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130B1 -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130B1
KR101730130B1 KR1020150036712A KR20150036712A KR101730130B1 KR 101730130 B1 KR101730130 B1 KR 101730130B1 KR 1020150036712 A KR1020150036712 A KR 1020150036712A KR 20150036712 A KR20150036712 A KR 20150036712A KR 101730130 B1 KR101730130 B1 KR 101730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bicycle
rotation
ro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704A (ko
Inventor
김근우
Original Assignee
김근우
주식회사 이씨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우, 주식회사 이씨쓰리 filed Critical 김근우
Priority to KR102015003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130B1/ko
Priority to PCT/KR2016/002011 priority patent/WO2016137305A1/ko
Priority to US15/553,581 priority patent/US20180036619A1/en
Priority to CN201680012599.8A priority patent/CN107427714A/zh
Publication of KR2016011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7Mechanica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게 형성되어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상부에 자전거가 위치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자전거의 전륜이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상기 전륜과 함께 회전하는 전방롤러부를 가지는 전방지지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유닛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며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롤러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자전거의 주행 시 상기 후륜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후륜이 상기 전륜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후륜에 부하를 제공하는 후방롤러부를 포함하는 후방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Exercise Apparatus Having Slope Realizing Function with Bicycle }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상부에 안착시켜 실제 도로와 같이 경사로 구간을 주행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일반 자전거의 경우 도로나 공원, 산길(임도) 등에서 타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실내 운동 기구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자전거 운동을 위한 여건이 안된 경우 부득이하게 실내에서 운동을 하기 위해서 실내 전용 자전거 운동장치가 필요한데, 이와 같은 실내 자전거의 경우 단순히 의자에 앉아 패달만 회전하는 기구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운동기구만으로는 충분히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자전거 형 운동기구뿐만 아니라 실제 자전거를 실내에 설치하여 주행운동을 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장치가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도로에서 사용하는 일반 자전거에 별도의 보조장치를 마련하여 실내용 헬스 자전거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러닝머신과 같은 형태의 운동기구 상부에 자전거를 거치하여 사용자가 주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도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운동기구들은 단순히 평지를 주행할 수는 있지만, 실제 도로와 같은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가 실내에서도 외부 주행과 같은 운동효과를 즐기도록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를 안착시켜 사용자가 주행운동을 하며 실제 주행도로와 같이 경사로 구간을 주행하는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경사로의 구현에 의한 가속과 감속효과를 즐길 수 있는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길게 형성되어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상부에 자전거가 위치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자전거의 전륜이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상기 전륜과 함께 회전하는 전방롤러부를 가지는 전방지지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유닛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며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롤러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자전거의 주행 시 상기 후륜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후륜이 상기 전륜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후륜에 부하를 제공하는 후방롤러부를 포함하는 후방지지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롤러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후방롤러 및 제2후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후방롤러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고정샤프트, 외측면에 상기 후륜이 접촉하며 상기 고정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제2회전드럼 및 상기 제2회전드럼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회전드럼의 회전에 대한 부하를 발생시키는 부하발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발생수단은 디스크 형태로 상기 제2회전드럼에 고정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기 고정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발생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향 경사를 가지며, 경사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회전드럼의 회전에 제공하는 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후방롤러는 상기 메인프레임이 전방으로 하향경사를 가지도록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외력과 상관없이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후방롤러는 외측면에 상기 후륜이 접촉하며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제1회전드럼, 상기 제1회전드럼 내부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와 고정되어 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드럼을 회전시키며, 상기 제1회전드럼이 상기 구동모터와 일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도록 하는 기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전방롤러부와 상기 후방롤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후륜이 구동함에 따라 상기 후방롤러부의 회전력을 상기 전방롤러부로 전달하여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회전축상에 구비되며 일측이 별도의 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제1후방롤러 또는 상기 제2후방롤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후륜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후방샤프트,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전방롤러부의 회전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롤러부와 함께 회전하는 전방샤프트 및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전방샤프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후방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순환하며 상기 전방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순환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후방지지유닛이 회전지지부 및 회전지지부상에서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성된 후방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지지부가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대회전하며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후방롤러부가 자전거의 후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자전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후방롤러부가 메인프레임의 경사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후륜의 회전에 대한 부하를 제공하는 제2후방롤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르막길 주행 효과를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후방롤러부가 메인프레임의 경사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후륜을 사용자의 외력과 상관없이 일정 속도로 가속시키는 제1후방롤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내리막길 주행 효과를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에 자전거가 안착되어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에서 제2후방롤러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에서 제1후방롤러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의 자전거 운동장치에서 메인프레임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자전거 운동장치에서 메인프레임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도 8의 자전거 운동장치의 제1후방롤러에서 제1회전드럼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회전드럼과 상기 구동모터가 상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에 별도의 안전바 및 자전거가 안착되어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는 바닥에 설치되어 상면에 실제 자전거(10)를 안착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10)를 주행함으로써, 외부 환경에서 주행하는 상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는 크게 메인프레임(100), 전방지지유닛(200), 후방지지유닛(300) 및 회전유닛(40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자전거(10)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며 경사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길게 형성되어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상부에 자전거(10)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구조체가 연결되어 형상을 이루며 사다리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가 후술하는 상기 회전유닛(400)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폭은 일반적인 자전거(10)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사용자가 안착되기 충분하도록 구성되며 후술하는 전방지지유닛(200) 및 후방지지유닛(300)이 길이방향에 따른 양 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단위링크(102)가 연속하여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은 A방향이며, 자전거(10)가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폭 방향은 B방향이며 자전거(10)의 좌우방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3개이상의 상기 단위링크(102)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편의상 틸팅 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부피를 감소시켜 수납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방지지유닛(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자전거(10)의 전륜(12)이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지지유닛(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자전거(10)의 전륜(12)을 지지하는 전방롤러부(210)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롤러부(21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롤러부(210)는 상기 전륜(12)과 접촉하여 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전륜(12)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전방지지유닛(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롤러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롤러부(210)가 원통형의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비된 상기 전방롤러부(210)는 상기 자전거(10)의 전륜(12)을 지지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회전 시 상기 자전거(10)의 전륜(12)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마찰력을 가진 외측면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지지유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방롤러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전방롤러부(210)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방롤러부(21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전륜(12)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상기 후방지지유닛(3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자전거(10)의 후륜(14)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후술하는 상기 회전유닛(400)에 의해 경사각도가 조절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륜(14)을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에 대한 부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방지지유닛(300)은 크게 회전지지부(310) 및 후방롤러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지지부(3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지지부(310)는 프레임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와 별도로 후술하는 상기 후방롤러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지지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지지부(310) 역시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후방롤러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지지부(31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가 변화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측에서 상대 회전을 하며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방롤러부(320)는 상기 전방롤러부(21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회전지지부(310)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롤러부(2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롤러부(320)는 상기 자전거(10)의 후륜(14)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자전거(10)의 후륜(14)이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롤러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롤러부(21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지지부(310)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후방롤러부(320)는 상술한 전방롤러부(210)와 유사하게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지지부(310)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롤러부(320)는 후술하는 상기 회전유닛(400)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경사를 가지며 상기 후륜(14)이 상기 전륜(12)보다 낮은 위치로 변화하는 경우 회전에 대한 부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후방롤러부(320)에 부하가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에서 상기 후륜(14)을 회전시키는데 더욱 많은 힘이 소모되도록 한다.
즉,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자전거가 경사로를 오르는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후방롤러부(320)에 부하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상기 후륜(14)의 구동 시 오르막길을 오를 때처럼 더욱 많은 힘이 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롤러부(320)는 제1후방롤러(322)와 제2후방롤러(324)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10)의 후륜(14)은 상기 제1후방롤러(322) 및 상기 제2후방롤러(324)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후방롤러(322)와 상기 제2후방롤러(324)는 상기 회전지지부(310)상에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지지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자전거(10)의 후륜(14)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후방롤러(322) 및 상기 제2후방롤러(324)는 상기 회전지지부(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지지부(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측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지지유닛(300)은 상기 전방지지유닛(200)과 달리 별도의 회전지지부(310)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롤러부(32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상기 회전지지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부(310)는 상기 후방롤러부(320)에 후륜(14)이 안착된 상기 자전거(10)의 하중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지지부(31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수평상태가 아니라 경사를 가지도록 회전 하더라도 상기 자전거(10)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여 수평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3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상에서 상대회전을 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경사를 가지더라도 상부에 안착된 상기 자전거(1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제1후방롤러(322) 및 상기 제2후방롤러(324)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후방롤러(324)는 내부에 별도의 부하발생수단(324b)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경사를 가지며 상기 자전거가 경사로를 오르는 형태를 구현하는 경우 상기 제2후방롤러(324)의 회전에 대해 부하가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상기 제2후방롤러(324)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방롤러부(320)는 상기 회전지지부(310)상에 구비되어 상기 후륜(14)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후륜(14)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 및 경사 방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후방롤러(324)에 부하가 발생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후륜(14)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방롤러부(3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 및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2후방롤러(324)와 별도로 상기 제1후방롤러(322)가 회전하여 상기 후륜(1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후방롤러(322)는 내부에 별도의 구동모터(322b: 도 6참조)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외력과 상관없이 상기 후륜(14)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1후방롤러(322)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회전속도가 조절되며, 상기 제1후방롤러(3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후륜(14)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후방롤러(32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방지지유닛(300)은 상기 회전지지부(310) 및 상기 후방롤러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 및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후방롤러부(320)가 상기 후륜(14)의 회전에 대한 부하를 제공하거나, 상기 후륜(14)을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전거의 주행 시 평지의 주행뿐만 아니라 경사로의 주행을 즐길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유닛(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메인회전축(402)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유닛(400)은 전체를 지지하도록 바닥 위에 배치되며 상부가 상기 메인회전축(402)을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400)은 내부에 별도의 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유닛(400)은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는 상기 회전유닛(400)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100) 또는 상기 회전유닛(4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제공받거나 내부에 입력된 주행도로의 정보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별도의 주행도로 정보를 통해 상기 자전거(10)의 주행 시 주행거리에 따라 실제 주행도로와 동일한 경사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회전유닛(400)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롤러부(320) 또는 상기 전방롤러부(210)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상기 자전거(10)의 주행거리를 측정하며, 이에 따라 실제 주행도로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 및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1후방롤러(322) 및 상기 제2후방롤러(324)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후륜(14)에 부하를 제공하거나 인위적으로 상기 후륜(14)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1후방롤러(322)에 의한 상기 후륜(14)의 인위적인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제2후방롤러(324)에 의한 상기 후륜(14)의 회전에 대한 부하의 세기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 전방지지유닛(200), 후방지지유닛(300), 회전유닛(400) 및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자전거(10)의 전륜(12)과 후륜(14)을 상기 전방지지유닛(200)과 상기 후방지지유닛(300)에 각각 안착시킨 후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10)상에서 주행을 하며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400)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 경사로에서 주행하는 효과를 즐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인프레임(100)은 별도의 구동전달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전달부(110)는 상기 전방롤러부(210)와 상기 후방롤러부(3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후륜(14)이 구동함에 따라 상기 후방롤러부(320)의 회전력을 상기 전방롤러부(210)로 전달하여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전달부(110)는 상기 후방롤러부(32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는 후방샤프트(112), 상기 전방롤러부(2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는 전방샤프트(114) 및 상기 전방샤프트(114)와 상기 후방샤프트(112)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순환벨트(116)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샤프트(112)는 상기 회전지지부(31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회전축 상에 구비되어 별도의 전달수단(112d)에 의해 상기 제1후방롤러(322) 또는 상기 제2후방롤러(324)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후륜(14)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샤프트(112)는 상기 회전지지부(31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회전축 상에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방풀리(112a)가 구비된다.
그리고 타측은 벨트 형태의 상기 전달수단(112d)에 의해 제1후방롤러(322)와 연결되어 상기 제1후방롤러(322)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샤프트(112)의 타측에는 제2풀리(112b)가 구비되고 상기 제1후방롤러(322)와 상기 회전지지부(310)가 결합된 회전축상에서 상기 제1후방롤러(32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풀리(112c)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달수단(112d)은 상기 제1풀리(112c)와 상기 제2풀리(112b)에 연결되어 순환하며 상기 제1후방롤러(322)의 회전력을 상기 후방샤프트(112)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전달수단(112d) 및 상기 제1풀리(112c)가 상기 제2후방롤러(324)상에 구비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샤프트(112)는 상기 회전지지부(31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결합된 회전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롤러부(3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샤프트(114)는 상기 후방샤프트(112)와 유사하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전방롤러부(210)의 회전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롤러부(210)와 함께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샤프트(114)는 상기 전방롤러부(210)의 회전축상에서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방풀리(114a)가 구비된다. 그리고 타측은 상기 전방롤러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롤러부(21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샤프트(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양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상기 전방풀리(114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방샤프트(114)는 상기 전방롤러부(21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회전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롤러부(210)와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순환벨트(116)는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전방샤프트(11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후방샤프트(112)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샤프트(112)의 회전에 의해 순환하며 상기 전방샤프트(114)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벨트(116)는 상술한 상기 전방풀리(114a)와 상기 후방풀리(112a)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후방풀리(112a)가 회전하는 경우 순환하며 상기 전방풀리(114a)를 함께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벨트(116)는 탄성을 가지는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풀리(114a)와 상기 후방풀리(112a)에 각각 연결되며 순환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체인이나 궤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전달부(110)가 구성되며 상기 구동전달부(110)를 통해 상기 후륜(14)에 의해 상기 후방롤러부(320)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상기 전방롤러부(21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전륜(12)이 상기 후륜(1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자전거(10) 상에서 사용자가 후륜(14)을 회전시켜 주행하는 경우 전륜(12)이 회전하지 않는다면 상기 자전거(10)는 직립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옆으로 쓰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전달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후륜(14)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후방롤러부(320)의 회전력이 상기 전방롤러부(210)로 전달되어 상기 전륜(12)을 함께 회전시킨다.
즉, 상기 구동전달부(110)는 상기 후륜(14)의 회전력을 상기 전방롤러부(210)에 전달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륜(12)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전거(10)의 전륜(12)과 후륜(14)이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자전거(10)는 별도의 안정장치 없이 사용자가 주행할 수 있으며, 실제 자전거(10)를 타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행 시 좌우 댄싱의 움직임을 함께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가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별도의 안전바(500) 및 연결와이어(510)를 포함하여, 상기 자전거(1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경우 과도한 움직임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후방롤러(322) 및 상기 제2후방롤러(324)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에서 제2후방롤러(324)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자전거 운동장치에서 제1후방롤러(322)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후방롤러(324)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제2후방롤러(324)는 상기 회전지지부(310)에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후륜(14)이 접촉하여 상기 후륜(14)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후방롤러(324)는 상기 회전지지부(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후방롤러(322)는 상기 회전지지부(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전방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후방롤러(324)는 크게 고정샤프트(324c), 제2회전드럼(324a) 및 부하발생수단(324b)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샤프트(324c)는 상기 제2후방롤러(324)의 회전축으로 상기 회전지지부(310)의 폭 방향을 따랴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310)에 양단부가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드럼(324a)은 상기 고정샤프트(324c)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후륜(14)에 외측면이 접촉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회전드럼(324a)은 외측면이 후륜(14)에 접촉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샤프트(324c)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후륜(14)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상기 제2회전드럼(324a)은 상기 고정샤프트(324c)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상기 부하발생수단(324b)은 상기 제2회전드럼(324a)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회전드럼(324a)의 회전에 대한 부하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하발생수단(324b)은 상기 제2회전드럼(324a) 내부에서 상기 고정샤프트(324c)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회전드럼(324a)과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드럼(324a)이 상기 후륜(14)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상기 고정샤프트(324c)를 중심으로 함께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부하발생수단(324b)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드럼(324a)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부하발생수단(324b)의 중앙부는 별도의 베어링을 통해 상기 고정샤프트(324c)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후륜(14)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회전드럼(324a)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부하발생수단(324b)이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2회전드럼(324a)의 회전에 대한 부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하발생수단(324b)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크로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고정샤프트(324c)와의 상대회전에 대한 부하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후방롤러(322)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동모터(322b)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후방롤러(322)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위적으로 상기 후륜(14)이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후방롤러(322)는 크게 제1회전드럼(322a), 구동모터(322b) 및 기어수단(322c, 322d)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은 상술한 제2회전드럼(324a)과 유사하게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지지부(310)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상기 외측면에 상기 후륜(14)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은 상기 후륜(14)이 회전 시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22b)는 상기 제1회전드럼(322a)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수단(322c, 322d)에 의해 상기 제1회전드럼(322a)과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32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회전속도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기어수단(322c, 322d)은 상기 구동모터(322b) 및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드럼(322a)에 전달하여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기어수단(322c, 322d)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축 상에 구비된 래칫(322c) 및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의 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래칫(322c)에 걸리는 걸림부재(322d)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22b)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래칫(322c)과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이 일방향으로 상대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322b)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래칫(322c)에 형성된 기어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322d)가 걸리며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후륜(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이 회전하며, 회전 속도가 상기 구동모터(322b)에 의한 상기 래칫(322c)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걸림부재(322d)는 상기 래칫(322c)에 걸리지 않으며,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은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 여부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22b)가 동작하지 않거나, 동작하더라도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의 회전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동작하더라도 상기 구동모터(322b)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수단(322c, 322d)은 상기 제1회전드럼(322a)과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 시 상기 구동모터(322b)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이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후방롤러(322) 및 상기 제2후방롤러(324)가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주행 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틸팅에 의해 경사로의 주행을 구현함과 동시에 오르막길 및 내리막길에 의한 자전거의 가속과 감속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가 경사로의 주행을 구현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4의 자전거 운동장치에서 메인프레임(100)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자전거 운동장치에서 메인프레임(100)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자전거 운동장치의 제1후방롤러(322)에서 제1회전드럼(322a)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회전드럼(322a)과 상기 구동모터(322b)가 상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운동장치가 오르막길을 구현한 상태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회전유닛(40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틸팅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회전지지부(310)는 상대회전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부(310)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가 되며, 상기 후륜(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후방롤러(322) 및 제2후방롤러(3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방향 및 경사각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부하발생수단(324b)을 동작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제2후방롤러(324)는 회전에 대한 부하가 발생하여 상기 후륜(14)의 회전에 대한 부하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후방롤러(322)에 구비된 상기 구동모터(322b)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며, 상기 후륜(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회전드럼(322a)만 상기 기어수단(322c, 322d)에 의해 독립적으로 의해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틸팅됨에 따라 상기 제2후방롤러(324)에 의한 부하만 발생하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상태를 구현한다.
한편,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리막길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회전유닛(400)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지지부(31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대 회전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경사방향 및 경사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후방롤러(322)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후방롤러(322) 내부에 구비된 상기 구동모터(322b)를 구동시키며,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이 회전하여 상기 후륜(14)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2후방롤러(324)는 상기 부하발생수단(324b)이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자유회전상태가 되어 상기 후륜(14)과 함께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를 타고 내리막길을 주행 시 중력에 의해 자전거에 가속이 발생하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후방롤러(322)가 사용자에 의한 외력과 상관없이 상기 구동모터(322b)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일정 수준의 가속을 구현하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322b)에 의해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 속도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상기 후륜(14)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a)를 살펴보면 상기 제1회전드럼(322a)과 상기 기어수단(322c, 322d)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속도인 R1이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의 회전속도인 R2보다 큰 경우 래칫(322c)은 상기 걸림부재(322d)와 치합되어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을 회전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22b)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후륜(14)을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속도인 R1보다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의 회전속도인 R2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래칫(322c)에 형성된 기어가 상기 걸림부재(322d)에 걸리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상기 제1회전드럼(322a)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며 틸팅되는 경우 상기 후륜(14)은 상기 구동모터(322b)에 의해 일정속도 회전하게 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22b)의 회전속도보다 더욱 빠르게 상기 후륜(1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운동장치는 상기 제1후방롤러(322) 및 상기 제2후방롤러(324)에 의해 경사로의 주행을 보다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 도로주행과 같은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메인프레임
110: 구동전달부
200: 전방지지유닛
210: 전방롤러부
300: 후방지지유닛
310: 회전지지부
320: 후방롤러부
400: 회전유닛
500: 안전바

Claims (9)

  1. 길게 형성되어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상부에 자전거가 위치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자전거의 전륜이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상기 전륜과 함께 회전하는 전방롤러부를 가지는 전방지지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유닛;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며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롤러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자전거의 주행 시 상기 자전거의 후륜에 접촉하여 함께 회전되되 상기 후륜이 상기 전륜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후륜과 접촉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부하를 상기 후륜에 제공하여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는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하는 후방롤러부를 포함하는 후방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롤러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후방롤러 및 제2후방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후방롤러는,
    외측면에 상기 후륜이 접촉하며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제1회전드럼;
    상기 제1회전드럼 내부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와 고정되어 회전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드럼을 회전시키며, 상기 제1회전드럼이 상기 구동모터와 일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도록 하는 기어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이 전방으로 하향경사를 가지도록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외력과 상관없이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방롤러는,
    상기 회전지지부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고정샤프트;
    외측면에 상기 후륜이 접촉하며 상기 고정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제2회전드럼; 및
    상기 제2회전드럼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회전드럼의 회전에 대한 부하를 발생시키는 부하발생수단;
    을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발생수단은,
    디스크 형태로 상기 제2회전드럼에 고정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기 고정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발생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향 경사를 가지며, 경사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회전드럼의 회전에 제공하는 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전방롤러부와 상기 후방롤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후륜이 구동함에 따라 상기 후방롤러부의 회전력을 상기 전방롤러부로 전달하여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회전축상에 구비되며 일측이 별도의 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제1후방롤러 또는 상기 제2후방롤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후륜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후방샤프트;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전방롤러부의 회전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롤러부와 함께 회전하는 전방샤프트; 및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전방샤프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후방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순환하며 상기 전방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순환벨트;
    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KR1020150036712A 2015-02-27 2015-03-17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KR10173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12A KR101730130B1 (ko) 2015-03-17 2015-03-17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PCT/KR2016/002011 WO2016137305A1 (ko) 2015-02-27 2016-02-29 자전거 운동장치
US15/553,581 US20180036619A1 (en) 2015-02-27 2016-02-29 Bicycle exercise apparatus
CN201680012599.8A CN107427714A (zh) 2015-02-27 2016-02-29 自行车运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12A KR101730130B1 (ko) 2015-03-17 2015-03-17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04A KR20160111704A (ko) 2016-09-27
KR101730130B1 true KR101730130B1 (ko) 2017-04-27

Family

ID=5710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712A KR101730130B1 (ko) 2015-02-27 2015-03-17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8417A4 (en) * 2018-06-14 2022-05-25 Real Design Tech Co., Ltd. BIKE SIMULATOR
KR102574520B1 (ko) * 2022-02-03 2023-09-01 정환희 훈련보조기능을 갖는 자전거 주행 훈련장치
KR102641335B1 (ko) 2022-08-30 2024-02-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운동장치
KR102639925B1 (ko) * 2022-08-30 2024-02-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운동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33B1 (ko) 2005-04-08 2007-08-21 정영배 자전거를 이용한 실내외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33B1 (ko) 2005-04-08 2007-08-21 정영배 자전거를 이용한 실내외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04A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130B1 (ko)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US20180036619A1 (en) Bicycle exercise apparatus
US9352188B2 (en) Leg-powered treadmill
JP5826843B2 (ja) 単ベルト全方向トレッドミル
CN109641144B (zh) 无动力跑步机
WO2014160057A2 (en) Leg-powered treadmill
GB2241176A (en) Exercise treadmill
US20180111655A1 (en) Inverted pendulum vehicle
US20220323823A1 (en) Bicycle simulator
KR101730127B1 (ko)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KR101643378B1 (ko) 자전거 운동장치
KR101811777B1 (ko) 트레드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EP3175891B1 (en) Cycling training apparatus with stationary movement
KR101385004B1 (ko) 경사각이 조절되는 자가발전형 러닝머신
KR20170018533A (ko) 자전거 대회 코스 체험이 가능한 자전거 롤러 장치
KR20010031165A (ko) 선형 구동 장치
US3707199A (en) Recreational vehicle
WO2008043144A1 (en) A foot and arm drivable bicycle
KR101894530B1 (ko) 비 접촉식 감속 및 가속장치를 구비하는 자전거 트레이너
KR101075843B1 (ko) 핸들의 상하왕복운동에 의해 보조동력이 발생하는 자전거
KR101440828B1 (ko) 승용형 개인용 골프카트
WO2019122930A1 (en) Load balancing transportation device
KR102639925B1 (ko) 자전거 운동 시스템
KR200335928Y1 (ko) 런닝머신의 완충장치
KR102555829B1 (ko) Mtb용 라이딩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