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322A -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322A
KR20190138322A KR1020180064305A KR20180064305A KR20190138322A KR 20190138322 A KR20190138322 A KR 20190138322A KR 1020180064305 A KR1020180064305 A KR 1020180064305A KR 20180064305 A KR20180064305 A KR 20180064305A KR 20190138322 A KR20190138322 A KR 2019013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parts
weight
rus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670B1 (ko
Inventor
죤복동 킴
쉬루더 레너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기업
세이프 팩 쉬어하이스트버팩운겐 게엠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기업, 세이프 팩 쉬어하이스트버팩운겐 게엠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기업
Priority to KR102018006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6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42Use of binding agents;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sorb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containing halogens, e.g. ha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28Granulating, agglomerating or aggreg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은 염화칼슘(CaCl2)과 염화칼슘의 점도 조절을 위해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을 혼합하되, 염화칼슘과 잔탄검을 7:3 비율로 혼합한 흡습제를 형성하는 흡습제 형성단계(S10)와, 흡습제 형성단계(S10)에서 형성된 흡습제에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과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산화아연( Zinc Oxide) 및 옥탄산(Octanoic Acid)을 혼합교반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를 형성하는 혼합교반단계(S2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esiccant which has volatile corrosion inhibiting effect}
본 발명은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품첨가물이나 식품추출물들로 이루어진 산소 흡습제, 응결제, 산화방지제 및 기화성 방청제를 사용하여 인체에 접촉되더라도 안전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흡습제를 응결시키는 응결제를 혼합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의 수분 흡습률과 점도가 최적이 되도록 하여 수분 흡습시 기화성 방청 흡습제를 젤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가 포장된 부직포 외부로 기화성 방청 흡습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산소 흡습제를 첨가하여 금속류의 포장 및 보관시 산소 흡습제에 의해 산소를 흡수하여 고온 및 다습한 악조건에서도 방청기능이 탁월한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철 또는 비철금속 등의 금속제품의 판매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금속제품은 포장되어 보관 또는 운반된다. 금속제품의 운반 또는 보관시 금속제품은 부식이 야기되기가 쉬우며, 이로 인한 공업적 손실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금속제품의 부식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나 기화성 방청제를 사용하여 왔다.
실리카겔은 수분 흡수율이 자기 중량의 20~30% 정도밖에 되지 못하며 또한 공업용의 경우 산도가 낮으므로 폐기시 토양의 산성화를 가져오게 되어 각종 환경오염을 유발하거나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화성 방청제의 경우 방청효과는 좋으나, 흡습기능은 미비하여 고온, 다습한 환경하에서의 사용시 수분에 대한 용해성이 높으므로 사용시 금속제품의 표면에 용해된 잔유물이 침착하여 사용 후에는 반드시 세정작업이 필요하며, 도장력의 약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흡습제에 기화성 방청제를 혼합한 기화성 방청 흡습제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화성 방청 흡습제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07296호 "기화성 방청기능을 가진 흡습제 제조방법"(공개일자 : 2009.10.13)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1855호 "방청흡습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방청흡습제"(공개일자 : 2016.10.21)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선행기술인 기화성 방청 흡습제의 경우, 흡습제로 제올라이트, 실리케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흡습제만을 사용하는 경우, 기화성 방청 흡습제의 점도 조절이 쉽지 않고, 오히려 점도가 낮아 부직포에 기화성 방청 흡습제를 포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부직포 외부로 기화성 방청 흡습제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의 경우, 산소흡습제를 사용하지 않아, 금속류 제품 주변의 산소 흡수 기능이 좋지 못하여 방청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07296호 "기화성 방청기능을 가진 흡습제 제조방법"(공개일자 : 2009.10.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1855호 "방청흡습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방청흡습제"(공개일자 : 2016.10.21)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첨가물이나 식품추출물들로 이루어진 산소 흡습제, 응결제, 산화방지제 및 기화성 방청제를 사용하여 인체에 접촉되더라도 안전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흡습제를 응결시키는 응결제를 혼합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의 수분 흡습률과 점도가 최적이 되도록 하여 수분 흡습시 기화성 방청 흡습제를 젤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가 포장된 부직포 외부로 기화성 방청 흡습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산소 흡습제를 첨가하여 금속류의 포장 및 보관시 산소 흡습제에 의해 산소를 흡수하여 고온 및 다습한 악조건에서도 방청기능이 탁월한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은, 염화칼슘과 상기 염화칼슘의 점도 조절을 위해 응결제인 잔탄검을 혼합하되, 상기 염화칼슘과 잔탄검을 7:3 비율로 혼합한 흡습제를 형성하는 흡습제 형성단계; 및 상기 흡습제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흡습제에 벤조산나트륨과 하이드로퀴논과, 소르빈산칼륨, 산화아연 및 옥탄산을 혼합교반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를 형성하는 혼합교반단계(S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교반단계에서 아황산나트륨과 벤조트리아졸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화성 방청 흡습제는 상기 흡습제 10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벤조산나트륨은 100중량부 내지 150중량부이고,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이고, 상기 소르빈산칼륨은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이고, 상기 산화아연은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이고, 상기 옥탄산은 30중량부 내지 45중량부이고, 상기 아황산나트륨은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이고, 상기 벤조트리아졸은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습제 형성단계에서 상기 흡습제의 점도는 170,000cP 내지 200,000cP 이고, 흡습률은 적어도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은 식품첨가물이나 식품추출물들로 이루어진 산소 흡습제, 응결제, 산화방지제 및 기화성 방청제를 사용하여 인체에 접촉되더라도 안전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흡습제를 응결시키는 응결제를 혼합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의 수분 흡습률과 점도가 최적이 되도록 하여 수분 흡습시 기화성 방청 흡습제를 젤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가 포장된 부직포 외부로 기화성 방청 흡습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산소 흡습제를 첨가하여 금속류의 포장 및 보관시 산소 흡습제에 의해 산소를 흡수하여 고온 및 다습한 악조건에서도 방청기능이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도 2는 녹발생등급에 따른 부식의 정도를 나타낸 녹발생 등급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은, 염화칼슘(CaCl2)과 염화칼슘의 점도 조절을 위해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을 혼합하되, 염화칼슘과 잔탄검을 7:3 비율로 혼합한 흡습제를 형성하는 흡습제 형성단계(S10)와, 흡습제 형성단계(S10)에서 형성된 흡습제에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과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산화아연( Zinc Oxide) 및 옥탄산(Octanoic Acid)을 혼합교반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를 형성하는 혼합교반단계(S20)로 구성된다.
또한, 혼합교반단계(S20)에서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기화성 방청 흡습제는 흡습제 1000중량부에 대해서 벤조산나트륨은 100중량부 내지 150중량부이고, 하이드로퀴논은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이고, 소르빈산칼륨은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이고, 산화아연은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이고, 옥탄산은 30중량부 내지 45중량부이고, 아황산나트륨은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이고, 벤조트리아졸은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로 구성된다.
또한, 흡습제 형성단계(S10)에서 흡습제의 점도는 170,000cP 내지 200,000cP 이고, 흡습률은 적어도 200% 이상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흡습제 형성단계(S10)는 통상적으로 흡습제로 알려진 염화칼슘(CaCl2)을 사용하고, 염화칼숨을 부직포(Breath Paper)에 포장하여 사용시 내용물이 부직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정 농도의 점도를 갖도록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을 혼합한다.
이때, 응결제인 잔탄검의 혼합시 잔탄검을 적게 혼합하는 경우, 점도가 낮아지게 되어 내용물이 부직포 외부로 유츨되며, 응결제인 잔탄검을 너무 많이 혼합하게 되면 수분 흡습률이 떨어지게 되고, 응결제의 가격이 비싸 비경제적이다.
다음의 표 1과 표 2는 본 발명의 흡습제 형성단계(S10)에서 염화칼슘과 응결제인 잔탄검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흡습제의 비율별 점도와 흡습률을 관찰한 것이다.
흡습제
(염화칼슘+잔탄검)
9:1 8:2 7:3 6:4
점도(cP) 100,000 ~
120,000
140,000 ~
170,000
170,000 ~
200,000
175,000 ~
200,000
흡습제
(염화칼슘+잔탄검)
9:1 8:2 7:3 6:4
흡습률(%) 352 308 272 220
상기 표 1과 표 2는 섭씨 25도에서 수분 90%, 168시간 동안 염화칼슘과 잔탄검으로 구성된 흡습제를 각기 다른 혼합비로 혼합한 후, 혼합한 흡습제 100g을 부직포로 포장하여 각각에 대한 점도와 흡습률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흡습제의 점도가 170,000cP ~ 200,000cP 이고, 흡습률은 적어도 200% 이상인 흡습제를 부직포에 포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분을 흡습하더라도 물기가 발생하지 않고 흡습제는 젤(gel)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부직포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츨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흡습제 형성단계(S10)에서 염화칼슘과 잔탄검을 7:3 비율로 혼합한 흡습제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혼합교반단계(S20)는 흡습제 형성단계(S10)에서 염화칼슘과 잔탄검을 7:3 비율로 혼합한 흡습제에 식품첨가물이나 식품추출물들로 이루어진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는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과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기화성 방청제로 사용되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산화아연( Zinc Oxide) 및 옥탄산(Octanoic Acid)과 산소흡습제로 사용되는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을 혼합기에 넣고 실온에서 분당 750RPM으로 혼합 교반시켜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를 제조한다.
이때, 기화성 방청 흡습제는 흡습제 1000중량부에 대해서 벤조산나트륨은 100중량부 내지 150중량부이고, 하이드로퀴논은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이고, 소르빈산칼륨은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이고, 산화아연은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이고, 옥탄산은 30중량부 내지 45중량부이고, 아황산나트륨은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이고, 벤조트리아졸은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화성 방청제인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은 비철금속류와 철금속류의 방청에 기여하고, 산화아연(Zinc Oxide)은 철금속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철금속류의 방청에 기여하고, 옥탄산(Octanoic Acid)은 비철금속류보다 상대적으로 철금속류의 방청에 기여하며, 상기 기화성 방청제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만 탄소강과 같은 철금속류와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류 모두 발청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의 조성비에 따른 수분흡수율, 산소농도, 기화성 방청 실험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각각의 샘플들을 제조하였다.
샘플 1
염화칼슘(CaCl2) 700g과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 300g을 혼합하여 흡스제만으로 구성된 샘플을 제조한다.
샘플2
염화칼슘(CaCl2) 700g과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 300g을 혼합하여 흡습제를 제조한 후, 흡습제 1000중량부 대비 산소흡습제인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 150중량부와 70중량부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을 혼합기에 넣고 실온에서 분당 750RPM으로 혼합 교반시켜 샘플을 제조한다.
샘플3
염화칼슘(CaCl2) 700g과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 300g을 혼합하여 흡습제를 제조한 후, 흡습제 1000중량부 대비 산소흡습제인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 150중량부와 70중량부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과, 산화방지제인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 150중량부와 70중량부의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을 혼합기에 넣고 실온에서 분당 750RPM으로 혼합 교반시켜 샘플을 제조한다.
샘플4
염화칼슘(CaCl2) 700g과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 300g을 혼합하여 흡습제를 제조한 후, 흡습제 1000중량부 대비 산소흡습제인 70중량부의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과 70중량부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과, 산화방지제인 70중량부의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과 70중량부의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기화성 방청제인 산화아연(Zinc Oxide) 140중량부을 혼합기에 넣고 실온에서 분당 750RPM으로 혼합 교반시켜 샘플을 제조한다.
샘플5
염화칼슘(CaCl2) 700g과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 300g을 혼합하여 흡습제를 제조한 후, 흡습제 1000중량부 대비 산소흡습제인 70중량부의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과 70중량부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과, 산화방지제인 150중량부의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과 30중량부의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기화성 방청제인 옥탄산(Octanoic Acid) 140중량부을 혼합기에 넣고 실온에서 분당 750RPM으로 혼합 교반시켜 샘플을 제조한다.
샘플6
염화칼슘(CaCl2) 700g과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 300g을 혼합하여 흡습제를 제조한 후, 흡습제 1000중량부 대비 산소흡습제인 70중량부의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과 70중량부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과, 산화방지제인 150중량부의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과 30중량부의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기화성 방청제인 70중량부의 산화아연(Zinc Oxide)과 70중량부의 옥탄산(Octanoic Acid)을 혼합기에 넣고 실온에서 분당 750RPM으로 혼합 교반시켜 샘플을 제조한다.
샘블7
염화칼슘(CaCl2) 700g과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 300g을 혼합하여 흡습제를 제조한 후, 흡습제 1000중량부 대비 산화방지제인 150중량부의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과 30중량부의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기화성 방청제인 25중량부의 산화아연(Zinc Oxide)과 35중량부의 옥탄산(Octanoic Acid)과 30중량부의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을 혼합기에 넣고 실온에서 분당 750RPM으로 혼합 교반시켜 샘플을 제조한다.
샘플8
염화칼슘(CaCl2) 700g과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 300g을 혼합하여 흡습제를 제조한 후, 흡습제 1000중량부 대비 산소흡습제인 70중량부의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과 70중량부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과, 산화방지제인 150중량부의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과 30중량부의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기화성 방청제인 25중량부의 산화아연(Zinc Oxide)과 35중량부의 옥탄산(Octanoic Acid)과 30중량부의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을 혼합기에 넣고 실온에서 분당 750RPM으로 혼합 교반시켜 샘플을 제조한다.
다음의 표 3은 1000ml beaker에 증류수 100ml를 넣고 루사이트에 상기 샘플1 내지 샘플8 각각에 대해서 100g을 부직포로 포장한 후 열봉합하여 밀봉된 각각의 부직포를 섭씨 50도, 습도 90%에서 168시간동안 오븐에 넣은후 수분 흡습률을 측정한 것이다.
샘플 1 2 3 4 5 6 7 8
흡습률(%) 272 228 226 195 215 218 225 221
상기 표 3의 수분 흡습률에서 샘플4의 경우 수분 흡습률이 200% 미만으로 측정되었고, 나머지 샘플들에 대해서는 수분 흡습률은 200%이상인 것으로, 이는 염화칼슘(CaCl2)과 응결제인 잔탄검(Xanthan Gum)을 7:3으로 혼합하였으므로, 앞에 표 1에서와 같이 200% 이상의 수분 흡습률을 얻을 수 있으며, 샘플 4의 경우에는 기화성 방청제로 사용된 산화아연(Zinc Oxide)은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므로, 수분 흡습률이 다른 샘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의 표 4는 상기 샘플1 내지 샘플8 각각에 대해서 100g을 부직포로 포장한 후 열봉합하여 밀봉된 각각의 부직포를 200리터의 용기에 넣고, 섭씨 25도 실온에서 48시간 경과 후 산소측정기를 사용하여 용기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샘플 초기치 1 2 3 4 5 6 7 8
산소 농도(%) 19.8 16.1 16.2 16.2 16.2 16.1 16.3 18.9 16.2
상기 표 4의 샘플7을 제외한 나머지 샘플들의 경우, 용기 내의 산소 농도가초기치 18.9%에서 16.1% 또는 16.2%로 감소되는데 반해, 샘플7의 경우 용기 내의 산소 농도는 18.9%이다.
이는 샘플7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는 산소흡습제 역활을 하는 아황산나트륨과 벤조트리아졸을 혼합하지 않지 않아, 용기 내부의 산소를 제대로 흡습하지 못해 용기 내부의 산소 농도가 다른 샘플들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의 표 5는 상기 샘플1 내지 샘플8 각각에 대해서 여러 가지 금속시편들에 사용하여 발청실험에 대한 비교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금속 종류
샘플
탄소강 구리 알루미늄
샘플 1
샘플 2
샘플 3
샘플 4
샘플 5
샘플 6
샘플 7
샘플 8
○: 발청없음
Ⅹ: 발청
△: 5% 이내 발청
상기 표 5에 나타난 발청비교실험은 가로와 세로가 각 5㎝의 각각의 금속 시편들의 표면을 이소 프로필 알콜(Iso Propyl Alcohol)로 세정 후 건조시키고, 샘플1 내지 샘플8 각각에 대해서 2g을 부직포에 포장한 후 열봉합하여 밀봉된 각각의 부직포와 금속 시편을 500ml 비커에 루사이트를 이용하여 장착후 증류수와 글리세린을 2:1로 섞은 용액 30ml를 비커에 주입하고, 비커를 스트레치 필름으로 봉한 후 절대습도 90%, 섭씨 50℃로 유지된 항온기에 16시간 동안 넣은 후, 항온기에서 꺼내 8시간 실온으로 식히는 것을 1 Cycle로 하여, 30Cycle 실험 후 상기 금속 시편들에 대해서 발청 발생 여부를 관찰한 결과이다.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샘플1과 샘플2는 방청 효과가 없고, 샘플3과 샘플4는 탄소강에는 방청 효과가 없으나 구리, 알루미늄에는 어느 정도 방청 효과가 있고, 샘플5는 탄소강에는 좋은 방청효과가 있으나 구리에는 방청효과가 없고, 샘플6은 탄소강, 구리 및 알루미늄에 어느 정도 방청 효과가 있으며, 샘플7은 탄소가과 구리에는 방청 효과가 좋으나, 알루미늄에는 어느 정도 방청 효과가 있으며, 샘플8은 모든 금속에 좋은 방청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화성 방청 흡습제는 흡습제에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는 벤조산나트륨과 하이드로퀴논과, 기화성 방청제로 사용되는 소르빈산칼륨, 산화아연 및 옥탄산과 산소흡습제로 사용되는 아황산나트륨과 벤조트리아졸을 적합한 조성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므로써, 모든 금속에 좋은 방청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의 표 6은 상기 샘플1 내지 샘플8 각각에 대해서 DIN EN-10025 금속 시편에 대한 발청실험에 대한 비교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구분 녹발생등급
샘플 1 Grade 0
샘플 2 Grade 0
샘플 3 Grade 0
샘플 4 Grade 0
샘플 5 Grade 3
샘플 6 Grade 2
샘플 7 Grade 3
샘플 8 Grade 3
상기 표 6에 나타난 발청실험은 샘플1 내지 샘플8 각각에 대해서 1g씩을 부직포에 포장한 후 열봉합하여 밀봉된 부직포를 1000ml 삼각플라스크에 붙여 넣고 DIN EN-10025 금속 시편을 고무마개에 조립한후 20시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글리세롤(GLYCEROL) 25%용액을 10ML 넣은 후 2시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40℃ 온도 범위에서 오븐에서 2시간 넣은 후 발청여부를 관찰한 결과이다.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샘플1 내지 샘플4는 모두 녹발생등급이 그레이드 0이고, 샘플6은 녹발생등급이 그레이드 2이고, 샘플5, 샘플 7 및 샘플8의 경우, 모두 녹발생등급이 그레이드 3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2의 녹발생등급에 따른 부식의 정도를 나타낸 녹발생 등급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발생등급이 그레이드 0는 30%이상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의 등급을 의미하며, 그레이드 1은 5∼30%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의 등급을 의미하며, 그레이드 2는 5%이하로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의 등급을 의미하며, 그레이드 3은 부식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등급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샘플8에 해당하는 기화성 방청 흡습제는 녹발생등급은 3으로 DIN EN-10025 금속에 해당하는 철금속류에는 부식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Claims (4)

  1. 염화칼슘과 상기 염화칼슘의 점도 조절을 위해 응결제인 잔탄검을 혼합하되, 상기 염화칼슘과 잔탄검을 7:3 비율로 혼합한 흡습제를 형성하는 흡습제 형성단계(S10); 및
    상기 흡습제 형성단계(S10)에서 형성된 흡습제에 벤조산나트륨과 하이드로퀴논과, 소르빈산칼륨, 산화아연 및 옥탄산을 혼합교반하여 기화성 방청 흡습제를 형성하는 혼합교반단계(S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교반단계(S20)에서 아황산나트륨과 벤조트리아졸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성 방청 흡습제는 상기 흡습제 10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벤조산나트륨은 100중량부 내지 150중량부이고,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이고, 상기 소르빈산칼륨은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이고, 상기 산화아연은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이고, 상기 옥탄산은 30중량부 내지 45중량부이고, 상기 아황산나트륨은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이고, 상기 벤조트리아졸은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의 점도는 170,000cP 내지 200,000cP 이고, 흡습률은 적어도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KR1020180064305A 2018-06-04 2018-06-04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KR10220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05A KR102200670B1 (ko) 2018-06-04 2018-06-04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05A KR102200670B1 (ko) 2018-06-04 2018-06-04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322A true KR20190138322A (ko) 2019-12-13
KR102200670B1 KR102200670B1 (ko) 2021-01-11

Family

ID=6884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305A KR102200670B1 (ko) 2018-06-04 2018-06-04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611A (ko) * 2021-02-15 2022-08-23 김건한 산소흡수 및 수분흡습 기능이 있는 기화성 방청제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904A (ko) * 2004-05-10 2005-11-16 주식회사 키러스트 친환경적 기화성 방청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07296A (ko) 2008-04-08 2009-10-13 (주)선우팩 기화성 방청기능을 가진 흡습제 제조방법
KR20130027402A (ko) * 2011-09-07 2013-03-15 장호진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20160121855A (ko) 2015-04-13 2016-10-21 정용주 방청흡습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방청흡습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904A (ko) * 2004-05-10 2005-11-16 주식회사 키러스트 친환경적 기화성 방청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07296A (ko) 2008-04-08 2009-10-13 (주)선우팩 기화성 방청기능을 가진 흡습제 제조방법
KR20130027402A (ko) * 2011-09-07 2013-03-15 장호진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20160121855A (ko) 2015-04-13 2016-10-21 정용주 방청흡습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방청흡습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611A (ko) * 2021-02-15 2022-08-23 김건한 산소흡수 및 수분흡습 기능이 있는 기화성 방청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670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3632C2 (ru) Парофазные ингибиторы коррозии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US6033599A (en) Vapor phase corrosion inhibitors
US20120211694A1 (en) Reduced Toxicity Ethylene Glycol-Based Antifreeze/Heat Transfer Fluid Concentrates and Antifreeze/Heat Transfer Fluids
JP5745872B2 (ja) 気相腐食防止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腐食に対する一時的な保護のためのその使用
CA2078898C (en) Combinations of alkanoic hydrocarbyl dicarboxylic and carbocyclic alkanoic acids or salts useful as heat transfer fluid corrosion inhibitors
KR102192538B1 (ko) 기화성 방청팩 제조방법
CZ299386B6 (cs) Kombinace látek inhibující korozi a její použití
BRPI0615637B1 (pt) Lubrificante de transportador de silicone com quantidade estequiométrica de um ácido
JP2008291276A (ja) 無毒性のエチレングリコール系不凍液/伝熱流体濃厚物および不凍液/伝熱流体
KR20190138322A (ko) 기화성 방청 흡습제 제조방법
KR102148738B1 (ko) 기화성 방청필름 제조방법
JP5425202B2 (ja) 作動液及び蒸気腐食の防止方法
US20130017305A1 (en) Lower alkyl carboxylic acid moieties as organoleptic stabilizers and preservatives of food and beverages and for preventing oxidative corrosion of metals
KR102341327B1 (ko) 방청흡습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방청흡습제
EP1916276A1 (en) Packaging
JP3411939B2 (ja) 吸収式ヒ−トポンプ用水溶液組成物
JP2012001792A (ja) 防錆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防錆フィルム
JP2011047028A (ja) 気化性防錆剤組成物
JP5531180B2 (ja) 非可燃性を有する気化性防錆剤
KR101533323B1 (ko) 방청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부식방지 도막
JP7325040B2 (ja) 気化性防錆剤の製造方法および気化性防錆剤
SU1086772A1 (ru) Состав противокоррози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JPH1088118A (ja) 吸収液組成物
US3767767A (en) Inhibiting corrosion of iron by bromine
EP4202221A1 (en) Damper for wind turb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