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335B1 - 자전거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335B1
KR102641335B1 KR1020220109065A KR20220109065A KR102641335B1 KR 102641335 B1 KR102641335 B1 KR 102641335B1 KR 1020220109065 A KR1020220109065 A KR 1020220109065A KR 20220109065 A KR20220109065 A KR 20220109065A KR 102641335 B1 KR102641335 B1 KR 10264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front wheel
rear wheel
roll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연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0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63B2069/161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supports for the front of the bicy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63B2069/16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supports for the rear of the bicycle, e.g. for the rear f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63B2069/16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on rollers without furthe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용 자전거가 안착되어 실내에서 라이더가 자전거 주행 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지면에 고정되며, 자전거가 안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며, 자전거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지지대와 전륜지지대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자전거의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지지대와 후륜지지대에 형성되며, 자전거의 동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전거 운동장치{Exercising Apparatus of Bicycle}
본 발명은 실외용 자전거가 안착되어 실내에서 라이더가 자전거 주행 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길게 형성되어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상부에 자전거가 위치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자전거의 전륜이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상기 전륜과 함께 회전하는 전방롤러부를 가지는 전방지지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자전거의 후륜이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상기 자전거의 후륜과 함께 회전하는 후방롤러부를 포함하는 후방지지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상기 전륜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방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서 상기 후륜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부로 길게 형성된 후방프레임 및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상에 각각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자전거의 폭 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자전거가 전복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연결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길게 형성되어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상부에 자전거가 위치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자전거의 전륜이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상기 전륜과 함께 회전하는 전방롤러부를 가지는 전방지지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유닛;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며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롤러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자전거의 주행 시 상기 후륜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후륜이 상기 전륜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후륜에 부하를 제공하는 후방롤러부를 포함하는 후방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의 지지브라켓이 구비되고 양측 테두리에는 각각 안전바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지지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플라인축의 양측단 중심부에 연결결합되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단부에는 연결베어링이 설치된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중간부분을 연결시켜 주는 판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하회전부재; 후륜을 탈거한 통상적인 자전거를 뒷축에 탈, 장착 가능하게 하고 좌,우,상,하 회전가능하게 하며, 상기 자전거의 페달로 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직동력전달수단;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바를 따라서 상기 수직동력전달수단이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좌,우슬라이딩수단; 상기 수직동력전달수단과 동일한 속도로 상기 자전거의 전륜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전륜회전수단; 응용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상하회전부재를 상하로 승강시켜 주는 승강수단; 및 상기 수직동력전달수단, 상기 좌,우슬라이딩수단, 상기 전륜회전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거치된 자전거의 후륜을 지지하며, 상기 후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후륜지지부; 및 상기 후륜과 접촉하는 상기 후륜지지부의 외주면에서 제어된 자기력에 의해 다양한 높이로 돌출작동하여 가상적으로 설정된 다양한 노면상태를 라이더에게 제공하는 다수의 요철부가 구비된 노면구현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6-0111551 A (2016년09월27일) KR 10-2016-0111704 A (2016년09월27일) KR 10-1036096 B1 (2011년05월13일) KR 10-2020-0020541 A (2020년02월26일)
본 발명은 실외용 자전거가 안착되어 실내에서 라이더가 자전거 주행 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되며, 자전거(10)가 안착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지지대(200); 상기 전륜지지대(20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지지대(300); 상기 후륜지지대(3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동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전륜지지대(200); 후륜지지대(300); 측정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지지대(200)가 형성되는 전륜부(110); 상기 전륜부(1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륜지지대(300)가 형성되는 후륜부(1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전륜지지대(200); 후륜지지대(300); 측정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가 거치되는 거치부(1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전륜지지대(200); 후륜지지대(300); 측정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부(110)와 상기 후륜부(120)를 각각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전륜지지대(200); 후륜지지대(300); 측정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전륜지지대(2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가 접하는 전륜롤러(210); 상기 전륜롤러(21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 바퀴(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륜롤러(210)를 회전시키는 전륜회전축(22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전륜지지대(200); 후륜지지대(300); 측정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전륜회전축(22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롤러(2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5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전륜지지대(200); 후륜지지대(300); 측정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후륜지지대(3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는 후륜롤러(310); 상기 후륜롤러(310)에 형성되며, 상기 후륜롤러(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후륜회전축(32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전륜지지대(200); 후륜지지대(300); 측정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후륜롤러(31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는 제 1롤러(311); 상기 제 1롤러(311)와 이격되어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며, 일측에 상기 측정장치(400)가 설치되는 제 2롤러(31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전륜지지대(200); 후륜지지대(300); 측정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측정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후륜롤러(310)에 설치되어 자전거(10) 바퀴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동력계(4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전륜지지대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자전거가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치부가 형성되어 자전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전륜과 후륜이 각각 승하강함에 따라 경사로 주행 연습을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력계가 형성되어 자전거 바퀴의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전장치가 형성되어 후륜롤러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의 승강부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며, 자전거(10)가 안착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지지대(200); 상기 전륜지지대(20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지지대(300);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동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내에서 실외용 자전거(10)가 안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중심부가 회전되어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라이더의 발이 안착되는 받침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라이더 및 자전거(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4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4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외용 자전거(10)를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자전거(10)가 안착된 후 자전거(10)의 바퀴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자전거 운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실내의 바닥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부에 자전거(10)가 안착되는 프레임(100)이 형성된다. 프레임(100)은 철재로 형성되며, 길이가 다양하게 가변된다. 이때, 프레임(100)은 실내에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중심부가 회전되어 접히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에는 라이더가 자전거(10)에 간단히 탑승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되며, 받침대는 라이더의 한쪽 발이 안착되도록 프레임(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는 라이더가 자전거(10)의 페달을 효과적으로 밟기 위하여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므로 받침대에 의하여 라이더가 페달에 간단히 탑승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라이더가 손으로 잡거나 자전거(10)가 넘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손잡이는 프레임(1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자전거(10)로 운동을 진행하면 하부로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전륜지지대(200)와 후륜지지대(300)는 각각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와 후륜 바퀴(12)가 안착되는 것으로 라이더가 자전거(10)의 페달을 밟아 바퀴가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여 자전거(10)가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측정장치(400)는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륜지지대(300)에서 자전거(10)의 동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전륜지지대(200)와 후륜지지대(300)에 각각 로드셀(430)이 형성되어 자전거(10)와 라이더의 무게에 따라 전륜지지대(200)와 후륜지지대(3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내에서 실외용 자전거(10)로 효과적인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지지대(200)가 형성되는 전륜부(110); 상기 전륜부(1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륜지지대(300)가 형성되는 후륜부(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가 거치되는 거치부(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3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31); 상기 체결부재(13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결합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재(132);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132)는 자전거(10)의 이동에 따라 유압 또는 공압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프레임(100)은 자전거(10)가 안착되도록 전륜지지대(200)와 후륜지지대(30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가 안착되는 전륜부(110)와 후륜 바퀴(12)가 안착되는 후륜부(120)가 형성되며, 전륜부(110)와 후륜부(120)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00)은 전륜부(110)와 후륜부(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륜부(110)와 후륜부(120)는 서로 회전하여 크기가 가변된다.
또한, 프레임(100)은 자전거(10)가 거치되는 거치부(130)가 형성되며, 거치부(130)는 실외용 자전거(10)가 안착된 후 넘어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자전거(10)를 고정하는 것으로 거치부(130)는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와 후륜 바퀴(12) 사이에 형성되는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31)가 형성된다. 체결부재(131)는 힌지에 의하여 회전하여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자전거(10)를 거치시키며, 체결부재(131)는 본체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일단이 탄성에 의하여 가변된다. 그리고 체결부재(131)는 하부로 연장되고 하단부에는 복수의 가변부재(132)가 각각 프레임(100)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가변부재(132)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자전거(10)의 기울기에 따라 가변부재(132)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레임(100)에 의하여 자전거(10)가 안착된 후 자전거(10)를 빠르게 주행할 때 양측으로 움직이는 댄싱 기술을 진행하여도 자전거(10)가 이탈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므로 초보라이더 및 숙련라이더가 원활히 자전거(10)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부(110)와 상기 후륜부(120)를 각각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4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40)의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141);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40)는 상기 프레임(100)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승강실린더(142);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승강실린더(142)는 각각 상기 프레임(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승강부(14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승강부(140)는 프레임(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프레임(100)을 다양한 각도로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부(140)는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의 하단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며, 전륜부(110)와 후륜부(120)를 각각 또는 동시에 승하강시킴에 따라 라이더가 오르막이나 내리막을 주행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승강부(140)는 전륜부(110)를 상승시켜 오르막을 주행하는 효과를 발생시키고 후륜부(120)를 상승시켜 내리막을 주행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전륜부(110)와 후륜부(120)의 오른쪽 또는 왼쪽만을 상승시켜 라이더가 코너를 주행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부(140)는 승강실린더(142)에 의하여 프레임(100)을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승강실린더(142)의 하단에는 마찰부재(141)가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10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전륜지지대(2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가 접하는 전륜롤러(210); 상기 전륜롤러(21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 바퀴(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륜롤러(210)를 회전시키는 전륜회전축(220);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전륜롤러(210)는 중심에서 양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전륜롤러(210)는 마찰력을 형성되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전륜회전축(220)은 상기 전륜롤러(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전륜회전축(22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롤러(2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전륜회전축(220)은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2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륜지지대(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전륜지지대(200)는 프레임(100)의 전륜부(11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가 접하여 라이더가 자전거(10)를 주행할 때 자전거(10) 바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륜지지대(200)는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전륜롤러(210)가 형성되며, 전륜롤러(210)는 원형관으로 형성되어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가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전륜롤러(210)는 외측에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륜롤러(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중심부에서 양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자전거(10) 바퀴가 주행 중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부의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륜롤러(210)는 내부에 전륜회전축(220)이 형성되는 것으로 전륜회전축(220)은 프레임(100)의 내측에 베어링(23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가 회전함에 따라 전륜롤러(21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전륜롤러(210)와 전륜회전축(220)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은 전륜롤러(210)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마모되었을 때 간단히 교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륜회전축(220)은 가변장치(500)에 의하여 프레임(100)의 전륜부(110)에서 수평으로 이동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자전거(10)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변장치(500)는 상하부로 소폭 이동함에 따라 라이더가 방지턱, 돌 등에 의하여 충격이 발생하는 효과를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륜지지대(200)는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가 접하여 라이더가 자전거(10)를 주행할 때 회전하여 자전거(10)가 전진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주행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후륜지지대(3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는 후륜롤러(310); 상기 후륜롤러(310)에 형성되며, 상기 후륜롤러(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후륜회전축(320);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후륜롤러(31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는 제 1롤러(311); 상기 제 1롤러(311)와 이격되어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며, 일측에 상기 측정장치(400)가 설치되는 제 2롤러(312);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제 1롤러(311)와 상기 제 2롤러(312) 사이에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안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제 2롤러(312)에 형성되며, 상기 제 2롤러(312)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후륜롤러(310)는 중심에서 양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후륜롤러(310)는 마찰력을 형성되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7)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후륜회전축(320)은 상기 후륜롤러(31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8)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후륜회전축(320)은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2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후륜지지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후륜지지대(300)는 프레임(100)의 후륜부(120)에 형성되어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안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후륜지지대(300)는 도 5를 참조하면,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안착되도록 후륜롤러(310)가 형성되며, 후륜롤러(310)는 복수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사이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륜롤러(31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마찰력이 향상됨에 따라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에 의하여 원활히 후륜롤러(310)가 회전하도록 한다. 후륜롤러(310)는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는 제 1롤러(311)와 제 1롤러(311)와 이격되어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 중 후면이 접하는 제 2롤러(312)가 형성된다. 이때, 제 1롤러(311)와 제 2롤러(312)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는 페달에 의하여 동력이 발생함에 따라 전륜롤러(210)보다 강한 힘이 작용하므로 후륜 바퀴(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1롤러(311)와 제 2롤러(312)는 전륜롤러(210)와 동일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중심에서 양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롤러(311)와 제 2롤러(312)는 베어링(230)에 의하여 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원활히 회전하며, 제 1롤러(311)와 제 2롤러(312)는 가변장치(500)에 의하여 승하강할 수 있다. 이는 프레임(100)의 전륜부(110)가 상승할 때 무게중심이 프레임(100)의 뒤로 형성되어 자전거(10)가 후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롤러(312)는 상승하고 제 1롤러(311)는 하강하여 자전거(10)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변장치(500)에 의하여 라이더가 방지턱, 돌 등에 의하여 충격이 발생하는 효과를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자전거 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있어서, 상기 측정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후륜롤러(310)에 설치되어 자전거(10) 바퀴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동력계(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동력계(410)는 상기 후륜롤러(31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샤시 다이나모미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동력계(410)는 상기 후륜롤러(310)의 회전을 제어하여 자전거(10) 바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동력계(410)에 형성되며, 상기 후륜롤러(310)에 결합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동력계(41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롤러(210) 및 상기 후륜롤러(310)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장치(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6) 본 발명의 자전거 운동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420)에 형성되며, 전력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되며, 자전거(10)의 속도를 표출하는 표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측정장치(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측정장치(400)는 후륜롤러(310)에 결합되어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에 의하여 회전하는 후륜롤러(31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정장치(400)는 도 4를 참조하면, 후륜롤러(310)의 후륜회전축(320)에 결합되어 형성되며,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측정장치(400)는 후륜롤러(31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샤시 다이나모미터로 형성되는 동력계(410)로 형성되며, 동력계(410)는 제 1롤러(311)와 제 2롤러(31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그리고 동력계(410)는 모터에 의하여 자전거(10) 바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언덕으로 형성될 경우 자전거(10) 바퀴에 제동을 걸어 페달을 밟는 힘을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라이더가 브레이크를 잡을 경우 후륜롤러(31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라이더가 자전거(10)를 효율적으로 주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동력계(410)에 형성되거나 동력계(410)와 이격되어 제 1롤러(311) 또는 제 2롤러(312)에 설치되는 발전장치(420)가 형성되며, 발전장치(420)는 전륜롤러(2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발전장치(420)는 에디 커런트 동력계(410)로 형성되며, 전륜롤러(210)와 후륜롤러(310)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전력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저장장치와 연결되어 자전거(10)의 속도를 표출하는 표출장치가 형성된다. 이때, 표출장치는 자전거(10)의 속도, 주행거리, 발전량 등을 표출하는 것으로 라이더가 효과적인 주행을 진행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자전거 11: 전륜 바퀴
12: 후륜 바퀴 100: 프레임
110: 전륜부 120: 후륜부
130: 거치부 131: 체결부재
132: 가변부재 140: 승강부
141: 마찰부재 142: 승강실린더
200: 전륜지지대 210: 전륜롤러
220: 전륜회전축 230: 베어링
300: 후륜지지대 310: 후륜롤러
311: 제 1롤러 312: 제 2롤러
320: 후륜회전축 400: 측정장치
410: 동력계 420: 발전장치
430: 로드셀 500: 가변장치

Claims (9)

  1. 지면에 고정되며, 자전거(10)가 안착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지지대(200);
    상기 전륜지지대(20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지지대(300);
    상기 후륜지지대(3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동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가 거치되는 거치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130)에는,
    상기 자전거(10)의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31);
    상기 체결부재(13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결합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재(132);가 설치되고,
    상기 전륜지지대(200)에는,
    상기 자전거(10)의 전륜 바퀴(11)가 접하는 전륜롤러(210);
    상기 전륜롤러(21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 바퀴(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륜롤러(210)를 회전시키는 전륜회전축(220);이 구비되며,
    상기 전륜롤러(210)는 중심에서 양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전륜회전축(220)은,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하며, 상기 전륜롤러(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230);을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지지대(200)가 형성되는 전륜부(110);
    상기 전륜부(1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륜지지대(300)가 형성되는 후륜부(120);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부(110)와 상기 후륜부(120)를 각각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40);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회전축(220)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롤러(2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500);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후륜지지대(30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는 후륜롤러(310);
    상기 후륜롤러(310)에 형성되며, 상기 후륜롤러(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후륜회전축(320);을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후륜롤러(310)에 형성되며,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는 제 1롤러(311);
    상기 제 1롤러(311)와 이격되어 자전거(10)의 후륜 바퀴(12)가 접하며, 일측에 상기 측정장치(400)가 설치되는 제 2롤러(312);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후륜롤러(310)에 설치되어 자전거(10) 바퀴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동력계(410);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KR1020220109065A 2022-08-30 2022-08-30 자전거 운동장치 KR102641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65A KR102641335B1 (ko) 2022-08-30 2022-08-30 자전거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065A KR102641335B1 (ko) 2022-08-30 2022-08-30 자전거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335B1 true KR102641335B1 (ko) 2024-02-27

Family

ID=9005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065A KR102641335B1 (ko) 2022-08-30 2022-08-30 자전거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3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343A (ko) * 2005-04-08 2006-10-13 정영배 자전거를 이용한 실내외용 운동기구
KR101036096B1 (ko) 2010-02-05 2011-05-19 최장원 운동용 자전거
KR20160111551A (ko) 2015-02-27 2016-09-27 김근우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KR20160111704A (ko) 2015-03-17 2016-09-27 김근우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KR20200020541A (ko) 2018-08-17 2020-02-26 이중식 가상노면 구현형 자전거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343A (ko) * 2005-04-08 2006-10-13 정영배 자전거를 이용한 실내외용 운동기구
KR101036096B1 (ko) 2010-02-05 2011-05-19 최장원 운동용 자전거
KR20160111551A (ko) 2015-02-27 2016-09-27 김근우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KR20160111704A (ko) 2015-03-17 2016-09-27 김근우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KR20200020541A (ko) 2018-08-17 2020-02-26 이중식 가상노면 구현형 자전거시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4118B2 (en) Movable support for exercise equipment
EP1004332B1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76045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heelchair aerobic stationary exercise
US4958832A (en) Stationary exercising bicycle apparatus
US6939271B1 (en) Crosstraining exercise device
US4577860A (en) Adjustable exercycle for providing simulated running exercises
US4984810A (en) Treadmill
US20120071301A1 (en) Adjustable inclining and declining exercise bicycle
US7963889B2 (en) Indoor exercise cycle with tilt function
JP5371089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およ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WO2007061317A2 (en) Exercise apparatus
CN1119186C (zh) 固定健身器械
JP2022547856A (ja) 自転車シミューレータ
KR102641335B1 (ko) 자전거 운동장치
CN112546551B (zh) 可实现三维度踩踏训练的椭圆机
CN1037460A (zh) 自行车支撑和负荷机构
KR101730130B1 (ko) 경사로 구현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운동장치
CN108992897A (zh) 一种自行车训练台
GB2195549A (en) Bicycle learner and exerciser
WO2005091250A1 (en) Stand for doing a wheely with motorcycles
KR101730127B1 (ko)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US20220249905A1 (en) Movably Supported Exercise Device
KR101643378B1 (ko) 자전거 운동장치
KR101811777B1 (ko) 트레드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JP2006289022A (ja) 固定式自転車トレ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