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762A - 잡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잡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762A
KR20190139762A KR1020190060371A KR20190060371A KR20190139762A KR 20190139762 A KR20190139762 A KR 20190139762A KR 1020190060371 A KR1020190060371 A KR 1020190060371A KR 20190060371 A KR20190060371 A KR 20190060371A KR 20190139762 A KR20190139762 A KR 20190139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history
history butt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362B1 (ko
Inventor
요헤이 쇼가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6Customising to the data to be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42Scales and indicators, e.g. for determining side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45Printers integrated in other types of apparatus, e.g. printers integrated in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33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details of image data reproduction, e.g. network printing or remote imag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04N1/00389Programmable function keys, e.g. for one-touch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Abstract

이력 버튼에 관한 유저의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화상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유저에 의해 선택된 기능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기능에 의해 사용된 잡 설정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이력 버튼이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다.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표시 영역에 상기 잡 설정 정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를 취득하고, 취득한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상기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할 정보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잡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EXECUTES JOB,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유저가 잡 설정 화면에서 설정한 설정값에 근거하여 잡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장치인 MFP(multi-function peripheral)가 알려져 있다. MFP가 잡을 실행했을 때에, 해당 잡에서 사용된 잡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0-201931호 공보 참조). 잡 설정 정보는, MFP이 실행한 인쇄 잡에서 사용된 부수 및 컬러 등의 복수의 설정값을 포함한다. 또한, MFP은, 기억한 각 잡 설정 정보의 각각과 관련된 복수의 이력 버튼을 MFP의 표시부에 표시한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5-146503호 공보 참조). 유저가 복수의 이력 버튼 중에서 1개의 이력 버튼을 선택하면, MFP은 선택된 이력 버튼과 관련된 잡 설정 정보를 호출하고, 호출한 잡 설정 정보를 설정한 잡 설정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설정 정보 표시 영역에는, 해당 이력 버튼과 관련된 잡 설정 정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유저는, 설정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유저가 이력 버튼을 선택했을 때에 호출되는 잡 설정 정보의 설정 내용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잡 설정 정보에 관한 모든 정보를 설정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하면, 설정 정보 표시 영역이 확대하고, 이 확대에 의해, 이력 버튼이 확대된다. 표시부는 제한된 표시 영역을 가지므로, 표시부에 복수의 이력 버튼을 한번에 표시 할 수 없어, 유저의 조작성이 저하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력 버튼에 관한 유저의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화상 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 유닛을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기능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기능에 의해 사용된 잡 설정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이력 버튼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화상 처리장치로서, 상기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표시 영역에 상기 잡 설정 정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상기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할 정보량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력 버튼에 관한 유저의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인 MFP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2a 및 도 2b는 도 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MFP에 의해 실행되는 이력 버튼 표시 제어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실시형태의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상 처리장치인 MFP에 본 발명을 적용하지만, 본 발명은 항상 MFP에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전에 사용한 설정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이력 버튼을 표시가능한 장치, 구체적으로, 인쇄장치, 스캐너, 팩스,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형성장치와, PC 및 휴대 정보단말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인 MFP(10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을 참조하면, MFP(101)은, 제어부(102), 터치패널(106), 디스플레이(107), 외부 메모리(111), 스캐너(114), 및 프린터(115)를 구비한다. 제어부(102)는, 터치패널(106), 디스플레이(107), 외부 메모리(111), 스캐너(114), 및 프린터(115)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CPU(103), RAM(104), ROM(105), 입력부(108), 표시 제어부(109), 외부 메모리 I/F(110), 및 통신 I/F 콘트롤러(112)를 구비한다. CPU(103), RAM(104), ROM(105), 입력부(108), 표시 제어부(109), 외부 메모리 I/F(110), 및 통신 I/F 콘트롤러(112)는, 시스템 버스(116)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MFP(101)은, 카피 기능, 스캔 기능, 및 데이터 송신 기능 등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MFP(101)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유저에 의해 설정된 잡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잡을 실행한다. 또한, MFP(101)은, 잡을 실행했을 때에 해당 잡에서 사용된 잡 설정 정보를 후술하는 설정 이력으로서 격납한다. 제어부(102)는, MFP(101) 전체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CPU(103)은, 예를 들면, ROM(105)과 외부 메모리(111)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각종 제어를 제공한다. RAM(104)은, 휘발성의 메모리이며, CPU(103)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또한, 각 데이터의 일시 격납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ROM(105)은,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며, 화상 데이터, CPU(103)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격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RAM(104), ROM(105), 및 외부 메모리(111)를 기억 영역으로 총괄적으로 부른다.
터치패널(106) 및 디스플레이(107)는, MFP(101)의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터치패널(106)은, 디스플레이(107)와 일체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107)의 표시면의 상층에 부착되어 있다. 이때, 터치패널(106)은 투명하므로, 디스플레이(107)의 표시면이 터치패널(106)로 덮여도, 디스플레이(107)의 표시가 방해되지 않는다. 터치패널(106) 상의 입력 좌표는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좌표와 관련되어 있다. 입력부(108)는, 터치패널(106)에 대한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이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CPU(103)에 출력한다. CPU(103)은, 수신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MFP(10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MFP(101)은, 유저 조작에 따른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09)는, CPU(103)로부터 수신한 표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107)에 대하여,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07)는, 표시 제어부(109)로부터 수신한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2a의 홈 화면(200)을 표시한다.
하드디스크, SSD, CD, DVD, 또는 메모리카드 등의 외부 메모리(111)는 외부 메모리 I/F(110)에 장착가능하다. CPU(103)에 의해 제어되는, 외부 메모리 I/F(110)는, 예를 들면, 장착된 외부 메모리(11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또한, 외부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통신 I/F 콘트롤러(112)는, CPU(103)에 의해 제어되고, 인터넷, 유선 LAN, 및 무선 LAN 등의 네트워크(113)를 통해서 접속된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스캐너(114)는, 배치된 원고를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프린터(115)는, 스캐너(114)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 등을 용지에 인쇄한다.
도2a 및 도 2b는, 도 1의 디스플레이(107)에 표시되는 홈 화면(20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홈 화면(200)은, 도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201)) 및 이력 표시 영역(203)으로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201))에는, MFP(101)에 포함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버튼(202a, 202b)이 표시된다. 어플리케이션 버튼(202a, 202b)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버튼이다. 예를 들면, 홈 화면(200)에서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버튼 202a를 선택했을 경우, MFP(101)은, 어플리케이션 버튼 202a에 대응하는 카피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이력 표시 영역(203)에는, 복수의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e가 표시된다. 이때, 본실시형태에서는,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e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이력 버튼 204a를 사용해서 그 구성을 설명한다. 이력 버튼 204a는, 이전에 실행된 잡에서 사용된 잡 설정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버튼이다. MFP(101)가 잡을 실행했을 때에, 해당 잡의 설정 이력을 기억 영역에 격납한다. 설정 이력은, 잡을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별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잡에서 사용된 잡 설정 정보, 및 잡을 실행한 일시 정보를 포함한다. MFP(101)은, 격납한 설정 이력과 관련된 이력 버튼을 생성하고, 생성한 이력 버튼을 이력 표시 영역(203)의 최상위에 표시한다. 이렇게 하여, 본실시형태에서는, 잡이 실행된 일시가 새로운 일시로부터 순서대로 이력 표시 영역(203)에 표시된다.
이력 버튼 204a는, 일자 정보 표시 영역(205a),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영역(206a), 및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으로 구성된다. 일자 정보 표시 영역(205a)에는, 이력 버튼 204a와 관련된 설정 이력에 포함되는 일시 정보가 표시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영역(206a)에는, 이력 버튼 204a와 관련된 설정 이력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이력 버튼 204a와 관련된 설정 이력이 카피 잡에 관한 설정 이력일 경우,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영역(206a)에는, 카피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카피"가 표시된다.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는, 이력 버튼 204a와 관련된 설정 이력에 포함되는 잡 설정 정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는,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부수, 컬러, 배율, 급지 카세트, 양면 인쇄, 및 스태플링에 관한 설정 등의 복수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표시된다. 이력 버튼 204a의 사이즈는, 일자 정보 표시 영역(205a),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영역(206a), 및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표시되는 모든 정보가 이력 버튼 204a 내부에 들어갈 수 있도록 결정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일자 정보 표시 영역(205a)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영역(206a)에 표시되는 정보량보다,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표시되는 정보량이 많다. 이 때문에, 이력 버튼 204a의 사이즈에 대한 결정에는, 일자 정보 표시 영역(205a)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영역(206a)보다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표시되는 정보량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표시되는 정보량이 많을 경우, 이력 버튼 204a는,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의 배열 방향을 따라 커진다. 한편,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표시되는 정보량이 적을 경우, 이력 버튼 204a는,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유저가 시인가능한 범위까지 작아진다.
이력 버튼이 이력 표시 영역(203)에 들어갈 수 없을 때, 예를 들면, 이력 버튼 204e와 같이, 이력 버튼의 일부분만 이력 표시 영역(203)에 표시된다. 홈 화면(20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 방향으로의 플릭 조작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MFP(101)은, 이력 버튼을 스크롤 표시한다. 이력 버튼을 스크롤 표시함으로써, MFP(101)은, 일부분만 표시되어 있었던 이력 버튼 204e의 전체를 이력 표시 영역(203)에 표시하고, 또한, 이력 표시 영역(203)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이력 버튼을 이력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홈 화면(200) 상에서, 예를 들면, 유저가 이력 버튼 204a를 선택했을 경우, MFP(101)은, 이력 버튼 204a에 대응하는 잡 설정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판독한다. 이어서, MFP(101)은, 판독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일치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잡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 잡 설정 정보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잡 설정 정보로부터 설정값을 판독하고, 판독한 설정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화면을 설정 화면에 표시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한번 설정한 설정값을 용이하게 호출한다.
또한, MFP(101)은, 격납된 설정 이력을 다른 MFP들에 송신하고, 이들 MFP들에게 해당 설정 이력과 관련된 이력 버튼을 디스플레이들에 표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문자 사이즈 등의 표시 설정을 일치시킴으로써, 각 MFP의 디스플레이에, 같은 설정 이력 버튼을 포함하는 홈 화면(20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유저는 같은 조작의 용이함으로 각 MFP을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7)는 제한된 표시 영역을 가지므로,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에 적합하게 이력 버튼의 표시 제어가 행해지지 않으면, 이력 버튼에 관한 유저의 조작성이 저하해 버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비교적 작더라도, 잡 설정 정보에 관한 모든 정보를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표시할 경우, 이력 버튼 204a가 확대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107)에 한번에 표시되는 이력 버튼의 개수가 줄어들어 버려, 유저의 조작성이 저하해 버린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의 설정 내용 표시 영역 207a 내지 207d에 표시할 정보량이 제어된다.
도 3은, 도 1의 MFP(101)에 의해 실행되는 이력 버튼 표시 제어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3의 처리는, CPU(103)이 기억 영역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도 3의 처리는, 기억 영역에 전술한 설정 이력이 격납되었을 때에 실행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처리에서는, 일례로서, 격납된 설정 이력과 관련된 이력 버튼 204a가 이력 표시 영역(203)에 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CPU(103)은, 격납된 설정 이력으로부터 일시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01). 이어서, CPU(103)은, 취득한 일시 정보를 이력 버튼 204a의 일자 정보 표시 영역(205a)에 표시한다(스텝 S302). 이어서, CPU(103)은, 격납된 설정 이력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03). 이어서, CPU(103)은,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력 버튼 204a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영역(206a)에 표시한다(스텝 S304). 이어서, CPU(103)은, 격납된 설정 이력으로부터 잡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05). 이어서, CPU(103)은, 기억 영역에 미리 격납된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06). CPU(103)은, 표시 사이즈 정보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7)의 대각선 사이즈를 취득한다. 이어서, CPU(103)은, 취득한 표시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307). 스텝 S307에서는, 예를 들면, 대각선 사이즈가 10인치 이상일 경우, CPU(103)은,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이상이라고 판별한다. 한편, 대각선 사이즈가 10인치 미만일 경우, CPU(103)은,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이라고 판별한다.
스텝 S307의 판별의 결과,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일 때, CPU(103)은, 기억 영역에 미리 격납된 공장 출하시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08). 공장 출하시 설정 정보는, 공장 출하시에 등록된 복수의 공장 출하값을 포함한다. 공장 출하값은, 유저가 변경불가능한 값이다. 공장 출하값은, 잡 설정 정보의 초기값으로서 이용되고, 또한, MFP(101)의 설정 상태를 초기화할 때에 이용된다. 한편, MFP(101)에서는, 공장 출하값을 사용하지 않고, 유저마다 잡 설정 정보의 초기값을 디폴트 설정값으로서 등록가능하다. 디폴트 설정값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면, CPU(103)은, 이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화면을 디폴트 설정값이 설정 화면에 설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07)에 표시한다.
이어서, CPU(103)은,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설정값 중에서 1개의 설정값을 판독한다(스텝 S309). 이어서, CPU(103)은, 취득한 공장 출하시 설정 정보 중에서 스텝 S309에서 판독한 1개의 설정값에 대응하는 설정 항목의 공장 출하값을 특정한다. CPU(103)은, 스텝 S309에서 판독한 1개의 설정값이, 특정한 공장 출하값과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310). 여기에서, 스텝 S309에서 판독한 설정값이, 특정한 공장 출하값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 설정값은, 유저가 잡의 실행을 지시했을 때에 초기값으로부터 변경한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라고 판별된다. 한편, 스텝 S309에서 판독한 설정값이, 특정한 공장 출하값과 일치할 경우, 이 설정값은, 유저가 잡의 실행을 지시했을 때에 초기값으로부터 변경되지 않는 설정 항목의 설정값, 즉, 초기값이라고 판별된다.
스텝 S310의 판별의 결과, 스텝 S309에서 판독한 설정값이, 특정한 공장 출하값과 일치할 때, CPU(103)은, 설정값을 이력 버튼 204a의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표시하지 않는다(스텝 S311). 이어서, CPU(103)은, 후술하는 스텝 S313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310의 판별의 결과, 스텝 S309에서 판독한 설정값이, 특정한 공장 출하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CPU(103)은, 이 설정값을 이력 버튼 204a의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표시한다(스텝 S312). 이렇게 하여, 본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일 경우, CPU(103)은,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있어서의 정보량을 줄이는 제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설정 내용 표시 영역 207b 내지 207d에 대해서도 같은 제어가 제공되고, 이력 표시 영역(203)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가 이 이력 표시 영역에 들어가도록 표시된다. 이어서, CPU(103)은,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설정값을 판독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313).
스텝 S313에서 CPU(103)가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설정값이 판독되지 않았다고 판별할 때, 스텝 S309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스텝 S313에서 CPU(103)가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설정값을 판독하였다고 판별했을 때, CPU(103)은, 본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07의 판별의 결과,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이상일 때, CPU(103)은, 취득한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설정값을 이력 버튼 204a의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에 표시한다(스텝 S314). 그후, CPU(103)은, 본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의 설정 내용 표시 영역 207a 내지 207d에 표시되는 정보량이 제어된다. 즉,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에 적합하지 않는 양의 정보가 설정 내용 표시 영역(207a) 등에 표시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7)에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를 한번에 표시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에 관한 유저의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일 경우,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일부의 설정값에 관한 정보가 설정 내용 표시 영역 207a 내지 207d에 표시된다. 즉,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일 경우에, 설정 내용 표시 영역 207a 내지 207d에 표시할 정보량을 줄어서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가 디스플레이(107)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제어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이여도,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다.
더구나,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일 경우,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설정값 중, 초기값과 일치하지 않는 설정값에 관한 정보가 설정 내용 표시 영역 207a 내지 207d에 표시된다. 초기값과 일치하지 않는 설정값은, 유저가 잡의 실행을 지시했을 때에 의도적으로 설정한 설정값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유저가 이들 설정값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 때문에, 유저는,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설정값 중, 초기값과 일치하지 않는 설정값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잡 설정 정보의 내용을 어떤 정도 파악가능하다. 잡 설정 정보의 내용을 유저에게 알린다는 관점에서, 초기값과 일치하지 않는 설정값에 관한 정보를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일 경우,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설정값 중, 초기값과 일치하지 않는 설정값에 관한 정보가 설정 내용 표시 영역 207a 내지 207d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가 디스플레이(107)에 들어갈 수 있도록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의 설정 내용 표시 영역 207a 내지 207d에 표시할 정보량이 줄어도, 각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와 관련된 잡 설정 정보의 내용을 유저에게 통보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이상일 경우,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설정값에 관한 정보가 설정 내용 표시 영역 207a 내지 207d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각 이력 버튼 204a 내지 204d와 관련된 잡 설정 정보의 모든 내용을 유저에게 통보할 수 있어, 유저가 원하는 이력 버튼을 선택하기 쉬운 환경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텝 S307에 있어서의 판별은, 표시 사이즈 정보로서 취득한 디스플레이(107)의 해상도를 표시하는 해상도 정보에 근거하여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취득한 해상도 정보가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07)의 해상도가 VGA일 경우, CPU(103)은,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이라고 판별한다. 한편, 취득한 해상도 정보가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07)의 해상도가 SVGA일 경우, CPU(103)은,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가 소정의 표시 사이즈 이상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해상도 및 화소수의 조합인 정보에 근거하여 스텝 S307의 판별을 행해도 된다.
더구나,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억 영역에 미리 격납된 디스플레이(107)의 식별 정보 및 표시 사이즈의 매핑 정보에 근거하여 스텝 S307의 판별을 행해도 된다. MFP(101)이 1종류의 표시 사이즈만 지원할 경우, 기억 영역에는 고정값인 표시 사이즈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한편, MFP(101)이 복수종의 표시 사이즈를 지원하는 경우, MFP(101)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107)의 식별 정보가 기억 영역에 격납되어 있다.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7)의 모델 번호 정보다. CPU(103)은, 디스플레이(107)의 모델 번호 정보를 판독하고, 모델 번호 정보 및 표시 사이즈의 매핑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107)의 표시 사이즈를 특정하고, 특정한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스텝 S307의 판별을 행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MFP(101)에 접속된 디스플레이(107)에 관한 정보를 터치패널(106) 등을 사용하여 접수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이력 버튼에 관한 표시 제어가, CPU(103)이 디스플레이(107) 전용으로 만들어져 있지 않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공해도 된다. 이때, 표시 제어 프로그램은 기억 영역에 격납되어 있다. 여기에서, MFP의 제조공정의 효율화의 관점에서, 표시 사이즈가 다른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는 복수의 MFP에, 어떤 특정한 MFP에 대해 특화해서 만들어져 있지 않은 범용적인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짜넣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제조공정에서 생산된 각 MFP에서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사이즈에 적합하게 이력 버튼의 표시가 제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교적 작은 표시 사이즈를 갖는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는 MFP에서는, 적은 수의 이력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한번에 표시될 수 있어(에를 들어, 도 2b 참조), 이력 버튼에 관한 유저의 조작성이 저하해 버린다. 이러한 제조공정에서 생산된 각 MFP에 있어서 전술한 도 3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본 출원은 2018년 6월 8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10348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내용을 참조를 위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7)

  1. 표시 유닛을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기능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기능에 의해 사용된 잡 설정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이력 버튼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화상 처리장치로서,
    상기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표시 영역에 상기 잡 설정 정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상기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할 정보량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잡 설정 정보는 복수의 설정값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일 경우,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일부의 설정값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상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값이 이 설정값에 대응하는 설정 항목의 초기값이며 상기 화상 처리장치의 공장 출하시에 등록된 초기값과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판별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가 상기 소정의 표시 사이즈 미만일 경우,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설정값 중 상기 초기값과 일치하지 않는 설정값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상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가 상기 소정의 표시 사이즈 이상일 경우,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잡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설정값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상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을 위해 전용으로 만들어져 있지 않은 표시 제어 프로그램에 근거해서 표시를 제어하는 화상 처리장치.
  6. 표시 유닛을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기능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기능에 의해 사용된 잡 설정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이력 버튼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화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표시 영역에 상기 잡 설정 정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를 제공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상기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할 정보량을 제어하는 제어방법.
  7. 표시 유닛을 구비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기능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기능에 의해 사용된 잡 설정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이력 버튼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화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화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표시 영역에 상기 잡 설정 정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를 제공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표시 유닛의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상기 이력 버튼을 구성하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할 정보량을 제어하는 기억매체.
KR1020190060371A 2018-06-08 2019-05-23 잡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2479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0348 2018-06-08
JP2018110348A JP6743091B2 (ja) 2018-06-08 2018-06-08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762A true KR20190139762A (ko) 2019-12-18
KR102479362B1 KR102479362B1 (ko) 2022-12-20

Family

ID=6677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371A KR102479362B1 (ko) 2018-06-08 2019-05-23 잡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15548B2 (ko)
EP (1) EP3579534B1 (ko)
JP (1) JP6743091B2 (ko)
KR (1) KR102479362B1 (ko)
CN (1) CN110580134B (ko)
BR (1) BR1020190105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0181B2 (ja) * 2018-07-25 202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WO2021132720A1 (ko) * 2019-12-27 2021-07-01
US11765287B2 (en) * 2020-04-21 2023-09-19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llowing display device to display combinations of setting values satisfying predetermined condition
US11474756B2 (en) * 2020-04-21 2022-10-1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llowing display device to display combinations of setting values previously set for each of plurality of functions
JP2022102559A (ja) 2020-12-25 2022-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4004094A1 (ja) * 2022-06-29 2024-01-04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3600A (ja) * 2011-03-25 2012-10-22 Fuji Xerox Co Ltd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44097A (ja) * 2015-02-03 2016-08-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リモートパネルシステム、リモート画面の表示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1047B2 (ja) * 1996-10-18 2004-04-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2008018541A (ja) * 2006-07-10 2008-01-3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表示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452739B2 (ja) * 2007-11-13 2010-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履歴情報表示方法
JP5304478B2 (ja) * 2008-08-07 2013-10-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操作画面更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69685B2 (ja) 2008-08-13 2010-10-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アドレス記憶方法、およびアドレス記憶プログラム
JP4752897B2 (ja) * 2008-10-31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341489B2 (ja) * 2008-11-26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91267B2 (ja) * 2010-02-18 2012-12-05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機器、その操作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操作方法
JP5340214B2 (ja) 2010-04-05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08521B2 (ja) * 2014-02-03 2018-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05131B2 (ja) * 2014-03-14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58855A (ja) 2015-09-15 2017-03-2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JP6304210B2 (ja) * 2015-12-02 2018-04-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装置、画面表示方法、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US20170269896A1 (en) * 2016-03-21 2017-09-21 I/O Interconnect, Ltd. Method for Divisionally Displaying Screen Pictures of Multiple Application Pages of Handheld Computer on External Monitor
JP6500863B2 (ja) * 2016-09-02 2019-04-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8157504A (ja) * 2017-03-21 2018-10-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3600A (ja) * 2011-03-25 2012-10-22 Fuji Xerox Co Ltd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44097A (ja) * 2015-02-03 2016-08-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リモートパネルシステム、リモート画面の表示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362B1 (ko) 2022-12-20
US20190379799A1 (en) 2019-12-12
BR102019010599A2 (pt) 2019-12-10
JP2019209666A (ja) 2019-12-12
EP3579534A1 (en) 2019-12-11
JP6743091B2 (ja) 2020-08-19
CN110580134B (zh) 2023-11-14
CN110580134A (zh) 2019-12-17
EP3579534B1 (en) 2021-11-24
US11115548B2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362B1 (ko) 잡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96392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3252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108537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41963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702773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25228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0298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control based on magnification
US10768876B2 (en)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ith changing process action interface based on process object selection
US88482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 print preview
US1014883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rojector to display an image to be printed and related method
JP2007001041A (ja) 印刷装置およびその割込制御方法
US201801919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ing medium
US20200106902A1 (en) Display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115373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1141209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displays many apps in selectable manner,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7103189B2 (ja) 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10537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US10356259B2 (en)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5765098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6213565A (ja) 画像処理装置
US20170277411A1 (en) Display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201081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86644A (ja) 情報処理装置、機能提示方法及び機能提示プログラム
JP2010154137A (ja) 画像形成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