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246A -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246A
KR20190136246A KR1020180061687A KR20180061687A KR20190136246A KR 20190136246 A KR20190136246 A KR 20190136246A KR 1020180061687 A KR1020180061687 A KR 1020180061687A KR 20180061687 A KR20180061687 A KR 20180061687A KR 20190136246 A KR20190136246 A KR 20190136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lucoside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규
박녹현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06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6246A/ko
Publication of KR2019013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천연 유래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자극감이 없으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므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AXIFOLIN-3´-GLUCOSIDE}
본 발명은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화의 현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화합물(free radical scavengers) 또는 과산화물 생성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이들 산화물들에 기인하는 노화 및 각종 질환의 억제 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950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0326호
본 발명은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산화능이 우수하고, 항노화능, 특히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 유래의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자극감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 항산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를 통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을 통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천연 유래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자극감이 없으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므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이상, 0.0005중량%이상, 0.001중량%이상, 0.005중량%이상, 0.01중량%이상, 0.05중량%이상, 0.1중량%이상, 0.5중량%이상, 1중량%이상, 2중량%이상, 3중량%이상, 4중량%이상, 5중량%이상, 6중량%이상, 7중량%이상, 8중량%이상 또는 9중량%이상이거나, 10중량%이하, 9중량%이하, 8중량%이하, 7중량%이하, 6중량%이하, 5중량%이하, 4중량%이하, 3중량%이하, 2중량%이하, 1중량%이하, 0.5중량%이하, 0.1중량%이하, 0.05중량%이하, 0.01중량%이하, 0.005중량%이하, 0.001중량%이하 또는 0.0005중량%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의 함량이 0.0001중량%보다 적으면 효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10중량%보다 많으면 함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용 조성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 항산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중량%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시험예 1] 항산화 효능 평가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기 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도의 변화를 확인하여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BioBioPha 社에서 구입한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에 의해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였고,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100μM(in 에탄올)의 DPPH 용액 190㎕에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 및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 (양성대조군) 각각을 넣어 5,000ppm 농도로 제조한 후 최종 반응농도가 250ppm, 125ppm, 62.5ppm, 31.25ppm, 15.6ppm, 7.8ppm, 3.9ppm, 1.95ppm이 되도록 희석한 뒤, 이들을 각각 10㎕씩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한다.
시험물질 IC50(ppm)
트롤록스(양성대조군) 38.2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 3.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는 양성 대조군이 트롤록스보다 월등히 우수하게 DPPH의 활성을 억제함에 따라 현저히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콜라겐 분해 억제 효능 평가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의 콜라겐 분해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ioBioPha 社에서 구입한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을 토코페롤(양성대조군; 비교예 1) 및 EGCG(양성대조군; 비교예 2)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토코페롤 및 EGCG는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주름을 개선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구체적으로, 2.5중량%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Cascade Biologics 社)(Portland, OR, U.S.A.) 5,000 세포/웰(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 토코페롤 및 EGCG (Sigma Aldrich 社)각각을 10μ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콜라게나제 측정기구 (Amersham Pharmacia 社, U.S.A.)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의 콜라게나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36℃)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웰 플레이트 (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 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게 되는데, 반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노란색을 띠는 96-웰 플레이트 (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시험물질 콜라게나제 발현 정도(%)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비교예 1) 75.4
EGCG(비교예 2) 63.2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 43.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는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항노화, 특히, 피부 주름 개선 물질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과 EGCG 보다도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는 현저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능 평가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콜라겐 생합성 촉진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x104가 되도록 접종하여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에서 36.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했다. 배양 후,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BioBioPha 社)를 최종농도 10μM이 되도록 조정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48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형질전환증식인자베타(TGF-β: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0ng/ml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을 세척하고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고,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키트(kit, Takara 社, Kyoto, Japan)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 타입 아이씨-펩타이드(PICP, Type-I C-peptide)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으며, PCIP 양을 ng/2x104 세포로 환산하여 콜라겐의 합성량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콜라겐 합성량(ng/2x104)
형질전환증식인자베타 196.6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 205.2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는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겐의 생합성을 효과적으로 촉진시켰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쓰인 형질전환증식인자베타와 유사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는 현저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피부 자극감 평가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의 피부 자극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지된 항노화 물질인 레티놀과 따가움, 화끈거림의 자극감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따가움,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에 민감한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레티놀(Retinol, Sigma 社)과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BioBioPha 社)를 1mg/ml 농도로 용액화 하여 각각 0.5ml씩 좌우를 무작위로 바꾸어 적용하고 문지른 다음, 0.1점 단위로 하여 0~3.0 사이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0~0.4: 자극이 없음
0.5~1.0: 약간 자극이 있음
1.1~2.0: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2.1~3.0: 자극이 심함
구분 레티놀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
따가움 1.15 0.15
화끈거림 0.95 0.25
평균 1.05 0.20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티놀의 경우는 따가움, 화끈거림이 어느 정도 있어 약간 내지 보통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자극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발명의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는 화끈거림과 따가움 모두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여서 대체로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용 조성물인,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 항산화용 조성물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인,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를 통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인,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을 통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61687A 2018-05-30 2018-05-30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6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87A KR20190136246A (ko) 2018-05-30 2018-05-30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87A KR20190136246A (ko) 2018-05-30 2018-05-30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246A true KR20190136246A (ko) 2019-12-10

Family

ID=6900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687A KR20190136246A (ko) 2018-05-30 2018-05-30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62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326A (ko) 2012-02-02 2014-10-13 엘디에이 아게 목재를 이용한 탁시폴린의 제조 방법
KR20150099505A (ko) 2015-08-17 2015-08-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헛개나무 씨 유래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326A (ko) 2012-02-02 2014-10-13 엘디에이 아게 목재를 이용한 탁시폴린의 제조 방법
KR20150099505A (ko) 2015-08-17 2015-08-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헛개나무 씨 유래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4398B (zh) 用于皮肤的抗氧化组合物
KR102251854B1 (ko)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077560B2 (ja) シロバナシマカンギク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10012699A (ko) 사이클릭 리포펩티드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8726A (ko)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1727512B1 (en)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oside f1 and egcg for preventing skin damage
KR101867426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0366B1 (ko)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337308B1 (ko)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20190136246A (ko) 탁시폴린-3´-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6993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8869A (ko) Dhpv를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0110B1 (ko)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7825B1 (ko) 트라마트산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9725B1 (ko) 곤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4282320A (ja) 化粧料
KR102124276B1 (ko) N-니코티노일-가바를 함유한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60068195A (ko) 파나세노시드를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102533787B1 (ko)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3731B1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561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