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459A -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 Google Patents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459A
KR20190139459A KR1020180065928A KR20180065928A KR20190139459A KR 20190139459 A KR20190139459 A KR 20190139459A KR 1020180065928 A KR1020180065928 A KR 1020180065928A KR 20180065928 A KR20180065928 A KR 20180065928A KR 20190139459 A KR20190139459 A KR 20190139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rame
vacuum suction
electric cart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152B1 (ko
Inventor
한근우
김성곤
이충훈
최명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6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5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는 전동카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프레임에 현가 되어 상기 배터리의 발생 동력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륜과 조향륜을 포함한 전후좌우 네개의 차륜과, 상기 배터리의 동력원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파워트레인과, 상기 조향륜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되, 상기 프레임의 후방 측에 조향 제어부가 설치되는 조향 시스템과, 상기 구동륜의 감속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체부; 상기 차체부의 프레임에 탑재되며, 상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측도어 및 상측도어 설치구가 형성되며,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발판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차체부의 프레임에 일체로 탑재되어 진공으로 쓰레기를 흡입하게 되며, 도로에 접촉하는 흡입구에는 솔이 형성되며, 흡입케이스에 흡입구로부터 진공 흡입된 쓰레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진공흡입 시스템을 구비한 진공흡입부 및 상기 진공흡입부의 진공흡입 세기 및 동작을 제어하는 진공흡입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미화용 전동카트{Electric cart for environment beautification}
본 발명은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환경미화원)이 탑승하여 운전하면서 실내/외 바닥의 쓰레기를 진공으로 흡입할 수 있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대한 효율적 청소를 위해 근래에는 도로를 주행하며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수거하는 도로청소차가 사용됨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도로청소차는 적은 인원으로 폭넓은 영역의 도로를 청소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과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도로청소차의 경우 큰 차량에 고가의 기기장치를 구비하는 식으로 하여금 이용되어 왔었다.
또한, 살수를 이용해 분진을 제거하는 식의 방식을 적용해왔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작되어 사용됨으로써, 대형운전 자격증이 필수로 필요하게 되고, 연비와 비교하여 이용할 수 있는 도로범위에 비하여 적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살수를 이용하는 방식은 겨울철에는 빙판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대형 차량이다 보니 주변의 교통에 혼잡을 주어 이동차량에 피해를 주는 증의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도로청소차가 개발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제안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5829호'가 제시되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본 발명의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는 탑승자(환경미화원)이 탑승하여 운전하면서 실내/외 바닥의 쓰레기를 진공으로 흡입할 수 있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는 전동카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프레임에 현가 되어 상기 배터리의 발생 동력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륜과 조향륜을 포함한 전후좌우 네개의 차륜과, 상기 배터리의 동력원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파워트레인과, 상기 조향륜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되, 상기 프레임의 후방 측에 조향 제어부가 설치되는 조향 시스템과, 상기 구동륜의 감속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체부; 상기 차체부의 프레임에 탑재되며, 상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측도어 및 상측도어 설치구가 형성되며,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발판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차체부의 프레임에 일체로 탑재되어 진공으로 쓰레기를 흡입하게 되며, 도로에 접촉하는 흡입구에는 솔이 형성되며, 흡입케이스에 흡입구로부터 진공 흡입된 쓰레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진공흡입 시스템을 구비한 진공흡입부 및 상기 진공흡입부의 진공흡입 세기 및 동작을 제어하는 진공흡입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부의 후단부 상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 상측에는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수납 공간 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에는 문자의 표시가 가능한 전광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흡입부는, 상기 흡입구와 흡입케이스를 잇는 통로역할을 하는 이동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쓰레기의 종류(또는 크기)에 따라 구분되어 흡입케이스에 인입시켜주는 구별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케이스는 인입되는 쓰레기의 종류(또는 크기)에 따라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별주입부는, 상기 흡입케이스를 구비하며,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케이스 및 상기 회전케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관의 위치가 흡입되는 쓰레기의 종류(또는 크기)에 따라 구분된 흡입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탑승자가 상기 회전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발판은, 여러 명이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발판의 면적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면적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적조절부는, 탑승발판 내측에 수납되며, 탑승발판의 양측, 후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보조발판부 및 상기 보조발판부가 외측으로 돌출될 시 탑승발판 또는 보조발판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체부 하단에 구비되며, 일단에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타단과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는 탑승자(환경미화원)이 탑승하여 운전하면서 실내/외 바닥의 쓰레기를 진공으로 흡입할 수 있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형운전 면허를 소지하지 않고도 운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운행이 용이하다.
또한,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이동차량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하루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크고, 충전 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연과 같은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내에 설치된 진공흡입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에 보조발판의 구성을 추가하였을 때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조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의 동력전달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의 동력전달 회로도의 일 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내에 설치된 진공흡입부(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에 보조발판의 구성을 추가하였을 때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조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부(420)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의 동력전달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환경미화용 전동카트의 동력전달 회로도의 일 예이다.
먼저,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는 차체부(100), 하우징(200), 진공흡입부(300) 및 진공흡입제어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체부(100)는 전동카트의 주행에 필요한 각종 장치들을 포함하는 부분으로써 프레임, 배터리(10), 차륜(110), 파워 트레인, 조향 시스템, 브레이크 시스템 등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은 하우징(200)을 비롯하여 진공흡입부(300)와 진공흡입제어부(305)가 설치되도록 전동카트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써, 하우징(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 일측에는 배터리(10)가 설치되어 전동카트에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배터리(1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은 DC/DC컨버터(11)를 통해 직류로 변환되어 파워트레인(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동카트 인버터(21) 및 흡입모터(3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진공흡입부 인버터(31)에 전달된다.
DC/DC컨버터(11)는 메인제어기(13)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메인제어기(13)는 전동카트 인버터(21)를 제어하기 위한 전동카트 제어부(20) 및 진공흡입부 인버터(31)를 제어하기 위한 진공흡입제어부(305)를 제어할 수 있다.
전동카트 인버터(21)와 진공흡입부 인버터(31)의 회로 구성의 예시적인 회로도를 나타낸 도 7을 참조하면, 전동카트 인버터(21)와 진공흡입부 인버터(31)는 각 3상 인버터로 구성되어 배터리(10)(예를 들어, 48V)에 병렬 연결된다. 이를 통해, 3상 교류의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여 전동카트의 파워트레인(50)의 속도 또는 진공흡입부(300)의 흡입모터(34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전동카트의 파워트레인(50) 및 진공흡입부(300)의 흡입모터(340)는 전동카트 인버터(21)와 진공흡입부 인버터(31)를 통해 동일한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편, 전동카트 인버터(21)와 진공흡입부 인버터(31)를 제어하는 전동카트 제어부(20)와 진공흡입 제어부를 각각 구비하여, 전동카트의 파워트레인(50) 및 진공흡입부(300)의 흡입모터(340)의 구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차륜(110)은 쇼트 업소버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에 의해 프레임에 현가되는 전후좌우 네 개의 바퀴들고 구성되어 있는데 전륜 조향 및 후륜 구동 시스템을 취한에 따라 전동카트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륜(110a)은 전방측에 한 쌍이 배치되고, 배터리(10)의 발생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110b)은 후방 측에 한쌍이 배치된다.
그리고, 파워트레인(50)은 배터리(10)로부터 제공된 동력원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켜 구동륜(110b)으로 그 동력을 전달한다.
조향 시스템은 조향륜(110a)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써, 전동카트의 진행 방향을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프레임의 후방 측에는 도 2에 보이는 것과 같은 조향 핸들(1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조향 핸들(120)로부터 조향륜(110a)까지 링크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조향 핸들(120)의 하측에 설치된 조향축의 하단부에 제1 와이어 로드가 연결되고, 한쌍의 조향륜(110a)에도 각각 제2 와이어 로드가 연결되되, 이들 제1 와이어 로드와 제2 와이어 로드 사이에는 링크부재가 개재되어 조향 핸들(120)의 조향력이 제1 와이어 로드로부터 링크부재를 거쳐 제2 와이어 로드로 전달됨으로써 조향륜(110a)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조향 핸들(120)의 중앙부와 그립 사이에는 전동카트의 운행과 관련된 수단들 및 각종 스위치 등과 같은 운행제어수단들이 설치되어 있다.
운행제어수단의 예로는 전동카트의 동력원인 배터리(1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이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선택 스위치. 배터리(10)의 전력 공급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출력을 제어하여 전동카트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레버, 조향륜(110a)의 전/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 제어 스위치, 비상등을 점멸하는 비상등 스위치, 경적을 울리기 위한 혼 스위치, 방향지시등을 점멸하는 방향지시등 스위치, 전방의 라이트를 점멸하는 라이트 스위치, 전동카트의 속도 모드를 고속 모드와 저속 모드로 변환시키는 고/저속 변환 스위치, 비상시에 배터리(1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용 비상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와 속도조절레버 및 각종 스위치들에 대한 스위칭 회로는 차량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미도시 처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구동륜(110b)의 감속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써,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미도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우징(200)은 차체부(100)의 프레임에 탑재가 되어 전동카트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차체부(100)에 진공흡입부(300)가 탑재된 후 하우징(200)이 부착이 된다.
또한, 하우징(200)은 상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측도어(210) 및 상측도어 설치구가 형성되며,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발판(22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차체부(100)의 후단부 측(즉, 전동카트 탑승자가 운전시 탑승하게 되는 쪽)의 상측에는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수납 공간 도어(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공간에는 교체용 흡입케이스, 집게, 음식물쓰레기 수거봉투, 탑승자 개인 물품 등이 수납 보관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200)의 전단부에는 문자의 표시가 가능한 전광판부(250)가 구비될 수 있는 데 이는 GPS와 연동되어 현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전동카트가 운행 중인지 운행 정지 중인지를 표시하여 주행하는 차량이나, 보행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의 발생의 미연에 방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해당 지역의 환경관리공단 전화번호도 표시되어 필요 시 추후에 무단투기 등에 관하여 신고할 수 있도록 미리 전화번호를 홍보하는 수단 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진공흡입부(300)는 차체부(100)에 탑재된 후 하우징(200)이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 진공흡입부(300)는 전동카트에 의해 도로를 이동하면서 도로 가에 있는 쓰레기(예: 낙엽, 먼지, 낙엽, 플라스틱, 캔, 종이 등)를 진공을 이용해 흡입하여 흡입케이스(325a, b, c, d)로 저장하는 청소기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진공흡입부(300)는 도로에 접촉하는 흡입구(310)에는 솔이 형성되며, 흡입케이스(325a, b, c, d)에 흡입구(310)로부터 진공 흡입된 쓰레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진공흡입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으나, 구조에 있어서 일부 차이가 있다.
그 차이 부분은 흡입구(310)로 흡입되어 이동관(315)을 타고 흡입케이스(325a, b, c, d)로 쓰레기가 전달될 때의 방식에 차이를 두어 쓰레기 집하장으로 가기 전에 1차적으로 분리수거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쓰레기 처리 공정을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흡입부(300)는 흡입구(310)와 흡입케이스(325a, b, c, d)를 잇는 통로역할을 하는 이동관(315)으로부터 전달되는 쓰레기의 종류(또는 크기)에 따라 구분되어 흡입케이스(325a, b, c, d)에 인입 시켜주는 구별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별주입부는 흡입케이스(325a, b, c, d)를 구비하며,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케이스(320) 및 상기 회전케이스(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관(315)의 위치가 흡입되는 쓰레기의 종류(또는 크기)에 따라 구분된 흡입케이스(325a, b, c, d)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탑승자가 상기 회전모터(33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조향 핸들(120)에는 회전케이스(3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회전제어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탑승자가 흡입할 쓰레기를 시각적으로 판단하여 플라스틱일 경우에는 플라스틱 보관공간으로 정해진 흡입케이스(325a)가 이동관(315)과 상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회전제어 스위치를 이용해 회전모터(330)를 동작시켜 회전케이스(320)를 회동 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흡입케이스(325a, b, c, d)는 분리수거 될 수 있는 쓰레기 종류만큼 구비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가 일측에 구비되어 소정 무게 이상이 적재되면 이를 감지하여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하여 탑승자가 상측도어(210)를 열어 흡입케이스(325a, b, c, d)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의 회전케이스(320)는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케이스(325a, b, c, d)가 상부 일측이 이동관의 직경과 대응되는 홀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어 적재되는 쓰레기의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고자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회전되도록 회전모터(330)의 축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진공흡입부(300)와 관련된 동작인 흡입 세기나 동작 여부는 진공흡입제어부(305)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진공흡입시스템에는 쓰레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모터(340)와 흡입모터(340)의 작동으로 인한 과열을 흡입 및 배출하는 흡입팬(345)이 구비되는 데, 흡입팬(345)은 상기 회전모터(3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배출할 수도 있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바람을 배기할 수 있는 배기홀(240)이 하우징(200) 후단부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진공흡입부(300)도 전동카트와 마찬가지로 배터리(10)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탑승발판(220)은 여러 명이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발판(220)의 면적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면적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적조절부(400)는 탑승발판(220) 하측에 수납되며, 탑승발판(220)의 양측, 후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보조발판부(410) 및 보조발판부(410)가 외측으로 돌출될 시 탑승발판(220) 또는 보조발판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발판은 탑승발판(220)을 기준으로 양측, 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 좌측보조발판(410a), 우측보조발판(410b), 후측보조발판(41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좌측보조발판(410a), 우측보조발판(410b)은 각각 탑승발판(220)의 1/2크기로 구비되어 하측 내부로 레일과 롤러를 이용해 삽입/돌출될 수 있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후측보조발판(410c)의 경우에는 탑승발판(22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보조발판(410a), 우측보조발판(410b)보다 하측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후측방향으로 레일과 롤러를 이용해 삽입/돌출될 수 있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좌측보조발판(410a), 우측보조발판(410b), 후측보조발판(410c)이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레일이 형성되는 보조발판적재 공간이 탑승발판(220)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지부(420)는 상기와 같은 보조발판을 이용할 경우에는 탑승자가 더 많아지거나, 짐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적재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차체부(100)의 프레임 하단에 구비되며, 일단에 형성된 지지판(420c)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420a) 및 지지프레임(420a) 타단과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는 실린더부(42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420a)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옆으로 누운 'ㄱ'형상으로 되고, 탑승발판(220), 좌측보조발판(410a), 우측보조발판(410b), 후측보조발판(410c)의 하면과 맞닿도록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지지판(420c)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420a)을 지지판(420c)이 형성된 일단을 기준으로 실린더부(420b)를 이용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조발판 이용 시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부(420b)는 일단이 지지프레임(420a)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차체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는 운행 시 도면과 같이 전방 하측에 구비된 흡입구(310)를 통해 흡입되지 못한 먼지종류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차륜(110)의 휠에 전기집진기를 구비하여 원리를 적용시킬 수 있다.
통상적인 전기집진기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도면에는 미도시 처리하였다.
이때, 차륜(110)에 먼지가 집진 하게 되므로, 일정 거리 이동 후에는 집진된 먼지를 흡입케이스(325a, b, c, d)에 옮겨 담는 과정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차륜(110) 휠에 구비되는 전기집진기는 직류고압전압에 의하여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시키면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음(-)이온은 가스 중의 먼지 입자와 대전되어 전기력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집진극으로 이동됨으로써 포집되는 정전기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의 전기집진기는 전동카트가 운행됨과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는 필터가 필요 없어 필터교체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며, 유지관리 비용이 들지 않아 경제적이고, 2차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1㎛이하의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도 있고, 소비전력이 적다.
또한, 저진동, 저소음으로 차륜(110)에 구비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는 탑승자(환경미화원)이 탑승하여 운전하면서 실내/외 바닥의 쓰레기를 진공으로 흡입할 수 있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형운전 면허를 소지하지 않고도 운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운행이 용이하다.
또한,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이동차량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하루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크고, 충전 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연과 같은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배터리
11 : DC/DC컨버터
13 : 메인제어기
20 : 전동카트 제어부
21 : 전동카트 인버터
30 : 진공흡입제어부
31 : 진공흡입부 인버터
50 : 파워트레인
100 : 차체부
110 : 차륜
110a : 조향륜
110b : 구동륜
120 : 조향 핸들
200 : 하우징
210 : 상측도어
220 : 탑승발판
230 : 수납 공간 도어
240 : 배기홀
250 : 전광판부
300 : 진공흡입부
305 : 진공흡입제어부
310 : 흡입구
315 : 이동관
320 : 회전케이스
325a, b, c, d : 흡입케이스
330 : 회전모터
340 : 흡입모터
345 : 흡입팬
400 : 면적조절부
410 : 보조발판부
410a : 좌측보조발판
410b : 우측보조발판
410c : 후측보조발판
420 : 지지부
420a : 지지프레임
420b : 실린더부
420c : 지지판

Claims (8)

  1. 전동카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프레임에 현가 되어 상기 배터리의 발생 동력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륜과 조향륜을 포함한 전후좌우 네개의 차륜과, 상기 배터리의 동력원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파워트레인과, 상기 조향륜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되, 상기 프레임의 후방 측에 조향 제어부가 설치되는 조향 시스템과, 상기 구동륜의 감속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체부;
    상기 차체부의 프레임에 탑재되며, 상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측도어 및 상측도어 설치구가 형성되며,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발판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차체부의 프레임에 일체로 탑재되어 진공으로 쓰레기를 흡입하게 되며, 도로에 접촉하는 흡입구에는 솔이 형성되며, 흡입케이스에 흡입구로부터 진공 흡입된 쓰레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진공흡입 시스템을 구비한 진공흡입부 및
    상기 진공흡입부의 진공흡입 세기 및 동작을 제어하는 진공흡입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의 후단부 상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 상측에는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수납 공간 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에는 문자의 표시가 가능한 전광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부는,
    상기 흡입구와 흡입케이스를 잇는 통로역할을 하는 이동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쓰레기의 종류(또는 크기)에 따라 구분되어 흡입케이스에 인입시켜주는 구별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케이스는 인입되는 쓰레기의 종류(또는 크기)에 따라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주입부는,
    상기 흡입케이스를 구비하며,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케이스 및
    상기 회전케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관의 위치가 흡입되는 쓰레기의 종류(또는 크기)에 따라 구분된 흡입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탑승자가 상기 회전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발판은,
    여러 명이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발판의 면적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면적조절부를 포함하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조절부는,
    탑승발판 내측에 수납되며, 탑승발판의 양측, 후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보조발판부 및
    상기 보조발판부가 외측으로 돌출될 시 탑승발판 또는 보조발판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체부 하단에 구비되며, 일단에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타단과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KR1020180065928A 2018-06-08 2018-06-08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KR10211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28A KR102117152B1 (ko) 2018-06-08 2018-06-08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28A KR102117152B1 (ko) 2018-06-08 2018-06-08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59A true KR20190139459A (ko) 2019-12-18
KR102117152B1 KR102117152B1 (ko) 2020-06-01

Family

ID=6905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928A KR102117152B1 (ko) 2018-06-08 2018-06-08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6458A (zh) * 2021-08-25 2022-02-08 青海格茫公路管理有限公司 一种公路工程建设用的移动式降尘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964B1 (ko) 2022-03-24 2023-11-08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다목적 전동차
KR20230153089A (ko) 2022-04-28 2023-11-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카트용 전동식 파워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01U (ja) * 1991-07-29 1993-02-19 裕司 角子 空き缶分別ゴミ箱
KR20160064329A (ko) * 2014-11-27 2016-06-08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음료의 냉장운반용 전동카트
KR20170049824A (ko) * 2015-10-29 2017-05-11 조승제 낙엽 및 도로 진공청소차
KR101749825B1 (ko) * 2015-11-10 2017-06-26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과채 수확용 전동 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01U (ja) * 1991-07-29 1993-02-19 裕司 角子 空き缶分別ゴミ箱
KR20160064329A (ko) * 2014-11-27 2016-06-08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음료의 냉장운반용 전동카트
KR20170049824A (ko) * 2015-10-29 2017-05-11 조승제 낙엽 및 도로 진공청소차
KR101749825B1 (ko) * 2015-11-10 2017-06-26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과채 수확용 전동 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6458A (zh) * 2021-08-25 2022-02-08 青海格茫公路管理有限公司 一种公路工程建设用的移动式降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152B1 (ko)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9459A (ko) 환경미화용 전동카트
KR101588339B1 (ko) 상업용 로봇 바닥세척기
CN103362093B (zh) 电动地面清扫机
CN101392506A (zh) 混合动力吸尘环卫车和混合动力扫地环卫车
CN202023169U (zh) 一种微型道路清扫车
CN201314036Y (zh) 混合动力吸尘环卫车和混合动力扫地环卫车
WO2007045159A1 (fr) Systeme de charge rapide d'ultra condensateur pour trolleybus
CN105951645A (zh) 全封闭驾驶式纯电动四轮前驱扫路车
WO2021152331A1 (en) Particulate collecting device
CN201193322Y (zh) 一种扫地车
CN101704343A (zh) 多能源电动汽车
CN203296008U (zh) 一种电动地面清扫机
CN113184421A (zh) 真空管道式餐厨垃圾收运装置
CN107839534A (zh) 一种纯电动扫路机电驱系统
CN204551344U (zh) 一种扫路机
CN101294375A (zh) 电动驾驶式扫地车
CN105332354A (zh) 一种四轮多功能电动保洁车
CN204551345U (zh) 一种新能源扫路机
CN106638444A (zh) 地铁轨道专用清扫装置
KR102392623B1 (ko) 노면 전기 청소차 제어장치
KR102578192B1 (ko) 휠 어셈블리
CN112849855A (zh) 一种新型环卫四轮电动车
CN201834467U (zh) 多功能机场垃圾清理车
JP3235539U (ja) 保線用電動カート
CN109433347A (zh) 一种车载厢式固废垃圾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