터의 자계를, 촬상소자(11)의 하측의 회로 기판(13)에서 받아, 유도 기전력을 검출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촬상소자(11)의 상측,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몸체(101)에서 받아, 유도 기전력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6에, 스마트폰의 외관의 구성례를 도시하였다. 근래의 스마트폰에는, 카메라가 탑재된 것이 많다. 그 카메라의 렌즈가 있는 부분은, 몸체(101)의 일부에 렌즈창(102)이 마련되고, 그 렌즈창(102)의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렌즈창(102)의 주위의 영역에, 코일(32)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7은, 렌즈창(102)의 주위의 영역에, 코일(32)을 형성한 때의 촬상장치(1)의 단면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촬상장치(1b)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1a)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같고, 같은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촬상장치(1b)의 렌즈(16)의 상방에는, 렌즈창(102)이 위치하고 있다. 그 렌즈창(102)이 형성된 몸체(101) 내에, 촬상장치(1b)는 내포되어 있다. 이 렌즈창(102)의 주위에,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32)이 형성되어 있다.
촬상장치(1b)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의 몸체 등에 실장할 때에는, 촬상장치(1b)를 고정하는 기구에 탑재하고, 그 고정 기구와 함께, 휴대 단말의 몸체에 실장한다. 도 8에 도시한 촬상장치(1b)에서는, 고정 기구(11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을 형성하여도 좋다.
도 9는,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을 형성한 경우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 기구(110)에도, 렌즈창(102)이 마련되어 있다(몸체(101)의 렌즈창(102)에 해당하는 위치에, 같은 정도 크기의 렌즈창(10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렌즈창(102)의 주위 영역에, 코일(3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일(32)의 시점(도 9에서는 시점(32a)으로 한다)과, 종점(도 9에서는 종점(32b)으로 한다)은, 고정 기구(110)의 측벽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32)의 시점(32a)과 종점(32b)은, 각각 회로 기판(13')(도 1에 도시한 회로 기판(13)과 구별을 붙이기 위해 대시를 붙여서 기술한다)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3')에는, 검출 회로(31)(적어도, 검출 회로(31)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가 형성되어 있고, 코일(32)의 시점(32a)과 종점(32b)은, 회로 기판(13')에 형성되어 있는 검출 회로(31)와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몸체(101)에 코일(32)을 형성하여도 좋고,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몸체(101)에 코일(32)의 일부를 형성하고,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들의 코일(32)을 접속함으로써, 하나의 코일(32)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 기구(110)를 갖고 있는 경우라도, 몸체(101)에 코일(3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몸체(101)나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을 형성함으로써, 액추에이터(18)를 구성하는 코일(21)(도 2)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를, 코일(32)에서 잡을 수 있고, 상기한 촬상장치(1a)와 같이, 유도 기전력을 검출하여,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101)에 코일(32)을 형성함으로써, 촬상장치(1) 자체에, 코일(32)(검출 회로(31))가 구비되지 않아도, 스마트폰 등의 최종적인 상품으로서,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1a)에서, 회로 기판(13)에, 코일(32)(검출 회로(31))이 실장되지 않은 촬상장치(1)(종래의 촬상장치(1))에 대해서도, 그 촬상장치(1)를 포함하는 상품의 몸체(101)나, 그 몸체(101)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고정 기구(110)에, 코일(32)(검출 회로(31))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적인 상품은, 고정밀한 렌즈 위치 검출기구를 갖는 상품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일(32)을, 몸체(101)나 고정 기구(110)에 형성하여도, 촬상장치(1) 자체는 커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촬상장치(1)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일은 없고, 고성능화할 수 있고, 또한, 염가로 고성능화할 수 있다.
<스페이서에 검출 회로를 형성한 실시의 형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11)의 하측, 또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11)의 상측에 코일(32)을 형성하고,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한 기구에 관해 설명하였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14)에 코일(32)을 형성하고, 스페이서(14)의 회로 기판(13)과 접하는 부분에, 검출 회로(31)와 접속하기 위한 시점(31a)과 종점(32b)을 형성한다. 스페이서(14)에 코일(32)을 형성한 경우의 촬상장치(1)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1a)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단, 회로 기판(13)에는, 코일(32)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점이 다르다. 여기서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도 10에 도시한 스페이서(14)를 구비하는 촬상장치(1)를, 촬상장치(1c)로 기술한다.
촬상장치(1c)에서도, 상기한 촬상소자(11)의 하측에 코일(32)을 마련한 경우(촬상장치(1a)), 또는 상측에 코일(32)을 마련한 경우(촬상장치(1b))와 같이,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촬상장치(1c)의 경우도, 촬상장치(1) 자체는 커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촬상장치(1)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일은 없고, 고성능화할 수 있고, 또한, 염가로 고성능화할 수 있다.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례>
상기한 촬상장치(1a 내지 1c)의 구성의 어느 구성도, 기본적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1a)와, 촬상장치(1c)(부도시)는, 동일한 구성이고, 코일(3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다를 뿐이고, 이 차이는, 촬상장치(1)의 구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촬상장치(1b)도,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1a)에, 고정 기구(110)를 추가한 뿐이고, 이 고정 기구(110) 자체는, 촬상장치(1a)의 구성 자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촬상장치(1)의 구성은, 코일(32)을 어디에 마련하든지에 의존하지 않고,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한 촬상장치(1a 내지 1c)의 구성으로 한하지 않고, 어떤 촬상장치(1)의 구성이라도,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에, 촬상장치(1)의 다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단지 여기서 설명하는 구성도, 한 예이고, 한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도 11은, 촬상장치(1)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촬상장치(1d)는, 촬상소자(11)로서, CSP(Chip size package) 형상의 촬상소자(11d)를 적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촬상소자(11)로서, CSP 형상의 촬상소자(11d)를 이용한 경우라도, 회로 기판(13), 스페이서(14), 몸체(101), 또는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을 형성할 수 있고,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2는, 촬상장치(1)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촬상장치(1e)는, 도 11에 도시한 촬상장치(1d)와 같이, 촬상소자(11)로서, CSP 형상의 촬상소자(11e)를 적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촬상장치(1e)는, CSP 형상의 촬상소자(11e)의 유리 기판에, 적외선을 커트하는 기능(필터)을 가지며, 유리 기판상에 렌즈(20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외선을 커트하는 기능을, 촬상소자(11e)의 유리 기판에 마련함으로써, 적외선 커트 필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장치(1e)를 저배화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판상에 렌즈(20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환언하면, 렌즈(16)를 구성하는 복수장의 렌즈 중의, 최하층의 렌즈를, CSP 형상의 촬상소자(11e)의 유리 기판상에 성형하는 것이 되고, 더욱, 촬상장치(1e)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형화된 촬상장치(1e)에 대해서도, 회로 기판(13), 스페이서(14), 몸체(101), 또는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을 형성할 수 있고,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3은, 촬상장치(1)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촬상장치(1f)는, 촬상소자(11)(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1a)의 촬상소자(11))를, 플립 칩 구조의 촬상소자(11f)로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촬상장치(1f)에서는, 촬상소자(11f)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회로 기능을 갖는 홀더(211)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된다. 홀더(211)는, 액추에이터(18)와의 홀더 기능도 갖고 있고, 촬상소자(11f)로부터의 전기 신호는, 홀더(211)와 접속되는 박형의 회로 기판(13)을 통하여, 외부에 출력된다.
이와 같은 촬상장치(1f)에 대해서도, 회로 기판(13), 스페이서(14)(촬상장치(1f)에서는, 홀더(211)에 해당), 몸체(101), 또는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을 형성할 수 있고,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4는, 촬상장치(1)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촬상장치(1g)는, 도 13에 도시한 촬상장치(1f)의 촬상소자(11f)와 같이 플립 칩 구조의 촬상소자(11g)를 갖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촬상장치(1g)는, 적외 커트 필터(17)가 실장시의 기축재(基軸材)가 되고, 적외 커트 필터(17)에 회로 기판(13)이 접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촬상장치(1g)는, 도 13에 도시한 촬상장치(1f)와 같이, 회로 기능을 갖는 홀더(231)를 구비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11g)를, 회로 기판(13)의 하측(렌즈(16)가 있는 측의 반대측)에 마련하는 경우, 촬상장치(1g)를 단말에 실장할 때에, 촬상소자(11g)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재(232)도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장치(1g)에 대해서도, 회로 기판(13), 스페이서(14)(촬상장치(1g)에서는, 홀더(231), 또는 보호재(232)에 해당), 몸체(101), 또는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을 형성할 수 있고,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5는, 촬상장치(1)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촬상장치(1g)는, 도 1에 도시한 촬상장치(1a)와 같은 구성이지만, 기억부(251)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 기억부(251)에는, 촬상장치(1)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억된다.
렌즈 위치 조정을 위한 유도 기전 전력량은, 액추에이터(18)의 코일(21)(도 2)의 감는 수나 사이즈, 회로 기판(13)의 코일(32)(도 3)의 형성 상태(감는 수, 형성되어 있는 회로 기판(13)의 층수 등)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촬상장치(1h)의 제조시에 유도 기전력의 편차를 계측하여 두고, 그 편차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치가 기억부(251)에 기억된다.
그리고, 실제어시(實制御時)에, 개개의 촬상장치(1)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기억부(251)에 기억되어 있는 조정치가 이용되어 처리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개의 촬상장치(1)의 편차를 개선한 렌즈(16)의 위치 검출, 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기억부(251)의 탑재 위치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3)상이라도 좋고, 촬상장치(1h)의 외부에 탑재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촬상장치(1a)에 대해, 기억부(251)를 탑재한 촬상장치(1h)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촬상장치(1b 내지 1g)에 기억부(251)를 탑재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은 촬상장치(1h)에 대해서도, 회로 기판(13), 스페이서(14), 몸체(101), 또는 고정 기구(110)에, 코일(32)을 형성할 수 있고, 렌즈(16)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기술에 의하면, 렌즈를 PWM 구동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PWM 구동한 때에, 렌즈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내(內)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유도 기전력을 검출함으로써,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그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보정할 수도 있다.
본 기술에 의하면, 촬상장치의 렌즈의 초점 위치를 제어함에 의해, 고성능화,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촬상장치(1)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촬상장치(1)는, 감시 카메라, 차량탑재 카메라 등의 화상 입력 카메라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촬상장치(1)는, 스캐너 장치, 팩시밀리 장치, 텔레비전 전화 장치, 카메라 부착 이동체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내시경 수술 시스템에의 응용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내시경 수술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도 16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내시경 수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수술자(의사(11131))가, 내시경 수술 시스템(11000)을 이용하여, 환자 베드(11133)상의 환자(11132)에게 수술을 행하고 있는 양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 수술 시스템(11000)은, 내시경(11100)과, 기복 튜브(11111)나 에너지 처치구(11112) 등의, 그 밖의 수술구(11110)와, 내시경(11100)을 지지하는 지지 암 장치(11120)와, 내시경하 수술을 위한 각종의 장치가 탑재된 카트(11200)로 구성된다.
내시경(11100)은, 선단부터 소정 길이의 영역이 환자(11132)의 체강 내에 삽입되는 경통(11101)과, 경통(11101)의 기단에 접속되는 카메라 헤드(11102)로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경성의 경통(11101)을 갖는 이른바 경성경으로서 구성된 내시경(11100)을 도시하고 있지만, 내시경(11100)은, 연성의 경통을 갖는 이른바 연성경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경통(11101)의 선단에는, 대물 렌즈가 감입된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내시경(11100)에는 광원 장치(11203)가 접속되어 있고, 당해 광원 장치(11203)에 의해 생성된 광이, 경통(11101)의 내부에 연설되는 라이트 가이드에 의해 당해 경통의 선단까지 도광되고, 대물 렌즈를 통하여 환자(11132)의 체강 내의 관찰 대상을 향하여 조사된다. 또한, 내시경(11100)은, 직시경(直視鏡)이라도 좋고, 사시경(斜視鏡) 또는 측시경(側視鏡)이라도 좋다.
카메라 헤드(11102)의 내부에는 광학계 및 촬상소자가 마련되어 있고, 관찰 대상으로부터의 반사광(관찰광)은 당해 광학계에 의해 당해 촬상소자에 집광된다. 당해 촬상소자에 의해 관찰광이 광전변환되고, 관찰광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즉 관찰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생성된다. 당해 화상 신호는, RAW 데이터로서 카메라 컨트롤 유닛(CCU : Camera Control Unit)(11201)에 송신된다.
CCU(112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등에 의해 구성되고, 내시경(11100) 및 표시 장치(11202)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CCU(11201)는, 카메라 헤드(11102)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취하고, 그 화상 신호에 대해, 예를 들면 현상 처리(디모자이크 처리) 등의, 당해 화상 신호에 의거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의 화상 처리를 시행한다.
표시 장치(11202)는, CCU(11201)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당해 CCU(11201)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시행된 화상 신호에 의거한 화상을 표시한다.
광원 장치(11203)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으로 구성되고, 수술부 등을 촬영한 때의 조사광을 내시경(11100)에 공급한다.
입력 장치(11204)는, 내시경 수술 시스템(11000)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유저는, 입력 장치(11204)를 통하여, 내시경 수술 시스템(11000)에 대해 각종의 정보의 입력이나 지시 입력을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내시경(11100)에 의한 촬상 조건(조사광의 종류, 배율 및 초점 거리 등)을 변경하는 취지의 지시 등을 입력한다.
처치구 제어 장치(11205)는, 조직의 소작(燒灼), 절개 또는 혈관의 봉지 등을 위한 에너지 처치구(11112)의 구동을 제어한다. 기복 장치(11206)는, 내시경(11100)에 의한 시야의 확보 및 수술자의 작업 공간의 확보의 목적으로, 환자(11132)의 체강을 팽창시키기 위해, 기복 튜브(11111)를 통하여 당해 체강 내에 가스를 송입한다. 레코더(11207)는, 수술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기록 가능한 장치이다. 프린터(11208)는, 수술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텍스트, 화상 또는 그래프 등 각종의 형식으로 인쇄 가능한 장치이다.
또한, 내시경(11100)으로 수술부를 촬영할 때의 조사광을 공급하는 광원 장치(11203)는, 예를 들면 LED, 레이저광원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백색 광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RGB 레이저광원의 조합에 의해 백색 광원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색(각 파장)의 출력 강도 및 출력 타이밍을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11203)에서 촬상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RGB 레이저광원 각각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시분할로 관찰 대상에 조사하고, 그 조사 타이밍에 동기하여 카메라 헤드(11102)의 촬상소자의 구동을 제어함에 의해, RGB 각각에 대응한 화상을 시분할로 촬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해 방법에 의하면, 당해 촬상소자에 컬러 필터를 마련하지 않아도, 컬러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광원 장치(11203)는, 출력하는 광의 강도를 소정의 시간마다 변경하도록 그 구동이 제어되어도 좋다. 그 광의 강도의 변경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카메라 헤드(11102)의 촬상소자의 구동을 제어하여 시분할로 화상을 취득하고, 그 화상을 합성함에 의해, 이른바 흑바램(underexposure) 및 백바램(overexposure)이 없는 고다이내믹 레인지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광원 장치(11203)는, 특수광 관찰에 대응한 소정의 파장 대역의 광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특수광 관찰에서는, 예를 들면, 체조직에서의 광의 흡수의 파장 의존성을 이용하여, 통상의 관찰시에 있어서의 조사광(즉, 백색광)에 비하여 협대역의 광을 조사함에 의해, 점막 표층의 혈관 등의 소정의 조직을 고콘트라스트로 촬영하는, 이른바 협대역광 관찰(Narrow Band Imaging)이 행하여진다. 또는, 특수광 관찰에서는, 여기광을 조사함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에 의해 화상을 얻는 형광 관찰이 행하여져도 좋다. 형광 관찰에서는, 체조직에 여기광을 조사하고 당해 체조직으로부터의 형광을 관찰하는 것(자가 형광 관찰), 또는 인도시아닌그린(ICG) 등의 시약을 체조직에 국주(局注)함과 함께 당해 체조직에 그 시약의 형광 파장에 대응한 여기광을 조사하여 형광상을 얻는 등을 행할 수가 있다. 광원 장치(11203)는, 이와 같은 특수광 관찰에 대응한 협대역광 및/ 또는 여기광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카메라 헤드(11102) 및 CCU(11201)의 기능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카메라 헤드(11102)는, 렌즈 유닛(11401)과, 촬상부(11402)와, 구동부(11403)와, 통신부(11404)와, 카메라 헤드 제어부(11405)를 갖는다. CCU(11201)는, 통신부(11411)와, 화상 처리부(11412)와, 제어부(11413)를 갖는다. 카메라 헤드(11102)와 CCU(11201)는, 전송 케이블(11400)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렌즈 유닛(11401)은, 경통(11101)과의 접속부에 마련되는 광학계이다. 경통(11101)의 선단부터 받아들여진 관찰광은, 카메라 헤드(11102)까지 도광되고, 당해 렌즈 유닛(11401)에 입사한다. 렌즈 유닛(11401)은, 줌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촬상부(11402)는, 촬상소자로 구성된다. 촬상부(11402)를 구성하는 촬상소자는, 하나(이른바 단판식)라도 좋고, 복수(이른바 다판식)라도 좋다. 촬상부(11402)가 다판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각 촬상소자에 의해 RGB 각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생성되고, 그것들이 합성됨에 의해 컬러 화상이 얻어져도 좋다. 또는, 촬상부(11402)는, 3D(Dimensional) 표시에 대응하는 우안용 및 좌안용의 화상 신호를 각각 취득하기 위한 한 쌍의 촬상소자를 갖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3D 표시가 행하여짐에 의해, 수술자(11131)는 수술부에서의 생체조직의 깊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촬상부(11402)가 다판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촬상소자에 대응하여, 렌즈 유닛(11401)도 복수 계통 마련될 수 있는다.
또한, 촬상부(11402)는, 반드시 카메라 헤드(11102)에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촬상부(11402)는, 경통(11101)의 내부에, 대물 렌즈의 직후에 마련되어도 좋다.
구동부(11403)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 헤드 제어부(11405)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렌즈 유닛(11401)의 줌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광축에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촬상부(11402)에 의한 촬상 화상의 배율 및 초점이 적절히 조정될 수 있는다.
통신부(11404)는, CCU(11201)와의 사이에서 각종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부(11404)는, 촬상부(11402)로부터 얻은 화상 신호를 RAW 데이터로서 전송 케이블(11400)을 통하여 CCU(11201)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11404)는, CCU(11201)로부터, 카메라 헤드(1110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카메라 헤드 제어부(11405)에 공급한다. 당해 제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촬상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지정하는 취지의 정보, 촬상시의 노출치를 지정하는 취지의 정보, 및/또는 촬상 화상의 배율 및 초점을 지정하는 취지의 정보 등, 촬상 조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 레이트나 노출치, 배율, 초점 등의 촬상 조건은, 유저에 의해 적절히 지정되어도 좋고, 취득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CCU(11201)의 제어부(11413)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후자인 경우에는, 이른바 AE(Auto Exposure) 기능, AF(Auto Focus) 기능 및 AWB(Auto White Balance) 기능이 내시경(11100)에 탑재되어 있게 된다.
카메라 헤드 제어부(11405)는, 통신부(11404)를 통하여 수신한 CCU(112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카메라 헤드(11102)의 구동을 제어한다.
통신부(11411)는, 카메라 헤드(11102)와의 사이에서 각종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부(11411)는, 카메라 헤드(11102)로부터, 전송 케이블(11400)을 통하여 송신되는 화상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1411)는, 카메라 헤드(11102)에 대해, 카메라 헤드(1110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화상 신호나 제어 신호는, 전기통신이나 광통신 등에 의해 송신할 수 있다.
화상 처리부(11412)는, 카메라 헤드(11102)로부터 송신된 RAW 데이터인 화상 신호에 대해 각종의 화상 처리를 시행한다.
제어부(11413)는, 내시경(11100)에 의한 수술부 등의 촬상, 및, 수술부 등의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촬상 화상의 표시에 관한 각종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413)는, 카메라 헤드(1110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1413)는, 화상 처리부(11412)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시행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수술부 등이 찍힌 촬상 화상을 표시 장치(11202)에 표시시킨다. 이때, 제어부(11413)는, 각종의 화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촬상 화상 내에서의 각종의 물체를 인식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부(11413)는,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에지의 형상이나 색 등을 검출함에 의해, 겸자(鉗子) 등의 수술구, 특정한 생체 부위, 출혈, 에너지 처치구(11112)의 사용시의 미스트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1413)는, 표시 장치(11202)에 촬상 화상을 표시시킬 때에, 그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각종의 수술 지원 정보를 당해 수술부의 화상에 중첩 표시시켜도 좋다. 수술 지원 정보가 중첩 표시되고, 수술자(11131)에게 제시됨에 의해, 수술자(11131)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나, 수술자(11131)가 확실하게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메라 헤드(11102) 및 CCU(11201)를 접속하는 전송 케이블(11400)은, 전기 신호의 통신에 대응한 전기 신호 케이블, 광통신에 대응한 광파이버, 또는 이들의 복합 케이블이다.
여기서, 나타낸 예에서는, 전송 케이블(11400)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통신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카메라 헤드(11102)와 CCU(11201) 사이의 통신은 무선으로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한 예로서 내시경 수술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그 밖에, 예를 들면, 현미경 수술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좋다.
<이동체에의 응용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자동 이륜차, 자전거, 퍼스널모빌리티, 비행기, 드론, 선박, 로봇 등의 어느 한 종류의 이동체에 탑재되는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도 18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체 제어 시스템의 한 예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차량 제어 시스템(12000)은, 통신 네트워크(12001)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전자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도 18에 도시한 예에서는, 차량 제어 시스템(12000)은, 구동계 제어 유닛(12010), 바디계 제어 유닛(12020),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 및 통합 제어 유닛(12050)을 구비한다. 또한, 통합 제어 유닛(12050)의 기능 구성으로서, 마이크로 컴퓨터(12051), 음성 화상 출력부(12052), 및 차량탑재 네트워크 I/F(interface)(12053)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량의 구동계에 관련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은, 내연 기관 또는 구동용 모터 등의 차량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력 발생 장치, 구동력을 차륜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기구, 차량의 타각(舵角, steering angle)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기구, 및,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 장치 등의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체에 장비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은,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 스마트 키 시스템, 파워 윈도우 장치, 또는, 헤드 램프, 백 램프, 브레이크 램프, 윙커 또는 포그램프 등의 각종 램프의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에는, 키를 대체하는 휴대기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또는 각종 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다.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은, 이들의 전파 또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고, 차량의 도어 로크 장치, 파워 윈도우 장치, 램프 등을 제어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은, 차량 제어 시스템(12000)을 탑재한 차량의 외부의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에는, 촬상부(12031)가 접속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은, 촬상부(12031)에 차외의 화상을 촬상시킴과 함께, 촬상된 화상을 수신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은, 수신한 화상에 의거하여, 사람, 차, 장애물, 표지 또는 노면상의 문자 등의 물체 검출 처리 또는 거리 검출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촬상부(12031)는, 광을 수광하고, 그 광의 수광량에 응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이다. 촬상부(12031)는, 전기 신호를 화상으로서 출력할 수도 있고, 거리 측정의 정보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촬상부(12031)가 수광하는 광은, 가시광이라도 좋고, 적외선 등의 비가시광이라도 좋다.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은, 차내의 정보를 검출한다.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에는, 예를 들면, 운전자의 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자 상태 검출부(12041)가 접속된다. 운전자 상태 검출부(12041)는, 예를 들면 운전자를 촬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은, 운전자 상태 검출부(12041)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정보에 의거하여, 운전자의 피로 정도 또는 집중 정도를 산출하여도 좋고, 운전자가 앉아서 졸고 있지 않은지를 판별하여도 좋다.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 또는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에서 취득되는 차내외의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력 발생 장치, 스티어링 기구 또는 제동 장치의 제어 목표치를 연산하고,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에 대해 제어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량의 충돌 회피 또는 충격 완화, 차간 거리에 의거한 추종 주행, 거속 유지 주행, 차량의 충돌 경고, 또는 차량의 레인 일탈 경고 등을 포함하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의 기능 실현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 또는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에서 취득되는 차량 주위의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력 발생 장치, 스티어링 기구 또는 제동 장치 등을 제어함에 의해, 운전자의 조작에 근거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자동 운전 등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에서 취득되는 차외의 정보에 의거하여, 바디계 제어 유닛(12020)에 대해 제어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에서 검지한 선행차 또는 대향차의 위치에 응하여 헤드 램프를 제어하여, 하이 빔을 로우 빔으로 전환하는 등의 눈부심 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음성 화상 출력부(12052)는, 차량의 탑승자 또는 차외에 대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출력 장치에 음성 및 화상 중의 적어도 일방의 출력 신호를 송신한다. 도 18의 예에서는, 출력 장치로서, 오디오 스피커(12061), 표시부(12062)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12063)이 예시되어 있다. 표시부(12062)는, 예를 들면, 온 보드 디스플레이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도 19는, 촬상부(12031)의 설치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에서는, 차량(12100)은, 촬상부(12031)로서, 촬상부(12101, 12102, 12103, 12104, 12105)를 갖는다.
촬상부(12101, 12102, 12103, 12104, 12105)는, 예를 들면, 차량(12100)의 프런트 노우즈, 사이드 미러, 리어 범퍼, 백 도어 및 차실내의 프론트유리의 상부 등의 위치에 마련된다. 프런트 노우즈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1) 및 차실내의 프론트유리의 상부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5)는, 주로 차량(12100)의 전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사이드 미러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2, 12103)는, 주로 차량(12100)의 측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리어 범퍼 또는 백 도어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4)는, 주로 차량(12100)의 후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촬상부(12101 및 12105)에서 취득되는 전방의 화상은, 주로 선행 차량 또는, 보행자, 장애물, 신호기, 교통 표지 또는 차선 등의 검출에 이용된다.
또한, 도 19에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영 범위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촬상 범위(12111)는, 프런트 노우즈에 마련된 촬상부(12101)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고, 촬상 범위(12112, 12113)는, 각각 사이드 미러에 마련된 촬상부(12102, 12103)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고, 촬상 범위(12114)는, 리어 범퍼 또는 백 도어에 마련된 촬상부(12104)의 촬상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촬상부(12101 내지 12104)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가 중합됨에 의해, 차량(12100)을 상방에서 본 부감(俯瞰)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적어도 하나는, 거리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촬상소자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카메라라도 좋고, 위상차 검출용의 화소를 갖는 촬상소자라도 좋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로부터 얻어진 거리 정보를 기초로, 촬상 범위(12111 내지 12114) 내에서의 각 입체물까지의 거리와, 이 거리의 시간적 변화(차량(12100)에 대한 상대 속도)를 구함에 의해, 특히 차량(12100)의 진행노상에 있는 가장 가까운 입체물로, 차량(12100)과 개략 같은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예를 들면, 0㎞/h 이상)로 주행한 입체물을 선행차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선행차와 내차와의 사이에 미리 확보해야 할 차간 거리를 설정하고, 자동 브레이크 제어(추종 정지 제어도 포함한다)나 자동 가속 제어(추종 발진 제어도 포함한다) 등을 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근거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자동 운전 등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로부터 얻어진 거리 정보를 기초로, 입체물에 관한 입체물 데이터를, 2륜차, 보통 차량, 대형 차량, 보행자, 전신주 등 그 밖의 입체물로 분류하여 추출하고, 장애물의 자동 회피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량(12100)의 주변의 장애물을, 차량(12100)의 드라이버가 시인 가능한 장애물과 시인 곤란한 장애물로 식별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각 장애물과의 충돌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충돌 리스크를 판단하고, 충돌 리스크가 설정치 이상으로 충돌 가능성이 있는 상황일 때에는, 오디오 스피커(12061)나 표시부(12062)를 통하여 드라이버에게 경보를 출력하는 것이나,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을 통하여 강제 감속이나 회피 조타를 행함으로써, 충돌 회피를 위한 운전 지원을 행할 수가 있다.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적어도 하나는,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카메라라도 좋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상 화상 중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보행자의 인식은,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로서의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상 화상에서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순서와, 물체의 윤곽을 나타내는 일련의 특징점에 패턴 매칭 처리를 행하여 보행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순서에 의해 행하여진다. 마이크로 컴퓨터(12051)가,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상 화상 중에 보행자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보행자를 인식하면, 음성 화상 출력부(12052)는, 당해 인식된 보행자에게 강조를 위한 사각형 윤곽선을 중첩 표시하도록, 표시부(12062)를 제어한다. 또한, 음성 화상 출력부(12052)는, 보행자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소망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2062)를 제어하여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고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한 다른 효과가 있어도 좋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의 상기 피사체광을 광전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체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포함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촬상장치.
(2)
상기 검출부는, 상기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검출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촬상장치.
(3)
상기 검출부는, 상기 렌즈의 위치를 상기 유도 기전력으로부터 검출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촬상장치.
(4)
상기 검출부는, 상기 회로 기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장치.
(5)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회로 기체를 고정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장치.
(6)
몸체 내에 내포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장치.
(7)
상기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고정 기구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된 촬상장치.
(8)
상기 검출부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체는, 복수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회로 기체의 상기 복수층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촬상장치.
(9)
상기 촬상소자는, CSP(Chip size package) 형상인 상기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장치.
(10)
상기 촬상소자는, CSP(Chip size package) 형상이고,
상기 CSP 형상의 상기 촬상소자의 유리 기체상에, 적외선 커트 필터와, 상기 렌즈의 최하층의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장치.
(11)
상기 촬상소자는, 플립 칩 구조인 상기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장치.
(12)
상기 촬상소자는, 플립 칩 구조이고, 상기 회로 기체에 탑재되고,
기축재로 되어 있는 적외선 커트 필터가, 상기 회로 기체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장치.
(13)
고체마다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또한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장치.
(14)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의 상기 피사체광을 광전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체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포함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1 : 촬상장치
11 : 촬상소자
12 : 금속 와이어
13 : 회로 기판
14 : 스페이서
15 : 접착제
16 : 렌즈
17 : 적외선 커트 필터
18 : 액추에이터
19 : 커넥터
20 : 오토 포커스 드라이버
31 : 검출 회로
32 : 코일
51 : 증폭부
52 : A/D 변환부
53 : AF 컨트롤부
54 : 제어부
101 : 몸체
102 : 카메라 창
110 : 고정 기구

Claims (14)

  1.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의 상기 피사체광을 광전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체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포함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렌즈의 위치를 상기 유도 기전력으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회로 기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회로 기체를 고정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몸체 내에 내포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고정 기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체는, 복수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회로 기체의 상기 복수층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CSP(Chip size packag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CSP(Chip size package) 형상이고,
    상기 CSP 형상의 상기 촬상소자의 유리 기체상에, 적외선 커트 필터와, 상기 렌즈의 최하층의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플립 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플립 칩 구조이고, 상기 회로 기체에 탑재되고,
    기축재로 되어 있는 적외선 커트 필터가, 상기 회로 기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고체마다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피사체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의 상기 피사체광을 광전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체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포함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97030453A 2017-04-28 2018-04-13 촬상장치, 전자 기기 KR20190139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9600 2017-04-28
JP2017089600A JP2018189703A (ja) 2017-04-28 2017-04-28 撮像装置、電子機器
PCT/JP2018/015472 WO2018198815A1 (ja) 2017-04-28 2018-04-13 撮像装置、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875A true KR20190139875A (ko) 2019-12-18

Family

ID=6391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453A KR20190139875A (ko) 2017-04-28 2018-04-13 촬상장치,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29579B2 (ko)
EP (1) EP3617765B1 (ko)
JP (1) JP2018189703A (ko)
KR (1) KR20190139875A (ko)
CN (1) CN110573922B (ko)
WO (1) WO2018198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1748B2 (ja) * 2018-02-09 2023-09-27 ローム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ドライバ、イメージセンサ、カメラモジュール、電子機器
US11073746B2 (en) * 2018-11-01 2021-07-27 Guangzhou Luxvisions Innovation Technology Limited Image-capturing assembly
US20220141357A1 (en) * 2019-01-25 2022-05-05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wm synchronisation
JP7485675B2 (ja) 2019-08-02 2024-05-1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22046164A (ja) * 2020-09-10 2022-03-2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撮像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レンズユニット
WO2022153629A1 (ja) * 2021-01-13 2022-07-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オートフォーカス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
US11445096B1 (en) * 2021-05-05 2022-09-13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Holder on glass imaging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3004A (en) 1991-09-06 1999-0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tabilizing apparatus
JPH0566371A (ja) * 1991-09-06 1993-03-19 Canon Inc 防振装置を有する光学機器
JP3873515B2 (ja) 1999-03-31 2007-01-24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US6885107B2 (en) * 2002-08-29 2005-04-26 Micron Technology, Inc. Flip-chip image sensor packag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JP2007312012A (ja) * 2006-05-17 2007-11-29 Toshiba Corp 小型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116594A (ja) * 2006-11-02 2008-05-22 Citizen Electronics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2011022563A (ja) 2009-06-18 2011-02-03 Sanyo Electric Co Ltd フォーカス制御回路
CN101930150B (zh) * 2009-06-18 2012-01-04 三洋电机株式会社 聚焦控制电路
JP2011097158A (ja) * 2009-10-27 2011-05-12 Nec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実装構造
JP2011250539A (ja) * 2010-05-25 2011-12-08 On Semiconductor Trading Ltd 駆動制御回路およびフォーカス制御回路
US8189280B2 (en) * 2010-07-16 2012-05-29 Nokia Corporation Voice coil motor with pulse-width modulation driver
US8559806B2 (en) * 2010-12-29 2013-10-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593743B2 (en) * 2011-07-19 2013-11-26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Magnetic structure for compact imaging device
JP2014082682A (ja) 2012-10-17 2014-05-08 Sharp Corp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装置
JP2015034912A (ja) * 2013-08-09 2015-02-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TWM475600U (en) * 2013-10-30 2014-04-01 Lite On Technology Corp Image capturing module
KR102209885B1 (ko) * 2013-11-05 2021-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5076055A1 (ja) * 2013-11-25 2015-05-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撮像モジュールの駆動方法
JP6212135B2 (ja) * 2013-12-04 2017-10-11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調整方法及びレンズ位置制御装置並びに線形運動デバイス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3708326U (zh) * 2013-12-09 2014-07-09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相机模组
JP2016537665A (ja) * 2014-01-22 2016-12-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
US10236312B2 (en) * 2015-02-16 2019-03-19 Sony Corporatio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to lower risk of breakage of camera module
KR20180060230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7765A4 (en) 2020-06-24
WO2018198815A1 (ja) 2018-11-01
CN110573922A (zh) 2019-12-13
US11029579B2 (en) 2021-06-08
US20200387049A1 (en) 2020-12-10
EP3617765B1 (en) 2022-11-09
JP2018189703A (ja) 2018-11-29
EP3617765A1 (en) 2020-03-04
CN110573922B (zh)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3922B (zh) 摄像装置和电子设备
CN112020671B (zh) 摄像设备和电子装置
CN111886541B (zh) 成像装置和电子设备
US11330209B2 (en)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nabled to control position of lens
US10848660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odule, and control method of imaging apparatus
US10931876B2 (en) Blur correct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US1175093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686971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11785321B2 (en) Imaging device
US20210080685A1 (en) Lens module,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lens drive method
JP2021108427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748567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