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239A - 공기조화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239A
KR20180082239A KR1020170003701A KR20170003701A KR20180082239A KR 20180082239 A KR20180082239 A KR 20180082239A KR 1020170003701 A KR1020170003701 A KR 1020170003701A KR 20170003701 A KR20170003701 A KR 20170003701A KR 20180082239 A KR20180082239 A KR 2018008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door
outdoor
control unit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현
진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239A/ko
Publication of KR2018008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와 개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디렉트 컨트롤(Direct Control)를 수행하고,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상기 디렉트 컨트롤의 대상이 아닌 것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인디렉트 컨트롤(Indirect Control)을 수행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시스템{Air-conditioner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가 없는 실내기나 실외기를 하나의 통합 제어부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운전되거나 난방운전되는데, 냉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어 기화되면서 주변공기의 온도가 내려가 실내기 팬이 회전동작함에 따라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고,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데, 이때 흡입온도를 측정하여 실내온도를 판단하고, 실내온도가 입력된 희망온도에 도달하도록 운전한다.
공기조화기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중 어느 하나의 사이클로 운전되어 실내고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 및 실외기는 각각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메인 제어부는, 각각의 실내기나 실외기를 제어한다.
복수의 실내기와 복수의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시스템은 복수의 실내기와 복수의 실외기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실내기와 복수의 실외기 각각에 포함된 메인 제어부는, 통합 제어부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를 받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를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통합 제어부가 있음에도 실내기 및 실외기가 각각 메인 제어부를 구비함에 따라 제어 구조가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기는 실외기에 연결되고, 통합 제어부에는 실외기만 연결되어 실내기가 통합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직접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가 고장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이 정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기나 실외기에 메인 제어부가 없어도 통합 제어부가 직접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통합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직접 받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합 제어부가 고장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을 백업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디렉트 컨트롤(Direct Control)를 수행하고,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상기 디렉트 컨트롤의 대상이 아닌 것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인디렉트 컨트롤(Indirect Control)을 수행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 및 실외기와 개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통합 제어부가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제어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는 백업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실내기 및 실외기에 메인 제어부가 없다하더라도, 통합 제어부로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할 수 있어 제어 구조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실내기 및 실외기가 통합 제어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의 정보나 제어 신호가 직접 전달됨으로써,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관리 및 동작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통합 제어부가 고장 나더라도 백업 제어부로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 제어부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 제어부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백업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200), 실외기(300), 및 통합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내기(20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30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실외기(300)에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200)가 연결될 수 있다.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의 용량에 따라 실외기(300)에 연결되는 실내기(20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로부터 실외기(300)에 대한 정보와 실외기(3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실내기(2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하나의 실외기(300)에 하나 이상의 실내기(200)가 연결된 구조이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를 통하여, 실내기(200)의 정보를 받아야 하므로, 실외기(300)가 고장나는 경우, 실외기(300)에 대한 정보와 실내기(2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가 고장난 경우에 실내기(200)에 대한 정보까지 획득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에 전체적으로 안정성이 저감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300)가 고장난 경우, 고장난 실외기(300)에 연결된 실내기(200)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200)가 실외기(300)를 통하여 통합 제어부(100)와 연결되므로,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하는 실내기(200)에 대한 제어 신호는, 실외기(300)를 통하여 실내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기(300)가 고장나면,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를 제어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200)는 실외기(300)와 연결되고,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와 연결되어, 실내기(200)와 통합 제어부(100)가 직접 연결되지 않으므로, 실외기(300)가 고장나는 경우, 실내기(200)에 대한 통합 제어부(100)의 제어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통합 제어부(100)가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와 직접 연결되어 실외기(300)가 고장나더라도, 실내기(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200), 실외기(300), 및 통합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내기(20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30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와 개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200) 및 하나 이상의 실외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100)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타 디바이스는, 실외기(300)에 구비된 통신 장치, 및 실내기(200)에 구비된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100)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실외기(300) 또는 실내기(200)가 송신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실외기(300)를 통하지 않고, 실내기(2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가 고장난 경우라도, 안정적으로 실내기(2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와 개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부(100)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실외기(300) 또는 실내기(200)의 운전 상태, 동작 상태, 에러 상태, 설정 상태, 각종 센싱 값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기(300) 또는 실내기(200)의 설정이나 구체적으로 어떤 동작을 수행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 각각과 개별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실외기(300)가 고장나더라도, 실내기(200)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통합 제어부(100)는, 통합 입력부(120), 메모리(130), 통신부(140), 통합 출력부(150), 및 전원 공급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합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입력부(120)는, 통합 제어부(100)와 연결된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합 입력부(120)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합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통합 제어부(100),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설정 및 스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기(200)나 실외기(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합 제어부(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외기(300)나 실내기(200)가 전송하는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통합 제어부(100)가 제공하는 신호 및 데이터를 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통합 제어부(100)가 제공하는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출력부(15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통합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획득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나 음향을 통합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0)는, 통합 제어부(100)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전원 공급부(110)가 공급하는 전원으로 동작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와 연결되어,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에 대하여, 디렉트 컨트롤(Direct Control) 또는 인디렉트 컨트롤(Indirect Control)을 수행할 수 있다.
디렉트 컨트롤(Direct Control)은, 메인 제어부가 존재하지 않는 실내기(200)나 실외기(300)를, 통합 제어부(100)가 제어하는 방법이다. 통합 제어부(100)는, 메인 제어부가 존재하지 않는 실내기(200)나 실외기(300)를 제어하는 경우, 각 기기에 구비된 구동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기(200)나 실외기(300)는 메인 제어부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통합 제어부(100)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만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부(100)가 제공하는 신호는 직접 제어 신호라고 명명할 수 있다. 즉, 디렉트 컨트롤은, 통합 제어부(100)가 실내기(200)나 실외기(300)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다.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에 대하여, 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에 메인 제어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통합 제어부(100)에 의하여 전체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동작되므로, 시스템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디렉트 컨트롤(Indirect Control)은, 메인 제어부가 존재하는 실내기(200)나 실외기(300)를, 통합 제어부(100)가 제어하는 방법이다. 통합 제어부(100)는, 메인 제어부가 존재하는 실외기(300)나 실내기(200)를 제어하는 경우, 각 기기에 구비된 구동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직접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의 명령 또는 설정에 따라 각 메인 제어부가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실내기(200)나 실외기(300)에 메인 제어부가 존재하므로, 통합 제어부(100)는, 각 메인 제어부에 특정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의 메인 제어부는, 통합 제어부(100)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의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부(100)가 메인 제어부로 제공하는 신호는, 간접 제어 신호라고 명명할 수 있다. 즉, 인디렉트 컨트롤은, 통합 제어부(100)가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의 메인 제어부에 소정의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된 실내기(200)나 실외기는, 메인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메인 제어부(26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a의 실시예는, 메인 제어부(260)를 포함하는 실내기(200)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200)는, 메인 제어부(260), 입력부(220), 메모리(230), 통신부(240), 출력부(250), 구동부(270), 구동 장치(280), 및 전원 공급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60), 입력부(220), 메모리(230), 통신부(240), 출력부(250), 및 전원 공급부(210)는 실내기(200)나 실외기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 공통적으로 설명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실내기(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메인 제어부(26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60)는, 입력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구동 장치(28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실내기(200)에 포함된 각종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실내기(200)의 설정 및 스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6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통합 제어부(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메인 제어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40)는,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메인 제어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메인 제어부(260)가 제공하는 신호 및 데이터를 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40)는, 메인 제어부(260)가 제공하는 실내기(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에 포함된 통신부(240)는, 실외기의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하는 직접 제어 신호 또는 간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0)에 포함된 통신부(240)는, 실내기(200)의 상태 정보를 통합 제어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하는 직접 제어 신호 또는 간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실내기(200)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60)는, 획득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나 음향을 출력부(2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0)는, 메인 제어부(260) 및 실내기(200)의 각종 유닛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인 제어부(260) 및 실내기(200)의 각종 유닛은, 전원 공급부(210)가 공급하는 전원으로 동작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60)는, 입력부(220), 메모리(230), 통신부(240), 출력부(250), 및 구동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0)의 메인 제어부(260)는, 구동부(270)를 제어함으로써, 실내기(200)의 냉방 또는 난방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60)는, 실내기(200)에 구비된 각종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실내기(200)의 메인 제어부(260)는,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기(200)의 각종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60)는, 구동 장치(28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구동부(270)로 전송할 수 있고, 구동부(270)는, 메인 제어부(260)가 전송하는 신호에 따라 구동 장치(28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기(200)의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60)는,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하는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장치(280)를 제어할 수 있다. 간접 제어 신호는, 통합 제어부(100)가 직접 실내기(200)의 구동 장치(280)를 제어하지 않고, 메인 제어부(260)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구동 장치(28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실내기(200)에 포함된 구동 장치(280)는, 실내기(200)에 구비되고, 구동부(270)의 제어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실내기(200)에 포함된 구동 장치(280)는, 팬 및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는 팽창 밸브일 수 있다.
실내기(200)에 포함된 구동부(270)는, 메인 제어부(260) 또는 통합 제어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기(200)에 포함된 구동 장치(28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70)는, 팬을 구동시키는 팬 구동부(270), 및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 구동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의 실시예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실외기(300)를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300)는, 통신부(340), 구동부(370), 구동 장치(380), 및 전원 공급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내기 및 실외기(300)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 및 실외기(300)에 메인 제어부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실외기(300) 및 실내기에 개별적으로 직접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300)에 포함된 구동 장치(380)는, 실외기(300)에 구비되고, 구동부(370)의 제어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실외기(300)에 포함된 구동 장치(380)는, 팬, 밸브 및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는 팽창 밸브 및 사방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300)에 포함된 구동부(370)는,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하는 직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외기(300)에 포함된 구동 장치(38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300)에 포함된 구동부(370)는, 팬을 구동시키는 팬 구동부,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 구동부 및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40)는, 통합 제어부(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40)는, 통합 제어부(100)가 송신하는 직접 제어 신호를 구동부(37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40)는, 팬에 대한 직접 제어 신호를 팬 구동부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340)는, 구동부(37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통합 제어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40)는, 팬 구동부가 팬을 돌리는 속도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통합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10)는, 구동부(370) 및 구동 장치(3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370) 및 구동 장치(380)는 전원 공급부(310)가 공급하는 전원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 제어부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는 각각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부(100)는, 제1 실외기(300a)와 제1 실내기(200a)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실외기(300a)에 대한 제어 신호와 제1 실내기(200a)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1 실외기(300a)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실외기(300a)의 메인 제어부는,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한 제1 실외기(300a)에 대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실외기(300a)에 구비된 각종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실외기(300a)의 메인 제어부는,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한 제1 실내기(200a)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1 실내기(200a)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실내기(200a)의 메인 제어부는, 제1 실외기(300a)의 메인 제어부가 전달한 제1 실내기(200a)에 대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실내기(200a)에 구비된 각종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 제어부(100)가 제공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 각각의 메인 제어부가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를 제어하는 것을 인디렉트 커트롤(Indirect Control)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에 대하여 인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에 대한 인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에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간접 제어 신호라고 명명한다.
간접 제어 신호는, 통합 제어부(100)가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의 메인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어 신호이다. 간접 제어 신호는,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의 메인 제어부가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이다. 실내기(200) 또는 실외기(300)의 메인 제어부는 통합 제어부(100)가 제공하는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실외기(300) 또는 실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 제어부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디렉트 컨트롤(Direct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상기 실외기(300) 중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디렉트 컨트롤은,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300)나 실내기(200)의 메인 제어부를 거치지 않고, 실외기(300) 또는 실내기(200)를 직접 제어하는 것을 뜻한다.
디렉트 컨트롤은, 실외기(300) 또는 실내기(200)가 메인 제어부가 없는 경우, 통합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다. 이 경우, 통합 제어부(100)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는 직접 제어 신호라고 명명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 중, 디렉트 컨트롤의 수행 대상에 대하여,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직접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 각각의 구동부는, 통합 제어부(100)가 전송하는 직접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외기(300)의 팬 구동부는, 통합 제어부(100)의 직접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속도로 제2 실외기(300)의 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의 구동부로부터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의 구동부로부터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과 달리,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 중 하나 이상은,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외기(300a), 제2 실외기(300b), 및 제2 실내기(200b)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고, 제1 실내기(200a)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부(100)는, 제1 및 2 실외기(300a, 300b), 및 제2 실내기(200b)에 대하여 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하고, 제1 실내기(200a)에 대하여 인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 중 디렉트 컨트롤의 대상이 아닌 것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인디렉트 컨트롤(Indirect Control)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 및 실외기(300) 중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대하여, 인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 중, 디렉트 컨트롤의 수행 대상에 대하여,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직접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300)가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는, 직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3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동부는,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0)가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는, 직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2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동부는,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 중, 인디렉트 컨트롤의 수행 대상에 대하여,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 각각에 포함된 메인 제어부가, 실외기(300) 또는 실내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간접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300)가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간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외기(3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0)가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간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기(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는, 모두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 및 실내기(200)에 개별적으로 직접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외기(300)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고,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기(200)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부(100)는, 실외기(300)에 개별적으로 직접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200)에 개별적으로 간접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인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백업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백업 제어부(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에 이상이 발생하여 통합 제어부(100)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 통합 제어부(100)를 대신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한다.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백업 제어부(101)와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업 제어부(101)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하기 전,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기 전, 실내기 및 실외기와 통신에 사용할 통신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통신 주소는 백업 제어부(101)와 공유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통신 주소를 설정하면서,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설정된 통신 주소, 판단된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백업 제어부(101)와 공유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가 실내기 및 실외기에 대한 제어를 시작한 후,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할 수 없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의 통신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와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통신 구조는, 평행형 통신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행형 통신 구조는, RS-485 방식의 통신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합 제어부(100)와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통신 구조는, 1:N 혹은 N:N 통신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백업 제어부(101)는, 평행형 통신 구조에 포함되어, 통합 제어부(100)와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가 실내기 및 실외기와 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가 송신하는 신호가 설정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통합 제어부(100)의 통신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로부터 실내기 및 실외기로 제공되는 제어 신호가 5분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합 제어부(100)의 통신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의 통신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실외기 및 실내기를 리셋시킨 후 제어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101)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내기 및 실외기는, 백업 제어부(101)가 전송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101)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설정 및 변수를 초기화시킴으로써, 실내기 및 실외기를 리셋시킬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통합 제어부(100)의 통신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재부팅을 수행한 후, 백업 제어부(101)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평행형 통신 구조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내기 또는 실외기가 송신하는 상태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설정 시간동안 실외기 또는 실내기가 송신하는 상태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백업 제어부(101)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부(100)는, 30초 동안 실외기 또는 실내기가 송신하는 상태 정보가 10회 이상 수신되는 경우, 백업 제어부(101)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는, 백업 제어부(101)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하지 않고, 통신 상태만을 감지하는 모드이다.
통합 제어부(100)는, 백업 제어부(101)가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를 제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가 재부팅을 수행 후 다시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통합 제어부(100)의 통신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 동안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백업 제어부(101)는,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통합 제어부(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실내기 및 실외기에 대한 백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실외기 및 실내기에 대한 제어를 시작한 후,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업 제어부(101)는, 1분 동안, 송신되는 데이터 대비 수신되는 데이터의 비율이 0.2 이하인 경우,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재부팅 후 대기 모드로 진입해야 하나, 통합 제어부(100)에 이상이 발생하여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하는 경우, 백업 제어부(101)와 충돌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업 제어부(101)는, 통합 제어부(100)가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실외기 및 실내기에 대한 제어를 정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백업 제어부(101)는, 실외기 및 실내기에 대한 제어를 정지한 후,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통합 제어부
101 : 백업 제어부
200 : 실내기
300 : 실외기

Claims (15)

  1. 실내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와 개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디렉트 컨트롤(Direct Control)를 수행하고,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상기 디렉트 컨트롤의 대상이 아닌 것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인디렉트 컨트롤(Indirect Control)을 수행하는 통합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상기 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하고,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 중 상기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대하여, 상기 인디렉트 컨트롤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상기 디렉트 컨트롤의 수행 대상에 대하여,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직접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상기 인디렉트 컨트롤의 수행 대상에 대하여,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각각에 포함된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상기 실외기 또는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한 간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는, 각각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실외기 또는 상기 실내기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가 전송하는 상기 직접 제어 신호 또는 상기 간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가 상기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간접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실외기가 상기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직접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실외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동부가,
    상기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에 포함된 구동 장치는,
    팬, 밸브, 및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에 포함된 구동부는,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팬 구동부,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 구동부, 및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가 상기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간접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가 상기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직접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실내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동부가,
    상기 간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 포함된 구동 장치는,
    팬, 및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에 포함된 구동부는,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팬 구동부, 및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는,
    상기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제어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는 백업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제어부는,
    상기 통합 제어부의 통신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제어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제어부는,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와 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가 송신하는 신호가 설정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합 제어부의 통신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리셋시킨 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통합 제어부의 통신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백업 제어부가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백업 제어부가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를 제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제어부는,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제어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에 대한 제어를 시작한 후,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에 대한 제어를 정지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0170003701A 2017-01-10 2017-01-10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80082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01A KR20180082239A (ko) 2017-01-10 2017-01-10 공기조화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01A KR20180082239A (ko) 2017-01-10 2017-01-10 공기조화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239A true KR20180082239A (ko) 2018-07-18

Family

ID=6304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701A KR20180082239A (ko) 2017-01-10 2017-01-10 공기조화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2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4131A (zh) * 2018-12-27 2019-04-16 陈金惠 一种家庭物理场个性化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4131A (zh) * 2018-12-27 2019-04-16 陈金惠 一种家庭物理场个性化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8147B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20180082240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US81169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mp heater control in an HVAC system
JP5582989B2 (ja) 空気調和装置
EP2584277B1 (en) Network system equipped with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179366B2 (ja) 空気調和機
JP4214198B2 (ja) 空気調和機
US11536475B2 (en) Air-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master and slave configuration
KR20180082239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US20230194117A1 (e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JP3452720B2 (ja) マスタ・スレーブ式制御装置
JP4300069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WO2018216130A1 (ja) 空気調和装置
KR10219937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7071401A (ja) 空気調和機
JP6279242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1041534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05314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67887B1 (ko)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
JP3984945B2 (ja) 空気調和装置システム
EP3447405B1 (en) Air-conditioning device
KR20000055135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JP3075860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7134352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