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646A -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 Google Patents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646A
KR20190135646A KR1020180060903A KR20180060903A KR20190135646A KR 20190135646 A KR20190135646 A KR 20190135646A KR 1020180060903 A KR1020180060903 A KR 1020180060903A KR 20180060903 A KR20180060903 A KR 20180060903A KR 20190135646 A KR20190135646 A KR 20190135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needle assembly
push rod
push
push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오
Original Assignee
김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오 filed Critical 김진오
Priority to KR102018006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646A/ko
Publication of KR2019013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쉬 로드, 상기 푸쉬 로드의 전단에 결합되는 푸쉬 헤드 몸체, 상기 푸쉬 헤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푸쉬 헤드, 및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내부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튜브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Needle assembly for hair transplantation and apparatus for hair transplanta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 이식에 사용되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복수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을 포함하고, 편리하고 연속적인 모발 이식이 가능한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인체의 피부에 모발 또는 털이 손실된 경우에 모발 또는 털이 손실된 부위에 생모 또는 인공모를 이식하는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보통 식모기는 모발이나 눈썹, 음모 등을 식모 할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 모근을 모공 단위로 한 개씩 분리하여 식모기의 식모침에 의해 이식하게 되므로 모발의 방향, 각도 및 밀도 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서 수술 후의 모발 모양이 자연스럽게 유지될 수 있어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경우 식모 수술시 머리카락과 연결된 뿌리부분인 모근을 식모기의 식모침 내부 전면에 위치시킨 다음 두피내에 식모침을 삽입하면 식모침이 구멍을 형성하면서 모근이 식모침을 따라 두피내에 안착하게 되는데 이때 두피내의 피부조직 속에 모근을 밀어 넣기 위해서 식모침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움직이는 심축을 이용하는 방법과 슬라이딩 부재의 전면에 심축봉과 같은 역할을 하는 안내판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런데, 이식되는 모발은 두피 속에서 적당한 깊이로 이식되어야 건강한 모발로 생존하게 된다. 만약 식모기의 식모침이 두피 속으로 너무 깊이 들어가면 모낭이 피부 속 깊이 위치하여 염증이 생기거나 생존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식모기 식모침이 너무 얕게 피부 속으로 삽입된 경우에도 모낭이 피부 속에서 얕게 위치하여 생존을 못하게 되거나 미용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식모침의 깊이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식모침이 두피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식모기가 개발되어있다. (KR 10-1347114) 그러나, 하나의 모근을 두피에 삽입하기 위해, 여러 복잡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식모기를 사용해야 하여, 많은 수의 모근을 시술하기 어려운 점 등의 문제들이 있었다.
또한, 자동 로딩 장치 등 식모 시술의 용이성을 위한 자동 장치들(KR 2017-0056060)이 개발되어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여, 자동화 장치의 구성에 의해 비용이 증가하며, 사용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71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6060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용이한 시술이 가능한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편리하고 연속적인 모발 이식이 가능한 모발 이식용 식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쉬 로드, 상기 푸쉬 로드의 전단에 결합되는 푸쉬 헤드 몸체, 상기 푸쉬 헤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푸쉬 헤드, 및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내부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튜브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의 전단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 몸체에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튜브 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상기 튜브 몸체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면, 상기 푸쉬 헤드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개선을 통해, 상기 절개선의 끝부분까지 이동되어, 상기 푸쉬 헤드의 상기 푸쉬 헤드 몸체는 상기 튜브 몸체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쉬 헤드의 상기 푸쉬 헤드 몸체의 외경은 상기 푸쉬 로드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는 탄성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 헤드의 상기 푸쉬 헤드 몸체의 상기 외경이 상기 튜브 몸체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쉬 로드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 염화비닐(PVC)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쉬 헤드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는 복수개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 및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을 수용하는 지그, 상기 지그가 결합되는 지그 결합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쉬 로드, 상기 푸쉬 로드의 전단에 결합되는 푸쉬 헤드 몸체, 상기 푸쉬 헤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돌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푸쉬 헤드, 및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내부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튜브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발 이식용 식모기는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트리거를 포함하는 트리거부,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푸쉬 로드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부, 및 상기 트리거부와 상기 누름부를 연결하는 링크 로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과 평행한 제1 회전축을 갖고, 상기 푸쉬 로드는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제2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리거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누름부가 상기 지그 상에 수용된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푸시 로드를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도록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지그는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상면의 반대 면인 하면에 배치되는 지그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트리거를 당김에 따라 상기 지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트리거를 당김에 따라 초기 위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지그는 상기 일정 간격만큼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간, 상기 누름부는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푸쉬 로드를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에 따르면,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쉬 로드, 상기 푸쉬 로드의 전단에 결합되는 푸쉬 헤드 몸체, 상기 푸쉬 헤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푸쉬 헤드, 및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내부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튜브 몸체를 포함한다. 시술자가 상기 푸쉬 로드를 가볍게 밀어내는 것 만으로, 모낭 유닛이 모공내로 정확하게 정확한 깊이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낭 유닛의 모발부를 상기 튜브 몸체의 상기 절개선에 끼움으로써 편리하게 상기 모낭 유닛을 로딩(loading)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몸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시술자는 상기 모낭 유닛이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에 로딩되어 있는지 아닌지, 또한 로딩 위치가 적절한지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로딩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 헤드는 상기 깊이 조절부에 의해, 피시술자의 상기 두피로부터 일정 간격까지만 전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모낭 유닛은 상기 피시술자의 상기 모공 내에 적절한 깊이 까지만 삽입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전단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가 로딩되는 지그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도 5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의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전단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상기 식모용 바늘은 푸쉬 로드(100), 푸쉬 헤드(110) 및 튜브 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로드(push rod; 10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로드(100)는 얇은 원기둥 로드 형태로, 충분한 강도를 갖추어야 하므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 헤드(110)는 상기 푸쉬 로드(100)의 상기 제1 방향(D1)의 끝단, 즉 상기 푸쉬 로드(10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 헤드(110)는 푸쉬 헤드 몸체(112), 돌출부(114) 및 깊이 조절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헤드 몸체(112)는 상기 푸쉬 로드(10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푸쉬 헤드 몸체(112)는 상기 푸쉬 로드(100)의 상기 전단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푸쉬 헤드 몸체(112)의 외경은 상기 푸쉬 로드(100)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푸쉬 헤드 몸체(112)는 모낭 유닛을 밀어 넣기 위한 부분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4d에서 후술한다.
상기 돌출부(114)는 상기 푸쉬 헤드 몸체(112)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4)는 상기 푸쉬 로드(100)가 상기 튜브 몸체(200)에 삽입될 때,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깊이 조절부(116)는 상기 돌출부(114)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깊이 조절부(116)는 상기 푸쉬 로드(100)를 밀어, 모낭 유닛을 두피 내에 안착시킬 때, 모낭 유닛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4d에서 후술한다.
상기 푸쉬 헤드(110)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푸쉬 헤드(110)는 흰색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 몸체(2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관 형태로, 상기 푸쉬 로드(10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로드(100)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110)가 상기 튜브 몸체(200) 내부에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튜브 몸체(200)의 전단은 상기 제1 방향(D1)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202)으로 상기 전단에서의 상기 튜브 몸체(200)의 절단면인 상기 경사면(202)은 타원형 일 수 있다. 상기 경사면(202)의 상기 제1 방향(D1)의 끝 부분을 두피에 지지시켜, 모낭 유닛의 삽입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202)을 통해 모낭 유닛을 상기 튜브 몸체(200) 내에 삽입, 즉 로딩(loading)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4d에서 후술한다.
상기 튜브 몸체(200)에는 상기 경사면(202)으로부터 상기 튜브 몸체(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절개선(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선(210)은 상기 경사면(202)의 끝단으로부터 제1 길이(T1)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푸쉬 로드(100)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110)가 상기 튜브 몸체(200)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면, 상기 푸쉬 헤드(110)의 상기 돌출부(114)는 상기 절개선(210)을 통해, 상기 절개선(210)의 끝부분까지 이동되어, 상기 절개선(210)이 형성된 부분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푸쉬 헤드(110)의 앞부분에 상기 튜브 몸체(200) 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 몸체(200)의 상기 경사면(202)의 개구 및 상기 절개선(210)을 통해 상기 튜브 몸체(200) 내에 모낭 유닛을 로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4d에서 후술한다.
이때, 상기 튜브 몸체(200)는 탄성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따라서 시술자는 상기 튜브 몸체(200) 내에 수용된 모낭 유닛, 상기 푸쉬 로드(100), 상기 푸쉬 헤드(1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시술이 용이해 진다.
상기 푸쉬 헤드(110)의 상기 푸쉬 헤드 몸체(112)의 외경이 상기 튜브 몸체(200)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푸쉬 로드(100)는 상기 튜브 몸체(200) 내에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되어 삽입 내지 푸쉬 될 수 있으며, 푸쉬 헤드 몸체(112)와 상기 튜브 몸체(200) 사이에 모낭 유닛이 끼지 않고, 효율적으로 모낭 유닛을 밀어 낼 수 있다.
상기 튜브 몸체(20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 염화비닐(PVC)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튜브 몸체(200) 내에 모낭 유닛(10)을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낭 유닛(10)은 모구부(11)와 상기 모구부(11)에 연결된 모발부(12)를 포함하며, 모발부(12)를 핀셋(P)등을 이용하여 잡은 후, 상기 모구부(11)를 상기 튜브 몸체(200)의 상기 경사면(202)의 개구를 통해 상기 튜브 몸체(200)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발부(12)를 상기 튜브 몸체(200)의 상기 절개선(210)에 끼움으로써 편리하게 상기 모낭 유닛(10)을 로딩(loading)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튜브 몸체(2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시술자는 상기 모낭 유닛(10)이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에 로딩되어 있는지 아닌지, 또한 로딩 위치가 적절한지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로딩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모낭 유닛(10)이 로딩된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를 피시술자의 두피(20)에 미리 형성된 모공(22)에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튜브 몸체(200)의 상기 경사면(202)의 끝단이 상기 모공(22)에 접하도록,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튜브 몸체(200)의 끝단은 상기 경사면(202)으로 형성되어 첨부가 형성되므로, 시술자는 용이하게 시술 위치에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낭 유닛(10)은 상기 튜브 몸체(200) 내에 로딩된 상태이고, 상기 푸쉬 로드 헤드(110)는 상기 돌출부(114)에 의해, 상기 절개선(210)이 형성된 깊이인 상기 제1 길이(T1)까지만 삽입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깊이 조절부(116)는 상기 튜브 몸체(200)의 상기 경사면(202)의 끝단으로부터 제2 길이(T2)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면, 그 사이에 상기 모낭 유닛(10) 위치하고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상기 푸쉬 로드(10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모낭 유닛(10)을 상기 모공(22) 내에 삽입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쉬 헤드(110)는 상기 깊이 조절부(116)에 의해, 상기 피시술자의 상기 두피(20)로부터 일정 간격(GP)까지만 전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모낭 유닛(10)은 상기 피시술자의 상기 모공(22) 내에 적절한 깊이 까지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 헤드(110)의 상기 푸쉬 헤드 몸체(112)의 외경이 상기 튜브 몸체(200)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상기 푸쉬 헤드 몸체(112)와 상기 튜브 몸체(200) 사이에 상기 모낭 유닛(10)의 상기 모발부(12)가 끼어버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모발부(12)는 상기 튜브 몸체(200)를 이탈하지 전까지는 상기 절개선(210) 내에 끼어 있는 상태이므로, 시술자가 상기 푸쉬 로드(100)를 가볍게 밀어내는 것 만으로, 상기 모낭 유닛(10)이 상기 모공(22) 내로 정확하게 정확한 깊이로 안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가 로딩되는 지그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모발 이식용 식모기(500)는 복수개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을 수용하는 지그(jig; 700), 상기 지그(700)가 결합되는 지그 결합부(524)가 형성된 몸체(520), 상기 몸체(520)에 연결되는 손잡이(510), 트리거부(530), 누름부(540) 및 링크 로드(55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는 도 1 내지 3에서 설명된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와 동일하다. 즉, 각각의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푸쉬 로드(100), 상기 푸쉬 로드의 전단에 결합되는 푸쉬 헤드 몸체, 상기 푸쉬 헤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돌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푸쉬 헤드 및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내부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튜브 몸체(2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에는 모낭 유닛(10)이 미리 로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그(700)는 상기 몸체(520)의 상기 지그 결합부(52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그(700)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에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방향(D3)으로 상기 몸체(5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그(700) 상에 상기 복수의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지그(700) 상에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튜브 몸체(200)를 고정시키는 수용부(7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그(700)는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상면의 반대 면인 하면에 배치되는 지그 랙 기어(rack gear; 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랙 기어(710)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며, 상기 트리거부(5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을 상기 제3 방향(D3)으로 일정 간격만큼씩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트리거부(530)는 상기 몸체(520)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방향(D3)과 평행한 제1 회전축(A1)을 갖고, 시술자가 트리거(trigger; 532)를 당김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부(530)는 상기 트리거(532)를 당김에 따라 상기 지그(700)를 상기 제3 방향(D3)으로 상기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이동부(532)는 상기 지그 랙 기어(71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기어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트리거부(53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그 랙 기어(710)를 상기 제3 방향(D3)으로 밀어내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누름부(540)는 상기 몸체(52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축(A1)과 평행한 제2 회전축(A2)을 갖고, 상기 링크 로드(550)에 의해, 상기 트리거부(530)에 링크 연결되므로, 상기 트리거(532)를 당김에 따라 상기 제2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부(540)에 설치된 누름 패드(542)가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푸쉬 로드(10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누를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 모발 이식용 식모기(500)를 파지하고, 시술 위치를 결정한 다음, 상기 트리거(532)를 당겨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a 내지 8c에서 후술한다.
한편, 상기 몸체(520)의 전면부에는 조명(522)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522)에서 발생되는 빛을 이용하여, 시술 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도 5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의 단면도들이다.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상기 트리거(532)를 당김에 따라, 상기 트리거부(530)는 초기 위치(도 8a)로부터 제1 위치(도 8b)를 지나 제2 위치(도 8c) 까지 회전하며, 상기 모낭 유닛(10)을 피시술자의 상기 두피(20)의 모공(22)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지그(700)의 상기 수용부(720)에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튜브 몸체(200)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낭 유닛(10)은 미리 로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트리거부(530)가 상기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부(530)의 상기 지그 이동부(534)가 접하며, 시술자가 상기 트리거(532)를 당김에 따라, 상기 지그 이동부(532)가 상기 지그 랙 기어(710)를 상기 제3 방향(D3)으로 밀어 내어,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를 상기 누름부(540)에 대응하는 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까지 상기 트리거부(530)가 이동하면, 상기 지그 이동부(534)는 상기 지그 랙 기어(720)로부터 이격되고, 더 이상 상기 지그(700)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540)의 상기 누름 패드(542)는 상기 푸쉬 로드(100)를 밀어내기 위해, 상기 푸쉬 로드(100)의 후단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정 위치에 위치된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튜브 몸체(200)의 상기 경사면(202)의 끝단을 상기 두피(20)의 상기 모공(22)에 접하도록 위치 시켜, 시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b 및 도8c 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상기 트리거(532)를 더 당김에 따라, 상기 트리거부(53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까지 회전 이동하며, 이때, 상기 누름부(540)가 더 이동하여, 상기 누름 패드(542)가 상기 푸쉬 로드(10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낭 유닛(10)이 상기 모공(2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특유의 구조에 의해, 적절한 깊이까지만 상기 모낭 유닛(10)이 삽입될 수 있음은 도 1 내지 4d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후, 상기 트리거부(530)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초기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으며, 시술자가 상기 트리거(532)를 상기 제1 위치까지 다시 당김으로 인해, 새로운 모낭 유닛을 로딩하고 있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가 상기 정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트리거(532)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당김으로 인해, 새로운 모공에 상기 새로운 모낭 유닛을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갖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모발 이식용 식모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모발 이식을 시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에 따르면,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쉬 로드, 상기 푸쉬 로드의 전단에 결합되는 푸쉬 헤드 몸체, 상기 푸쉬 헤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푸쉬 헤드, 및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내부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튜브 몸체를 포함한다. 시술자가 상기 푸쉬 로드를 가볍게 밀어내는 것 만으로, 모낭 유닛이 모공내로 정확하게 정확한 깊이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낭 유닛의 모발부를 상기 튜브 몸체의 상기 절개선에 끼움으로써 편리하게 상기 모낭 유닛을 로딩(loading)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몸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시술자는 상기 모낭 유닛이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에 로딩되어 있는지 아닌지, 또한 로딩 위치가 적절한지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로딩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 헤드는 상기 깊이 조절부에 의해, 피시술자의 상기 두피로부터 일정 간격까지만 전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모낭 유닛은 상기 피시술자의 상기 모공 내에 적절한 깊이 까지만 삽입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푸쉬 로드 110: 푸쉬 헤드
112: 푸쉬 헤드 몸체 114: 돌출부
116: 깊이 조절부 200: 튜브 몸체
202: 경사면 210: 절개선

Claims (11)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쉬 로드;
    상기 푸쉬 로드의 전단에 결합되는 푸쉬 헤드 몸체, 상기 푸쉬 헤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푸쉬 헤드; 및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내부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튜브 몸체를 포함하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의 전단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 몸체에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튜브 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상기 튜브 몸체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면, 상기 푸쉬 헤드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개선을 통해, 상기 절개선의 끝부분까지 이동되어, 상기 푸쉬 헤드의 상기 푸쉬 헤드 몸체는 상기 튜브 몸체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헤드의 상기 푸쉬 헤드 몸체의 외경은 상기 푸쉬 로드의 외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는 탄성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푸쉬 헤드의 상기 푸쉬 헤드 몸체의 상기 외경이 상기 튜브 몸체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로드는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 염화비닐(PVC)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헤드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8. 복수개의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 및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을 수용하는 지그;
    상기 지그가 결합되는 지그 결합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쉬 로드;
    상기 푸쉬 로드의 전단에 결합되는 푸쉬 헤드 몸체, 상기 푸쉬 헤드 몸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돌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푸쉬 헤드; 및
    상기 푸쉬 로드의 일부 및 상기 푸쉬 헤드가 내부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는 튜브 몸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트리거를 포함하는 트리거부;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푸쉬 로드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부; 및
    상기 트리거부와 상기 누름부를 연결하는 링크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과 평행한 제1 회전축을 갖고, 상기 푸쉬 로드는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제2 회전축을 갖고,
    상기 트리거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누름부가 상기 지그 상에 수용된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푸시 로드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들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도록 수용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상면의 반대 면인 하면에 배치되는 지그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트리거를 당김에 따라 상기 지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트리거를 당김에 따라 초기 위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지그는 상기 일정 간격만큼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간, 상기 누름부는 상기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의 상기 푸쉬 로드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1020180060903A 2018-05-29 2018-05-29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20190135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03A KR20190135646A (ko) 2018-05-29 2018-05-29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03A KR20190135646A (ko) 2018-05-29 2018-05-29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46A true KR20190135646A (ko) 2019-12-09

Family

ID=6883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903A KR20190135646A (ko) 2018-05-29 2018-05-29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6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114B1 (ko) 2011-07-28 2014-01-15 김광수 모발이식용 정밀도를 높인 식모기
KR20170056060A (ko) 2015-11-12 2017-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식모용 바늘에 모낭 유닛을 로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114B1 (ko) 2011-07-28 2014-01-15 김광수 모발이식용 정밀도를 높인 식모기
KR20170056060A (ko) 2015-11-12 2017-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식모용 바늘에 모낭 유닛을 로딩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114B1 (ko) 모발이식용 정밀도를 높인 식모기
KR101600758B1 (ko) 식모기
JP3035668B2 (ja) 毛根を皮膚に機械移植するシステム
KR100958727B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US56433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ultiple cavities for placement of hair grafts
KR101806960B1 (ko) 식모기
WO1992000706A1 (en) Tissue grafting
JP7245221B2 (ja) 植毛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115184A (ko)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101806970B1 (ko) 식모기
KR20160142683A (ko) 자동 식모 장치
KR100889001B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US10328278B2 (en) Device for loading brachytherapy seeds into implantation sleeves
KR200470718Y1 (ko)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101232394B1 (ko) 깊이조절부재를 구비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2102400B1 (ko) 모낭이식장치
KR102425251B1 (ko) 자동 식모 장치
KR20190135646A (ko) 식모용 바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100320880B1 (ko) 모발 이식장치
US11298846B1 (en) Cutting device for brachytherapy seed implantation sleeves
JPH1052429A (ja) 植毛器具及び植毛用組織装着治具
KR100426597B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JP3130137U (ja) 植毛器
CN210871930U (zh) 毛囊种植笔
JPH0611272B2 (ja) 植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