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548A -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548A
KR20190135548A KR1020197035117A KR20197035117A KR20190135548A KR 20190135548 A KR20190135548 A KR 20190135548A KR 1020197035117 A KR1020197035117 A KR 1020197035117A KR 20197035117 A KR20197035117 A KR 20197035117A KR 20190135548 A KR20190135548 A KR 20190135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abs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메이 추이
후이 티엔
멍 왕
펑 티엔
리치 가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3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장치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제1 정보를 획득하고 - 제1 정보는 공격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인덱스와 관련됨 -; 제2 정보를 획득하고 - 제2 정보는 공격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인덱스와 관련됨 -,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간 조정을 위해 공격 기지국의 전송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는 개시된 기술적 해법은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ALMOST BLANK SUBFRAME AND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히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ABS: Almost Blank Subframe)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ABS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에서, 셀 에지 사용자의 성능에 대한 더 높은 요건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 및 홈 기지국이 LTE-A 시스템에서 공존하는 시나리오에서, 홈 기지국이 폐쇄 사용자 그룹 액세스의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액세스 리스트에 있지 않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에지 사용자는 심각하게 간섭을 받게 될 것이고, 또는 심지어 전혀 서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시나리오에서 ABS 기술의 적용은 매크로 기지국의 에지 사용자들의 성능을 크게 개선하며, LTE-A 간섭 조정 연구의 초점이 되었다.
ABS 기술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정상 서브프레임에 ABS들을 설계 패턴에 따른 간섭원으로서 삽입한다. ABS들 상에서 수행되는 구성은 ABS의 묵음비(silence ratio), ABS의 전송 전력 감소량, 및 설계 패턴의 3가지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ABS에서, 간섭 기지국의 전송 전력은 구성된 파라미터들에 따라서 0 또는 다른 미리 결정된 감소량으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간섭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지 않고 간섭을 받는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에지 사용자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켜, 간섭을 받는 기지국의 에지 성능을 개선한다.
그러나, 현재 ABS 기술은 간섭을 받는 기지국의 에지 성능이 개선될 때 간섭 기지국의 전체 스루풋(throughput)의 손실을 불가피하게 초래한다. 현재 ABS 기술은 ABS의 파라미터를 구성할 때 종합적인 구성 스킴을 채택하고, 그 결과 양호한 구성은 종합적인 평가에 기초해서만 실현될 수 있고, ABS는 특정 상황에 따라서 구성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간섭을 받는 기지국의 에지 성능과 간섭 기지국의 전체 스루풋 사이에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특정 상황에 따라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특정 상황에 따라 ABS를 구성하고, 간섭을 받는 기지국의 에지 성능과 간섭 기지국의 전체 스루풋 사이에 트레이드오프를 이루어,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간섭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1 정보를 획득하고; 간섭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간 조정(inter-base station coordination)을 위해 상기 간섭 기지국의 전송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가 더 제공되는데, 이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는 제1 정보 획득 유닛 및 구성 유닛을 포함하는 제1 기지국, 및 제2 정보 획득 유닛을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한다. 제1 정보 획득 유닛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정보 획득 유닛은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며 제1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2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구성 유닛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간 조정을 위해 간섭 기지국의 전송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가 더 제공되는데, 이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는 제1 정보 획득 유닛을 포함하는 제1 기지국, 제2 정보 획득 유닛 및 구성 유닛을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한다. 제1 정보 획득 유닛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정보 획득 유닛은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고 제1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2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구성 유닛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간 조정을 위해 상기 제1 기지국의 전송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간섭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간섭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간 조정을 위해 제1 기지국의 전송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또 다른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이 장치에 의해 서빙되는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에 의해 측정된 간섭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을 획득하고; 기지국간 조정을 위해 간섭 기지국에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RSRP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로 하여금 다음의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더 제공된다: 간섭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간섭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간섭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ABS를 구성하는 단계.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더 제공되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방법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공된,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는 방법은 간섭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성능 및 간섭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의 성능 모두를 고려하여 특정 상황에 따라 ABS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지는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 쌍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지는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 쌍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테이블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의 특정 적용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8은 도 7의 예에서 간섭 기지국의 ABS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의 다른 특정 적용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이하, 본 개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과 결합해서 설명될 것이고,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자명하게 될 것이다.
아래 설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될 것이다.
1.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2.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
3.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는 방법
4. 특정 예들
5. 하드웨어 구성예
1.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10)를 도시한다. 장치(10)는 제1 정보 획득 유닛(101), 제2 정보 획득 유닛(102), 및 구성 유닛(103)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은 간섭 기지국(20),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21),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31), 및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31)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30)을 도시한다. 간섭 기지국(20), 및 사용자 단말기(31)를 서빙하는 기지국(30)은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하에서, 용어 "이종 네트워크"는 매크로 기지국, 홈 기지국, 피코(Pico) 기지국 또는 다른 적당한 타입의 기지국일 수 있는 상이한 타입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21)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기(21)로서 집합적으로 지칭됨에 유의해야 한다. 유사하게,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31)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1)로서 집합적으로 지칭된다.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 전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개인용 컴퓨터, 또는 통신 기능을 갖는 다른 적당한 타입의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정보 획득 유닛(101)은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1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되고, 이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 자체이거나 또는 표시자를 기초로 획득된 값일 수 있다.
제2 정보 획득 유닛(102)은 제2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2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되고, 이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 자체이거나 또는 표시자를 기초로 획득된 값일 수 있다.
구성 유닛(103)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전송되는 ABS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장치(10)가 간섭 기지국(20) 및 기지국(30)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간섭 기지국(20) 또는 기지국(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장치(10)의 부분은 간섭 기지국(20)에 배치될 수 있고, 장치(10)의 다른 부분은 기지국(30)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전체 장치(10)는 간섭 기지국(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정보 획득 유닛(102)은 간섭 기지국(20)과 기지국(30) 사이의 통신을 통해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경유해 제2 정보를 획득한다. 다른 가능한 방식으로서, 전체 장치(10)는 기지국(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정보 획득 유닛(101)은 간섭 기지국(20)과 기지국(30) 사이의 통신을 통해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경유해 제1 정보를 획득하고, 구성 유닛(103)은 간섭 기지국(20)과 기지국(30) 사이의 통신을 통해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경유해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전송되는 ABS에 대한 구성을 수행한다. 따라서, 장치(10)를 포함하는 기지국이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가 간섭 기지국(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을 때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통신 품질 표시자(CQI: communication quality indicator),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CSI-RSRP: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based on channel state information), 및 링크의 결합 손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즉,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가 간섭 기지국(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을 때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통신 품질 표시자,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및 링크의 결합 손실 중 하나에만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수의 이들과 연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것은 복수의 파라미터의 가중처리된 합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는 3GPP 릴리즈 10의 이전 버전들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연관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예를 들어 기준 신호는 본 명세서에서 셀 특정 기준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일 수 있다. 그러나 셀 특정 기준 신호에 대한 수신 전력의 사용은 3GPP 릴리즈 10 및 이후 버전들에서 그리고 새로운 캐리어 타입에서 이종 네트워크 시나리오들에서 채널 측정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는 이들 시나리오에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연관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가 또한 다른 적당한 파라미터들과 연관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에 의해 측정되고 간섭 기지국(20)에 제공될 수 있다. 간섭 기지국(20)은 표시자와 연관된 제1 정보를 구성 유닛(103)에 제공한다. 특히, 구성 유닛(103)이 기지국(30)에 배치될 때, 간섭 기지국(20)은 제1 정보를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을 통해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경유해서 구성 유닛(103)에 제공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음을, 예를 들어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측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31)가 간섭 기지국(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통신 품질 표시자,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및 링크의 결합 손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즉,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31)가 간섭 기지국(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통신 품질 표시자,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및 링크의 결합 손실 중 하나에만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수의 이들과 연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파라미터의 가중처리된 합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연관될 수 있다. 3GPP 릴리즈 10 및 이후 버전에서, 그리고 새로운 캐리어 타입에서,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는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연관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가 또한 다른 적당한 파라미터와 연관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31)에 의해 측정되고 기지국(30)에 제공될 수 있다. 기지국(30)은 표시자와 연관된 제2 정보를 구성 유닛(103)에 제공한다. 특히, 구성 유닛(103)이 간섭 기지국(20)에 배치될 때, 기지국(30)은 제2 정보를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을 통해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경유해서 구성 유닛(103)에 제공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가 다른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음을, 예를 들어 기지국(30)에 의해 측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구성 유닛(103)은 또한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진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 쌍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테이블에서 선택을 수행하여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전송되는 ABS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ABS의 전력 감소량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ABS의 묵음비가 증가될 때,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은 감소되고,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간섭을 받고 기지국(30)에 의해 서빙되는 에지 사용자의 성능(즉,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은 개선되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 더욱이, ABS의 묵음비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ABS의 전력 감소량이 증가될 때,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은 감소되고,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은 개선되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 및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은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의 전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진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 쌍을 적절히 설정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성 유닛(103)은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전송되는 ABS를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 중 하나를 다른 하나가 변경되지 않을 때 동시에 변경하는 방식, 즉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 중 어느 하나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진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 쌍들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테이블의 2가지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파라미터 테이블에서, 8개의 파라미터 쌍이 개요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묵음비가 높을수록 전력 감소량은 적어지며, 반면에 묵음비가 낮을수록 전력 감소량은 커진다. 묵음비가 100%일때, ABS의 전력 감소량은 0이 되며, 이때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전송되는 것은 모두 ABS가 되고, 정상 서브프레임은 전송되지 않으며, 그 결과 사용자 단말기(21)는 서빙되지 않는다. 묵음비가 12.5%일 때, ABS의 전력 감소량은 0(즉, 도 2의 테이블의 첫 행의 최우측에서 "제로 전력")으로 낮아진다.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전송되는 ABS의 전력이 0으로 낮아질 때,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전송되는 ABS는 동일한 시간 기간에 기지국(30)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의해 실질적으로 간섭을 받지 않을 것이고, 그 결과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은 ABS의 묵음비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더 양호하게 개선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실제 적용시 파라미터 테이블이 다른 수의 파라미터 쌍을 포함하는 설계 요건에 따라 설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파라미터 쌍에서,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진 파라미터 쌍을 더 적은 묵음비 및 더 큰 전력 감소량을 갖는 파라미터 쌍으로 설정하는 것은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은 더 양호하게 하고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은 더 작아지게 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 네트워크 시나리오에 따라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진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 쌍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파라미터 쌍은 이들의 묵음비 사이에 큰 차이를 갖는 반면 이들의 전력 감소량들 사이에 작은 차이를 갖도록 설정되고, 이에 따라, 일부 시나리오에서, 더 적은 묵음비 및 조금 더 큰 전력 감소량을 갖는 파라미터 쌍이 채택되어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은 조금 떨어지고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은 더 커진다. 또한,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 및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이 더 넓은 범위에서 변경되도록 요구되는 경우, 파라미터 쌍은, 묵음비가 클수록 전력 감소량이 커지도록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큰 묵음비 및 더 큰 전력 감소량을 갖는 파라미터 쌍은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을 크게 개선하고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을 낮출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파라미터 테이블에는, 8개 파라미터 쌍이 개요적으로 도시되고, 도 2와 유사하게 묵음비가 높을수록 전력 감소량이 작아지고, 반대로 묵음비가 낮을수록 전력 감소량이 커진다. 묵음비가 80%일 때, ABS의 전력 감소량은 0이다. 묵음비가 10%일 때, ABS의 전력 감소량은 0(즉, 도 3의 테이블의 첫 행의 최우측에서 "제로 전력")으로 낮아진다. 도 3에 도시된 파라미터 테이블은 예를 들어, 간섭 기지국(20)이 매크로 기지국이고 기지국(30)이 피코 기지국이 되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매크로 기지국이 ABS를 전송하는 비는 100%에 도달할 수 없고, 그렇지 않으면, 이종 네트워크의 주 서빙 기지국인 매크로 기지국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다.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적용 시나리오의 특징들, 특히 간섭 기지국의 타입에 따라 대응하여 파라미터 쌍들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파라미터 쌍은 간섭 기지국의 타입으로부터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구성 유닛(103)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의 하한을 포함하는 제1 기준 범위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의 상한을 포함하는 제2 기준 범위와 각각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전송되는 ABS는 제1 정보와 제1 기준 범위 사이의 비교 결과, 및 제2 정보와 제2 기준 범위 사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정보 및 제2 정보가 제1 기준 범위 및 제2 기준 범위 내에 각각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구성 유닛(103)은 제1 기준 범위 및 제2 기준 범위를 사용자 단말기(21)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표시자들에 따라 조정하여, 간섭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ABS를 제1 정보와 제1 기준 범위 사이의 비교 결과, 및 제2 정보와 제2 기준 범위 사이의 비교 결과에 따라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기준 범위 및 제2 기준 범위는 각각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대해 설정될 수 있으며, ABS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가 제1 기준 범위 및 제2 기준 범위 내에 각각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ABS에 대한 구성이 특정 상황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1 기준 범위 및 제2 기준 범위는 사용자 단말기(21)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표시자에 따라 조정될 수 있어, 그 결과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과 기지국(30)의 에지 성능 사이의 트레이드오프가 특정 상황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기준 범위는 다른 적당한 표시자에 따라 조정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 기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기준 범위 및 제2 기준 범위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대해 각각 설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통 기준 범위도 제1 정보 및 제2 정보와 관련된 양에 대해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통 기준 범위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의 가중처리된 합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기준 범위가 상기 표시자에 따라 조정될 때, 제1 정보에 대한 기준 범위 및 제2 정보에 대한 기준 범위는 상기 표시자들 각각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제1 정보 및 제2 정보 모두에 대한 기준 범위는 상기 표시자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의 경우에는, ABS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대한 기준 범위를 설정하는 방식과는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21)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표시자들을 기초로 구성될 수 있어, 특정 상황에 따라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과 기지국(30)의 에지 성능 사이의 트레이드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범위는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21)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표시자의 가중처리된 합에 대해 설정될 수 있으며, ABS는 가중처리된 합이 기준 범위 내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21)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의 양, 사용자 단말기(31)의 양,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21)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의 양, 사용자 단말기(31)의 양,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 중 하나에만 연관되거나, 또는 임의의 수의 이들과 연관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1)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표시자의 특정 예는 추후에 설명될 것이다.
구성 유닛(103)은 기지국(30)의 에지 성능과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 사이에 트레이드오프를 표시자에 따라 어떻게 이룰지를 결정한다. 즉, 구성 유닛(103)은 간섭 기지국(20)의 ABS를 표시자에 따라 어떻게 구성하고, 이에 따라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과 기지국(30)의 에지 성능 사이에 트레이드오프를 특정 상황에 따라 어떻게 이룰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의 양과 연관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1)의 양이 증가될 때, 간섭 기지국(20)의 ABS는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을 더 많이 고려하여 구성된다. 표시자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31)의 양과 연관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31)의 양이 증가될 때, 간섭 기지국(20)의 ABS는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을 더 많이 고려하여 구성된다.
표시자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21)의 양과 사용자 단말기(31)의 양 사이의 관계와 연관될 수 있으며, 즉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의 양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양 모두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1)의 양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양 사이의 비가 증가될 때, 간섭 기지국(20)의 ABS는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을 더 많이 고려하여 구성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31) 및 사용자 단말기(21)의 특징을 나타내는 표시자가 사용자 단말기(31)의 양과 사용자 단말기(21)의 양의 비에 정적 상관되는(positive correlated) 경우, 구성 유닛(103)은 표시자가 증가될 때, 제1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의 하한을 감소시키고 제2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의 상한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의 양과 연관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이 증가될 때, 간섭 기지국(20)의 ABS는 전체 스루풋을 더 많이 고려하여 구성된다. 표시자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과 연관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이 증가될 때, 간섭 기지국(20)의 ABS는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을 더 많이 고려하여 구성된다.
표시자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과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 사이의 관계와 연관될 수 있으며, 즉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 모두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 사이의 비가 커질 때, 간섭 기지국(20)의 ABS는 기지국(30)의 에지 성능을 더 많이 고려하여 구성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31) 및 사용자 단말기(21)의 특징을 나타내는 표시자가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과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의 비에 정적 상관되는 경우, 구성 유닛(103)은 표시자가 증가될 때, 제1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기(21)의 통신 품질의 하한을 감소시키고 제2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기(31)의 피간섭 정도의 상한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표시자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21)의 양, 사용자 단말기(31)의 양,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 모두와 연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표시자는 사용자 단말기(21)의 양과 사용자 단말기(31)의 양 사이의 비, 및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과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의 비의 가중처리된 합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표시자가 다른 적당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1)의 양, 사용자 단말기(31)의 양, 사용자 단말기(21)의 트래픽량,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트래픽량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어,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과 기지국(30)의 에지 성능 사이에 트레이드오프를 표시자를 통해 특정 상황에 따라 이룰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표시자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21)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는 다른 적당한 양과 연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1) 및 사용자 단말기(31)의 중요도 또는 우선순위와 연관될 수 있어, 간섭 기지국(20)의 전체 스루풋과 기지국(30)의 에지 성능 사이에 트레이드오프를 표시자를 통해 특정 상황에 따라 이룰 수 있다.
구성 유닛(103)이 기지국(30)에 배치될 때, 구성 유닛(103)은 구성 스킴과 연관된 정보를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을 통해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경유해 간섭 기지국(20)에 제공한다. 이같이, 선택된 파라미터 쌍의 특정 값이 간섭 기지국(20)에 제공되거나, 또는 파라미터 쌍 테이블이 간섭 기지국(20)에 저장된 경우, 선택된 파라미터 쌍의 수가 간섭 기지국(20)에 제공된다. 더욱이, 파라미터 쌍 테이블(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테이블)이 간섭 기지국(20)에 저장된 경우, 간섭 기지국(20)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파라미터 쌍에 대한 선택된 파라미터 쌍의 상대 위치가 간섭 기지국(20)에 전송되며, 예를 들어 파라미터 쌍이 전력 감소량이 상대적으로 크고 묵음비가 상대적으로 작은 방향으로 하나의 위치만큼 시프트될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전송된다.
ABS를 구성하는 것은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다른 적당한 방식, 예를 들어 이벤트 트리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벤트 트리거에 따라 수행되는 가능한 시나리오는 간섭 기지국(20)이, 사용자 단말기의 양 또는 트래픽량의 변화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검출할 때, ABS가 재구성되는 것이다.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이 제1 정보의 변동량에 따라 주기적으로 조정될 때, "핑퐁 효과(ping-pong effect)"를 방지하기 위해(즉, ABS의 상기 파라미터들이 제1 방향을 향해 조정될 때, ABS의 상기 파라미터들은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의 대응하는 변동 때문에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을 향해 재조정되고, 그 후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의 대응하는 변동 때문에 ABS의 상기 파라미터들은 제1 방향을 향해 다시 조정될 필요가 있고, 이런 프로세스는 여러 번 순환될 것이다),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은 제1 정보의 변동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조정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이 제2 정보의 변동량에 따라 주기적으로 조정될 때, "핑-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은 제2 정보의 변동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조정되지 않는다.
제1 정보에 대해 설정된 미리 결정된 임계치 및 제2 정보에 대해 설정된 미리 결정된 임계치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임계치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의 상대 변동량에 대해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의 절대 변동량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또한 ABS의 트리거링 재구성의 감도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핑-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다른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방향을 향하여 ABS의 상기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감도는, 상기 파라미터들의 반복적인 조정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방향을 향하여 ABS의 상기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감도와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2.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0)는 제1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30)을 포함한다. 제1 기지국(120)은 제1 정보 획득 유닛(122) 및 구성 유닛(123)을 포함한다. 제2 기지국(130)은 제2 정보 획득 유닛(132)을 포함한다. 시스템(100)에서, 제1 기지국(120)은 간섭 기지국이며, 제1 기지국(12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은 사용자 단말기(121)로서 집합적으로 지칭되고, 제2 기지국(130)에 의해 서빙되고 제1 기지국(1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은 사용자 단말기(131)로서 집합적으로 지칭된다. 도 1의 예와 유사하게, 사용자 단말기(121) 및 사용자 단말기(131)는 각각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정보 획득 유닛(122)은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1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다.
제2 정보 획득 유닛(132)은 제2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2 정보는 제1 기지국(1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1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다.
구성 유닛(123)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제1 기지국(120)에 의해 전송되는 ABS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기지국(120)은 홈 기지국일 수 있는 반면, 제2 기지국(130)은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120)은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는 반면, 제2 기지국(130)은 피코 기지국일 수 있다. 제2 기지국(130)은 제2 정보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기지국(1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200)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는 제1 기지국(220) 및 제2 기지국(230)을 포함한다. 제1 기지국(220)은 제1 정보 획득 유닛(222)을 포함한다. 제2 기지국(230)은 제2 정보 획득 유닛(232) 및 구성 유닛(233)을 포함한다. 시스템(200)에서, 제1 기지국(220)은 간섭 기지국이며, 제1 기지국(22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은 사용자 단말기(221)로 집합적으로 지칭되고, 제2 기지국(23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은 사용자 단말기(231)로 집합적으로 지칭된다. 도 1 및 4의 예들과 유사하게, 사용자 단말기(221) 및 사용자 단말기(231)는 각각 하나 이상의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정보 획득 유닛(222)은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1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다.
제2 정보 획득 유닛(232)은 제2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2 정보는 제1 기지국(2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231)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다.
구성 유닛(233)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제1 기지국(220)에 의해 전송되는 ABS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기지국(220)이 홈 기지국이며 제2 기지국(230)이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제2 기지국(230)은 제2 정보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기지국(2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기지국(230)의 구성 유닛(233)은 제1 기지국(220)에 의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ABS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20)이 매크로 기지국이고 제2 기지국(230)이 피코 기지국인 경우, 제2 기지국(230)은 제2 정보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기지국(2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기지국(230)의 구성 유닛(233)은 제1 기지국(220)에 의해 X2 인터페이스 통해 전송되는 ABS를 구성할 수 있다.
3.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는 방법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단계(S102)에서 시작한다.
단계(S104)에서, 간섭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1 정보가 획득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는 제1 정보 획득 유닛(101, 122 또는 22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6)에서, 간섭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와 연관된 제2 정보가 획득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는 제2 정보 획득 유닛(102, 132 또는 23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8)에서, ABS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는 구성 유닛(103, 123 또는 23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에 프로세서는 단계(S110)에서 종료된다.
단계(S104)가 단계(S106) 이전에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단계(S106)가 단계(S104) 전에 수행되거나 또는 단계(S104) 및 단계(S106)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4. 특정 예들
이하에서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구현이 더 많은 특정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매크로 기지국 및 홈 기지국이 공존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이런 시나리오에서, 폐쇄 사용자 리스트 내의 사용자만을 서빙하는 (간섭 기지국으로서의) 홈 기지국(320, 330)은 매크로 기지국(340)의 사용자 단말기(341)에 간섭을 초래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이한 기지국들이 서로 간섭할 것임을,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340)이 홈 기지국(320 또는 330)에 간섭을 초래하는 가능한 상황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기지국들 사이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특정 상황에 따라 ABS를 전송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 관한 설명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간섭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 대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별적인 간섭 기지국에 있어서, 모든 간섭 기지국의 ABS들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각각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간섭 기지국의 ABS만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34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41)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들(341)은 사용자 단말기(341a) 및 사용자 단말기(341b)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341a)의 위치는 홈 기지국(320)에 근접하고 홈 기지국(320)의 사용자 리스트 내에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41a)는 홈 기지국(320)에 의해 간섭을 받는다. 반면에 사용자 단말기(341b)의 위치는 홈 기지국(330)에 근접하고 홈 기지국(330)의 사용자 리스트 내에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41b)는 홈 기지국(330)에 의해 간섭을 받는다.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341a) 및 2개의 사용자 단말기(341b)가 도 7에 도시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사용자 단말기(341a 및 341b)가 각각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홈 기지국(320)은 그것의 사용자 리스트 내의 사용자 단말기(321)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홈 기지국(330)은 그것의 사용자 리스트 내의 사용자 단말기(331)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사용자 단말기(321) 및 사용자 단말기(331)가 각각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명확함을 위해, 도 7에서 화살표를 갖는 실선은 기지국이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고, 화살표를 갖는 파선은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에 간섭을 초래하는 것을 나타낸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 1의 장치(10)가 매크로 기지국(340)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홈 기지국(320 또는 330)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기지국으로서 홈 기지국(320 및/또는 330)은 제1 정보 획득 유닛(122) 및 구성 유닛(123)을 포함하고, 매크로 기지국(340)은 제2 정보 획득 유닛(132)을 포함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기지국으로서 홈 기지국(320 및/또는 330)은 제1 정보 획득 유닛(222)을 포함하고, 매크로 기지국(340)은 제2 정보 획득 유닛(232) 및 구성 유닛(233)을 포함한다.
매크로 기지국(340)은 설계 패턴(343)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을 전송하고, 도 7로부터 매크로 기지국(340)에 의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이 모두 정상 서브프레임인 것이 관찰된다. 홈 기지국(320)은 설계 패턴(322)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을 전송하고, 도 7로부터 홈 기지국(320)이, 4개의 정상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때마다 하나의 ABS를 전송하는 것이 관찰된다. 홈 기지국(330)은 설계 패턴(332)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을 전송하고, 도 7로부터 홈 기지국(330)이, 하나의 정상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때마다 4개의 ABS를 전송하는 것이 관찰된다.
상이한 홈 기지국에 대해서는,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지는 파라미터 쌍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리스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 패턴들(322 및 332)에서, 서브프레임의 전력은 서브프레임의 높이로 개요적으로 표시된다. 도 7로부터 설계 패턴(322)의 ABS의 묵음비가 설계 패턴(332)의 ABS의 묵음비보다 낮은 반면, 정상 서브프레임과 비교하여 설계 패턴(322)의 ABS의 전력 감소량이 설계 패턴(332)의 ABS의 전력 감소량보다 작은 것이 관찰된다. 이는 홈 기지국(320)의 ABS를 구성하기 위한 파라미터 쌍들 및 홈 기지국(330)의 ABS를 구성하기 위한 파라미터 쌍들이 상이한 리스트로부터 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이유는 동일한 리스트에서는, 묵음비가 높을수록 전력 감소량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홈 기지국(320)이 ABS를 전송하는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과, 홈 기지국(330)이 ABS를 전송하는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리스트들 내의 파라미터 쌍들일 수 있다.
이하에, ABS를 전송하는 홈 기지국(320)이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주기적으로 구성되는 방법의 특정 예가 도 8과 결합해서 설명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이, 홈 기지국(320)이 간섭 기지국으로서 간주되는 상황을 위한 것일지라도, 또한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홈 기지국(330))이 간섭 기지국으로서 간주되는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다른 타입의 기지국들이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나리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 및 피코 기지국이 공존하며 간섭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인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도 8에 도시된 방법이 주기적으로 구성하는 상황을 위한 것일지라도, 다른 방식으로 구성하는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홈 기지국(320)은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 및 ABS를 전송하기 위해 매크로 기지국(330)을 구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리스트,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파라미터 리스트를 설정한다. S0는 홈 기지국(320) 내의 사용자 단말기(321)에 의한 서비스 수신 성능의 미리 결정된 하한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I0는 매크로 기지국(340) 내의 홈 기지국(3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341a)의 피간섭 정도의 미리 결정된 상한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단계(S202)에서, 홈 기지국(32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321)의 전체 트래픽량(Tnon-interfered UE)이 계산되고, 매크로 기지국(340)에 의해 서빙되고 홈 기지국(3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341a)의 전체 트래픽량(Tinterfered_UE)이 계산되고, 더욱이 간섭을 받는 사용자의 전체 트래픽량과 간섭을 받지 않는 사용자의 전체 트래픽량의 비가 상대적인 트래픽량(Tr)로서 계산된다(수학식 1 참조):
Figure pat00001
단계(S203)에서, 트래픽량(Tr)이 증가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및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이 더 많이 평가되어야 하고,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에 대한 요건이 개선되어야 하며,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에 대한 요건이 적절히 감소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트래픽량(Tr)이 감소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및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이 더 많이 평가되어야 하고,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에 대한 요건이 개선되어야 하며,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에 대한 요건이 적절히 감소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 및 상대적인 트래픽량(Tr)의 특정 감소량과 증가량 사이의 관계는 특정 함수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연관 방식은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 및 상대적인 트래픽량(Tr)의 특정 감소량과 증가량 사이의 관계가 선형 부적 상관되는(linear negative correlated) 것이다.
단계(S202)에서 또한, 홈 기지국(32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321)의 양(n1)이 계산될 수 있고, 매크로 기지국(340)에 의해 서빙되고 홈 기지국(3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341a)의 양(n2)이 계산될 수 있어, 간섭을 받는 사용자의 양과 간섭을 받지 않는 사용자의 양 사이의 양의 비가 상대량(a)으로서 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S203)에서, 상대량(a)이 증가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및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이 더 많이 평가되어야 하고,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에 대한 요건이 개선되어야 하며,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에 대한 요건이 적절히 감소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상대량(a)이 감소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및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이 더 많이 평가되어야 하고,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에 대한 요건이 개선되어야 하며,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에 대한 요건이 적절히 감소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 및 상대량(a)의 특정 감소량과 증가량 사이의 관계는 특정 함수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연관 방식은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 및 상대량(a)의 특정 감소량과 증가량 사이의 관계가 선형 부적 상관되는 것이다.
단계들(S201-S203)의 프로세스는 전술한 구성 유닛(103, 123 또는 23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홈 기지국(320)의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321)는 홈 기지국(320)으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를 측정하고, 홈 기지국(32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3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홈 기지국(320)에 보고하며, 표시자는 예를 들어, 기준 신호 수신 전력(3GPP 릴리즈 10의 이전 버전에 대해서는 RSRP일 수 있거나 또는 3GPP 릴리즈 10 및 이후 버전에 대해서는 CSI-RSRP일 수 있음), 및 홈 기지국(3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TD-LTE(Time Division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표시자는 또한 링크 파라미터의 결합 손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자는 홈 기지국(320)에 의해 상기 제1 정보 획득 유닛(101, 122 또는 222)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홈 기지국(32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3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는 예를 들어, 홈 기지국(320)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321)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모든 기지국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321)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들의 합 사이의 비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자는 또한,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가중처리된 합일 수 있다.
단계(S205)에서, 매크로 기지국(340)의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341)는 모든 기지국의 수신된 신호를 측정하고, 매크로 기지국(340) 이외의 기지국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매크로 기지국(340)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보다 소정의 사전 설정된 백분율(예를 들어, 50%)만큼 더 큰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매크로 기지국(340) 이외의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인식된다. 이에 의해, 홈 기지국(3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341a, 341b)은 매크로 기지국(34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341)로부터 인식될 수 있다.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341a, 341b)은 모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홈 기지국(3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인식된 사용자 단말기(341a)는 사용자 단말기(341a)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를 매크로 기지국(340)에 보고하고, 표시자는 예를 들어, 홈 기지국(320)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 및 통신 품질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TD-LTE 시스템에서, 표시자는 또한 링크 파라미터의 결합 손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자는 매크로 기지국(340)에 의해 상기 제2 정보 획득 유닛(102, 132 또는 232)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홈 기지국(3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341a)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는 예를 들어, 홈 기지국(320)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341a)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모든 기지국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341a)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들의 합 사이의 비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자는 또한,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가중처리된 합일 수 있다.
단계(S206)에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1 정보의 일례로서 신호 표시자(S)는 단계(S204)에서 획득된 홈 기지국(320)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3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특히,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321)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자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21)에 의해 각각 제공될 때, 이들 표시자의 가중처리된 합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321)의 중요도에 따라 표시자(S)로서 획득될 수 있거나, 이들 표시자의 평균값은 표시자(S)로서 획득될 수 있거나, 또는 표시자(S)는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전술한 제1 정보 획득 유닛(101, 122 또는 22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단계(S206)에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2 정보의 일례로서 간섭 표시자(I)는 단계(S205)에서 획득된 홈 기지국(3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341a)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특히,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341a)의 피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자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41a)에 의해 각각 제공될 때, 이들 표시자의 가중처리된 합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341a)의 중요도에 따라 표시자(I)로서 획득될 수 있거나, 이들 표시자의 평균값은 표시자(I)로서 획득될 수 있거나, 또는 표시자(I)는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전술한 제2 정보 획득 유닛(102, 132 또는 23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단계(S207)에서, 신호 표시자(S)와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사이에 비교가 행해지고, S<S0인 경우, 홈 기지국(320)에 의해 전송되는 ABS는 단계(S208)에서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더 큰 묵음비 및 더 작은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진 파라미터 쌍을 선택하여 구성되고, 이에 따라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이 개선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2의 파라미터 쌍 리스트를 일례로서 선택해 설명이 이루어졌음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파라미터 쌍 테이블에서, 더 작은 묵음비 및 더 큰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진 파라미터 쌍은 매크로 기지국(340)의 더 양호한 에지 성능 및 홈 기지국(320)의 더 작은 전체 스루풋을 초래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단계(S207)에서, 간섭 표시자(I)와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 사이에 비교가 행해지고, I>I0인 경우, 홈 기지국(320)에 의해 전송되는 ABS는 단계(S208)에서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더 작은 묵음비 및 더 큰 전력 감소량으로 이루어진 파라미터 쌍을 선택하여 구성되고, 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이 개선된다.
S≥S0이고 I≤I0인 경우, 즉 신호 표시자(S)가 신호 표시자(S)의 하한인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보다 크거나 같고 간섭 표시자(I)가 간섭 표시자(I)의 상한인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ABS의 파라미터들은 조정되지 않는다. 이때,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및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는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 및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에 대한 더 높은 요건을 제안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S<S0이고 I>I0인 경우,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 및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 모두가 미리 결정된 요건을 만족시킬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이때,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및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는 홈 기지국(320)의 전체 스루풋 및 매크로 기지국(340)의 에지 성능에 대한 요건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가 장애로부터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에러 메시지가 이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들(S207 및 S208)의 프로세스들은 전술한 구성 유닛(103, 123 또는 23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단계(S208)가 행해질 때, 프로세스는 다음 기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
ABS를 구성할 때 전술한 "핑-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신호 표시자(S)의 변동량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적을 때(예를 들어, 5% 미만일 때) 신호 표지자(S)와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사이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없어,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이 조정될 수 없음에 유의해야 한다. 유사하게, 간섭 표시자(I)의 변동량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적을 때(예를 들어, 5% 미만일 때), 간섭 표시자(I)와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 사이의 비교는 이루어질 수 없어,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은 조정될 수 없다. 이 경우, 신호 표시자(S) 또는 간섭 표시자(I)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의 변동량에 따라 계속 변화하여 크게 축적된 변동량을 초래하고, 그 결과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에 대한 구성이 변하지 않은 채 유지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 표시자(I) 또는 신호 표시자(S)의 변동량이 미리 결정된 횟수(예를 들어, 5번) 동안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계속 적을 때, 간섭 표시자(I)와 미리 결정된 간섭 표시자(I0) 사이 또는 신호 표시자(S)와 미리 결정된 신호 표시자(S0) 사이에 비교가 이루어지는 것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ABS를 구성할 때의 "핑-퐁 효과"는 다른 적당한 메커니즘을 채택하여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런 시나리오에서, 매크로 기지국(420) 및 피코 기지국(430, 440)은 공존한다. 간섭 기지국으로서 매크로 기지국(420)은 피코 기지국(430, 440)의 사용자 단말기들(431a, 431b, 441a 및 441b)에 간섭을 야기한다.
매크로 기지국(420)은 사용자 단말기(421)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피코 기지국(430)은 사용자 단말기(431a, 431b)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피코 기지국(440)은 사용자 단말기(441a, 441b)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피코 기지국(430, 440) 및 매크로 기지국(420)이 모두 개방 사용자 액세스 방식(open user access manner)을 채택하기 때문에, 매크로 기지국(420)은 피코 기지국(430, 440)의 에지 영역에서의 피코 기지국(430)의 사용자 단말기(431a) 및 피코 기지국(440)의 사용자 단말기(441a)에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도 7과 유사하게, 도 9에서 화살표를 갖는 실선은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며, 화살표를 갖는 파선은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에 간섭을 야기하는 것을 나타낸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이한 기지국들이 서로 간섭할 수 있음을, 예를 들어 피코 기지국(430, 440)이 매크로 기지국(420)에 간섭을 야기하는 가능한 상황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기지국들 간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특정 상황에 따라 ABS를 전송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420)은 피코 기지국(430, 440)의 에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ABS를 갖는 설계 패턴(422)을 통해 서브프레임들을 전송한다. 한편, 피코 기지국(430, 440)은 설계 패턴(432, 442)을 통해 ABS 없는 서브프레임들을 전송한다.
더욱이, 설계 패턴(422)에서, 서브프레임의 전력은 서브프레임의 높이에 의해 개요적으로 표시된다. 도 9로부터, 매크로 기지국(420)이 하나의 정상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때마다 4개의 ABS를 전송하는 것이 관찰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크로 기지국(420)이 ABS를 전송하는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은 도 3에 도시된 리스트 내의 파라미터 쌍들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 1의 장치(10)가 매크로 기지국(420)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피코 기지국(430 또는 440)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기지국으로서 매크로 기지국(420)은 제1 정보 획득 유닛(122) 및 구성 유닛(123)을 포함하며, 피코 기지국(430 및/또는 440)은 제2 정보 획득 유닛(132)을 포함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기지국으로서 매크로 기지국(420)은 제1 정보 획득 유닛(222)을 포함하고, 피코 기지국(430 및/또는 440)은 제2 정보 획득 유닛(232) 및 구성 유닛(233)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와 유사하게,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매크로 기지국(420)이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ABS를 전송하는 방법을 주기적으로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매크로 기지국(420)이 간섭 기지국이며 피코 기지국(430, 440)이 매크로 기지국(42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임에 유의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 관한 전술한 설명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가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가 간섭을 받는 무선 통신에 대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 경우, ABS는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출되고 사용되지 않은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5. 하드웨어 구성 예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술한 장치, 네트워크 및 기지국에서 각각의 컴포넌트 유닛들 및 디바이스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구현의 경우,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용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머신(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공통 머신(700))에 설치되고, 여기서 머신은 컴포넌트 유닛들, 다양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때의 서브유닛들의 다양한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0에서, 중앙 처리 유닛(CPU)(701)은 판독 전용 메모리(ROM)(7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저장부(708)에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703)에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RAM(703)에는, CPU(701)가 다양한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요구되는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저장된다. CPU(701), ROM(702) 및 RAM(703)은 버스(70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05)는 또한 버스(704)에 연결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05)에는 또한, 입력부(706)(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 출력부(707)(음극선관(CRT) 및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을 포함), 저장부(708)(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 및 통신부(709)(LAN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뎀 등을 포함)가 연결된다. 통신부(709)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필요하다면, 드라이브(710)는 또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05)에 연결될 수 있다.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은 이동식 매체(711)가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710) 상에 장착될 수 있어, 이들로부터 판독되는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저장부(708)에 설치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구현하는 경우에,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로부터 또는 이동식 매체(711)와 같은 저장 매체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저장 매체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도 10에 도시된 이동식 저장 매체(711)로 제한되지 않고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와 별도로 배포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이동식 저장 매체(711)의 예들은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 포함), 광 디스크(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및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를 포함), 자기-광 디스크(미니 디스크(MD)(등록상표)를 포함), 및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저장 매체는 ROM(702), 저장부(708)에 포함된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안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이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자에게 배포된다.
더욱이, 본 개시 내용은 머신 판독 가능한 명령어 코드가 저장되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는 처리 방법은 명령어 코드가 머신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때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런 프로그램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다양한 저장 매체,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자기-광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도 본 개시 내용의 기술적 해법에 포함된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는 처리 방법의 각각의 동작 절차가 또한 다양한 머신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는 장치, 네트워크 및 기지국의 각각의 구성 유닛 또는 구성 디바이스가 독립적인 부품들일 수 있으며, 여러 구성 유닛 또는 구성 장치의 기능이 또한 한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은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는 방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이종 네트워크에서 ABS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개시한다.
본 개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은 단지 본 개시 내용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에 대한 변경, 대체, 조합 및 부분적인 조합을 만들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로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7)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 의해 서빙되고 적어도 하나의 간섭 기지국에 의해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피간섭 레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간 조정(inter-base station coordination)의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ABS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ABS 정보는 ABS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간섭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ABS 정보를 고려하여 간섭을 완화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간섭 기지국에 상기 구성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장치의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상기 피간섭 레벨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간섭을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간섭 기지국으로부터의 기준 신호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과 연관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구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장치의 통신 전송의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간섭 기지국의 ABS 전송의 묵음비 및 전력 감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또한, 상기 장치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는, 상기 장치에 의해 서빙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이 상기 장치의 신호들을 수신할 때,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통신 품질 표시자,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한 RSRP, 및 링크의 결합 손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97035117A 2012-11-28 2013-10-31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KR20190135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495977.6A CN103857040B9 (zh) 2012-11-28 2012-11-28 用于配置准空白子帧的装置和方法及无线通信异构网络
CN201210495977.6 2012-11-28
PCT/CN2013/086308 WO2014082518A1 (zh) 2012-11-28 2013-10-31 用于配置准空白子帧的装置和方法及无线通信异构网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654A Division KR102051716B1 (ko) 2012-11-28 2013-10-31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548A true KR20190135548A (ko) 2019-12-06

Family

ID=508271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880A KR101708580B1 (ko) 2012-11-28 2013-10-31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KR1020197035117A KR20190135548A (ko) 2012-11-28 2013-10-31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KR1020177003654A KR102051716B1 (ko) 2012-11-28 2013-10-31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880A KR101708580B1 (ko) 2012-11-28 2013-10-31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654A KR102051716B1 (ko) 2012-11-28 2013-10-31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9936513B2 (ko)
EP (1) EP2928248B1 (ko)
JP (1) JP6004119B2 (ko)
KR (3) KR101708580B1 (ko)
CN (2) CN110099399B (ko)
AU (2) AU2013351742B2 (ko)
BR (1) BR112015011803B1 (ko)
CA (2) CA2891804C (ko)
MX (1) MX344874B (ko)
RU (2) RU2744015C2 (ko)
WO (1) WO2014082518A1 (ko)
ZA (1) ZA2015046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9399B (zh) * 2012-11-28 2022-06-28 索尼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装置
US11277779B2 (en) 2014-01-28 2022-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resources in heterogeneous network system
KR102208356B1 (ko) * 2014-01-28 2021-0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종망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5282849B (zh) * 2014-07-04 2019-01-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调度方法及装置
KR102301826B1 (ko) * 2014-08-27 2021-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간섭 조정을 위한 자원 관리 방법
CN105376751B (zh) * 2014-09-02 2019-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分析、告警方法及装置
CN110149730B (zh) 2018-02-1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3727356B (zh) * 2021-08-26 2023-11-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降低通信干扰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1859B2 (en) *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29096B2 (en) * 2006-12-15 2017-04-18 Alcatel-Lucent Usa Inc. Controlling uplink power for picocell communications within a macrocell
GB2470037B (en) * 2009-05-07 2013-07-10 Picochip Designs Ltd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n uplink
JP5623505B2 (ja) * 2010-03-25 2014-11-12 パナソニック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通信システム、フェムトセル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EP3226640B1 (en) * 2010-06-18 2018-12-12 MediaTek Inc. Method for coordinating transmissions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JP5388366B2 (ja) 2010-06-21 2014-01-15 株式会社Nttドコモ 干渉低減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20049449A (ko) * 2010-11-08 201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간섭 조정을 위한 자원 관리 방법
WO2012067403A2 (ko) * 2010-11-16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병합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간섭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과 기지국이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031591B2 (en) * 2010-11-17 2015-05-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f-optimiz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JP2012129793A (ja) * 2010-12-15 2012-07-05 Ntt Docomo Inc 基地局、及び保護サブフレーム使用状況通知方法
CN102573039A (zh) * 2010-12-23 2012-07-11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异构网络中自适应功率配置方法及基站
EP2666330A4 (en) * 2011-01-21 2014-08-13 Research In Motion Ltd MOBILE GUIDED DOWNLINK LINK INTERFERENCE MANAGEMENT PROVISION
US9642147B2 (en) * 2011-02-14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number of protected active users based on QoS requirements, throughput and traffic
KR20120110841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팬택 이종셀간 간섭조정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CN103563465B (zh) * 2011-04-01 2017-11-2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采用中继节点的无线网络中的小区内干扰减轻
CN102761973B (zh) * 2011-04-29 2014-11-26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异构网中几乎空子帧的调整方法和系统
CN102833793B (zh) * 2011-06-17 2016-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干扰协调方法和基站
EP2730139A1 (en) * 2011-07-08 2014-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handling a downlink transmission in a cellular network
KR101150846B1 (ko) * 2011-09-05 201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정보 전송 방법
CN102333378B (zh) * 2011-09-16 2015-02-18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长期演进lte系统中的干扰协调方法
US8848560B2 (en) 2011-11-04 2014-09-30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transmission during almost blank subfram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L218527A0 (en) * 2012-03-07 2012-04-30 Mariana Goldhamer Collaborative measurements in cellular networks
JP6045801B2 (ja) * 2012-03-16 2016-12-14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2711169B (zh) * 2012-06-26 2014-07-16 电子科技大学 一种家庭基站abs配置模式绑定方法
CN110099399B (zh) * 2012-11-28 2022-06-28 索尼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20993A (ru) 2018-11-15
BR112015011803A2 (pt) 2017-07-11
RU2015125530A (ru) 2017-01-10
CN103857040B (zh) 2019-07-02
CA3132709C (en) 2023-09-05
US9936513B2 (en) 2018-04-03
MX2015006080A (es) 2015-08-06
BR112015011803B1 (pt) 2022-11-29
ZA201504611B (en) 2016-01-27
CN110099399B (zh) 2022-06-28
US10251183B2 (en) 2019-04-02
KR20170018477A (ko) 2017-02-17
EP2928248B1 (en) 2020-07-22
CA2891804C (en) 2023-04-04
CN103857040B9 (zh) 2019-10-08
RU2017120993A3 (ko) 2020-07-13
AU2013351742A1 (en) 2015-06-04
KR102051716B1 (ko) 2019-12-03
US20150373728A1 (en) 2015-12-24
CN103857040A (zh) 2014-06-11
AU2013351742B2 (en) 2016-07-21
AU2016247093A1 (en) 2016-11-10
AU2016247093B2 (en) 2018-11-15
JP2016502352A (ja) 2016-01-21
JP6004119B2 (ja) 2016-10-05
CN110099399A (zh) 2019-08-06
CA3132709A1 (en) 2014-06-05
RU2623460C2 (ru) 2017-06-26
KR101708580B1 (ko) 2017-02-20
RU2744015C2 (ru) 2021-03-02
EP2928248A1 (en) 2015-10-07
EP2928248A4 (en) 2016-07-06
KR20150089059A (ko) 2015-08-04
MX344874B (es) 2017-01-11
CA2891804A1 (en) 2014-06-05
US20180167951A1 (en) 2018-06-14
WO2014082518A1 (zh)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716B1 (ko) 올모스트 블랭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
EP2586255B1 (en) Timeslot allocation method in a wireless tdd network
US930119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aggregated carrier cell
US8804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mode of special subframe and the usage mode of time-domain resource
US960306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resource management procedures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US8175594B2 (en) Active set management with hotspot carriers
CN103096333B (zh) 物理下行控制信道干扰的协调方法及基站
TW201817274A (zh) 定位參考信號增強
EP27504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network quality,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chip
US9253734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ower of small-cell base stations
US10425853B2 (en) Method for scheduling overlapping resources for narrowband internet-of-things
KR20180048645A (ko) 단일 수신 롱텀 에볼루션 모빌리티 향상들
WO2013185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US11785631B1 (en) Predictive model for high-capacity frequencies in mobile broadband
CN109314932A (zh) 一种协调小区干扰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8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127

Effective date: 2021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