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301A - Integrated gantry - Google Patents

Integrated gant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301A
KR20220121301A KR1020210025018A KR20210025018A KR20220121301A KR 20220121301 A KR20220121301 A KR 20220121301A KR 1020210025018 A KR1020210025018 A KR 1020210025018A KR 20210025018 A KR20210025018 A KR 20210025018A KR 20220121301 A KR20220121301 A KR 2022012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try
support frame
sub
pass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6569B1 (en
Inventor
박희원
권한준
문재상
서홍범
하상봉
이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10025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569B1/en
Publication of KR2022012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A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frame arranged to cross both an entrance lane and an exit lane; a first support frame supporting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gantry body made of a second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quantity of gantry main bodies required for toll collection of entrance and exit high-pass lanes is reduced, and thus a cost reduction effect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s ensur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number of times workers go up and down a gantry body during equipment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thereby exhibiting an effect of improving work safety and work efficiency.

Description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Integrated gantry}High-pass entrance and exit integrated gantry {Integrated gantry}

본 발명은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패스 입구 차로와 하이패스 출구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입구 및 출구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징수를 위해 설치되는 갠트리 본체의 수량을 감소시키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ass entrance and exit integrated gantry, and more particularly, the quantity of the gantry body installed to cross the high-pass entrance lane and the high-pass exit lane together, and installed to collect tolls for the entrance and exit high-pass lanes It relates to a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that reduces

현재 도로에는 도로명, 교통현황, 제한속도, 전용차선 등의 교통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이동속도, 차량번호 등의 차량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갠트리(gantry)가 설치되어 있다.Various types of gantry are installed on current roads to deliver traffic information such as road name, traffic status, speed limit, and exclusive lane, or to collect vehicle information such as moving speed and license plate number of vehicles traveling on the road. has been

예를 들어,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간선도로 등에는 교통현황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전광판이 장착되는 갠트리가 설치되며, 톨게이트의 하이패스 차로에는 요금징수를 위한 영상촬영장치, 차량검지기, 안테나 등이 장착되는 갠트리가 설치되어 있다.For example, a gantry equipped with an electronic signboard to display the traffic status in real time is installed on highways, automobile-only roads, and arterial roads, and an imaging device for toll collection, vehicle detectors, and antennas are installed in the high-pass lanes of toll gates. A gantry is installed.

도 1은 종래의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된 갠트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되는 갠트리(이하, '종래 갠트리'라 한다.)를 살펴보면, 종래 갠트리의 갠트리 본체(1)는 톨게이트(t)에 진입하는 차량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톨게이트(t) 전방 도로에 설치되며, 톨게이트(t)를 통해 고속도로로 진입하는 입구 차로의 하이패스 차로(h1)와 톨게이트(t)를 통해 고속도로로부터 진출하는 출구 차로의 하이패스 차로(h2)에 별도로 설치된다.1 is a view showing a gantry installed in a conventional high-pass lane. Referring to FIG. 1 , a gantry installed in a conventional high-pass la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ventional gantry') will be described. The gantry body 1 of the conventional gantry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of vehicles entering the toll gate t. It is installed on the road in front of the toll gate (t) for ) is installed separately.

통상적으로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되는 갠트리는 도 1과 같이 3개의 갠트리 본체(1)가 15m 간격으로 설치되므로, 입구 및 출구 차로에 총 6개의 갠트리 본체(1)가 설치된다.In general, in the gantry installed in the high-pass lane, as shown in FIG. 1 , three gantry bodies 1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15 m, so a total of six gantry bodies 1 are installed in the entrance and exit lanes.

그런데 이와 같이 많은 수의 갠트리 본체 설치는 시공 및 유지 보수 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수반한다. 특히, 갠트리 본체에 영상촬영장치, 차량검지기,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갠트리 본체 상단에 직접 올라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갠트리 본체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오르내리는 횟수가 증가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에 효율성이 떨어지며, 작업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such a large number of gantry body installations are accompanied by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In particular, in order to install the imaging device, vehicle detector, and antenna on the gantry body, the operator must go directly to the top of the gantry body to perform the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working time is long.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2951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70295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97212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297212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에 별도로 설치되던 기존의 갠트리와 달리, 갠트리 본체가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입구 및 출구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징수를 위해 요구되는 갠트리 본체의 설치 수량을 감소시키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unlike the existing gantry that was separately installed in the entrance high-pass lane and the exit high-pass lane, the gantry body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high-pass lane. It is to provide a high-pass entrance and exit integrated gantry that is installed to cross the and exit high-pass lanes together,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installed gantry bodies required for toll collec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high-pass lan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가로막는 전파 차단 유닛을 설치하여, 차로 간의 통신간섭을 차단하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that blocks communication interference between lanes by installing a radio wave blocking unit that blocks an entrance high-pass lane and an exit high-pass lan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갠트리 본체 일측에 LED 조명을 설치하여 갠트리 본체의 야간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that improves the night visibility of the gantry body by installing an LED light on one side of the gantry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는, 입구 차로와 출구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갠트리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igh-pass entrance and exit integrated gan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frame disposed to cross both an entrance road and an exit road, a first support frame supporting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antry body made of a second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이때, 갠트리 본체는 입구 차로와 출구 차로 사이의 중분대에 수직 설치되어 수평 프레임의 중단부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antry body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pport fram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middle section between the entrance road and the exit road to support the middle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또한, 통합형 갠트리는 차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인접 갠트리 본체를 더 포함하며, 갠트리 본체의 제3 지지 프레임과 인접 갠트리 본체의 제3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전파 차단 유닛이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gantr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adjacent gantry bodi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and a radio wave blocking unit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third support frame of the gantry body and the third support frame of the adjacent gantry body. can

또한, 전파 차단유닛은 다수개의 전파 차단막이 행과 열을 이루어 구성되고, 전파 차단막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radio wave blocking films in rows and columns, and the radio wave blocking films may be detachably formed.

또한, 갠트리 본체의 수평 프레임, 제1 지지 프레임, 제2 지지 프레임 또는 제3 지지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LED 조명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the first support frame, the second support frame, or the third support frame of the gantry body may be installed with LED lighting.

또한, LED 조명은 갠트리 본체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의 차로를 둘러싸도록, 제1 지지 프레임의 일 측면 하단부에서부터 수평 프레임의 일 측면 일부 구간을 거쳐 제3 지지 프레임의 일 측면 하단부까지 설치되고, 제2 지지 프레임의 타 측면 하단부에서부터 수평 프레임의 타 측면 일부 구간을 거쳐 제3 지지 프레임의 타 측면 하단부까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D light is installed from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frame through a partial section of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to surround the lane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gantry body, and the second It may be installed from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upport frame through a partial s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또한, 갠트리 본체는 하이패스 요금징수를 위해 장착되는 메인 영상촬영장치 또는 메인 차량검지기 또는 메인 안테나에 이상 발생시 메인 영상촬영장치 또는 메인 차량검지기 또는 메인 안테나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서브 영상촬영장치 또는 서브 차량검지기 또는 서브 안테나가 장착되는 서브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ntry main body is a sub image capturing device or sub that performs the role of the main image capturing device or main vehicle detector or main antenna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main image capturing device or main vehicle detector or main antenna installed for high pass charge coll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ub bracket to which the vehicle detector or the sub antenna is mounted.

또한, 갠트리 본체는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이송 레일 유닛을 포함하고, 서브 브라켓은 이송 레일 유닛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브 영상촬영장치 또는 서브 차량검지기 또는 서브 안테나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ntry body includes a transport rail unit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the sub bracket is movably coupled to the transport rail un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b image capturing device or sub vehicle detector or sub antenna It can be rotatably mounted.

또한, 수평 프레임의 일단에는 입구 차로에 배치되는 톨게이트의 캐노피가 연장 형성되고, 수평 프레임의 타단에는 출구 차로에 배치되는 톨게이트 캐노피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ll gate canopy disposed in the entrance roadway may be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toll gate canopy disposed in the exit roadway may be extended to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본 발명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에 별도로 설치되던 기존과 달리, 갠트리 본체가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입구 및 출구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징수를 위해 요구되는 갠트리 본체의 설치 수량을 감소시키므로 시공 및 유지 보수에 대한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장비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시 작업자가 갠트리 본체에 오르내리는 횟수를 줄여주므로 작업 안전성 및 작업 효율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ones that wer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entrance high-pass lane and the exit high-pass lane, the gantry body is installed to cross the entrance high-pass lane and the exit high-pass lane together, so that the toll collec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high-pass lanes is reduced. It reduces the installation quantity of the gantry body required for this purpos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lso, it reduce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operator goes up and down the gantry body during equipment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thereby improving work safety and work efficiency.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가로막는 전파 차단 유닛을 설치하여, 차로 간의 통신간섭을 차단을 차단함으로써, 통신간섭에 의한 과금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illing error due to communication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by installing a radio wave blocking unit that blocks the entrance high-pass lane and the exit high-pass lane to block communication interference between lanes.

또한, 본 발명은 갠트리 본체의 일측에 LED 조명을 설치하여, 갠트리 본체의 야간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야간에도 먼 거리에서부터 하이패스 차로 위치를 인지하고 하이패스 차로 진입을 미리 대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n LED light on one side of the gantry body to improve the night visibility of the gantry body,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high-pass lane from a long distance even at night and can induce the driver to prepare for entering the high-pass lane in advance. have.

도 1은 종래의 갠트리가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갠트리가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차단 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차단막이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의 설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nventional gantry is installed in a high-pass lan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integrated gantry is installed in a high-pass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gantry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wave b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adio wave blocking film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LED ligh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antr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human mean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the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by being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elements or several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steps are in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갠트리가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integrated gantry is installed in a high-pass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갠트리는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갠트리 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갠트리 본체(10)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되는 갠트리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3개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 또한 3개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갠트리 본체(10)의 설치 수량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integrated gan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gantry body 10 installed to cross both the entrance high-pass road and the exit high-pass road, and the gantry body 1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s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Here, in general, three gantry installed in the high-pass lane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and accordingly, thre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also installed as an example. No, the installation quantity of the gantry body 10 may be changed as nee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갠트리는 입구 하이패스 차로(h1)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h2)에 별도로 설치되던 종래와 달리, 갠트리 본체(10)가 입출구 차로에 통합형으로 설치되어, 요금징수를 위해 요구되는 갠트리 본체(10)의 설치 수량이 종래에 비해 절반으로 감소된다. 또한, 갠트리 본체(10)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도 3의 120, 130, 140)의 수는 총 12개에서 9개로 감소될 수 있다.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integrated gan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eparately installed in the entrance high-pass lane h1 and the exit high-pass lane h2, the gantry body 10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entrance and exit lanes, and toll collection The installation quantity of the gantry body 10 required for this is reduced by half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Also, the number of support frames ( 120 , 130 , and 140 in FIG. 3 ) provided in the gantry body 10 may be reduced from 12 to 9 in total.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하이패스 차로(h1)와, 적어도 하나의 출구 하이패스 차로(h2)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갠트리 본체(10)에는 입구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징수를 위한 장비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징수를 위한 장비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징수를 위한 장비로는 차량 번호를 촬영하는 영상촬영장치와, 차량의 진입/진출을 검지하는 차량검지기, 그리고 차량의 하이패스 단말기와 통신하는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to cross at least one entrance high-pass road h1 and at least one exit high-pass road h2 together. In addition, equipment for toll collection of the entrance high-pass lane and equipment for collection of tolls on the exit high-pass lane may be installed in the gantry body 10 together. Here, the equipment for collecting tolls in the high-pass lane may include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a vehicle number, a vehicle detector for detecting entry/exit of a vehicle, and an antenna for communicating with the high-pass terminal of the vehicl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에서는 입구 하이패스 차로(h1)의 요금징수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h2)의 요금징수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갠트리 본체의 요구 설치 수량이 종래에 비해 절반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갠트리 본체(10)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도 3의 120, 130, 140)의 수는 총 12개에서 9개로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ll collection of the inlet high-pass lane h1 and the toll collection of the exit high-pass lane h2 can be made together, so that the required installation quantity of the gantry body is conventionally can be reduced by half. Also, the number of support frames ( 120 , 130 , and 140 in FIG. 3 ) provided in the gantry body 10 may be reduced from 12 to 9 in total.

이와 같은 갠트리 본체(10)의 설치 수량 감소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갠트리는 시공 및 유지 보수에 대한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시 작업자가 갠트리 본체(10)에 오르내리는 횟수를 줄여주므로 작업 안전성 및 작업 효율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갠트리 본체(10)의 설치 수량 감소는 톨게이트의 경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As the amount of the gantry body 10 is reduced, the integrated gantr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n effect of reducing costs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nd the number of times a worker climbs up and down the gantry body 10 d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work safety and work efficiency. In addition,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gantry body 10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cenery of the toll gate.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갠트리는 설치 공간 축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갠트리 본체(10)의 일단에 입구 차로에 배치되는 톨게이트의 캐노피(c)가 연결되고 타단에 출구 차로에 배치되는 톨게이트 캐노피(c2)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갠트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톨게이트(t)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합형 갠트리와 톨게이트(t) 간에 일체형 구조는 톨게이트의 광장 공간을 축소시키는 효과와, 통합형 갠트리 및 톨게이트(t)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Preferably, in the integrated gantr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the canopy c of the toll gate disposed in the entrance roa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antry body 10, and the toll gate disposed in the exit road at the other end. The canopy c2 may be connected. That is, the integrated gantr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ll gate t as shown in FIG. 2, and the integrated structure between the integrated gantry and the toll gate 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quare space of the toll gat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integrated gantry and toll gate (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gantry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차로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120) 및 제2 지지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10 disposed to cross a road, and a first support frame 120 and a second support frame 130 supporting the horizontal frame 110 . can be configured.

수평 프레임(110)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110)에는 입구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징수를 위한 각종 장비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징수를 위한 각종 장비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장비(영상촬영장치, 차량검지기, 안테나 등)는 브라켓을 통해 수평 프레임(110)에 장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110 is arranged to cross the entrance high-pass lane and the exit high-pass lane together.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11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equipment for collecting tolls for the entrance high-pass lane and various equipment for collecting tolls for the exit high-pass lane. Here, each equipment (image photographing device, vehicle detector, antenna, etc.) may be mounted on the horizontal frame 110 through a bracket.

제1 지지 프레임(120)은 수평 프레임(110)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2 지지 프레임(130)은 수평 프레임(110)의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 프레임(110)이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므로, 제1 지지 프레임(120)이 입구 하이패스 차로 주변에 설치되면 제2 지지 프레임(130)은 출구 하이패스 차로 주변에 설치되며, 제1 지지 프레임(120)이 출구 하이패스 차로 주변에 설치되면 제2 지지 프레임(130)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 주변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지지 프레임(120)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 주변에 설치되고 제2 지지 프레임(130)은 출구 하이패스 차로 주변에 설치된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support frame 120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ground to support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is vertically to the ground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 can be installed. At this time, since the horizontal frame 110 is arranged to cross the entrance high-pass road and the exit high-pass road together, when the first support frame 120 is installed around the entrance high-pass road,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is the exit It is installed around the high-pass road, and when the first support frame 120 is installed around the exit high-pass road,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is installed around the entrance high-pass roa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support frame 120 is installed around the entrance high-pass road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is installed around the exit high-pass road as an exampl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므로, 수평 프레임(110)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 약 2배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수평 프레임(110)의 하중 분산을 위한 제3 지지 프레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to cross both the entrance high-pass road and the exit high-pass road, the horizontal frame 11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about twice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Accordingly, 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pport frame 140 for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

제3 지지 프레임(140)은 수평 프레임(110)의 중단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중분대에 수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분대는 동일 방향 차로 간의 공간과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므로 제3 지지 프레임의 두께(w1)는 제1 지지 프레임 또는 제2 지지 프레임의 두께(w2)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frame 14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middle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preferably may b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middle section. Since the middle component is formed wid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lanes in the same direction, the thickness w1 of the third support frame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w2 of the first support frame or the second support frame.

갠트리 본체의 제1 지지 프레임(120) 또는 제2 지지 프레임(130)에는 작업자가 수평 프레임(110)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사다리(l)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제3 지지 프레임(140)을 구비하는 경우, 사다리(l)가 제3 지지 프레임(140)에 설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만약, 제3 지지 프레임(140)에 사다리(l)가 설치된다면, 제3 지지 프레임(140)은 상대적으로 넓은 안전 공간이 확보되는 중분대에 배치되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수평 프레임(110)을 오르내릴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지 프레임(140)에 사다리(l)가 설치될 때에는 수평 프레임(110)의 중단부(사다리의 상측 부분)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배치되어 제3 지지 프레임(140)에 설치된 사다리(l)를 통해서도 작업자가 수평 프레임(110) 상단에 오를 수 있도록 한다.A ladder l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120 or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of the gantry body so that an operator can climb up and down to the horizontal frame 110 . By the way, when provided with the third support frame 140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adder (l) is installed in the third support frame (140). If the ladder (l) is installed on the third support frame 140, the third support frame 140 is disposed in the middle squad in which a relatively large safety space is secured, so that the operator can safely climb up and down the horizontal frame 110. can Here, when the ladder l is installed on the third support frame 140, an openable and openable door is disposed at the middle portion (upper part of the ladder)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ladder installed on the third support frame 140 ( l) through which the operator can climb to the top of the horizontal frame 11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차단 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차단막이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wave b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dio wave block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차로 간의 통신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전파 차단 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for block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between lanes.

통상적으로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되는 갠트리 본체의 일측 끝단에는 차로 간의 통신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전파 차단 유닛이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므로, 전파 차단 유닛(150)을 중단부에 배치하여 입구 하이패스 차로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ypically, a radio wave blocking unit for block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between lanes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gantry body installed in the high-pass lane. Since they are installed to cross each other,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may be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to block between the entrance high-pass lane and the exit high-pass lan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 차단 유닛(150)은 서로 이웃 배치되는 갠트리 본체의 제3 지지 프레임(1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첫 번째 갠트리 본체의 제3 지지 프레임(140-1)과 두 번째 갠트리 본체의 제3 지지 프레임(140-2) 사이에는 첫 번째 전파 차단 유닛(150-1)이 설치되고, 두 번째 갠트리 본체의 제3 지지 프레임(140-2)과 세 번째 갠트리 본체의 제3 지지 프레임(140-3) 사이에는 두 번째 전파 차단 유닛(150-2)이 설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hird support frames 140 of the gantry bod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4 as an example, the first radio wave blocking unit 150-1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ort frame 140-1 of the first gantry body and the third support frame 140-2 of the second gantry body. installed, and a second radio wave blocking unit 150-2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hird support frame 140-2 of the second gantry body and the third support frame 140-3 of the third gantry body.

바람직하게, 전파 차단 유닛(150)의 유지 보수 작업이 더욱 용이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 차단 유닛(150)은 탈착 가능한 다수개의 전파 차단막(1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so that the maintenance work of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is easier,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tachable radio wave blocking films 151 .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파 차단 유닛(150)은 다수개의 전파 차단막(151)과, 다수개의 전파 차단막(151)이 행과 열을 이루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차단막 결합 틀(1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more detail,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includes a plurality of radio wave blocking films 151 and a blocking film coupling frame 152 in which a plurality of radio wave blocking films 151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rows and columns. ) may be includ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 차단 유닛(150)의 유지 보수 시간이 단축되고 그 과정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차단 유닛의 특정 전파 차단막(151)이 파손되었다면, 파손된 전파 차단막(151)을 제거 후 해당 위치에 미리 준비한 새 전파 차단막(151)을 결합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을 통해 전파 차단 유닛(150)를 보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특정 전파 차단막(151) 파손시 전파 차단 유닛(15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된 전파 차단막(151)만을 교체하므로 유지 보수 비용 또한 절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tenance time of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hortened and the process may be facilitated. For example, if a specific radio wave blocking film 151 of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is broken,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 150) can be repaired. In addition, when the specific radio wave blocking film 151 is damaged, only the damaged radio wave blocking film 151 is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 so maintenance costs can also be saved.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의 설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6 (a), (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LED ligh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야간 시인성 향상을 위해 갠트리 본체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LED 조명(1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LED light 160 installed along one side of the gantry body to improve visibility at night.

그런데 LED 조명(160)이 갠트리 본체의 측면 전체를 따라 설치된다면, LED 조명(160)을 통해 갠트리 본체(10)를 확인한 운전자는 LED 조명(160)이 함께 둘러싸는 반대편 차로(입구 또는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 가능한 차로로 오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인은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LED 조명(160)은 갠트리 본체(10)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의 차로만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However, if the LED light 160 is installed along the entire side of the gantry body, the driver who has checked the gantry body 10 through the LED light 160 is the opposite lane (entrance or exit high pass) surrounded by the LED light 160 together. lane) may be mistaken for an available lane. And since such a misunderstanding may cause an acciden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LED light 16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only the vehicle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toward the gantry body 10 .

구체적으로, LED 조명(160)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의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일측면에 설치되는 입구 LED 조명(161)과, 출구 하이패스 차로의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타측면에 설치되는 출구 LED 조명(16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D light 160 includes an entrance LED light 161 installed on one side so that the driver of the entrance high-pass lane can see it, and an exit LED ligh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driver of the exit high-pass lane can see it. (162).

도 6의 (a)를 참조하여 입구 LED 조명(161)을 살펴보면, 입구 LED 조명(161)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만을 둘러싸도록, 제1 지지 프레임(120)의 일 측면 하단부에서 수평 프레임(110)의 일 측면 일부 구간을 거쳐 제3 지지 프레임(140)의 일 측면 하단부까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프레임의 일 측면은 입구 하이패스 차로의 차량이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Looking at the entrance LED light 161 with reference to (a) of FIG. 6 , the entrance LED light 161 is a horizontal frame 110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20 so as to surround only the entrance high-pass road. It may be install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frame 140 through a partial section of one side of the . Here, one side of each frame may be a side facing the vehicle of the entrance high-pass lane.

도 6의 (b)를 참조하여 출구 LED 조명(162)을 살펴보면, 출구 LED 조명(162)은 출구 하이패스 차로만을 둘러싸도록, 제2 지지 프레임(130)의 타 측면 하단부에서 수평 프레임(110)의 타 측면 일부 구간을 거쳐 제3 지지 프레임(140)의 타 측면 하단부까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프레임의 타 측면은 출구 하이패스 차로의 차량이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Looking at the exit LED light 162 with reference to FIG. 6 (b), the exit LED light 162 is a horizontal frame 110 at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so as to surround only the exit high-pass road. It may be installed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upport frame 140 through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ection. Here, the other side of each frame may be a surface facing the vehicle on the exit high-pass lane.

이와 같이, 갠트리 본체(10)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의 차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 LED 조명(160) 및 제2 LED 조명(160)은 해당 조명을 마주하는 운전자가 이용 가능한 하이패스 차로만을 둘러싸므로, 운전자가 반대편 차로(입구 또는 출구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 가능한 차로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LED light 160 and the second LED light 160 arranged to surround the lane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toward the gantry body 10 surround only the high-pass lane available to the driver facing the ligh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r from mistaking the opposite lane (entry or exit high-pass lane) as an available lan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antr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수평 프레임(110), 제1 지지 프레임(120), 제2 지지 프레임(130), 제3 지지 프레임(140'), 전파 차단 유닛(150), LED 조명(160), 서브 브라켓(170) 및 이송 레일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The gantry body 1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10 , a first support frame 120 , a second support frame 130 , a third support frame 140 ′, a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 It may include an LED light 160 , a sub bracket 170 , and a transport rail unit 180 .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의 구성 중 수평 프레임(110), 제1 지지 프레임(120), 제2 지지 프레임(130), 전파 차단 유닛(150) 및 LED 조명(16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프레임(110), 제1 지지 프레임(120), 제2 지지 프레임(130), 전파 차단 유닛(150) 및 LED 조명(160)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해당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지지 프레임(1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지지 프레임(140)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제3 지지 프레임(140')은 추가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gantry body 1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frame 110 , the first support frame 120 ,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and the LED light 160 ) Since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frame 110, the first support frame 120,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150 and the LED ligh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he same. , a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nd since the third support frame 14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eatures of the third support frame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upport frame 140 ′ has additional features. only to be expl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갠트리 본체에는 하이패스 요금징수를 위해 영상촬영장치, 차량검지기 및 안테나 등의 메인 장비가 장착되는데, 만약, 이와 같은 메인 장비에 고장이 발생하면 작업자가 해당 메인 장비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전까지는 해당 하이패스 차로를 폐쇄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gantry body installed in the high-pass lane is equipped with main equipment such as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a vehicle detector, and an antenna for high-pass toll collection. The high-pass lane must be closed until the main equipment is repaired or replaced.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메인 장비가 고장나면, 해당 메인 장비가 수리되거나 교체될 때까지 해당 장비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서브 장비가 장착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gantry body 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equipment breaks down, the sub equipment that performs the role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until the corresponding main equipment is repaired or replaced. can be mounted

여기서, 서브 장비에는 서브 영상촬영장치, 서브 차량검지기 및 서브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서브 장비는 평소에는 작동하지 않고 대기하다가 메인 장비에 고장 발생시 메인 장비의 역할을 대신 수행한다. 서브 장비는 서브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메인 장비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Here, the sub equipment may include a sub image capturing device, a sub vehicle detector, and a sub antenna, and the sub equipment does not normally operate and waits and performs the role of the main equipment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equipment. The sub device may be the same as the main device except that it is different in that it performs a sub role.

서브 장비는 서브 브라켓(170)을 통해 갠트리 본체(10')에 장착된다. 서브 브라켓(170)에 장착되는 서브 장비는 서브 영상촬영장치, 서브 차량검지기, 서브 안테나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서브 브라켓(170)을 다수개 구비하고, 다수개의 서브 브라켓(170)에는 서브 영상촬영장치, 서브 차량검지기, 서브 안테나가 개별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 하나의 갠트리 본체(10')에는 하나의 서브 브라켓(170)이 구비되고, 서브 브라켓(170)에는 고장 빈도를 고려하여 서브 영상촬영장치, 서브 차량검지기, 서브 안테나 중 하나의 장비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sub equipment is mounted on the gantry body 10 ′ through the sub bracket 170 . The sub equipment mounted on the sub bracket 170 may be one of a sub imaging device, a sub vehicle detector, and a sub antenna. The gantry body 1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ub brackets 170 , and a sub image capturing device, a sub vehicle detector, and a sub antenna may be individually mounted on the plurality of sub brackets 170 . However, preferably, one sub-bracket 170 is provided on one gantry body 10', and the sub-bracket 170 is equipped with one of the sub-imaging device, the sub-vehicle detector, and the sub-antenna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failure. Equipment may be optionally equipped.

서브 브라켓(170)은 수평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이송 레일 유닛(18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ub bracket 170 may be coupled to the transport rail unit 180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브 브라켓(170)은 이송 레일 유닛(1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레일 유닛(180)은 일단이 제1 지지 프레임(120)에 결합하고 타단이 제2 지지 프레임(130)에 결합하여 수평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sub bracket 170 may be movab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rail unit 180 . In addition, the transfer rail unit 180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2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to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메인 장비에 고장이 발생하면, 서브 장비를 장착한 서브 브라켓(170)이 이송 레일 유닛(180)을 따라 고장난 메인 장비 주변으로 이동하며, 서브 장비가 고장난 메인 장비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브 브라켓(170)과 서브 장비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이동 제어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메인 장비에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이 발생한 메인 장비를 대신할 서브 장비를 선택하여 작동시키고, 해당 서브 장비가 고장난 메인 장비 주변으로 이동하도록 서브 브라켓(170)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equipment, the sub bracket 170 on which the sub equipment is mounted moves along the transfer rail unit 180 around the broken main equipment, and the sub equipment can take over the role of the failed main equipment. At this time, the sub bracket 170 and the sub equipment may be controlled to move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hat is,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equipment, the manager selects and operates a sub equipment to replace the main equipment in which the failure occurs, and can operate and control the sub bracket 170 so that the corresponding sub equipment moves around the failed main equipment.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는 입구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 징수를 위한 입구 메인 장비와, 출구 하이패스 차로의 요금 징수를 위한 출구 메인 장비가 함께 설치되므로, 입구 메인 장비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서브 장비와, 출구 메인 장비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서브 장비가 모두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본체(10')에 입구 메인 장비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서브 장비와 출구 메인 장비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서브 장비가 각각 장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서브 장비의 설치 수량을 줄이기 위해 하나의 서브 장비가 필요에 따라 입구 메인 장비의 역할 또는 출구 메인 장비의 역할을 모두 수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gantry body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ntrance main equipment for charging the entrance high-pass lane and the exit main equipment for charging the exit high-pass lane are installed together, so the role of the entrance main equipment is Both a sub-equipment to perform instead and a sub-equipment to perform the role of the exit main equipment are required. To this end, the gantry body 1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quipped with sub equipment to perform the role of the inlet main equipment and the sub equipment to perform the role of the outlet main equipment instead, respectively, but preferably, the sub equipment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ne sub-equipment may perform both the role of the inlet main equipment or the role of the outlet main equipment as needed.

구체적으로, 서브 브라켓(170)은 서브 장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서브 브라켓(170)은 서브 장비의 배치 각도를 회전시켜 필요에 따라 입구 메인 장비의 역할 또는 출구 메인 장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b bracket 170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sub equipment. That is, the sub bracket 170 may rotate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ub equipment to perform the role of the entrance main equipment or the role of the outlet main equipment as need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지지 프레임(140')에는 이송 레일 유닛(180)이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관통구(14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41)는 이송 레일 유닛(180)이 관통 배치될 뿐만 아니라, 이송 레일 유닛(180)을 따라 이동하는 서브 브라켓(170) 및 서브 장비가 통과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관통구(141)는 서브 장비가 장착된 서브 브라켓(170)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야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 a through hole 141 may be formed in the third support frame 140 ′ so that the transfer rail unit 180 is disposed therethrough. In the through hole 141 , not only the transfer rail unit 180 is disposed through, but also the sub bracket 170 and the sub equipment moving along the transfer rail unit 180 must be able to pass therethrough. Therefore, the through hole 141 should have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b bracket 170 on which the sub equipment is mounted.

바람직하게, 서브 브라켓(170)의 초기 위치는 제3 지지 프레임의 관통구(141) 내측 위치일 수 있다. 즉, 서브 브라켓(170)에 장착된 서브 장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서브 브라켓(170)은 관통구(141) 내측에 수용 배치되어, 외부 환경 요인(예를 들면 눈, 또는 비)로부터 서브 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지지 프레임(140')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관통구(141)의 깊이 또한 깊게 형성되므로, 서브 브라켓(170)이 수용되기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ub bracket 170 may be an inner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141 of the third support frame. That is, when the sub-equipment mounted on the sub-bracket 170 is not used, the sub-bracket 170 is accommodated inside the through-hole 141 to protect the sub-equipment from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eg, snow, or rain). can protect In particular, when the thickness of the third support frame 140 ′ is relatively thick as described above, the depth of the through hole 141 is also deep, so that a space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sub bracket 170 can be formed.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갠트리 본체
110: 수평 프레임
120: 제1 지지 프레임
130: 제2 지지 프레임
140: 제3 지지 프레임
141: 관통구
150: 전파 차단 유닛
151: 전파 차단막
152: 차단막 결합 틀
160: LED 조명
161: 입구 LED 조명
162: 출구 LED 조명
170: 서브 브라켓
180: 이송 레일 유닛
10: gantry body
110: horizontal frame
120: first support frame
130: second support frame
140: third support frame
141: through hole
150: radio wave blocking unit
151: radio wave shield
152: barrier bonding frame
160: LED light
161: entrance LED light
162: exit LED light
170: sub bracket
180: transfer rail unit

Claims (9)

입구 차로와 출구 차로를 함께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갠트리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
A gantry body comprising a horizontal frame disposed to cross the entrance road and the exit road together, a first support frame supporting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second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High-pass entrance and exit integrated gantry,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본체는
상기 입구 차로와 상기 출구 차로 사이의 중분대에 수직 설치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단부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ntry body is
The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support fram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middle section between the entrance road and the exit road to support the middle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갠트리는
차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인접 갠트리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갠트리 본체의 제3 지지 프레임과 상기 인접 갠트리 본체의 제3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전파 차단 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grated gantry i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djacent gantry bodie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A high-pass inlet/outlet integrated gantry, characterized in that a radio wave blocking unit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third support frame of the gantry body and the third support frame of the adjacent gantry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차단유닛은 다수개의 전파 차단막이 행과 열을 이루어 구성되고, 상기 전파 차단막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o wave blocking unit is configured by a plurality of radio wave blocking films in rows and columns, and the radio wave blocking films are detachably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본체의 수평 프레임, 제1 지지 프레임, 제2 지지 프레임 또는 제3 지지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LED 조명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
3. The method of claim 2,
A high-pass inlet/outlet integrated gantry,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the first support frame,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he third support frame of the gantry body is provided with an LED ligh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은
상기 갠트리 본체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의 차로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일 측면 하단부에서부터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 측면 일부 구간을 거쳐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일 측면 하단부까지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타 측면 하단부에서부터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 측면 일부 구간을 거쳐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타 측면 하단부까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ED light is
It is installed from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to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frame through a partial section of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surround a roa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gantry body, and the second The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from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upport frame through a partial s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본체는
하이패스 요금징수를 위해 장착되는 메인 영상촬영장치 또는 메인 차량검지기 또는 메인 안테나에 이상 발생시, 상기 메인 영상촬영장치 또는 메인 차량검지기 또는 메인 안테나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서브 영상촬영장치 또는 서브 차량검지기 또는 서브 안테나가 장착되는 서브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ntry body is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in the main imaging device or main vehicle detector or main antenna installed for high-pass charge collection, a sub imaging device or sub vehicle detector that performs the role of the main imaging device or main vehicle detector or main antenna instead, or High-pass entrance/exit integrated gant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b bracket to which the sub antenna is moun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본체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이송 레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브라켓은 상기 이송 레일 유닛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서브 영상촬영장치 또는 서브 차량검지기 또는 서브 안테나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입출구 통합형 갠트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gantry body includes a transport rail unit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The sub-bracket is movably coupled to the transport rail uni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b-imaging device, sub-vehicle detector, or sub-antenna is rotatably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입구 차로에 배치되는 톨게이트의 캐노피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출구 차로에 배치되는 톨게이트 캐노피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차 통합형 갠트리.
The method of claim 1,
A toll gate canopy disposed on the entrance roadway is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toll gate canopy disposed on the exit roadway is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KR1020210025018A 2021-02-24 2021-02-24 Integrated gantry KR102486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18A KR102486569B1 (en) 2021-02-24 2021-02-24 Integrated gant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18A KR102486569B1 (en) 2021-02-24 2021-02-24 Integrated gant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301A true KR20220121301A (en) 2022-09-01
KR102486569B1 KR102486569B1 (en) 2023-01-11

Family

ID=8328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018A KR102486569B1 (en) 2021-02-24 2021-02-24 Integrated gant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56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111A (en) * 2001-10-18 2003-04-25 Mitsubishi Electric Corp Radio wave leakage limiting wall to be used for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road and vehicle
KR100964250B1 (en) * 2010-01-12 2010-06-16 파워테크주식회사 Bidirectional security system for crime prevention
KR200460775Y1 (en) * 2010-01-15 2012-06-12 이진호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igh-pass system
KR20130042919A (en) * 2011-10-19 2013-04-29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lane
KR101297212B1 (en) 2012-04-25 2013-08-16 한국도로공사 Gantry system for delivering 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KR101702951B1 (en) 2016-05-26 2017-02-22 송운용 The connection device of road facilities
KR20190138934A (en) * 2018-06-07 2019-12-17 한국도로공사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111A (en) * 2001-10-18 2003-04-25 Mitsubishi Electric Corp Radio wave leakage limiting wall to be used for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road and vehicle
KR100964250B1 (en) * 2010-01-12 2010-06-16 파워테크주식회사 Bidirectional security system for crime prevention
KR200460775Y1 (en) * 2010-01-15 2012-06-12 이진호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igh-pass system
KR20130042919A (en) * 2011-10-19 2013-04-29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lane
KR101297212B1 (en) 2012-04-25 2013-08-16 한국도로공사 Gantry system for delivering 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KR101702951B1 (en) 2016-05-26 2017-02-22 송운용 The connection device of road facilities
KR20190138934A (en) * 2018-06-07 2019-12-17 한국도로공사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569B1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7602A (en) Passenger safeguard system in bus stop
KR20120086963A (en) The remote control security camera system which movable in transparent window pipe
KR101724834B1 (en) driving device of cutting passing equipment
KR20220121301A (en) Integrated gantry
KR102104814B1 (en) Transparent light weight cantilever wind barrier with pedestrian safety handrail and vehicle falling protection system of bridge
CN214226123U (en) Integrative device of intelligence anticollision license plate discernment banister
CN105979204A (en) Induction based road guide rail automatic monitoring system
CN101662075A (en) Radio telescope feed cabin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method and radio telescope
KR102156147B1 (en)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KR102492493B1 (e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flooded roads
KR101147724B1 (en) Intelligent traffic cabinet
KR20100107120A (en) Arcade electromotive screen system
US11060252B2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n information or surveillance device above a road
KR20120081261A (en) The remote control security camera system which movable in transparent window pipe
CN208173007U (en) A kind of anticollision pillar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CN209722728U (en) A kind of bridge median strip flat protective device
CN219430602U (en) Integrated barrier gate with protection structure
US20140352215A1 (en) Modular Gat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CN215575649U (en) Railway platform clearance foreign matter detecting system
CN115731691B (en) Pedestrian crossing safety protection system based on video detection
CN220789520U (en) Intelligent unattended parking lot barrier gate
CN220746676U (en) Cloud banister controlling means
CN220775545U (en) Barrier motor with protective structure
CN214219465U (en) Wisdom is banister for parking system
KR102496960B1 (en) Shock absorbing type vehicle crash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