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040A -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040A
KR20190138040A KR1020180064099A KR20180064099A KR20190138040A KR 20190138040 A KR20190138040 A KR 20190138040A KR 1020180064099 A KR1020180064099 A KR 1020180064099A KR 20180064099 A KR20180064099 A KR 20180064099A KR 20190138040 A KR20190138040 A KR 2019013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ring
control unit
adjus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희
Original Assignee
한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희 filed Critical 한창희
Priority to KR102018006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8040A/ko
Publication of KR2019013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는 일측에 안장이 설치되는 안장대, 전단부가 상기 안장대의 타측과 결합하는 조절대, 및 일측이 상기 조절부의 후단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폐달이 결합되는 폐달축과 결합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대는 상기 안장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 상기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 및 상기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2 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고리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운동을 하는 조절 고리 및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장대의 상기 타측은 상기 조절 고리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안장대의 각도가 조절된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가 진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탑승자의 무게 중심이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도 탑승자와 페달의 중심부 사이까지의 인심거리가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안정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서 가는 이동 수단으로써, 탑승자는 안장에 올라앉아 핸들을 잡고, 두 발로 폐달을 교대로 밟아 체인으로 바퀴를 돌리게 되어 있다.
현재 자전거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안장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체형이나 자전거를 타는 자세에 맞추어 안장의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하기 어려워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이 안장의 각도를 조절하며 자전거를 타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나아가, 안장의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가 경사진 언덕을 오르거나 내려올 때는 신체의 변화에 따른 피로도의 증가와 이에 따른, 사고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자전거의 주행자가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오르막 경사 또는 내리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주행자의 신체를 안장으로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고, 안장으로부터 폐달축까지의 인심거리를 충분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는 일측에 안장이 결합되는 안장대, 전단부가 상기 안장대의 타측과 결합하는 조절대, 및 일측이 상기 조절대의 후단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폐달이 결합되는 폐달축과 결합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대는 상기 안장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 상기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 및 상기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2 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고리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운동을 하는 조절 고리 및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장대의 상기 타측은 상기 조절 고리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안장대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제2 조절부는 고리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운동을 하는 조절 고리 및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2 조절부의 상기 조절 고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조절부의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조절 고리와 이격되어 상기 조절 고리가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톱니와 맞물리도록 상기 조절 고리와 접촉되어 상기 조절 고리가 고정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조절 고리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움직이도록 하는 조정 스트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스트링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조절 고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폐달축으로부터 상기 안장까지의 직선 거리는 늘어나고, 상기 조절 고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폐달축으로부터 상기 안장까지의 직선 거리는 줄어들며,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조절 고리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하는 스탑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의 주행자가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오르막 경사 또는 내리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주행자의 신체를 안장으로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고, 안장으로부터 폐달축까지 적절한 인심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장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행자가 오르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행자가 내리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행자가 오르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의 인심 거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행자가 내리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의 인심 거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1000)의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장대(3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1000)는 자전거의 폐달(102)이 설치되는 지지대(100), 자전거 안장의 각도를 조절시키는 조절대(200) 및 자전거의 안장(301)이 설치되는 안장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지지대(100)에는 폐달축(101)이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폐달축(101)의 일단은 지지대(100)의 하단부와 결합할 수 있다. 폐달축(101)의 타단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주행자의 발을 지지하는 폐달(102)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안장대(300)는 안장(301)과 결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장대(300)의 일측은 안장 블럭(302)을 통해서 안장(301)과 결합할 수 있다. 안장 블럭(302)을 통해서 안장대(300)에 결합된 안장(301)의 위치는 가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c를 참조하면, 지지대(100)의 상부에는 조절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대(200)는 지지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207), 안장대(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213), 및 제1 조절부(207)와 제2 조절부(213)를 연결하는 연결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207)는 조절대(200)의 전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조절부(207)는 보호 유닛(202), 조절 고리(203), 및 제어 유닛(206)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유닛(202)은 조절 고리(203)의 외측에 배치되어 조절 고리(20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 유닛(202)의 단면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면상에서 보호 유닛(202)은 조절 고리(203)의 일부를 노출시키며 조절 고리(203)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호 유닛(202)은 스테인리스 재질일 수 있다.
보호 유닛(202)의 내측에는 조절 고리(203)가 위치할 수 있다. 조절 고리(203)는 고리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절 고리(203)는 단면이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는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복수의 톱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 고리(203)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조절 고리(203)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조절 고리(203)의 회전 운동은 후술할 제어 유닛(206)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유닛(206)은 조절 고리(203)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6)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고리(203)의 복수의 톱니들과 접촉하는 플레이트(204) 및 플레이트(204)를 움직이도록 하는 조정 스트링(205)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04)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플레이트(204)는 2개일 수 있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2개의 플레이트(204)는 하나의 고정핀(PIN)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204)에는 조정 스트링(205)이 연결될 수 있다. 조정 스트링(205)의 일단은 플레이트(204)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조정 스트링(205)의 일단은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정 스트링(205)의 스프링은 플레이트(204)와 연결되어 플레이트(204)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정 스트링(205)의 타단은 연장되어 자전거의 손잡이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주행자가 편리하게 조정 스트링(205)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206)은 조절 고리(203)의 톱니와 맞물릴 수 있고 이 경우 조절 고리(203)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 유닛(206)의 플레이트(204)가 조절 고리(203)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조절 고리(203)와 접촉되어 조절 고리(203)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자가 평지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 주행자는 조정 스트링(205)을 조정하지 않고, 이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플레이트(204)는 조절 고리(203)에 맞물려 접촉하여 조절 고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6)은 조절 고리(203)와 이격되어 조절 고리(203)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정 스트링(205)에 의해서 플레이트(204)는 조절 고리(203)가 이격되어 조절 고리(203)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자전거를 이용하는 주행자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정 스트링(205)의 타단을 조정하여 조정 스트링(205)에 의해서 플레이트(204)가 조절 고리(203)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조절 고리(20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자가 경사진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주행자는 조정 스트링(205)을 조정하고, 이 경우 스프링에 연결부(214) 측으로 힘이 전달되어 플레이트(204)가 조절 고리(203)로부터 이격되어 조절 고리가 회전되도록 한다.
안장대(300)는 조절 고리(203)와 결합될 수 있다. 안장대(300)의 일측은 안장(301)과 결합할 수 있고 안장대(300)의 타측은 조절 고리(203)와 결합될 수 있다. 안장대(300)의 타측이 조절 고리(203)에 결합됨으로써 조절 고리(203)의 동작, 즉 회전 운동에 따라 안장대(3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장대(300)의 타측에 돌출부(30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303)가 조절 고리(203)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고, 조절 고리(203)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안장대(300) 역시 회전하게 되므로, 안장대(3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조절부(213)는 보호 유닛(208), 조절 고리(209), 및 제어 유닛(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12)은 플레이트(210) 및 조정 스트링(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절부(213)는 제1 조절부(207)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제2 조절부(213)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기능적인 측면에서 제1 조절부(207)와는 달리 제2 조절부(213)는 지지대(100)의 각도를 조절하므로, 제2 조절부(213)에 기능에 대해서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조절부(213)의 조절 고리(209)의 동작, 즉 회전 운동에 따라 지지대(1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대(100)의 일측에는 돌출부(10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03)가 조절 고리(209)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고 조절 고리(209)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지지대(100) 역시 회전하게 되므로 지지대(1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지지대(100)의 타측(하단부)에서 전술한 바대로 폐달축(101)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행자가 오르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1000)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행자가 내리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1000)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행자가 오르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의 인심 거리(LEN')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행자가 내리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의 인심 거리(LEN'')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3a를 참조하면, 자전거 주행자가 오르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 제1 조절부(207)의 조절 고리(20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행자의 조작으로 인해 제1 조절부(207)의 제어 유닛(206)이 조절 고리(203)와 이격되어 조절 고리(203)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 때 주행자가 몸의 무게중심을 앞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조절 고리(203)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장대(3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앞쪽으로 이동) 결과적으로 주행 중 주행자의 신체를 안장으로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자가 평지를 주행할 때 안장(301)으로부터 폐달축(101)까지의 거리(LEN, 이하 인심거리라고 지칭함)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일부를 점선으로 표시하는 경우, 가상의 원의 반지름보다 주행자가 오르막 주행을 하는 경우의 인심 거리(LEN')가 더 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오르막 주행을 하는 경우, 안장대(300)는 조절 고리(20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회전 운동을 하여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보다 인심 거리(LEN')가 늘어나기 때문에 주행자가 충분한 인심거리(LEN')를 확보하여, 서 있는 상태에서 오르막을 주행하는 경우 폐달(102)에 충분한 힘을 실어서 주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조절부(213)를 통해서 지지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 조절부(213)를 통해서 인심 거리(LEN')를 조절하여 주행자에게 가장 적합한 인심 거리(LEN')를 확보하여 오르막 주행을 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자전거 주행자가 내리막 경사를 주행하는 경우, 제1 조절부(207)의 조절 고리(20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행자의 조작으로 인해 제1 조절부(207)의 제어 유닛(206)이 조절 고리(203)와 이격되어 조절 고리(203)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 때 주행자가 몸의 무게중심을 뒷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조절 고리(203)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장대(3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뒷쪽으로 이동) 결과적으로 주행 중 주행자의 신체를 안장으로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자가 평지를 주행할 때 인심 거리(LEN)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일부를 점선으로 표시하는 경우, 가상의 원의 반지름보다 주행자가 내리막 주행을 하는 경우의 인심 거리(LEN'')가 더 짧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내리막 주행을 하는 경우, 안장대(300)는 조절 고리(20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회전 운동을 하여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보다 인심거리(LEN'')가 줄어들기 때문에 주행자는 내리막 주행시 자전거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조절부(213)를 통해서 지지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 조절부(213)를 통해서 인심 거리(LEN'')를 조절하여 주행자에게 가장 적합한 인심 거리(LEN'')를 확보하여 내리막 주행을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조절부(207)는 조절 고리(203)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하는 스탑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탑퍼는 제어 유닛(206)이 조절 고리(203)와 이격되어 조절 고리(203)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조절 고리(203)가 과회전함에 따라 안장이 과하게 기울어져 주행자의 주행시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탑퍼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스탑퍼는 핀 형태로 조절 고리(203)에 인입되어 조절 고리(203)가 과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탑퍼는 제2 조절부(21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지대 213: 제2 조절부
200: 조절대 214: 연결부
207: 제1 조절부 300: 안장대

Claims (5)

  1. 일측에 안장이 결합되는 안장대;
    전단부가 상기 안장대의 타측과 결합하는 조절대; 및
    일측이 상기 조절대의 후단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폐달이 결합되는 폐달축과 결합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대는 상기 안장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 상기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 및 상기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2 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고리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운동을 하는 조절 고리 및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장대의 상기 타측은 상기 조절 고리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안장대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는 고리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운동을 하는 조절 고리 및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2 조절부의 상기 조절 고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조절부의 상기 조절 고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조절 고리와 이격되어 상기 조절 고리가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톱니와 맞물리도록 상기 조절 고리와 접촉되어 상기 조절 고리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조절 고리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움직이도록 하는 조정 스트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스트링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고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폐달축으로부터 상기 안장까지의 직선 거리는 늘어나고,
    상기 조절 고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폐달축으로부터 상기 안장까지 직선 거리는 줄어들며,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조절 고리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하는 스탑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0180064099A 2018-06-04 2018-06-04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KR20190138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099A KR20190138040A (ko) 2018-06-04 2018-06-04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099A KR20190138040A (ko) 2018-06-04 2018-06-04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040A true KR20190138040A (ko) 2019-12-12

Family

ID=6900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099A KR20190138040A (ko) 2018-06-04 2018-06-04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80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700A (ko) 2021-09-16 2023-03-23 전상익 자전거 안장구조
KR20240071029A (ko) 2022-11-15 2024-05-22 박정석 텔레스코픽 프레임 방식의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700A (ko) 2021-09-16 2023-03-23 전상익 자전거 안장구조
KR20240071029A (ko) 2022-11-15 2024-05-22 박정석 텔레스코픽 프레임 방식의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191B2 (en) Drive unit
US4421189A (en) Stair vehicle
US9216612B2 (en) Mecanum wheel and Mecanum-wheeled vehicle
JP6757788B2 (ja) 自転車のサドル傾斜角調節装置
KR20190138040A (ko)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CN108602544B (zh) 具有可移动的重量驱动机构的车辆
JP6925923B2 (ja) 電動車両
KR20140075535A (ko)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
JP2002523299A (ja) 手押し二輪車
KR101005423B1 (ko) 동력 저장용 헬스 자전거
KR101730130B1 (ko)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KR102271700B1 (ko) 수동용 차륜 부착 이동체
JP2009515644A (ja) 車椅子
GB2112330A (en) Stair vehicle
JP6986073B2 (ja) 足踏みスクータ用駆動トレイン
KR20160111551A (ko)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ITUB20155710A1 (it) Struttura di veicolo inclinabile lateralmente
US20170334496A1 (en) Variable-attitude system for stabiliser wheels for bicycles and mini motorbikes
JP7190126B2 (ja) 制動装置
JP6925772B1 (ja) 自転車
KR101027465B1 (ko) 레일바이크의 휠 구동 구조
IT201900015482A1 (it) Veicolo, in particolare di tipo ciclistico, in special modo sottoforma di una bicicletta
KR101727023B1 (ko)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KR200472780Y1 (ko) 바이크 묘기 연습 장치
KR101212300B1 (ko) 좌우틸팅이 가능한 삼륜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