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184A - 모발 이식용 식모기 - Google Patents

모발 이식용 식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184A
KR20190115184A KR1020180037892A KR20180037892A KR20190115184A KR 20190115184 A KR20190115184 A KR 20190115184A KR 1020180037892 A KR1020180037892 A KR 1020180037892A KR 20180037892 A KR20180037892 A KR 20180037892A KR 20190115184 A KR20190115184 A KR 20190115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hair
coupled
handle portion
trans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이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태 filed Critical 이상태
Priority to KR102018003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184A/ko
Publication of KR20190115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89Button or wheel for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e.g. rotation of shaft and end eff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식모기는 손잡이부에 식모침의 베벨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 파지 함몰부를 구비한다. 식모기는 식모침의 측방 슬릿의 후방 단부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모낭 삽입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발 이식용 식모기{Transplanter}
본 발명은 식모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술 정확성과 모발 삽입 효율성을 높인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 관한 것이다.
모발 이식용 식모기는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인체의 피부에 모발 또는 털이 손실된 경우 손실 부위에 생모 또는 인공모를 이식하는데 사용되는 의료기기이다.
특허등록 제1112038호의 '식모기', 특허등록 제1232394호의 '깊이조절부재를 구비한 모발 이식용 식모기' 등을 보면, 식모기는 손잡이부, 슬라이딩 부재, 누름부, 식모침, 심축봉, 연결부재, 탄성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손잡이부는 파지하는 부분으로 보통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손잡이부는 전방 손잡이부와 후방 손잡이부로 분리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는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어 일정 거리를 왕복 이동하는데,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부재는 전방 슬라이딩 부재와 후방 슬라이딩 부재로 분리하는 경우도 있다. 손잡이부 또는 슬라이딩 부재가 분리되는 경우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식모기로 모발을 이식하는 과정을 보면, 식모기의 식모침 단부에 모낭을 탑재한다. 모낭에 붙은 털은 식모침의 측방 슬릿에 일부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두피에 식모침을 찔러넣으면 모낭도 함께 두피 속으로 삽입된다. 이때, 식모기의 후단에 위치한 누름부를 전방으로 밀면, 심축봉이 식모침 내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딩 부재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전방으로 이동하던 슬라이딩 부재의 전단이 두피에 닿으면, 두피에 삽입된 식모침은 두피로부터 서서히 빠져나오면서 슬라이딩 부재의 전방 개구부로 삽입된다. 한편, 심축봉은 식모침 내부를 통과하여 전진하면서 식모침 단부에 탑재된 모낭을 밀어 식모침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그 결과 모낭이 피부 속에 남게 된다.
이러한 구성과 작용을 갖는 종래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는 모낭을 한 개씩 분리하여 식모침에 탑재한 후 모공에 하나씩 이식하는데, 이때 모발의 방향, 각도, 밀도 등을 조절할 수는 있으나, 정밀한 모발 이식을 위해서 모발의 방향, 각도 등을 정확히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식모침 선단의 컷팅 방향을 의미하는 베벨면(경사면)을 어느 방향으로 하느냐에 따라 심어지는 모낭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베벨면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서는 식모침이 작아 베벨면 방향을 눈으로 확인하기 쉽지 않다. 그렇다 보니, 시간에 쫓긴 시술자는 베벨면 방향을 확인하지 않고 대충 식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모발 이식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서는 이식할 모발을 식모침에 삽입 고정할 때 식모침의 전방, 즉 베벨면 중공부에 삽입하는 방법으로만 작업하므로 작업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서는, 이식할 모발을 식모침에 삽입 고정하는 과정이나 식모 과정에서 모발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식모침의 베벨면 방향을 확인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식모기를 파지하는 것만으로도 식모침의 베벨면을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고,
둘째, 이식할 모발을 식모침에 삽입할 때 다른 방향에서도 삽입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높고,
셋째, 이식할 모발을 식모침에 삽입 고정하는 과정이나 식모 과정에서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는 손잡이부, 슬라이딩 부재, 누름부, 식모침, 심축봉, 연결부재, 탄성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는 식모침의 베벨면과 일치하는 방향의 표면에 손가락 일부가 삽입 지지되는 파지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는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는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누름부는 슬라이딩 부재의 후단에 결합할 수 있다.
식모침은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전방이 슬라이딩 부재의 개구부에서 출몰할 수 있다. 식모침은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식모침은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방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식모침은 전방 단부에 일측 방향으로 베벨면을 가질 수 있다.
심축봉은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식모침의 중공부 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식모침에 탑재된 모낭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심축봉은 후방이 누름부 또는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일측이 손잡이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슬라이딩 부재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일측이 연결부재에 결합하고 타측은 심축봉에 결합하여 손잡이부와 슬라이딩 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서, 식모침은 측방 슬릿의 후방 단부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모낭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서, 베벨면과 측방 슬릿의 경계 영역, 모낭 삽입구와 측방 슬릿의 경계 영역은 라운드지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 의하면, 손잡이부 에 파지 함몰부를 형성하되 파지 함몰부를 식모침의 베벨면 방향과 일치시킴으로써, 시술자가 식모침의 베벨면 방향을 눈으로 확인할 필요없이 식모기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베벨면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 의하면, 모낭 삽입구를 측방 슬릿의 후방에 별도 구비함으로써, 식모침의 전방 단부뿐 아니라 후방에서도 모발을 삽입 고정할 수 있어, 식모침에 모발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에 의하면, 베벨면과 측방 슬릿의 경계 영역, 모낭 삽입구와 측방 슬릿의 경계 영역을 부드럽게 라운드지게 함으로써, 이식할 모발을 식모침에 삽입 고정하는 과정이나 식모 과정에서 모발의 손상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슬라이딩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손잡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1a,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는 손잡이부(10), 슬라이딩 부재(20), 누름부(30), 식모침(40), 심축봉(50), 연결부재(60), 탄성부재(7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원통, 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파지가 가능한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분리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손잡이부(10)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다수의 함몰부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일측 면에 하나의 파지 함몰부(B)를 구비할 수 있다. 파지 함몰부(B)는 표면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는 형태일 수 있다. 파지 함몰부(B)는 보통 엄지손가락의 지문면 일부가 삽입되어 식모기를 견고히 파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파지 함몰부(B)는 원형, 타원형 형태의 곡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파지 함몰부(B)는 식모침(40)의 베벨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 형성할 수 있다. 파지 함몰부(B)를 식모침(40)의 베벨면 방향과 일치시켜 구성하면, 시술자가 식모침(40)의 베벨면 방향을 눈으로 확인할 필요없이 손잡이부(10)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베벨면 맞춤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모발 이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0)는 손잡이부(10)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0)는 전방에 식모침(40)이 출몰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0)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분리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누름부(30)는 슬라이딩 부재(20)의 후단에 나사 또는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누름부(30)는 슬라이딩 부재(20) 및 심축봉(50)의 후단을 압착하여 슬라이딩 부재(20) 및 심축봉(5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식모침(40)은 연결부재(60)를 매개로 손잡이부(10)에 결합되어 있어 슬라이딩 부재(2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식모침(40)은 슬라이딩 부재(20)의 전방 개구부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슬라이딩 부재(20)의 전후 슬라이딩에 의해 식모침(40)이 슬라이딩 부재(20)의 전방 개구부에서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식모침(40)은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식모침(40)은 전방 단부에 베벨면, 즉 경사진 컷팅면을 가질 수 있다. 식모침(40)에 삽입 고정되는 모발은 모낭 부분이 베벨면에 거치되거나 그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다.
식모침(40)은 베벨면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측방에 측방 슬릿(S)을 구비할 수 있다. 측방 슬릿(S)은 모발을 식모침(40)에 삽입 고정할 때 털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그 중공부 내에 지지될 수 있다.
베벨면과 측방 슬릿(S)의 경계 영역은 부드럽게 라운드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모낭 부분을 베벨면에 거치하거나 그 중공부에 삽입한 후 털 부분을 측방 슬릿(S)에 삽입할 때 털 부분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식모침(40)은 모낭 삽입구(H)를 구비할 수 있다. 모낭 삽입구(H)는 측방 슬릿(S)의 후방 단부에 구비할 수 있다. 모낭 삽입구(H)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모낭 삽입구(H)는, 식모침(40)에 모발을 삽입 고정할 때, 모낭 부분을 후방에 위치시키는 방식, 즉 모낭 부분을 모낭 삽입구(H)에 먼저 삽입하고 털 부분을 측방 슬릿(S)에 밀어 넣을 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낭 삽입구(H)는 모발을 식모침(40)에 결합할 때, 다른 삽입 방식을 가능케 하고, 그 결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측방 슬릿(S)과 모낭 삽입구(H)의 경계 영역도 부드럽게 라운드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모낭 부분을 모낭 삽입구(H)에 삽입한 후 털 부분을 측방 슬릿(S)에 삽입할 때 털 부분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심축봉(50)은 후방이 누름부(30)에 결합되어 있다. 심축봉(50)은 식모침(40)의 중공부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20)의 이동과 함께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심축봉(50)은 식모침(40)의 전방 단부에서 출몰하는 형태로 동작하면서 식모침(40) 전단에 지지된 모낭(모근)을 가압하여 피부 속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일측이 손잡이부(1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슬라이딩 부재(20) 내부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식모침(40)의 후단과도 결합되어, 슬라이딩 부재(2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손잡이부(10)와 식모침(40)의 위치를 고정시켜 이들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관통공에는 심축봉(50)이 통과하여 식모침(40)의 중공부로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일측이 연결부재(60)에 결합하고 타측은 심축봉(50)에 결합하여 손잡이부(10) 및 식모침(40)과 슬라이딩 부재(20) 및 심축봉(50)을 반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슬라이딩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20)는 후방 슬라이딩 부재(21)와 전방 슬라이딩 부재(23)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후방 슬라이딩 부재(21)는 전방 측면에 함몰 단턱부(C11)를 구비할 수 있다. 함몰 단턱부(C11)는 표면에 돌출부(P11)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P11)는 전방에서 삽입되는 전방 슬라이딩 부재(23)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전방 슬라이딩 부재(23)가 후방 슬라이딩 부재(21)에 결합될 때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고정되고 힘이 가해지면 회전할 수 있는 정도의 결합 마찰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돌출부(P11)는 원주상을 따라 형성되는 띠이거나, 다수의 띠를 길이 방향으로 이격시킨 것이거나, 또는 랜덤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돌기일 수 있다. 돌출부(P11)는 탄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전방 슬라이딩 부재(23)는 후방 내면에 끼움 함몰부(R11)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전방 슬라이딩 부재(23)의 후방 내면이 돌출부(P11)에 마찰 결합할 수 있다면, 끼움 함몰부(R11)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식모기의 손잡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는 후방 손잡이부(11)와 전방 손잡이부(13)로 분리할 수 있다.
후방 손잡이부(11)는 전방 측면에 함몰 단턱부(C21)를 구비하고, 함몰 단턱부(C21)의 표면에는 돌출부(P21)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P21)는 전방에서 삽입되는 전방 손잡이부(13)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형태이면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돌출부(P21)는 원주상을 따라 형성되는 띠이거나, 다수의 띠를 길이 방향으로 이격시킨 것이거나, 또는 랜덤하게 배치되는 돌기일 수 있다.
전방 손잡이부(13)는 필요할 경우 후방 내면에 끼움 함몰부(R21)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손잡이부(11)는 전방 측면에 함몰 단턱부(C22)를 구비하고, 그 표면에 다수의 라인 돌출부(P22)를 구비할 수 있다. 라인 돌출부(P22)는 길이 방향을 따라 라인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가 원주상을 따라 이격시킬 수 있다.
전방 손잡이부(13)는 후방 내면에 다수의 끼움 함몰부(R22)를 구비할 수 있다. 끼움 함몰부(R22)는 후방 손잡이부(10)의 라인 돌출부(P22)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3b에서, 라인 돌출부(P22)와 끼움 함몰부(R22)는 원주상을 따라 동일 각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라인 돌출부(P22)와 끼움 함몰부(R22)는 개수를 많게 하면 파지 함몰부(B)를 식모침(40)의 베벨면 방향에 보다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경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 : 손잡이부 11 : 후방 손잡이부
13 : 전방 손잡이부 20 : 슬라이딩 부재
21 : 후방 슬라이딩 부재 23 : 전방 슬라이딩 부재
30 : 누름부 40 : 식모침
50 : 심축봉 60 : 연결부재
70 : 탄성부재 B : 파지 함몰부
H : 모낭 삽입구 S : 측방 슬릿

Claims (5)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왕복 이동하며,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후단에 결합하는 누름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전방이 상기 개구부에서 출몰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를 구비하며,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방 슬릿을 구비하고, 전방 단부에 일측 방향으로 베벨면을 갖는 식모침;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식모침의 중공부 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식모침에 탑재된 모낭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며, 후방이 상기 누름부 또는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하는 심축봉;
    일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재;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심축봉에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식모침의 베벨면과 일치하는 방향의 표면에 손가락 일부가 삽입 지지되는 파지 함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침은
    상기 측방 슬릿의 후방 단부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모낭 삽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면과 상기 측방 슬릿의 경계 영역, 상기 모낭 삽입구와 상기 측방 슬릿의 경계 영역은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4.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왕복 이동하며,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후단에 결합하는 누름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전방이 상기 개구부에서 출몰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를 구비하며,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방 슬릿을 구비하고, 전방 단부에 일측 방향으로 베벨면을 가지며, 상기 측방 슬릿의 후방 단부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모낭 삽입구를 구비하는 식모침;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식모침의 중공부 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식모침에 탑재된 모낭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며, 후방이 상기 누름부 또는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하는 심축봉;
    일측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재;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심축봉에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면과 상기 측방 슬릿의 경계 영역, 상기 모낭 삽입구와 상기 측방 슬릿의 경계 영역은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1020180037892A 2018-04-02 2018-04-02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20190115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892A KR20190115184A (ko) 2018-04-02 2018-04-02 모발 이식용 식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892A KR20190115184A (ko) 2018-04-02 2018-04-02 모발 이식용 식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184A true KR20190115184A (ko) 2019-10-11

Family

ID=6821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892A KR20190115184A (ko) 2018-04-02 2018-04-02 모발 이식용 식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18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478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毛发植入器械
CN110680479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吸毛组件的毛囊植入器械
CN110680477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吸入式装载毛发植入器械
CN110680476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毛发植入器械的吸毛组件
KR20220014167A (ko) * 2020-07-28 2022-02-04 오대금속 주식회사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478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毛发植入器械
CN110680479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吸毛组件的毛囊植入器械
CN110680477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吸入式装载毛发植入器械
CN110680476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毛发植入器械的吸毛组件
KR20220014167A (ko) * 2020-07-28 2022-02-04 오대금속 주식회사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5184A (ko)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100958727B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US5922000A (en) Linear punch
US8182493B2 (en) Follicular extraction punch and method
KR101600758B1 (ko) 식모기
US8202279B2 (en) Follicular extraction punch and method
KR101347114B1 (ko) 모발이식용 정밀도를 높인 식모기
KR20010016936A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1806970B1 (ko) 식모기
WO1996025889A1 (en) Dilator/hair implanter device
KR101112038B1 (ko) 식모기
KR20170131881A (ko) 모낭이탈 방지 및 위치확인용 기능성 식모기
KR100320880B1 (ko) 모발 이식장치
WO2014136119A1 (en) Implantating device
KR101232394B1 (ko) 깊이조절부재를 구비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0889001B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0426597B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0264051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CN209529204U (zh) 毛囊种植笔
KR102226088B1 (ko) 식모 장치
KR20220082403A (ko) 식모기
WO2020007351A1 (zh) 毛囊种植针
KR20030064132A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0481949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200048861A (ko) 식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