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167A -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 Google Patents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167A
KR20220014167A KR1020200093920A KR20200093920A KR20220014167A KR 20220014167 A KR20220014167 A KR 20220014167A KR 1020200093920 A KR1020200093920 A KR 1020200093920A KR 20200093920 A KR20200093920 A KR 20200093920A KR 20220014167 A KR20220014167 A KR 20220014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ock nut
cap
hair
hair transpla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619B1 (ko
Inventor
김병술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오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6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 A61B2090/035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preventing further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발이식용 식모기로서, 중공의 통형상이며 전방에 식모침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후방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식모침과 일체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상기 본체의 후방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캡; 상기 식모침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심축;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캡 사이에 개재되는 로크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 너트를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밀착 가압함으로써 상기 캡에 대한 상기 본체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Hair transplanting device with high stability of length adjustment of core shaft}
본 발명은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외부로 돌출하는 모발이식용 심축의 돌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심축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두피의 모발이 손실된 경우에 그 손실된 부위에 생모 또는 인공모를 이식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이다. 식모 수술시 머리카락과 연결된 뿌리 부분인 모근을 식모기의 식모침 내부 전면에 위치시킨 다음 두피 내에 식모침을 삽입하고 식모침이 구멍을 형성하면서 모근이 식모침을 따라 두피 내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두피 내의 피부조직 속에 모근을 밀어 넣기 위해서 심축이 식모침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돌출/후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심축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기술이 예를 들어 아래 특허문헌1(한국 공개특허 제2020-0048861호(2020년 5월 8일 공개)등의 선행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식모침, 식모침 이동부, 심축, 스프링, 내측 바디, 손잡이, 캡으로 구성되며 심축의 돌출 길이가 캡과 내측 바디의 나사결합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캡을 일방향으로 돌려 내측 바디에 깊숙히 결합하면 심축이 밀려 내측 바디 하부에 길게 노출되고 캡을 반대방향으로 돌려 결합된 길이를 짧게 하면 심축이 후퇴하여 짧게 노출된다.
그러나 캡과 내측 바디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캡이 내측 바디에서 조금씩 회전하게 되면 심축 돌출 길이가 변하게 된다. 그러나 심축의 길이가 처음 설정된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되면 환자의 두피 두께에 대하여 식모침에 있는 모근을 두피 내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안착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48861호 (2020년 5월 8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모기의 본체와 캡의 체결 거리에 따라 심축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고 이렇게 조절된 상태에서 캡을 본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캡이 저절로 풀리거나 회전하여 심축의 돌출 길이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심축 길이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발이식용 식모기로서, 중공의 통형상이며 전방에 식모침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후방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식모침과 일체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상기 본체의 후방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캡; 상기 식모침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심축;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캡 사이에 개재되는 로크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 너트를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밀착 가압함으로써 상기 캡에 대한 상기 본체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크 너트를 본체에 밀착함에 따라 로크 너트의 경사부가 본체 후방의 경사부를 가압하게 되어 캡을 강한 고정력으로 누르게 되므로 캡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캡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캡을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식모기의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경사부와 로크 너트의 선단부 사이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이 요홈부에 오링을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오링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나 별도의 요홈 구조 없이 오링을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단면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
도5 내지 도9는 다양한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된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이하 간단히 “식모기”라고도 한다)는 본체(10), 식모침(20), 심축(50), 캡(60), 로크 너트(70), 손잡이(80), 및 식모침 조절부재(90) 등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중공의 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식모침(2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식모침(2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구조이며 내부에 심축(50)이 삽입되어 있다. 손잡이(80)는 본체(1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부재이며 식모침(20)과 연결되어 일체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식모침 조절부재(90)는 식모침(2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캡(60)은 본체(10)의 후방에 결합되고 심축(5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로크 너트(70)는 본체(10)의 후방에서 본체(10)에 밀착 가압하여 캡(60)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길이방향"은 본체(10) 또는 손잡이(80) 등 구성요소의 중심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모기에서 식모침(20)이 돌출되는 측을 "전방"이라 하고 길이방향에 대해 이와 반대되는 측을 "후방"이라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1에서 식모침(20)은 본체(10)의 '전방'의 관통구를 통해 돌출한다고 표현할 수 있고 캡(60)은 본체(10)의 '후방'에 위치한다고 표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단면도이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본체(10), 식모침(20), 식모침 지지부재(30), 스프링(40), 심축(50), 캡(60), 로크 너트(70), 손잡이(80), 및 식모침 조절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통형상이며 전방에 식모침이 관통하는 관통구(12)가 형성되고 후방은 개방되어 있다. 본체(10)의 전방은 식모침(20)을 지지하며 정확한 이식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테이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은 로크 너트(70)와 밀착하여 결합하게 되며, 일 실시예에서 본체(10)의 후방도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의 후방 외주면에 경사부(11)가 형성되고, 로크 너트(70)의 전방 면에도 본체(10)의 경사부(11)와 마주보는 경사부(71) 형성됨으로써 두 경사부(11,71)가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슬릿(14)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4)의 전방 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후방 단부는 본체(10)의 후방 단부까지 이어져 있어 개방되어 있다.
본체(10)의 외주면 중 전방의 소정 위치에 전방 외측 나사산(13)이 형성되고, 전방 외측 나사산(13)은 후술할 식모침 조절부재(90)의 나사산(93)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주면 중 후방 단부에 인접하여 후방 내측 나사산(15)이 형성되고, 후방 내측 나사산(15)은 후술할 캡(60)의 나사산(63)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식모침(20)의 일단(즉, 후방 단부)은 식모침 지지부재(30)에 결합 고정된다. 식모침 지지부재(30)의 적어도 일부의 측면에 나사산(3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31)이 형성된 식모침 지지부재(30)의 상기 일부 측면의 직경은 본체(10)의 직경보다 크며 슬릿(14) 사이로 삽입할 수는 폭을 가진다. 따라서 예컨대 사용자가 식모침 지지부재(30)의 상기 일부 측면을 잡고 슬릿(14) 사이로 밀어 넣고 본체(10)의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식모침(20)과 식모침 지지부재(30)를 본체(1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식모침(20)의 타단부(즉 전방 단부)는 본체(10)의 관통구(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식모침(2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이며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식모침(20)의 전방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전방 단부의 일측면에 모낭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절개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0)의 슬릿(14)의 방향과 절개홈(21)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매우 좁은 폭을 갖는 절개홈(21)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모근을 절개홈(21)에 삽입하여 모낭 이식을 준비하는 것이 편리 해진다.
식모침 지지부재(30)에는 중심축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식모침(20)의 일단(즉, 후방 단부)이 이 관통구에 끼워져서 식모침(20)이 식모침 지지부재(30)에 결합된다. 한편 식모침 지지부재(30)의 나사산(31)은 손잡이(80)의 내측면의 나사산(81)과 맞물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식모침 지지부재(30)와 손잡이(8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심축(50)은 식모침(20)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부재이다. 심축(50)의 일단(즉 후방 단부)은 캡(6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심축(50)의 타단(즉 전방 단부)은 식모침 지지부재(30)를 관통하여 식모침(20) 내부로 삽입되고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심축(5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 스프링(40)이 배치된다. 스프링(40)은 식모침 지지부재(30)와 캡(60)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된다. 도시한 것처럼 스프링(40)의 전방 단부(40a)는 식모침 지지부재(30)에 지지되고 스프링(40)의 후방 단부(40b)는 캡(60)에 지지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40)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모침(20)이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식모침(10)이 본체(10) 내부로 들어가면 스프링(40)이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캡(60)은 심축(50)을 지지하면서 본체(10)의 후방에서 본체(10)와 체결되는 부재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캡(60)은 심축고정부(61) 및 누름부(60)로 구성될 수 있다. 심축고정부(61)는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6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나사산(63)은 본체(10)의 내측 후방 나사산(15)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누름부(62)는 심축고정부(61)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고 심축고정부(61)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80)는 본체(10)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손잡이(80)의 내주면 일부에는 나사산(81)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81)은 식모침 지지부재(30)의 나사산(31)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식모침 지지부재(30)와 손잡이(80)가 일체로 결합되고, 사용자가 손잡이(80)를 잡고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 본체(10) 내부의 식모침(20) 및 식모침 지지부재(30)도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식모침 조절부재(90)를 포함한다. 식모침 조절부재(90)는 본체(10)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통형상 부재이며, 일 실시예에서 조절부재 본체부(91) 및 본체부(91) 보다 직경이 큰 돌출부(92)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절부재 본체부(91)는 본체(10)보다 크고 손잡이(8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따라서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조절부재 본체부(91)가 본체(10)와 손잡이(80)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92)는 조절부재 본체부(91)의 일부 표면에서 본체부(91)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돌출부(92)는 손잡이(8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따라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80)의 전방 단부가 돌출부(92)에 간섭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돌출부(92)가 손잡이(80)의 전방측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역할을 한다.
식모침 조절부재(90)의 본체부(91) 및/또는 돌출부(92)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나사산(9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93)은 본체(10)의 전방 외측 나사산(13)과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체의 나사산(13)과 식모침 조절부재(90)의 나사산(93)의 나사결합 길이에 따라 식모침(20)이 본체(10)에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모침 조절부재(90)를 본체의 전방측으로 좀 더 이동하여 위치시키면 손잡이(80)가 상대적으로 더 전방측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식모침(20)이 본체(10)에서 더 돌출될 수 있고, 반대로 식모침 조절부재(90)를 본체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위치시키면 손잡이(80)의 전방측 이동 거리가 줄어들므로 식모침(20)이 본체(10)에서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80)의 전방 단부의 내주면이 경사면(8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식모침 조절부재(90)의 본체부(91)와 돌출부(92) 사이의 단차부도 경사면(95)으로 형성되며, 손잡이(80)의 경사면(85)과 식모침 조절부재(90)의 경사면(95)의 경사각이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80)가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손잡이(80)의 경사면(85)이 식모침 조절부재(90)의 경사면(95)에 점차 가까워지고 두 경사면(85,95)이 밀착하여 맞닿음으로써 손잡이(80)가 돌출부(92)에 의해 전방측 움직임이 제한되게 된다.
식모침 조절부재(90)의 본체부(91)의 외경과 손잡이(80)의 내경 사이에 어느 정도 유격이 존재하므로 손잡이(80)가 돌출부(92)에 의해 전방측 움직임이 제한되더라도 이 유격에 의해 손잡이(80)가 본체(10)에 대해 좌우로 흔들리게 되어 식모침(20)을 두피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삽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위와 같이 손잡이(80)와 식모침 조절부재(90)에 각각 경사면(85,95)을 형성하고 두 경사면(85,95)이 점진적으로 맞물리면서 손잡이(80)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하면 손잡이(80)의 움직임시 부드러운 작동감을 얻을 수 있고 손잡이(80)가 정지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로크 너트(70)를 더 포함한다. 로크 너트(70)는 본체(10)에 나사결합된 캡(60)이 본체(10)에서 풀리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잠그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후방측 구성의 확대한 단면도로서, 도4를 참조하면, 로크 너트(70)는 본체(10)와 캡(60) 사이에 개재되고 캡(60)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 너트(70)는 내부에 관통구(72)가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구(72)의 내측면에 나사산(73)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산(73)은 캡(60)의 나사산(63)과 맞물려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로크 너트(70)의 관통구(72)는 전방면을 향해 가면서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로크 너트(70)의 전방에 경사부(71)가 형성된다. 경사부(71)는 본체(10) 후방의 경사부(11)와 맞닿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체의 후방 내측 나사산(15)과 캡(60)의 나사산(63)의 나사결합 길이에 따라 심축(5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고 이렇게 조절된 상태로 캡(6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캡(60)의 심축고정부(61)가 본체(10)의 내부로 더 깊이 삽입되도록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심축(50)이 상대적으로 더 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로크 너트(70)를 본체(10)의 후방 단부로 이동시킨다. 로크 너트(70)가 본체(10)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부(71)가 본체(10)의 경사부(11)에 밀착하여 경사부(11)를 가압하고 따라서 본체(10)가 캡(60)의 심축고정부(61)를 상대적으로 더 큰 힘으로 누르게 되어 캡(60)이 저절로 회전하거나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캡(60)의 심축고정부(61)를 본체(10)의 내부에 덜 삽입되도록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심축(50)이 상대적으로 후방측으로 후퇴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로크 너트(70)를 본체(10)의 후방 단부에 밀착하셔 체결할 수 있고, 이 때에도 로크 너트(70)의 경사부(71)가 본체(10)의 경사부(11)를 밀착 가압함으로써 본체(10)가 높은 고정력으로 캡(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로크 너트(70)는 본체(10) 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이에 따라 손잡이(8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손잡이(80)의 후방측 단부가 로크 너트(70)의 선단부(70a)에 간섭하게 되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로크 너트(70)가 손잡이(80)의 후방측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80)의 후방 단부의 내주면에도 경사면(8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80)의 후방 단부의 내주면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로크 너트(70)의 전방 단부의 외주면에 경사면(76)이 형성되며, 손잡이(80)의 경사면(86)과 로크 너트(70)의 경사면(76)의 경사각이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80)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손잡이(80)의 경사면(86)이 로크 너트(70)의 경사면(76)에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면서 두 경사면(86,76)이 맞물리면서 밀착하게 되므로 손잡이(80)의 이동시 부드러운 작동감을 보장하고 손잡이(80)가 본체(10)에 대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어 모근을 두피 내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도5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는 로크 너트(170)를 구비한다. 도4와 비교할 때 도5의 로크 너트(170)는 캡(60)의 심축고정부(61)와 체결되지 않고 본체(10)와 체결된다.
이를 위해 로크 너트(170)는 전방측 내주면에 나사산(173)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173)과 맞물리기 위한 나사산(16)이 본체(10)의 후방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본체의 후방 내측 나사산(15)과 캡(60)의 나사산(63)의 나사결합 길이에 따라 심축(50)의 돌출 길이를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상태로 로크 너트(170)의 나사산(173)과 본체(10)의 나사산(16)을 체결함으로써 로크 너트(170)의 경사면(171)이 본체(10)의 경사면(11)을 가압하게 되어 캡(6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한 것처럼 이 실시예에서도 손잡이(80)의 후방 단부의 내주면을 경사면(86)으로 형성하고 로크 너트(170)의 전방 단부의 외주면을 경사면(176)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손잡이(80)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손잡이(80)의 경사면(86)이 로크 너트(170)의 경사면(176)과 점진적으로 맞물리면서 밀착하게 되어 손잡이(80)의 움직임시 부드러운 작동감을 보장하고 손잡이(80)가 본체(10)에 대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6은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6을 참조하면,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는 로크 너트(270)를 구비한다. 도5의 로크 너트(170)와 비교할 때 도6의 로크 너트(270)는 전방측 내주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기부(27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후방측 외주면에도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기부(17)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17)는 로크 너트(270)의 돌기부(273)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본체의 후방 내측 나사산(15)과 캡(60)의 나사산(63)의 나사결합 길이에 따라 심축(50)의 돌출 길이를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상태로 로크 너트(270)를 본체(10)를 향해 밀어서 로크 너트(270)의 돌기부(273)가 본체(10)의 돌기부(17)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로크 너트(270)를 본체(10)에 체결하고 로크 너트(270)의 경사면(271)이 본체(10)의 경사면(11)을 가압하여 캡(6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6의 실시예에서도 로크 너트(270)의 전방 단부의 외주면에 경사면(27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잡이(80)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손잡이(80)의 경사면(86)이 로크 너트(270)의 경사면(276)과 점진적으로 맞물리면서 밀착하기 때문에 손잡이(80)의 부드러운 작동감을 얻을 수 있다.
도7은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7을 참조하면,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는 로크 너트(370)를 구비한다. 앞의 실시예와 달리 로크 너트(370)는 본체(31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다. 로크 너트(370)에는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구(372)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372)의 내주면에 경사면(371) 및 돌기부(373)가 형성된다. 경사면(371)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본체(31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311)도 후방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되어 본체(310)의 경사면(311)과 로크 너트(370)의 경사면(371)이 서로 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체(310)의 후방측 외주면에도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기부(317)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317)는 로크 너트(370)의 돌기부(373)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본체의 후방 내측 나사산과 캡(60)의 나사산의 나사결합 길이에 따라 심축(50)의 돌출 길이를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상태로 로크 너트(370)를 본체(310)를 후방을 향해 밀어서 로크 너트(370)의 돌기부(373)가 본체(310)의 돌기부(317)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로크 너트(370)를 본체(310)에 체결하고 로크 너트(370)의 경사면(371)이 본체(310)의 경사면(311)을 가압하여 캡(6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7의 실시예에서 로크 너트(370)의 전방 단부의 외주면에 경사면(376)이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80)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손잡이(80)의 경사면(86)이 로크 너트(370)의 경사면(376)과 점진적으로 맞물리면서 밀착하기 때문에 손잡이(80)의 부드러운 작동감을 얻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7의 실시예에서 본체(310)와 로크 너트(370)의 각각이 돌기부(317,373)를 형성하는 대신 도5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나사 결합에 의해 로크 너트(370)를 본체(310)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8은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8을 참조하면,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는 로크 너트(470)를 구비한다. 도4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8의 로크 너트(470)는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 또한 도8의 손잡이(80)는 도4의 손잡이(80)에 비해 후방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도8의 구성에 따르면, 로크 너트(470)가 본체(1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손잡이(80)가 로크 너트(470)에 간섭받지 않고 더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손잡이(80)의 슬라이딩 범위를 넓힐 수 있고, 손잡이(80)의 직경을 작게하여 본체(10)에 더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식모기 형상을 더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캡(160)의 누름부(162)의 직경을 손잡이(80)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하면 손잡이(80)가 후방측 움직임이 캡(160)의 누름부(162)에 의해 간섭되어 제한되며 따라서 캡(160)이 손잡이(80)의 후방측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역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손잡이(80)의 후방 단부의 내주면을 경사면(86)으로 형성하고 캡(160)의 누름부(162)의 전방 단부의 외주면에 경사면(86)과 맞물리는 경사면(166)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손잡이(80)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손잡이(80)의 경사면(86)이 누름부(162)의 경사면(166)과 점진적으로 맞물리면서 밀착하게 되므로 손잡이(80)가 본체(10)에 대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작동감을 보장할 수 있다.
도9는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9를 참조하면, 대안적 실시예에서 손잡이(180)가 로크 너트(570)의 선단부에 부딪힐 때마다 로크 너트(570)와 손잡이(18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O-ring)(575)을 구비할 수 있다. 오링(575)은 예컨대 고무 등 탄성을 갖는 임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오링(575)은 본체(10)와 로크 너트(570)에 의해 형성되는 요홈 형상 내에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10)의 경사면(11)과 이 경사면(11)과 만나는 로크 너트(570)의 선단부의 표면(570a)에 의해 본체(10)의 외주면 둘레에 오목한 요홈 구조가 형성되고 이 요홈 구조 내에 오링(575)을 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오링(575)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거나 별도의 요홈 구조를 본체(10) 표면에 형성하지 않더라도 오링(575)을 본체(10)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310: 본체 20: 식모침
30: 식모침 지지부재 40: 스프링
50: 심축 60, 160, 260: 캡
70, 170, 270, 370, 470, 570: 로크 너트
80, 180: 손잡이

Claims (6)

  1. 모발이식용 식모기로서,
    중공의 통형상이며 전방에 식모침이 관통하는 관통구(12)가 형성되고 후방이 개방된 본체(10);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식모침과 일체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손잡이(80);
    상기 본체의 후방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캡(60);
    상기 식모침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심축(50);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캡 사이에 개재되는 로크 너트(70);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 너트를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밀착 가압함으로써 상기 캡에 대한 상기 본체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60)이,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서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외주면에 제1 나사산(63)이 형성된 심축고정부(61) 및 상기 심축고정부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심축고정부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누름부(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방의 내측면에 제2 나사산(15)이 형성되고,
    상기 캡(60)의 제1 나사산(63)과 상기 본체(10)의 제2 나사산(15)이 맞물려서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너트(70)가 상기 본체(10)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80)의 후방측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이 상기 로크 너트(70)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너트(70)는 상기 심축고정부(61)가 관통하는 관통구(72) 및 상기 관통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 나사산(73)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너트의 제3 나사산(73)이 상기 캡의 제1 나사산(63)에 맞물려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너트의 전방측 내주면에 제4 나사산(176)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측 외주면에 제5 나사산(16)이 형성되며,
    상기 로크 너트의 제4 나사산이 상기 본체의 제5 나사산에 맞물려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20200093920A 2020-07-28 2020-07-28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2521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20A KR102521619B1 (ko) 2020-07-28 2020-07-28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20A KR102521619B1 (ko) 2020-07-28 2020-07-28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67A true KR20220014167A (ko) 2022-02-04
KR102521619B1 KR102521619B1 (ko) 2023-04-14

Family

ID=8026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920A KR102521619B1 (ko) 2020-07-28 2020-07-28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8621B1 (ko) * 2023-04-25 2024-08-26 주식회사 오대 심축 길이 조절 로크 너트를 구비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672A (ko) * 2007-04-13 2008-10-16 김광수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130014350A (ko) * 2011-07-28 2013-02-07 김광수 모발이식용 정밀도를 높인 식모기
US20160213400A1 (en) * 2011-07-28 2016-07-28 Kun Oc Hair transplanter
KR20170110357A (ko) * 2016-03-23 2017-10-11 박재현 식모기
KR20190115184A (ko) * 2018-04-02 2019-10-11 이상태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20200048861A (ko)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메디솔 식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672A (ko) * 2007-04-13 2008-10-16 김광수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130014350A (ko) * 2011-07-28 2013-02-07 김광수 모발이식용 정밀도를 높인 식모기
US20160213400A1 (en) * 2011-07-28 2016-07-28 Kun Oc Hair transplanter
KR20170110357A (ko) * 2016-03-23 2017-10-11 박재현 식모기
KR20190115184A (ko) * 2018-04-02 2019-10-11 이상태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20200048861A (ko)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메디솔 식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8621B1 (ko) * 2023-04-25 2024-08-26 주식회사 오대 심축 길이 조절 로크 너트를 구비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619B1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0860B1 (en) Spring biased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US9095425B2 (en) Modular intraocular lens injector
JP5085119B2 (ja) 眼内レンズ用バネバイアスインジェクタ
JP5323420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5860984A (en) Spring biased deformable intraocular injecting apparatus
KR101600758B1 (ko) 식모기
US9265604B2 (en) Device for use in delivery of ophthalmic lenses
CA2876440C (en) Transbuccal plate holding cannula
US20060085021A1 (en) Surgical punching instrument
US20040147938A1 (en) System for IOL insertion
CN114126553B (zh) 具有带槽致动杆的致动机构
JP7424993B2 (ja) インジェクタ、特に二重機能インジェクタ及び/又は停止要素を備えるインジェクタ
US12023018B2 (en) Anchoring device and method for accurate positioning and insertion of an anchor assembly
KR20220014167A (ko) 심축 길이 조절 안정성을 높인 모발이식용 식모기
US6613055B2 (en) Instrument for the implant of a surgical plate for osteosynthesis
US7217274B2 (en) Injector with finger ring
US10188420B2 (en) Aortic punch
KR102698621B1 (ko) 심축 길이 조절 로크 너트를 구비한 모발이식용 식모기
US20240268951A1 (en) Injector for an intraocular lens
US11931246B2 (en) Injector for intraocular lenses
KR100289327B1 (ko) 자동 조절형 샤프 연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