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403A - 다리미질 장치 - Google Patents

다리미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403A
KR20190139403A KR1020180065809A KR20180065809A KR20190139403A KR 20190139403 A KR20190139403 A KR 20190139403A KR 1020180065809 A KR1020180065809 A KR 1020180065809A KR 20180065809 A KR20180065809 A KR 20180065809A KR 20190139403 A KR20190139403 A KR 20190139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ironing board
discharge
discharge unit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583B1 (ko
Inventor
이은정
김명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58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6Ironing boards  attachable to independent supports, e.g.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ron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를 향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다리미질을 할 수 있는 다리미질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리미질 장치는, 빌트인 부재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인출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펼쳐지는 다리미판과, 상기 캐비닛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빌트인 부재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리미질 장치{APPARATUS FOR IRONING}
본 발명은 다리미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빌트인 식으로 설치된 다리미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테리어는 실내를 미려하게 하는 것을 넘어서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구 및 가전기기 등을 빌트인(built-in) 식으로 설치하고 있다. 상기 인테리어를 빌트인 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실내의 벽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잘 정리된 느낌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이 넓게 보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인기가 많은 인테리어 방식이다.
한편, 드레스룸에는 의류보관기 및 의류처리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보관기는 일반적인 가구와 같은 의류를 보관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통칭하고, 상기 의류처리기는, 의류가 수용된 처리실 내로 물을 가하여 의류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거나, 건조 공기를 가하여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공기를 송풍하거나 증기를 가하여 의류를 재생(refresh, 예를 들어 주림이나 냄새 제거)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또한, 상기 드레스룸에는 상기 의류보관기 및 상기 의류처리기와 더불어, 다라미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미질 장치는 빌트인 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상기 드레스룸에서 상기 다리미질 장치를 이용하여 다리미질을 하는 도중에, 다리미의 온도로 인해 실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땀을 흘리게 되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류를 다리질할 때 다리미판에 놓인 의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리미질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의류를 손으로 고정시키면서 다리미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를 향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다리미질을 할 수 있는 다리미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다리미질 중에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토출부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에게 냉기를 토출할 수 있는 다리미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다리미판에 의류를 흡착시켜서 다리미질을 할 수 있는 다리미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리미질 장치는, 빌트인 부재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인출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펼쳐지는 다리미판과, 상기 캐비닛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빌트인 부재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캐비닛의 직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캐비닛 위치센서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센서와, 상기 토출부를 상기 빌트인 부재에서 인출 또는 삽입시키도록 구동되는 토출부 무빙기구와,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상기 실내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토출부가 인출되도록 상기 토출부 무빙기구를 작동시키고 상기 토출부가 냉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토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상기 실내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토출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상기 실내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 제2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토출부가 인출되도록 상기 토출부 무빙기구를 작동시키고 상기 토출부가 온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토출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상기 실내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토출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상기 빌트인 부재 내로 삽입된 위치이면, 상기 토출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빌트인 부재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토출부 무빙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다리미판에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의류흡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동되는 흡착구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미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리미판 위치센서와, 상기 다리미판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다리미판의 위치가 펼쳐진 위치이면, 상기 흡착구동기구가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흡착구동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리미판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다리미판의 위치가 접혀진 위치이면, 상기 흡착구동기구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는, 다리미를 수용하는 다리미 보관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다리미 보관부보다 상측에 다리미판 설치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다리미판 설치패널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다리미판 설치패널에 접히고 펼쳐질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미질 장치는, 빌트인 부재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인출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펼쳐지는 다리미판과, 상기 캐비닛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빌트인 부재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토출부가 사용자를 향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다리미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캐비닛 위치센서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센서와, 상기 토출부를 상기 빌트인 부재에서 인출 또는 삽입시키도록 구동되는 토출부 무빙기구와,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이고, 상기 실내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토출부가 인출되도록 상기 토출부 무빙기구를 작동시키고 상기 토출부가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토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리미질 중에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토출부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에게 냉기를 토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다리미판에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의류흡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동되는 흡착구동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다리미판에 의류를 흡착시켜서 다리미질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토출부가 인출된 후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리미판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의 토출부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의 흡착구동기구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토출부가 인출된 후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리미질 장치는, 빌트인 부재(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인출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캐비닛(10)으로부터 펼쳐지는 다리미판(15)과, 캐비닛(10)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빌트인 부재(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20)를 포함한다.
빌트인 부재(1)는 드레스룸의 측벽에 설치된 인테리어 부재일 수 있다. 캐비닛(10) 및 토출부(20)는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될 수 있고,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될 수 있다. 캐비닛(10) 및 토출부(20)는 일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되어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되고, 타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되어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될 수 있다.
캐비닛(10) 및 토출부(20)는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되는 선단을 전면이라고 정의할 시,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된 상태일 때 캐비닛(10) 및 토출부(20) 각각의 전면은, 빌트인 부재(1)의 실내측면과 매칭될 수 있고, 빌트인 부재(1)와 동일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다리미(5)를 보관하는 다리미 보관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리미 보관부(11)는 서랍식으로 형성되어, 다리미(5)는 다리미 보관부(11) 내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다리미판(15)은 캐비닛(10)에 접히고 펼쳐질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0)에는 다리미판 설치패널(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리미판 설치패널(12)은 다리미 보관부(11)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리미판(15)은 일단이 다리미판 설치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리미판 설치패널(12)에 접히고 펼쳐질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다리미판(15)은 캐비닛(10)의 인출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일 때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양측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내측에 다리미 보관부(11), 다리미판 설치패널(12) 및 다리미판(15)이 수용되는 사각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리미판(15)에는 다리미질되기 위한 의류가 놓여질 수 있다. 사용자는 캐비닛(10)을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시킨 후 다리미판(15)을 측방향으로 펴서 다리미판(15) 위에 의류를 올려놓고 다리미(5)를 이용하여 의류를 다리미질할 수 있다.
토출부(20)는 사용자의 머리 높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제1 열교환기구, 팽창기구 및 제2 열교환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압축기, 제1 열교환기구 및 팽창기구는 실외기로 구성되어 실외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열교환기구는 실내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팽창기구는 상기 실외기에 구성되지 않고 실내기에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에 모두 구성될 수도 있다. 토출부(20)는 상기 실내기의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일 수 있다. 즉, 토출부(20)가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된다는 것은, 상기 실내기의 도어가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공기토출구가 개방된다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토출부(20)가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된다는 것은, 상기 실내기의 도어가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되어 상기 공기토출구가 닫힌다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기구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구가 증발기로 작용하는 경우, 토출부(20)는 실내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교환기구가 증발기로 작용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구가 응축기로 작용하는 경우, 토출부(20)는 실내로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 열교환기구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구가 증발기로 작용하는 냉방모드로만 작동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열교환기구가 증발기로 작용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구가 응축기로 작용하는 난방모드로만 작동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방모드 및 상기 난방모드가 모두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토출부(20)는 캐비닛(10)의 직상방에 구비되고, 캐비닛(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다리미판(15)의 후방에 서서 다리미질을 실시할 수 있고, 토출부(20)는 사용자의 머리 옆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 옆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는, 토출부(20)가 사용자를 향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다리미질을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리미판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리미판(15)에는, 내부에 중공부(15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중공부(15A)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의류흡착공(16A)이 형성될 수 있다. 다리미판(15)은 상판(16) 및 하판(17)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판(16) 및 하판(17)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중공부(15A)가 형성될 수 있고, 상판(16)에는 의류흡착공(16A)이 중공부(15A)와 상하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리미판(15)에는 흡착구동기구(19)가 흡착유로(18)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흡착유로(18)는 일단이 다리미판(15)에 연결되어 중공부(15A)와 연통될 수 있고, 타단은 흡착구동기구(19)와 연결될 수 있다. 흡착구동기구(19)는 중공부(15A)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흡착구동기구(19)가 작동되면, 중공부(15A)의 공기는 흡착유로(18)를 통해 흡착구동기구(19)로 흡입될 수 있다. 흡착구동기구(19)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흡착구동기구(19)가 중공부(15A)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흡착구동기구(19)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은 의류흡착공(16A)을 통해 다리미판(15) 위에 놓인 의류에 전달되기 때문에, 다리미판(15) 위에 놓인 의류는 상기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다리미판(15)에 흡착되어, 사용자가 다리미판(15) 위에 놓인 의류를 다리미질할 때 의류는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리미판(15)에 흡착된 의류를 손으로 잡지 않고 다리미질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는, 토출부 무빙기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 무빙기구(30)는 토출부(20)를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시키거나 빌트인 부재(1)로 삽입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토출부 무빙기구(30)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고 캐비닛(10)에 결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피니언기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랙기어가 일방향으로 직선이동되어 캐비닛(10)을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피니언기어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랙기어가 타방향으로 직선이동되어 캐비닛(10)을 빌트인 부재(1)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는, 캐비닛 위치센서(40)와, 실내온도센서(50)와, 다리미판 위치센서(60)와,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 실내온도센서(50) 및 다리미판 위치센서(60)를 이용하여 토출부(20), 토출부 무빙기구(30) 및 흡착구동기구(19)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캐비닛 위치센서(40)는 캐비닛(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캐비닛 위치센서(40)는, 캐비닛(10)이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된 위치와, 캐비닛(10)이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캐비닛 위치센서(40)는 캐비닛(10)의 인출 위치 및 삽입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캐비닛(10)의 위치에 따라 토출부(20) 및 토출부 무빙기구(30)를 제어할 수 있다.
실내온도센서(50)는 드레스룸의 실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실내온도센서(50)는 드레스룸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70)는 실내온도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실내온도에 따라 토출부(20) 및 토출부 무빙기구(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리미판 위치센서(60)는 다리미판(1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리미판 위치센서(60)는 다리미판(15)이 다리미판 설치패널(12)에 접히는 위치와, 다리미판(15)이 다리미판 설치패널(12)로부터 펼쳐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리미판 위치센서(60)는 다리미판(15)이 펼치진 위치일 때, 다리미판(15) 중 다리미판 설치패널(12)에 대향하는 부분인 다리미판(15)의 후면에 스위치로 설치되어, 다리미판(15)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스위치가 다리미판 설치패널(12)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될 수 있다. 다리미판 위치센서(60)는 다리미판(15)이 접히는 위치 및 펼쳐진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70)는 다리미판 위치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다리미판(15)의 위치에 따라 흡착구동기구(19)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냉방모드로만 작동되게 구비되거나, 상기 냉방모드 및 상기 난방모드가 모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가 감지한 캐비닛(10)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이고, 실내온도센서(50)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이면, 토출부(20)가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되도록 토출부 무빙기구(30)를 작동시키고 토출부(20)가 냉기를 토출하도록 토출부(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캐비닛(10)을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시켜 의류를 다리미질 할 때 다리미(5)의 온도로 인해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토출부(20)가 자동으로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된 후 작동되어 사용자를 향해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가 감지한 캐비닛(10)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실내온도센서(50)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토출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캐비닛(10)을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시켜 의류를 다리미질 할 때,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여 토출부(20)가 자동으로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된 후 작동되어 사용자를 향해 냉기를 토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낮아지면, 토출부(20)는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냉방모드 및 상기 난방모드가 모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가 감지한 캐비닛(10)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실내온도센서(50)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 제2 설정값 이하이면 토출부(20)가 인출되도록 토출부 무빙기구(30)를 작동시키고 토출부(20)가 온기를 토출하도록 토출부(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캐비닛(10)을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시켜 의류를 다리미질 할 때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이면, 토출부(20)가 자동으로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된 후 작동되어 사용자를 향해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가 감지한 캐비닛(10)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실내온도센서(50)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보다 크면, 토출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캐비닛(10)을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시켜 의류를 다리미질 할 때,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여서 토출부(20)가 자동으로 빌트인 부재(1)에서 인출된 후 작동되어 사용자를 향해 온기를 토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보다 커지면 토출부(20)는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냉방모드로만 작동되게 구비되거나, 상기 냉방모드 및 상기 난방모드가 모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가 감지한 캐비닛(10)의 위치가 빌트인 부재(1) 내로 삽입된 위치이면, 토출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토출부(20)가 빌트인 부재(1) 내로 삽입되도록 토출부 무빙기구(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리미질을 마친 후 캐비닛(10)을 빌트인 부재(1) 내로 삽입시키면, 토출부(20)는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고 빌트인 부재(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는 다리미판 위치센서(60)가 감지한 다리미판(15)의 위치가 펼쳐진 위치이면, 흡착구동기구(19)가 중공부(15A)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착구동기구(19)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리미질을 하기 위해 캐비닛(10)을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시킨 후 다리미판(15)을 펼치면, 흡착구동기구(19)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다리미판 위치센서(60)가 감지한 다리미판(15)의 위치가 접혀진 위치이면, 흡착구동기구(19)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리미질을 마친 후 다리미판(15)을 접으면, 흡착구동기구(19)는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의 제어방법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의 제어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의 토출부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비닛 위치센서(40)는 캐비닛(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하고, 실내온도센서(50)는 드레스룸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한다(S11).
이후,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캐비닛(10)의 위치가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된 위치인지 판단한다(S12). 제어부(70)는 캐비닛(10)의 위치가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캐비닛(10)이 빌트인 부재(1)에 삽입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S11 단계로 리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70)는 상기 S12 단계에서 캐비닛(10)의 위치가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된 위치라고 판단되는 경우, 실내온도센서(50)가 감지한 실내 온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3). 또한, 제어부(70)는 상기 S12 단계에서 캐비닛(10)의 위치가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된 위치라고 판단되는 경우, 실내온도센서(50)가 감지한 실내 온도가 제2 설정값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S14). 여기서,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은 제어부(70)에 기설정된 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설정값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값은 상기 공기조화기를 냉방모드로 운전시키기 위한 임계값일 수 있고, 상기 제2 설정값은 상기 공기조화기를 난방모드로 운전시키기 위한 임계값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70)는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이면 토출부 무빙기구(30)를 작동시켜서 토출부(20)를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S15). 또한, 제어부(70)는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이면 토출부 무빙기구(30)를 작동시켜서 토출부(20)를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S16).
이후, 제어부(70)는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인 경우 토출부(20)가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된 후, 토출부(20)가 냉기를 토출하도록 토출부(20)를 작동시킬 수 있다(S17). 또한, 제어부(70)는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 토출부(20)가 빌트인 부재(1)로부터 인출된 후, 토출부(20)가 온기를 토출하도록 토출부(20)를 작동시킬 수 있다(S18).
이후, 제어부(70)는 토출부(20)가 냉기를 토출하는 도중에, 실내온도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S19). 또한, 제어부(70)는 토출부(20)가 온기를 토출하는 도중에, 실내온도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S20). 제어부(70)는 상기 S19 단계에서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S17 단계로 리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상기 S20 단계에서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 이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S18 단계로 리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70)는 상기 S19 단계에서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토출부(20)가 냉기를 토출하지 않도록 토출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21). 또한, 제어부(70)는 상기 S20 단계에서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보다 크면, 토출부(20)가 온기를 토출하지 않도록 토출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21).
이후,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캐비닛(10)의 위치가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된 위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S22). 제어부(70)는 캐비닛(10)의 위치가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캐비닛(10)이 계속하여 인출된 상태로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S11 단계로 리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70)는 상기 S22 단계에서 캐비닛(10)의 위치가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된 위치라고 판단되면, 토출부 무빙기구(30)를 작동시켜서 토출부(20)를 빌트인 부재(1)로 삽입시킬 수 있다(S23). 물론, 상기 S17 단계에서와 같이 토출부(20)가 냉기를 토출하는 도중과, 상기 S18 단계에서와 같이 토출부(20)가 온기를 토출하는 도중에도, 제어부(70)는 캐비닛 위치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캐비닛(10)의 위치가 빌트인 부재(1)로 삽입된 위치이면, 토출부(20)를 정지시키고, 토출부 무빙기구(30)를 작동시켜서 토출부(20)를 빌트인 부재(1) 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의 흡착구동기구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리미판 위치센서(60)는 다리미판(15)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한다(S111).
이후, 제어부(70)는 다리미판 위치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다리미판(15)의 위치가 펼쳐진 위치인지 판단한다(S112). 제어부(70)는 상기 S112 단계에서 다리미판(15)의 위치가 펼쳐진 위치가 아니라 판단되는 경우 상기 S111 단계로 리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70)는 상기 S112 단계에서 다리미판(15)의 위치가 펼쳐진 위치라고 판단되는 경우 흡착구동기구(19)를 작동시킨다(S113). 이리하면, 흡착구동기구(19)는 중공부(15A)의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중공부(15A)와 연통되어 있는 의류흡착공(16A)들을 통한 공기는 다리미판(15)의 상측에 놓여진 의류를 흡착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의류를 손으로 잡지 않고 다리미질을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70)는 다리미판 위치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다리미판(15)의 위치가 접혀진 위치인지를 판단한다(S114). 제어부(70)는 상기 S114 단계에서 다리미판(15)의 위치가 접혀진 위치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가 다리미질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S113 단계로 리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70)는 상기 S114 단계에서 다리미판(15)의 위치가 접혀진 위치라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의류의 다리미질을 마친 후 다리미판(15)을 접은 것으로 판단하여, 흡착구동기구(19)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15).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리미질 장치는, 토출부(20)가 사용자를 향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다리미질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리미질 중에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토출부(2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에게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다리미판(15)에 의류를 흡착시켜서 다리미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빌트인 부재 10 : 캐비닛
15 : 다리미판 15A : 중공부
16A : 의류흡착공 19 : 흡착구동기구
20 : 토출부 30 : 토출부 무빙기구
40 : 캐비닛 위치센서 50 : 실내온도센서
60 : 다리미판 위치센서 70 : 제어부

Claims (11)

  1. 빌트인 부재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인출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펼쳐지는 다리미판; 및
    상기 캐비닛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빌트인 부재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다리미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캐비닛의 직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다리미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캐비닛 위치센서;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센서;
    상기 토출부를 상기 빌트인 부재에서 인출 또는 삽입시키도록 구동되는 토출부 무빙기구; 및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상기 실내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토출부가 인출되도록 상기 토출부 무빙기구를 작동시키고 상기 토출부가 냉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토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다리미질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상기 실내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토출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다리미질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상기 실내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 제2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토출부가 인출되도록 상기 토출부 무빙기구를 작동시키고 상기 토출부가 온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토출부를 작동시키는 다리미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인출된 위치일 때, 상기 실내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제2 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토출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다리미질 장치.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닛의 위치가 상기 빌트인 부재 내로 삽입된 위치이면, 상기 토출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빌트인 부재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토출부 무빙기구를 작동시키는 다리미질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에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의류흡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동되는 흡착구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다리미질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리미판 위치센서; 및
    상기 다리미판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다리미판의 위치가 펼쳐진 위치이면, 상기 흡착구동기구가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흡착구동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다리미질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리미판 위치센서가 감지한 상기 다리미판의 위치가 접혀진 위치이면, 상기 흡착구동기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다리미질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다리미를 수용하는 다리미 보관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다리미 보관부보다 상측에 다리미판 설치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다리미판 설치패널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다리미판 설치패널에 접히고 펼쳐질 수 있게 설치되는 다리미질 장치.
KR1020180065809A 2018-06-08 2018-06-08 다리미질 장치 KR10254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09A KR102543583B1 (ko) 2018-06-08 2018-06-08 다리미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09A KR102543583B1 (ko) 2018-06-08 2018-06-08 다리미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03A true KR20190139403A (ko) 2019-12-18
KR102543583B1 KR102543583B1 (ko) 2023-06-13

Family

ID=6905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09A KR102543583B1 (ko) 2018-06-08 2018-06-08 다리미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5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508Y2 (ja) * 1990-05-23 1995-08-23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家具装置
JP2719029B2 (ja) * 1990-04-16 1998-0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収納庫付アイロン台
KR20040016120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88503A (ko) * 2014-01-24 2015-08-03 김수경 다림질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9029B2 (ja) * 1990-04-16 1998-0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収納庫付アイロン台
JPH0736508Y2 (ja) * 1990-05-23 1995-08-23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家具装置
KR20040016120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88503A (ko) * 2014-01-24 2015-08-03 김수경 다림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583B1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5282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057859B1 (ko) 의류처리장치
EP2896740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KR100782377B1 (ko)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EP3034678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cent diffuser
US20070028479A1 (en) Large plush towel warmer and dehumidifier
WO2008013413A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901412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37612A (ko) 의류처리장치
WO2008013411A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633096B1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JP2019118833A (ja) 衣類処理装置
KR102650342B1 (ko)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543583B1 (ko) 다리미질 장치
KR20060095293A (ko) 리프레쉬 장치
KR201901374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68820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395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102302A (ko) 냉장고의 야채실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813050B1 (ko) 리프레쉬 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KR20150024552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1388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5239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13883B1 (ko) 의류처리장치
JPH04353334A (ja) 衣類乾燥機能付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