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149A -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149A
KR20190138149A KR1020180064336A KR20180064336A KR20190138149A KR 20190138149 A KR20190138149 A KR 20190138149A KR 1020180064336 A KR1020180064336 A KR 1020180064336A KR 20180064336 A KR20180064336 A KR 20180064336A KR 20190138149 A KR20190138149 A KR 2019013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system
contact signal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887B1 (ko
Inventor
이홍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88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7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디지털 출력 포트, 공기 조화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목표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상기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에 있어서, 리모콘에 장착되는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접점 신호를 출력하여 외부 냉/난방 기기를 온/오프 함으로써, 공기 조화기가 고장난 경우를 보완하거나 냉/난방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시스템은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장치로, 실내 공기를 냉방, 난방, 제습, 가습 또는 환기시킨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시스템은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퍼올리는 히트펌프를 구비한다. 히트펌프로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실내외 간에 냉매를 순환시키고, 이렇게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통과하며 주변 공기와 열교환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공기 조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실외기 및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실내기는 건물 내 복수의 구분 영역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분 영역에는, 구분 영역 내 설치된 실내기를 통한 공기 조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이 설치될 수 있다.
리모컨에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등이 설치되어, 냉/난방, 제습, 환풍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은 공기 조화 시스템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기도 한다. 그 예로,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747355에서는 공기 조화 시스템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기기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 온도 정보를 전송하는 리모콘을 개시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 시스템이 갑작스럽게 고장나는 상황 등이 발생하는 경우, 실내 공기의 온도는 급격하게 변화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공기 조화 시스템 외에도, 다양한 냉/난방 기기를 실내에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 시스템이 갑작스럽게 고장나거나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 하기를 원하는 경우, 공기 조화 시스템 외의 다른 냉/난방 기기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냉/난방 제품과 연결되어 온/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리모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리모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기준보다 외부기기의 동작 기준을 완화함으로써, 외부기기의 동작 한계를 반영하고 비효율적인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리모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기기의 동작 한계를 정확히 반영하고 비효율적인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리모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은,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 포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에러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고, 에러 해제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은,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가 기준 갭보다 크면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기준 갭은, 외부기기의 종류, 목표 온도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외부 기기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 및 통신 모듈을 별도로 구비하기 위한 비용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점 출력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 채널 및 통신 모듈의 별도 구성 없이도 냉풍기, 보일러, 전기 히터 등 다양한 제품과 연결되어 온/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이 고장난 경우에도 보조 열원인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온도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기준보다 외부 기기의 동작 기준을 완화함으로써, 외부기기의 동작 한계를 반영하고 비효율적인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특성, 목표 온도를 반영하여 갭을 결정함으로써 외부기기의 동작 한계를 정확히 반영하고 비효율적인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 및 외부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 및 리모컨과 연결되는 외부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온도 변화의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전원 유지 회로는 공기 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전원 유지 회로는 냉장고 등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 및 외부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200),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내기(300), 실내기에 연결되는 리모컨(100) 및 무선 리모컨(4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기(300)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실외기(20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07)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00)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9)와, 실내측 열교환기(109)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열교환기(109)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시스템은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서는 실내기(300)와 실외기(200)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또는 한 개의 실내기와 복수개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실외기(200) 및 실내기(300)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외기(200) 및 실내기(300)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미도시)는 실내기(300) 및 실외기(20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기(미도시)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미도시)는 실내기(300) 또는 실외기(200)에 포함되는 구조일 수 있다.
리모컨(100)은 실내기(300)에 연결되어, 실내기(3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실내기(300)로 전송하고, 실내기(30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리모컨(100)은 실내기(30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 리모컨일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의 벽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 시스템은 리모컨(100) 외에 별도로 무선 리모컨(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모컨(100)은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500, 6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500, 600)은 공기 조화기와는 별도로 보조 열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기기(500)는 에어컨, 냉풍기 등의 냉방 기기일 수 있으며, 제2 외부 기기(600)는 보일러, 전기 히터, 온풍기 등의 난방 기기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 및 리모컨과 연결되는 외부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리모컨(100)은,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컨트롤러(140), 인터페이스부(150), 통신부(16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실내기(300) 또는 실외기(2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유선 통신을 통해 실내기(300)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실내기(3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160)는, 실내기(300)로부터 현재 온도 정보, 설정된 목표 온도 정보, 현재 습도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리모컨(100)에 부착되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리모컨(100)의 전원을 온 시키고, 리모컨(100)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수신된 제어 명령을 실내기(300) 또는 실외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통신부(520)를 통해 수신되는, 온도 정보, 설정된 목표 온도 정보, 현재 습도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통신부(520)를 통해 수신되는, 온도 정보, 설정된 목표 온도 정보, 현재 습도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을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70)는 컨트롤러(14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리모컨(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접점 신호의 출력 여부의 기준이 되는 갭(gap)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30)는 현재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모컨(100)은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다른 외부기기로 접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50)는 비례적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 출력 포트와,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포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40)는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디지털 신호 출력 포트(151)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신호 출력 포트(151)의 값인 0(off)은 개방(open)을 의미하고 1(on)은 연결(short)을 의미하여, 외부기기(500)의 접점을 온/오프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출력 포트(151)는 외부 기기(500)의 접점 제어기(510)의 접점 입력단에 연결되고, 디지털 신호 출력 포트(151)를 통하여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접점 신호는 외부 기기(500)의 접점 제어기(510)로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점 제어기(510)는 수신되는 점점 신호에 따라 외부 기기(500)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점 제어기(510)는, 외부기기(500)의 온(on)을 위한 접점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외부 기기(500)를 턴 온(turn on)할 수 있으며, 외부기기(500)의 오프(off)을 위한 접점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외부 기기(500)를 턴 오프(turn off)할 수 있다.
일례로, 접점 제어기(510)는 드라이 컨텍트(Dry Contact) 모듈일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출력 포트(15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지털 신호 출력 포트(151)는 복수의 외부 기기(500, 6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외부기기(500, 600)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디지털 출력 포트(151)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으로부터 에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구체적으로 실외기(200) 또는 실내기(30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이 고장 등의 이유로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에러 정보를 리모컨(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에러 정보가 통신부(160)를 통하여 수신되면,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입력을 리모컨(100)에서 수신하는 경우, 컨트롤러(140)는 목표 온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입력이 무선 리모컨(400) 등의 다른 장치에 의해 수신된 경우, 컨트롤러(140)는 무선 리모컨(400)이나 실내기(300)로부터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에러 정보가 통신부(160)를 통하여 수신되면,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70)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40)는 현재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리모컨(100)에 센싱부(130)가 설치되는 경우, 센싱부(130)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컨트롤러(140)는 다른 장치로부터 현재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기(300) 또는 무선 리모컨(400)에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현재 실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40)는 실내기(300) 또는 무선 리모컨(400)으로부터 현재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공기 조화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실내기(300)에서 온도의 감지는 가능한 경우가 있다. 즉 컨트롤러(140)는 실내기(300)로부터 에러 정보를 수신한 후에도, 실내기(300)로부터 현재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속성을 가진 외부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S440).
구체적으로, 먼저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40)는, 현재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아서 냉방을 수행중인 경우,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가 냉방 모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트롤러(140)는, 현재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낮아서 난방을 수행중인 경우,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가 난방 모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외부 기기(500, 600)의 냉/난방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모컨(100)에는 외부 기기(500, 600)의 속성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외부 기기(500, 600)가 연결된 디지털 출력 포트에 대한 정보와 함께 메모리(170)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기기(500)가 냉방을 수행하는 냉풍기인 경우, 제1 외부 기기(500)는 냉방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외부 기기(600)가 난방을 수행하는 전기 히터인 경우, 제2 외부 기기(600)는 난방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40)는 제1 외부 기기(500)의 속성은 냉방이고, 리모컨(100)과 제1 외부 기기(500)가 제1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연결되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제2 외부 기기(600)의 속성은 난방이고, 리모컨(100)과 제2 외부 기기(600)가 제2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연결되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모드 및 외부기기의 냉/난방 속성에 기초하여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가 냉방 모드인 경우, 컨트롤러(140)는 냉방 속성을 가지는 외부기기의 온(on)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40)는 제1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외부기기의 온(on)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가 난방 모드인 경우, 컨트롤러(140)는 난방 속성을 가지는 외부기기의 온(on)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40)는 제2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외부기기의 온(on)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40)는 목표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 갭(gap) 보다 크면,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450).
구체적으로, 외부기기의 냉/난방 성능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난방 성능보다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외부기기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난방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 시스템이 고장 등으로 인하여 동작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외부기기만으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까지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더라도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40)는 목표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 갭(gap) 보다 크면,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냉방의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는 24도이고 현재 실내 온도는 28도이며 제1 기준 갭(gap)이 2도인 경우, 목표 온도인 24도와 현재 실내 온도인 28도의 차가 제1 기준 갭보다 크기 때문에, 컨트롤러(140)는 제1 외부기기(500)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냉방의 다른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는 24도이고 현재 실내 온도는 25도이며 제1 기준 갭(gap)이 2도인 경우, 목표 온도인 24도와 현재 실내 온도인 25도의 차가 제1 기준 갭보다 작기 때문에, 컨트롤러(140)는 제1 외부기기(500)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난방의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는 28도이고 현재 실내 온도는 22도이며 제1 기준 갭(gap)이 3도인 경우, 목표 온도인 28도와 현재 실내 온도인 22도의 차가 제1 기준 갭보다 크기 때문에, 컨트롤러(140)는 제2 외부기기(600)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난방의 다른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는 28도이고 현재 실내 온도는 26도이며 제1 기준 갭(gap)이 3도인 경우, 목표 온도인 28도와 현재 실내 온도인 26도의 차가 제1 기준 갭보다 작기 때문에, 컨트롤러(140)는 제1 외부기기(500)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기준 갭(gap)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방 성능 또는 난방 성능은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제1 기준 갭(gap)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일러의 난방 성능이 전기 히터의 난방 성능보다 좋은 경우, 외부 기기가 보일러일 때의 제1 기준 갭(gap)은 외부 기기가 전기 히터일 때의 제1 기준 갭(gap)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기준 갭(gap)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표 온도가 29도이고 외부기기가 전기히터인 경우, 전기히터로는 실내 온도를 29도까지 올리는 것이 불가능 할 수 있다. 반면에 목표 온도가 25도이고 외부기기가 전기히터인 경우, 전기히터를 이용해서 실내 온도를 25도까지 올리는 것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 모드에서는 목표 온도가 낮을수록 제1 기준 갭(gap)이 커질 수 있으며, 목표 온도가 높을수록 제1 기준 갭(gap)이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는 24도인 경우 제1 기준갭(gap)은 2도일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40)는 현재 온도가 26도보다 높으면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는 20도인 경우 제1 기준갭(gap)은 5도일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40)는 현재 온도가 25도보다 높으면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난방 모드에서는 목표 온도가 높을수록 제1 기준 갭(gap)이 커질 수 있으며, 목표 온도가 낮을수록 제1 기준 갭(gap)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기준 갭(gap)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가 출력되면, 외부기기의 접점 제어기는 외부기기를 턴 온(turn on)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기기는 기 설정된 제어 로직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기기는 최대 냉방 또는 최대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한 후,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40)는 목표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 갭(gap) 보다 작으면,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460).
구체적으로 제1 기준 갭(gap)은 목표 온도, 외부기기의 종류, 사용자 입력 등에 따라 결정되며, 현재 온도가 제1 기준 갭(gap)을 반영한 온도까지 도달하면 외부기기 자체의 목표는 달성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40)는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 갭(gap) 보다 작으면,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냉방의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는 24도이고 제1 기준 갭(gap)이 2도인 경우, 컨트롤러(140)는 현재 온도가 26도보다 낮아지면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난방의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는 28도이고 제1 기준 갭(gap)이 3도인 경우, 컨트롤러(140)는 현재 온도가 25도보다 높아지면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S450과 S460은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 갭(gap)보다 다시 커지는 경우, 컨트롤러(140)는 다시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의 출력 및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의 출력이 모두 제1 기준 갭(gap)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40)는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 갭보다 크면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고,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이가 제2 기준 갭보다 작으면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준 갭(gap)은 제1 기준 갭(gap)보다 작을 수 있다.
냉방의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는 24도이고 제1 기준 갭(gap)이 2도이고, 제2 기준 갭(gap)이 1도인 경우, 컨트롤러(140)는 현재 실내 온도가 26도보다 높으면 제1 외부기기(500)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실내 온도가 25도보다 낮으면 제1 외부기기(500)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 기준 갭(gap)과 제2 기준 갭(gap)을 상이하게 하여 동작 마진을 확보함으로써, 온/오프 동작의 지나친 반복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에러 해제 정보가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외기(200) 또는 실내기(30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고장이 해결되어 동작이 가능한 경우(또는 다시 동작을 시작한 경우), 에러 해제 정보를 리모컨(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기기의 동작 없이도 냉장 또는 난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에러 해제 정보가 수신되면, 컨트롤러(140)는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의 차이를 기준 갭과 비교하여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와 현재 실내 온도를 비교하여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가 24도이고 동작 모드가 냉방 모드인 경우, 컨트롤러(140)는 현재 온도가 24도보다 높으면 제1 외부기기(500)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온도가 24도보다 낮으면 제1 외부기기(500)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를 이용하여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40)는 외부기기의 목표 온도 및 현재 온도를 비교하여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가 보일러이고 보일러의 목표 온도가 28도인 경우, 컨트롤러(140)는 현재 온도가 28도보다 낮으면 보일러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온도가 28도보다 높으면 보일러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에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외부 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S410)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S410은 생략이 가능하다.
즉 컨트롤러(140)는 에러 정보의 수신 여부에 관계 없이,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기기까지 공기 조화 시스템과 함께 동작하는 것은, 공기 조화 시스템만이 단독으로 동작하는 것보다 냉방 또는 난방 속도를 높힐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4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이 정상 동작 하는 동안에도,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유선 리모컨(100)이 실내기(300) 또는 실외기(200)와 통신하면서 온도 정보, 동작 상태 정보, 제어 명령을 송수신 하기 위해서는, 통신 채널 및 통신 모듈의 구성이 필요하다.
다만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외부 기기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 및 통신 모듈을 별도로 구비하기 위한 비용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점 출력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 채널 및 통신 모듈의 별도 구성 없이도 냉풍기, 보일러, 전기 히터 등 다양한 제품과 연결되어 온/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온도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고장 시(S) 실내 온도(510)는 급격하게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이 고장난 경우에도 보조 열원인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실내 온도(520)를 유지함으로써, 온도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목표 온도(A)를 외부기기에 그대로 적용하여 동작시키지 않고, 목표 온도(A)에 갭(GAP)을 반영한 값을 외부 기기의 목표 온도(B)로 하여 외부 기기를 동작시킨다.
즉 외부기기의 냉/난방 성능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난방 성능보다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외부기기의 동작으로는 공기 조화기의 목표 온도를 달성할 수 없거나, 달성을 하더라도 매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기준보다 외부 기기의 동작 기준을 완화함으로써, 외부기기의 동작 한계를 반영하고 비효율적인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특성, 목표 온도를 반영하여 갭을 결정함으로써 외부기기의 동작 한계를 정확히 반영하고 비효율적인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리모컨 140: 컨트롤러
151: 디지털 출력 포트 160: 통신부

Claims (12)

  1.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디지털 출력 포트;
    공기 조화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목표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상기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리모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에러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에러 해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외부기기의 냉/난방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는,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를 포함하는
    리모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가 기준 갭보다 크면, 상기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갭은,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 상기 목표 온도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모컨.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희망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가 상기 기준 갭보다 작으면, 상기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
  7.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목표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컨의 동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에러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에러 해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컨의 동작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외부기기의 냉/난방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 모드는,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를 포함하는
    리모컨의 동작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가 기준 갭보다 크면, 상기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컨의 동작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갭은,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 상기 목표 온도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모컨.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의 온/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디지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의 온을 위한 접점 신호가 출력된 이후,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현재 온도의 차이가 상기 기준 갭보다 작으면, 상기 외부기기의 오프를 위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컨의 동작 방법.
KR1020180064336A 2018-06-04 2018-06-04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 KR10216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36A KR102167887B1 (ko) 2018-06-04 2018-06-04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36A KR102167887B1 (ko) 2018-06-04 2018-06-04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149A true KR20190138149A (ko) 2019-12-12
KR102167887B1 KR102167887B1 (ko) 2020-10-20

Family

ID=6900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336A KR102167887B1 (ko) 2018-06-04 2018-06-04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8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652A (ko) * 2009-02-04 2010-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비상제어방법
KR20170094593A (ko) * 2016-02-11 2017-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용 제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652A (ko) * 2009-02-04 2010-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비상제어방법
KR20170094593A (ko) * 2016-02-11 2017-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용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887B1 (ko)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8587B2 (en) HVAC system with automated blower capacity dehumidification, a HVAC controller therefor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237680B2 (en) Server room manag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US86513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cooling system air quality and energy consumption
US8078326B2 (en) HVAC system controller configuration
KR101958713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EP2148147B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11402118B2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15012534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20031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94810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60207273A1 (en) Method of controlling over-load cooling operation of air conditioner
KR102167887B1 (ko)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
WO2018078709A1 (ja) 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82239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WO2020183639A1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WO2024116241A1 (ja) 空調装置、空調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制御方法
KR102112082B1 (ko) 공기 조화기
CN113108422B (zh) 空调控制方法、系统、空调机组和可读存储介质
KR102515297B1 (ko) 실외기, 공기 조화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6861874B2 (ja) 冷暖切換型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43347B1 (ko)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156141B1 (ko) 공기 조화기 제어장치 및 압축기 제어방법
WO2020255907A1 (ja) 空調システム
KR20190007151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62371B1 (ko) 냉난방 겸용 멀티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