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099A -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099A
KR20190138099A KR1020180064246A KR20180064246A KR20190138099A KR 20190138099 A KR20190138099 A KR 20190138099A KR 1020180064246 A KR1020180064246 A KR 1020180064246A KR 20180064246 A KR20180064246 A KR 20180064246A KR 20190138099 A KR20190138099 A KR 20190138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pipe
fluid outlet
high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261B1 (ko
Inventor
이순곤
Original Assignee
이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곤 filed Critical 이순곤
Priority to KR102018006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2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4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5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rigid
    • B65D2231/007Funnels or the like
    • B65D2231/008Funnels or the like integral with the containe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축 용액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농축 형태로 제공되는 음식물 또는 생활용품, 화장용품 등의 토출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 내지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여 유체가 인입되는 유체 아웃렛관과, 유체 아웃렛관의 상부와 연결되고,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아웃렛관과, 유체 아웃렛관과 조립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유체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아웃렛관은 반원, 타원형, 삼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인입구와, 인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본 발명은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축 용액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농축 형태로 제공되는 음식물 또는 생활용품, 화장용품 등의 토출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 내지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담긴 액체 상태의 유체는, 용기에 구비된 배출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용기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유체를 배출시키거나, 또는 용기를 뒤집어서 배출공이 하측을 향하게 하여 유체를 배출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특히, 유체는 용기 내에서 직접 토출되는 구조에서 점도가 있기 때문에 용기 내벽에 상당량이 잔존함으로써 낭비 내지는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지의 예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051076호(발명의 명칭: 압력용기)에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가스를 충진하여 가스와 내용물의 접촉에 따른 불필요한 화학변화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5606호(발명의 명칭: 유체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부재)에는 액체상태의 유체가 균일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가스를 충진하는 챔버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출렁임에 따라 챔버가 많이 흔들리게 되며, 이로 인해 용기 벽면의 묻은 잔류물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가스 충진 후 밀폐하는 챔버의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유체는 용기 내에서 직접 토출되는 구조에서 점도가 있기 때문에 용기 내벽에 상당량이 잔존함으로써 낭비 내지는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05107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560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요망 점 등에 비추어, 사용 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잔여 유체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더라도 펌핑, 압출 등의 방식을 통해 최후 잔량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있어서, 잔여 유체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특유의 유체 아웃렛관을 형성하고, 유체 아웃렛관들과 펌핑수단을 설치하여 유체 아웃렛관을 통해 유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용기가 전복되어 발생하는 유체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를 제공하고, 마개의 구조를 개선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와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여 유체가 인입되는 풋 인렛관과, 유체 아웃렛관의 상부와 연결되고,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아웃렛관과, 유체 아웃렛관과 조립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유체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풋 인렛관은 반원, 타원형, 삼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인입구와, 인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용기의 하부로는 유체 유도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배관의 유체 아웃렛관은 유체 유도판의 저면과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된 배관의 유체 아웃렛관은 용기의 저면과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용기는 상부로 마개턱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턱으로는 마개가 형성되되, 상기 마개턱의 상단으로는 일측이 경사지고, 상부는 수평이며, 타측은 수직의 직선을 형성히며, 상기 마개는 상기 마개턱의 상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마개턱의 일측, 타측과 밀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외면으로는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진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는 잔존하는 유체를 사용하기 위해 용기를 역립하여 사용하거나, 역립 후 용기에 충격을 주어 강제로 유체를 토출시킬 필요가 없이 정립상태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을 통해 용이하게 잔존하는 유체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잔존물 없이 사용제품을 완벽히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유체 아웃렛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의 다른 실시예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체 유도판의 다른 실시예를 절단하여 본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체 유도판의 다른 실시예를 절단하여 본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체유도매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용기(100)는 그 상부로 마개턱(10)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턱(10)으로는 마개(20)가 설치된다.
마개턱(10)의 외측은 마개(20)와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개턱(10)의 상단으로는 일측이 경사지고, 상부는 수평이며, 타측은 수직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마개(20)는 마개턱(10)의 상단 중 일부가 삽입되어 마개턱(10)의 상기 일측, 타측과 밀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한 마개(20)의 내측으로는 상기 경사진 일측과 밀착되는 경사턱(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개(20)의 상부로는 배관관통홀(22a) 및 역류방지밸브홀(22b)이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0)의 외면으로는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진 주름(1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름(110)은 용기(100)의 팽창 또는 수축시 그 복원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용기는 LDPE 등 고복원성 재질을 사용하며, 내부는 친환경으로 발수코팅이 되어 있어 고농도의 용액이 자중에 의해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곳에 모이거나, 외부로 손쉽게 토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수코팅에 의해서 용기(100)의 내부는 잔유물이 내벽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항시 깔끔한 내부를 보여주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고농도의 용액은 시중에 유통되는 마요네즈, 케첩, 머스타드, 각종 소스류, 양념 등을 포함하며, 보습제, 로션, 자외선 차단제 등의 화장용품 등을 더 포함한
다시, 본 발명에 적용된 배관관통홀(22a)로는 배관(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관(34)은 용기(100)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게 된다.
배관(34)은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는 유체 아웃렛관(34a)과, 용기(100) 내부에서 유체 아웃렛관(34a)이 설치되고, 배관관통홀(22a)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유체 토출관(34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체 아웃렛관(34a)과 유체 토출관(34b)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관(34)이 유체 아웃렛관(34a)과 유체 토출관(34b)으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 유체 아웃렛관(34a)의 일측은 마개(20)의 저면에 위치하게 되고, 타측은 용기(100) 내부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고, 배관(34)의 내측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위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부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유체 아웃렛관(34a)의 일측은 상향의 접시모양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유체 토출관(34b)을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체 아웃렛관(34a)의 내면으로는 수용홈(34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홈(34c)으로는 후술하는 유체 아울렛관(34b)에 형성된 돌출홈(34d)이 삽입되어 유체 아웃렛관(34a)과 유체 아울렛관(34b)이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을 견고히 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아웃렛관(34a)의 타측, 즉 하단으로는 풋 34ㄹ인렛(34e)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풋 인렛(34e)은 반원, 타원형, 삼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인입구(34f)와, 인입구(34f)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34g)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입구(34f)는 유체가 흡입되는 공간으로 기둥(34g)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풋 인렛(34e)은 유체 유도판(36)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풋 인렛(34e)는 용기(100)의 저면과 밀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유체 유도판(36)은 용기(100)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유체가 유체 유도판(36)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된 유체는 한 곳으로 모아져야 하며, 이 한 곳은 유체 수용부(36a)를 형성하게 된다.
유체 수용부(36a)는 유체 유도판(36)이 급격히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체가 모아지게 할 수 있으며, 용기(100)의 중앙에서 유체 수용부(36a)가 위치하고, 유체 유도판(36)은 유체 수용부(36a)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수용부(36a)는 용기(1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배관(34)은 용기(100)의 일측에 밀착되고, 풋 인렛(34e)은 용기(100)의 바닥에 밀착된다.
위와 같이 용액은 유체 유도판(36)을 따라 흘러 경사진 유체 수용부(36a) 고이게 되며, 이때 밀착된 풋 인렛(34e)에 의해서 고인 용액은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체 유도판의 다른 실시예를 절단하여 본 도면으로, 도 4의 "A-A" 선을 보여주고 있다.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도판(36)은 풋 인렛(34e)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유체 유도판(36)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양 측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질 수도 있으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양 측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특히,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도판(36)은 용기(100)의 내벽과 유체 유도판(36) 사이로는 유로홈(3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액은 이 유로홈(36h)을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유체 수용부(36a)로 모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배관(34)과 유체 유도판(36)은 다른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관과 유체 유도판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도판(36)은 용기(100)의 내벽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유체 수용부(36a)를 형성한다.
도시된 유체 수용부(36a)는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목한 홈의 중앙부로는 배관(34)의 풋 인렛(34e)이 설치되어 있다.
풋 인렛(34e)은 중앙부의 홈에 수용된 용액을 풋 인렛(34e)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여기에 적용된 풋 인렛(34e)의 인입구(34f)는 원통형으로 1개의 인입구(34f)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20)의 역류방지밸브홀(22b)로는 역류방지밸브(40)가 설치되어 있다.
역류방지밸브(40)는 내부에 에어홀(42)이 내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에어홀(42)은 상부가 하부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로는 하부의 구멍보다 큰 볼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볼에 의해서 하부의 구멍을 밀폐시키거나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역류방지밸브홀(22b)은 탄성력을 가지고 복원되도록 차단판(24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차단판(24a)으로도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은 역류방지밸브(40)의 외곽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역지방지밸브(40)는 이 구멍으로 삽입된 후 고정되며, 에어홀(42)은 차단판(24a)의 구멍과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를 용기(100) 내부로 유통시키게 되고, 내부의 용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역류방지밸브(40)는 배관(34) 상에 설치되어 용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배관(34)로도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역류방지밸브(40)는 차단판(24a)이 역류방지밸브(40)를 덮거나, 개방되어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풋 인렛(34e)을 통한 용액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유도매체(50)가 풋 인렛(34e)의 내부에 설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체유도매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유체유도매체(50)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유도매체(50)의 외주면은 단순한 원추형의 형상 외에도 외주면을 따라 유도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홈(52)은 내측으로 휜 활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유도홈(52)은 외주면에 하나 이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는 유체유도매체(50)가 원추형의 절반으로 형성된 형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도홈(52)은 상기 도 6a에서와 같이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유도매체(50)는 유체 유도판(36)은 용기(100)의 내벽, 밑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 마개턱 20: 마개
34: 배관 34a: 유체 아웃렛관
40: 역류방지밸브 100: 용기

Claims (5)

  1.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여 유체가 인입되는 유체 아웃렛관과, 유체 아웃렛관의 상부와 연결되고,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아웃렛관과, 유체 아웃렛관과 조립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유체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아웃렛관은 반원, 타원형, 삼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인입구와, 인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기둥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부로는 유체 유도판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유체 아웃렛관은 용기의 저면과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로는 마개턱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턱으로는 마개가 형성되되, 상기 마개턱의 상단으로는 일측이 경사지고, 상부는 수평이며, 타측은 수직의 직선을 형성히며, 상기 마개는 상기 마개턱의 상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마개턱의 일측, 타측과 밀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면으로는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진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KR1020180064246A 2018-06-04 2018-06-04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KR102096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46A KR102096261B1 (ko) 2018-06-04 2018-06-04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46A KR102096261B1 (ko) 2018-06-04 2018-06-04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099A true KR20190138099A (ko) 2019-12-12
KR102096261B1 KR102096261B1 (ko) 2020-04-03

Family

ID=6900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246A KR102096261B1 (ko) 2018-06-04 2018-06-04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2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076A (ja) 1991-08-14 1993-03-02 Pola Chem Ind Inc 圧力容器
KR200328875Y1 (ko) * 2003-07-04 2003-10-01 정지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분무기
JP2011093554A (ja) * 2009-10-28 2011-05-12 Yoshino Kogyosho Co Ltd 抜栓キャップ
KR101185606B1 (ko) 2010-06-25 2012-09-24 고도윤 유체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부재
KR20130000755A (ko) * 2011-06-24 2013-01-03 김성칠 액체 완전 소비 용기
US20160058153A1 (en) * 2011-08-01 2016-03-03 Kathryn Madison Hair color bott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076A (ja) 1991-08-14 1993-03-02 Pola Chem Ind Inc 圧力容器
KR200328875Y1 (ko) * 2003-07-04 2003-10-01 정지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분무기
JP2011093554A (ja) * 2009-10-28 2011-05-12 Yoshino Kogyosho Co Ltd 抜栓キャップ
KR101185606B1 (ko) 2010-06-25 2012-09-24 고도윤 유체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부재
KR20130000755A (ko) * 2011-06-24 2013-01-03 김성칠 액체 완전 소비 용기
US20160058153A1 (en) * 2011-08-01 2016-03-03 Kathryn Madison Hair color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261B1 (ko) 202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9220C (en) Vented tap dispenser for liquid
WO2011099309A1 (ja)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
RU2702403C1 (ru) Насос с полимерной пружиной
ES2908308T3 (es) Dispensador con un depósito compuesto por un divisor o un material poroso
JP2007119069A (ja) 持運び式液体分与器
JP2016529169A5 (ko)
KR101723225B1 (ko)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CN1403347A (zh) 用于包装和分配流体的装置
KR200491085Y1 (ko) 디스펜서를 이용한 하향식 액체용기 배출장치
EP3367860B1 (en) Dispenser
JP2012158391A (ja) 泡状物質噴出チューブ容器
US20210186301A1 (en) Foam dispensing cleaning tool
KR200430501Y1 (ko) 분리형 펌프식 용기
KR20190138099A (ko) 잔류를 방지하기 위한 고농도 용액 토출용기
JP5977642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KR200463263Y1 (ko) 소스용기용 토출캡
JP5546945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CN1498184A (zh) 止回阀和具有止回阀的液体容器
JP2015174071A (ja) スプレー装置
JP3221629U (ja) ポンプ
JP6959132B2 (ja) 正倒立用塗布容器
JP2012106757A (ja) 液体用吐出容器及び容器入り液体洗浄剤
JP5336116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を備えた容器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US20180297049A1 (en) Liquid pump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