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934A -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 Google Patents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934A
KR20190138934A KR1020180065268A KR20180065268A KR20190138934A KR 20190138934 A KR20190138934 A KR 20190138934A KR 1020180065268 A KR1020180065268 A KR 1020180065268A KR 20180065268 A KR20180065268 A KR 20180065268A KR 20190138934 A KR20190138934 A KR 20190138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try
electronic device
horizontal
horizontal mov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6147B1 (en
Inventor
정민
유병관
조경아
김수민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8006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147B1/en
Publication of KR2019013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1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nonstop multiple lan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nonstop multiple lanes for efficiently improving a structure of a gantry making up the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nonstop multiple lanes. The toll collection apparatus comprises: one or more gantries; and one or more cradles.

Description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본 발명은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를 이루는 갠트리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개선한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stop multi-lane based tol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stop multi-lane based tolling device that efficiently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gantry constituting the non-stop multi-lane tolling device.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는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ETCS)을 이용한다.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은 고속도로 등 유료도로의 톨게이트에 설치되어 운영된다.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의 운영은 통행료 부과대상차량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와 통행료 자동징수를 위해 도로변에 설치된 노변장치가 서로 연동하여 도로통행요금을 자동으로 과금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단말기를 차량에 부착하여 서비스를 지원하는 차로로 진입하면 단거리전용통신 등을 이용하여 차량단말기와 노변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인증된 카드와 입력된 차량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통행요금이 징수된다.Toll-free toll-based toll collection uses the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ETCS).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s are installed and operated at toll gates on toll roads such as highways. In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the vehicle terminal mounted on the toll-charged vehicle and the roadside devic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for automatic toll collection interwork with each other to automatically charge the toll. Accordingly, when the user attaches the vehicle terminal to the vehicle and enters the lane supporting the service, the user can acquire the data of the authenticated card and the input vehicl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roadside devic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etc. Is collected.

이러한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중 단차로로 운영되는 시스템은 하나의 갠트리에 노변장치와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를 설치하여 이용한다. 그런데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시스템은 둘 이상의 차로에 이용될 수 있어, 하나의 갠트리가 아닌, 차량의 진행 방향에 두 개 또는 세 개의 갠트리를 설치하여 이용한다. 그에 따라 차량의 진입, 차량의 주행 감지, 차량의 진출 등을 감지하여 고속으로 운행하는 차량에 대해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ystem operated as a step of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is installed by using a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the roadside device and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in one gantry. However, the multi-lane based tolling system can be used in two or more lanes, and installs two or three gantry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nstead of one gantry. Accordingly, the vehicle is charged at a high speed by detecting the entry of the vehicle, the driving detection of the vehicle, the entry of the vehicle, and the like.

이러한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이용되는 갠트리에는, 상기와 같이 차량의 진입, 주행 감지 및 진출 등을 각각 확인하기 위한 여러 전자 장치들이 각각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차량에 설치된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RF 모듈, 카메라, 차량이 진행 차선 등을 확인하기 위한 인식 장치 등이 각각 설치되어 운영된다.In the gantry used for the non-stop multi-lane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respectively checking the entry, the driving detection, and the exit of the vehicle are respectively installed. Th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 RF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installed in a vehicle, a camera, a recognition device for identifying a traveling lane, etc. of the vehicle.

도 1은 종래의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10)는, 제1 내지 제3 갠트리(11, 12, 13)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갠트리(11, 12, 13)에 각각 카메라, 안테나 및 RF 모듈 등의 전자 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갠트리(11, 12, 13)는 관리자가 일 측에 위로 각 갠트리(11, 12, 13)의 상부로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non-stop multi-lane-based toll collection device 10 includes first to third gantry 11, 12, and 13, and includes first to third gantry 11, 12, and 13.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camera, an antenna, and an RF module are respectively installed. And in order to maintain this, the first to third gantry (11, 12, 13)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ladder that the manager can go up to the top of each gantry (11, 12, 13) on one side.

그런데 각 갠트리(11, 12, 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차로에 설치되고, 각 갠트리(11, 12, 13)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는 갠트리(11, 12, 13)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갠트리(11, 12, 13)와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가 갠트리(11, 12, 13)의 위로 올라가더라도 문제가 발생한 전자 장치를 직접 확인하여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By the way, each gantry (11, 12, 13) is installed in the multi-lane, as shown, th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in each gantry (11, 12, 13) so as not to be interfered by the gantry (11, 12, 13). The gantry (11, 12, 13)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ccordingly, even if the manager climbs up the gantry 11, 12, 13,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heck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problem occurs and perform maintenance.

종래의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갠트리(11, 12, 13)에 설치된 전자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면, 갠트리(11, 12, 13) 아래에 스카이차량 등을 이용하여 갠트리(11, 12, 13)에 설치된 전자 장치를 유지 보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If a problem occurs in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in the gantry (11, 12, 13) included in the conventional uninterrupted multi-car toll collection device, the gantry (11) by using a sky vehicle or the like under the gantry (11, 12, 13) , 12, 13) are most often maintained.

그에 따라 전자 장치를 유지 보수하는 동안 스카이차량이 위치한 차로를 폐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ane where the sky vehicle is located must be closed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maintain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2951호 (2017.01.31)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02951 (2017.01.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갠트리에 전자 장치를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동안 일부 차로를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전자 장치에 대한 설치 또는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는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niently install or maintain an electronic device without closing some lanes while installing or maintain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gantry included in an uninterrupted multi-lane based tolling device. It is to provide a non-stop multi-car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 장치는,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를 위해 하나 이상의 차선을 포함하는 도로를 횡단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갠트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갠트리에 설치되며,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가 설치된 하나 이상의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갠트리에서 상기 갠트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collecting a multi-road fa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gantry installed across a road including at least one lane to collect a multi-road fare; And one or more cradles installed in the one or more gantry and installed with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for collecting 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wherein the cradle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ntry in the gantry. Can be installed to move to.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갠트리는 1지주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갠트리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ne or more gantry is installed in one column type, and further includes a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 cable may be inserted into the one or more gantry.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갠트리 상단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gate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t least one gantry.

또한, 상기 갠트리에는 상기 갠트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수평 이동바(bar)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평 이동바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ntry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bar (ba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ntry, the cradle may be installed to move along the horizontal bar.

여기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평 이동바에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 상기 수평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수평 이동부 및 수직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직 이동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cradle includes: a horizontal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ing bar and mov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ing part and mov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orizontal moving part and the vertical moving part,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oupled to the vertical moving part.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직 이동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수직 이동부 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이동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part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vertical moving part, the connecting part may hav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vertical moving part, and the vertical moving part may have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and moved.

또한, 상기 수평 이동부는 상기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수평 이동부 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이동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moving part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nnect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horizontal moving part, and the horizontal moving part may include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and moved.

그리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직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radl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part disposed under the vertical moving part and rotating the electronic device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에 의하면, 갠트리에 전자 장치를 직접 설치하지 않고,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관리자가 갠트리 상부에 올라간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 전자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ing a cradle which can move the position without directly installing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gantry, the mainten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by moving the electronic device even in a state where the manager climbs on the gantr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venient.

또한,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거치대는, 회전, 수직 방향 이동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관리자가 자신이 있는 위치로 거치대를 이동시켜 전자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radle included in the uninterrupted multi-lane based tolling device can rotate, move vertically and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maintain the electronic device by moving the cradle to its position. It works.

더욱이, 갠트리의 발판의 일부에 게이트를 설치하여, 갠트리의 상단 아래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차로를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를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by installing a gate on a part of the gantry's scaffold, it is possible to perform maintenance on th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below the top of the gantry,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lane is not closed. have.

도 1은 종래의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장수 장치에 포함된 제1 갠트리의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제1 갠트리의 상단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제1 갠트리의 지지대 하단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거치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non-stop multi-lane based toll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part of a first gantry included in an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base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pper end portion of a first gantry included in an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portion of a bottom of a support of a first gantry included in an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adle included in an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non-stop multi-lane based toll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100)는, 제1 갠트리(110),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100 for collecting a multi-road bas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antry 110, a second gantry 120, and a third gantry 130. .

제1 갠트리(110),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 개의 갠트리가 설치된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gantry 110,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gantry is described, but two or four or more may be installed as necessary.

제1 갠트리(110),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에는 각각 안테나, 카메라 및 차량 검지기 등의 전자 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제1 갠트리(110)에 설치되며,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100)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행 차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에 설치된 단말기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차로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300 such as an antenna, a camera, and a vehicle detector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respectively. The antenna is typically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and may be installed to distinguish a driving lane of a vehicle entering the multi-road-based toll collection device 100. And it may be installed in each lane so that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made.

카메라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데, 차량이 다차로에서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하더라도 차량을 특정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카메라는 제1 갠트리(110) 및 제3 갠트리(130)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앞면 및 뒷면의 번호판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갠트리(110)에 설치된 카메라는 차량의 뒷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되고, 제3 갠트리(130)에 설치된 카메라는 차량의 앞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갠트리(110) 및 제3 갠트리(13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 번호판의 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The camera photographs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nd may specify the vehicle even when the vehicle changes lanes on a multi-lane. In this case, the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and the third gantry 130 as necessary, so that both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vehicle can be photographed. For example, the camera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may be installed to photograph the back of the vehicle, and the camera installed in the third gantry 130 may be installed to photograph the front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recognition accuracy of the vehicle license plate may be increased through cameras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and the third gantry 130.

차량 검지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검지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레이저 센서, 루프코일을 이용한 루프검지기, 자기검지기, 초음파 검지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검지기를 통해 차종을 분류하여, 차량의 번호판 촬영을 위한 트리거 신호 및 차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차종 정보는 차량의 6종 분류체계와 호환을 고려하여 차종을 분류할 수 있다.As the vehicle detector, various kinds of detectors may be used as needed, and a laser sensor, a loop detector using a loop coil, a magnetic detector, an ultrasonic detector, or the like may be used. By classifying the vehicle type through the vehicle detector, a trigger signal and vehicle type information for photographing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may be output. Here, the vehicle model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 consideration of compatibility with the six classification systems of the vehicle.

이러한 차량 검지기는, 제2 갠트리(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차선에 대해 두 개의 차량 검지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차량의 전폭, 전고 및 전장 등을 정보를 수집하여 차종을 분류할 수 있다.The vehicle detector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gantry 120, and two vehicle detectors may b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one lane. Accordingly, the vehicle type can be classified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full width, height, and length of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제1 갠트리(110),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양 끝에 지지대가 설치되고, 지지대의 상부에 도로를 횡단하도록 상단부가 지지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와 상단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갠트리(110),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는 관리자가 상단부에 올라갈 수 있도록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안전을 위한 난간(112, 122, 132)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gantry 110,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2, the support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ad, the road on the top of the support The upper end may be disposed above the support so as to traverse.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and the upper end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gantry (110),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may be a ladder installed so that the manager can climb to the upper end, the guardrails 112, 122, 132 for safety is installed, respectively Can be.

본 실시예에서, 제1 갠트리(110),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는 각각 1 지주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gantry 110,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may each be provided in a single post for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제1 갠트리의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part of a first gantry included in an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갠트리(110),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에는 각각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다차로의 차로를 통해 진입 및 진출하는 차량을 검지하고, 촬영하며, 차량에 대한 요금을 징수한다. 이를 위해 각 갠트리(110, 120, 130)에 전자 장치(300)가 설치되는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제1 갠트리(110)에 전자 장치(300)가 설치된 구조에 대해 설명하며,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에 전자 장치(300)가 설치되는 구조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gantry 110,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are each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300, and enter and exit through a lane of a multi-lane. Detects, photographs, and collects charges for vehicles. To this end,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300 is installed in each gantry 110, 120, and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is case, the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300 is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will be described,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300 is installed in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may be the same structure. have.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갠트리(110)에 전자 장치(300)를 설치할 수 있는 거치대(200)가 설치된다. 거치대(200)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각종 전자 장치(300)를 제1 갠트리(110)에 설치하기 위해 장착된다. 도 3에 하나의 거치대(200)가 수평 이동바(bar, 114)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이에 대해 설명하겠지만, 필요에 따라 하나의 수평 이동바(114)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cradle 20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to install the electronic device 300. The crad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but is mounted to install various electronic devices 300 in the first gantry 110. In FIG. 3, one cradle 20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moving bar (bar) 114 and will be described. However, a plurality of cradles 200 may be installed in one horizontal moving bar 114 as necessary.

먼저, 제1 갠트리(110)에 수평 이동바(114)가 설치된다. 수평 이동바(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바(bar)의 형상을 가지며, 제1 갠트리(11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수평 이동바(114)는 제1 갠트리(110)의 수평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수평 이동바(114)는 도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First,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is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As illustrated,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has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gantry 110. In this case,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gantry 110. That is,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may be install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road.

그리고 수평 이동바(114)는 제1 갠트리(110)와 거치대(200)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수평 이동바 고정부(114a)에 의해 제1 갠트리(110)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gantry 110 and the cradle 200, the first gantry by the horizontal moving bar fixing part 114a It may be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110).

거치대(200)는, 수평 이동바(114)에 설치된다. 그에 따라 거치대(200)는 수평 이동바(11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200)는 수평 이동바(114)에서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은 아니라, 수평 이동바(114)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관리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수평 이동바(11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cradle 20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Accordingly, the cradle 200 may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Here, the cradle 200 is not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in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it is not moved freely,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as required by the administrator It is install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이는 관리자가 거치대(200)에 설치된 전자 장치(300)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유지 보수가 쉬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난간(112)의 일부가 제거된 위치로 거치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is is for the administrator to move to an easy-to-maintain location to maintain the electronic device 300 installed in the holder 200, as shown in Figure 3, the administrator, the part of the railing 112 is removed The cradle 200 may be moved to a position.

따라서 관리자는 제1 갠트리(110)에 설치된 전자 장치(300)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거치대(200)를 특정 위치에서 난간(112)의 일부가 제거된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거치대(200)에 설치된 전자 장치(300)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electronic device 300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the manager moves the cradle 200 to a position where a part of the handrail 112 is removed from a specific location, and then installed on the cradle 200.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be maintain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제1 갠트리의 상단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pper end portion of a first gantry included in an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100)의 상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의 작업 편리성을 위해 다른 위치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단부의 바닥에는 발판(116)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발판(116)의 상이에 하나 이상의 게이트(118)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vehicle-free toll-based toll coll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wider width than other locations for convenience of a manager's work as shown. In addition, a footrest 116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end, and one or more gates 118 may be installed on the footboard 116.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바(114)는 제1 갠트리(110)에서 다소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horizontal movement bar 114 is installed in a somewhat spaced state from the first gantry 110 through FIG.

다시 제1 갠트리(110)의 상단부를 설명하면, 게이트(11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의 게이트(118)가 설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gantry 110 again, as shown in FIG. 4, two gates 118 may be installed, and one or three or more gates 118 may be installed as necessary. .

발판(116)은 상단부 전체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 구조의 철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발판(116)이 메시 구조로 제조되는 것은, 관리자가 제1 갠트리(110)의 상단부에 있을 때, 제1 갠트리(110)에 설치된 각종 전자 장치(300)가 설치된 위치를 시작적으로 쉽게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Scaffold 116 may be installed throughout the upper end, as shown, it may be made of a mesh of wire mesh structure. The scaffold 116 is manufactured in a mesh structure so that when the manager is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antry 110, it is easy to check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300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To do that.

그리고 발판(116)에 설치된 게이트(118)는 발판(116)의 일부를 제거하여 관리자가 제1 갠트리(110) 상단부의 하부에 설치된 전자 장치(300)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제1 갠트리(110) 상단부의 하부에 전자 장치(300)가 설치되면, 관리자는 제1 갠트리(110)의 난간(112) 너머로 전자 장치(300)에 접근하거나 제1 갠트리(110)의 아래에서 스카이차량을 이용하여 접근하여야 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발판(116)에 게이트(118)가 설치되면, 게이트(118)를 통해 직접 제1 갠트리(110) 상단부의 하부에 설치된 전자 장치(300)에 접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te 118 installed on the scaffold 116 may remove a portion of the scaffold 116 so that the manager may increase accessi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installed under the upper end of the first gantry 110. That is,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0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antry 110, the manager approaches the electronic device 300 through the railing 112 of the first gantry 110 or the first gantry 110. From below, you must approach the Sky vehicle. However, as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gate 118 is installed on the scaffold 116, the electronic device 300 installed under the upper end of the first gantry 110 may be directly accessed through the gate 118. .

이때, 본 실시예에서, 게이트(1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되어 개방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개방되는 게이트(118)가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gate 118, a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used to open the sliding manner, the rotation may be used to open the hinge may be used. In addition, a gate 118 that opens in various ways may be used.

도 4를 참조하여, 제1 갠트리(110)의 상단부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제1 갠트리(110)의 상단부 구조는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upper end of the first gantry 11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upper end structure of the first gantry 110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제1 갠트리의 지지대 하단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portion of a bottom of a support of a first gantry included in an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갠트리(110)의 지지대는 1지주형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종래에 2지주형으로 지지대가 형성된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 제1 갠트리(110)는 1지주형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제1 갠트리(1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전자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자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케이블(W)은 지지대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갠트리(110)는 지지대의 내부에는 케이블(W)이 통과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of the first gantry 110 is formed in one column type. As a result, unlike the conventional support having a two support ty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gantry 110 is formed in one support type. Accordingly, a cable W for supplying power to 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30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antry 110 may be disposed in the support. To this end, the first gantry 110 may have a space formed inside the support to allow the cable W to pass therethrough.

그리고 케이블(W)에 대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지지대의 내부를 개방시키는 홀(H)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H)을 덮는 덮개(C)가 구비될 수 있다.And a hole (H) for opening the interior of the support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cable (W) may be formed, the cover (C) covering the hole (H) may be provided.

상기와 같이, 제1 갠트리(110)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W)을 지지대의 내부에 인입함에 따라 케이블(W)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케이블(W)이 외부 환경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cable (W) for supplying power to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300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is introduced into the support, the cable (W)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not to harm the appearanc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cable W from being damag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 포함된 거치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adle included in an uninterrupted multi-road based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바(114)에 설치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이동바(114)가 아닌 제1 갠트리(110),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의 상단부에 직접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단부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20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upper ends of the first gantry 110,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instead of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It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이러한 거치대(200)는, 수평 이동부(210), 고정부(212), 연결부(220), 수직 이동부(230), 회전부(240) 및 손잡이(250)를 포함한다.The cradle 200 includes a horizontal moving part 210, a fixing part 212, a connecting part 220, a vertical moving part 230, a rotating part 240, and a handle 250.

수평 이동부(210)는 고정부(212) 의해 수평 이동바(114)에 설치되며, 수평 이동바(114)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이동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0)와 수평 이동바(114)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이동부(230) 및 연결부(220)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연결부(220)에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고 수평 이동부(210)가 가이드 홀이 형성된다. 연결부(220)에 형성된 돌기가 수평 이동부(210)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직 이동부(230) 및 연결부(220)는 수평 이동부(21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horizontal moving part 210 may b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by the fixing part 212, and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As shown, the horizontal moving unit 210 is installed to adjust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cradle 200 and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as shown, the vertical moving unit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installed to be sl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at is, a predetermined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210 is formed with a guide hole. The projection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22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formed in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210 and moved along the guide holes, whereby the vertical moving portion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are horizontally moved by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210. Can be moved.

이때, 연결부(220)가 수평 이동부(210)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이동되는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 이동부(210)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는 돌기가 일부 걸리면서 이동될 수 있게 소정의 요철이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ng part 220 is slid in the horizontal moving part 210,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moving part 210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to be moved in stages may have a predetermined unevenness to move while some projections are caught. Grooves may be formed.

한편, 수평 이동부(210)는 고정부(212)에 의해 수평 이동바(114)에 설치되는데, 고정부(212)는 수평 이동바(114)를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수평 이동부(210)와 수평 이동바(114)를 고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가 거치대(200)를 수평 이동바(114)를 따라 이동시키고자 할 때, 볼트 및 너트를 느슨하게 푼 다음 거치대(200)를 수평 이동바(114)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moving part 21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by the fixing part 212, the fixing part 212 is formed to surround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the bolt, nut, etc. By this, the horizontal moving part 210 and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can be fixed. Accordingly, when the administrator wants to move the cradle 200 along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the manager may loosen the bolts and nuts, and then move the cradle 200 along the horizontal moving bar 114.

연결부(220)는 수직 이동부(230)와 수평 이동부(210)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21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20)는 수직 이동부(230)와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부(220)를 기준으로 수직 이동부(23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The connection part 220 is provided to connect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and the horizontal moving part 210, and as described above, may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moving part 210.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220 is coupled to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and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is coupled to the vertical moving part based on the connecting part 220.

연결부(220)는 수직 이동부(2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수직 이동부(230)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이동부(230)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220)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돌기가 수직 이동부(230)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직 이동부(230)가 연결부(22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수직 이동부(230)에 형성된 가이드 홀은 수직 이동부(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toward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may be formed. In addition, a guide hole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protrusion formed inwardl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vertical moving portion 230 and moves along the guide hole, so that the vertical moving portion 23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220. have. In this case,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그리고 수직 이동부(230)가 연결부(220)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이동되는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 연결부(220)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는 연결부(220)에 형성된 돌기가 일부 걸리면서 이동할 수 있게 소정의 요철이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slides in the connecting part 220, a guide hole formed in the vertical connecting part 220 may be caught in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vertical connecting part 220 so that the moving distance may be adjusted step by step. Unevenness or grooves may be formed.

또한, 수직 이동부(230)에는 수직 이동부(230)가 연결부(220)에서 이동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부(J)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임부(J)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may further include a tightening part J for fixing the position where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is moved in the connection part 22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asteners J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수직 이동부(230)는 연결부(22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에 손잡이(250)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250)는 관리자가 거치대(200)를 수평 방향이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손잡이(250)는 수직 이동부(230)의 양 측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moving part 23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connection part 220, and a handle 2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The handle 250 is provided by the manager to move the holder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the handle 25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그리고 수직 이동부(230)의 하단에는 회전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240)는 전자 장치(300)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300)가 소정의 범위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 이동부(230)의 하부에는 소정의 돌기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회전부(240)에는 회전부(240)의 회전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이동부(230)와 회전부(240)는 힌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rotating unit 24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oving unit 230. The rotating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0 and installed to rotate the electronic device 300 in a predetermined range. To this end, a predetermined protrusion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and a guide hole may be formed in the rotating part 240 to set a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art 240.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and the rotating part 240 may be connected by a hinge.

따라서 회전부(240)는 수직 이동부(230)에 형성된 돌기가 회전부(240)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수직 이동부(230)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Therefore, the rotating part 240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as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moves along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rotating part 240.

그리고 회전부(240)에는 전자 장치(300)가 고정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 장치(300)는, 상기에서 설명한 거치대(200)를 통해 제1 갠트리(110), 제2 갠트리(120) 및 제3 갠트리(1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200)가 서로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관리자는 전자 장치(300)의 유지 보수를 위해 거치대(2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작업이 편리한 위치에 거치대(200)를 배치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300)에 대한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240.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gantry 110, the second gantry 120, and the third gantry 130 through the cradle 200 described above. And the cradle 200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lso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dministrator is fre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cradle 200 for the mainten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Mainten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be performed while the holder 200 is disposed at a convenient locat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연결부(220)는 수직 이동부(230)를 180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연결부(220)에는 회전 구조가 포함되어, 관리자는, 수직 이동부(230)의 상부와 하부를 회전시켜, 하부에 배치된 전자 장치(300)가 상부에 배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on portion 220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can rotate the vertical moving portion 230 at an angle of 180 degrees or more, as needed. That is, the connection part 220 includes a rotation structure, and the manager may rotat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vertical moving part 230 to adjust the electronic device 300 disposed below the upper part.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100: 요금징수 장치
110: 제1 갠트리 112: 난간
114: 수평 이동바 114a: 수평 이동바 고정부
116: 발판 118: 게이트
120: 제2 갠트리 130: 제3 갠트리
200: 거치대
210: 수평 이동부 212: 고정부
220: 연결부 230: 수직 이동부
240: 회전부 250: 손잡이
300: 전자 장치
100: toll collection device
110: first gantry 112: handrail
114: horizontal moving bar 114a: horizontal moving bar fixing portion
116: scaffold 118: gate
120: second gantry 130: third gantry
200: holder
210: horizontal moving part 212: fixed part
220: connection portion 230: vertical moving portion
240: rotating part 250: handle
300: electronic device

Claims (8)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를 위해 하나 이상의 차선을 포함하는 도로를 횡단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갠트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갠트리에 설치되며,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가 설치된 하나 이상의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갠트리에서 상기 갠트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 장치.
One or more gantry installed across a road including one or more lanes for tollless multi-car toll collection; And
At least one cradle installed in the at least one gantry and installed with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for collecting 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The cradle is a non-stop multi-rogging device install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ntry from the gant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갠트리는 1지주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갠트리 내부에 인입된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ne or more gantry is installed in one column type,
And a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gant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갠트리 상단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게이트가 형성된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uninterrupted multi-row tolling device having the one or more gate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one or more gant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에는 상기 갠트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수평 이동바(bar)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평 이동바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된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ntry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bar (ba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ntry,
The cradle is a non-stop multi-rate tolling device installed to move along the horizontal moving ba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평 이동바에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
상기 수평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수평 이동부 및 수직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직 이동부에 결합된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radle is,
A horizontal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ing bar and mov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ing part and mov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and the vertical moving portion,
The electronic device is a non-stop multi-rate toll device coupled to the vertical moving uni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직 이동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수직 이동부 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이동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vertical moving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vertical moving portion side, the vertical movement portion is an uninterrupted multi-order toll collection device formed with a guide hole for moving the projection is insert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부는 상기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수평 이동부 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이동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connecting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side, the horizontal moving portion is an uninterrupted multi-order toll collection device formed with a guide hole for moving the projection is insert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직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무정차 다차로 요금징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radle is,
And a rotation unit disposed under the vertical moving unit and rotating the electronic device at a predetermined angle.
KR1020180065268A 2018-06-07 2018-06-07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KR1021561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68A KR102156147B1 (en) 2018-06-07 2018-06-07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68A KR102156147B1 (en) 2018-06-07 2018-06-07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934A true KR20190138934A (en) 2019-12-17
KR102156147B1 KR102156147B1 (en) 2020-09-15

Family

ID=6905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268A KR102156147B1 (en) 2018-06-07 2018-06-07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14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301A (en) * 2021-02-24 2022-09-01 한국도로공사 Integrated gantry
KR20230003845A (en) * 2021-06-30 2023-01-06 진우산전 주식회사 High-pass gantry system with vehicle det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841A (en) * 1998-10-30 2000-05-16 Toyota Motor Corp Device for installing equipment over road
KR101230046B1 (en) * 2011-02-21 2013-02-05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Apparatus for levying toll
KR101297212B1 (en) * 2012-04-25 2013-08-16 한국도로공사 Gantry system for delivering 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KR101702951B1 (en) 2016-05-26 2017-02-22 송운용 The connection device of road facilities
KR101804110B1 (en) * 2016-08-30 2017-12-04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High-pass antenna installa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841A (en) * 1998-10-30 2000-05-16 Toyota Motor Corp Device for installing equipment over road
KR101230046B1 (en) * 2011-02-21 2013-02-05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Apparatus for levying toll
KR101297212B1 (en) * 2012-04-25 2013-08-16 한국도로공사 Gantry system for delivering 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KR101702951B1 (en) 2016-05-26 2017-02-22 송운용 The connection device of road facilities
KR101804110B1 (en) * 2016-08-30 2017-12-04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High-pass antenna installation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301A (en) * 2021-02-24 2022-09-01 한국도로공사 Integrated gantry
KR20230003845A (en) * 2021-06-30 2023-01-06 진우산전 주식회사 High-pass gantry system with vehicle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147B1 (en)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58056T3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KR20190138934A (en)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KR101618850B1 (en) Toll collection apparatus for multilane
DE10148289A1 (en) Detector for classifying moving vehicles has camera mounted on motorway bridge with computer to determine vehicle speed and path
KR20160000990A (en) Vehicle photographing apparatus based multila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06566A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in non-stop driving and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CN106530739A (en)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thereof based on multiple camera device
JPH03253992A (en) Parking lot managing device
KR20200124972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violating traffic regulation
KR101569712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number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6185336B2 (en) Lane system
KR101570485B1 (en) System for monitoring illegal parking of camera blind spot
CN112258887A (en) Parking area intelligence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KR102520997B1 (en) Vehicle access control apparatus
KR101262348B1 (en)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lane
JP4120430B2 (en) Object discrimination device
KR1019075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oll collection with antenna capable of double toll avoidance in High-pass
CN213876868U (en) Channel gate trailing prevention detection system
CN103714581A (en) Intelligent parking-lot management system and work method thereof
KR20180049307A (en) Method for detect vehicle using laser scanner and method and system smart tolling control using the same
KR101339650B1 (en) System for detecting passing height of vehicle in highway hi-pass lane and method thereof
KR101909900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285562B2 (en) parking display
KR100447467B1 (en) Highway toll collection system
CN217113515U (en) Vehicle target detection de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