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205A -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205A
KR20190135205A KR1020180060377A KR20180060377A KR20190135205A KR 20190135205 A KR20190135205 A KR 20190135205A KR 1020180060377 A KR1020180060377 A KR 1020180060377A KR 20180060377 A KR20180060377 A KR 20180060377A KR 20190135205 A KR20190135205 A KR 20190135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moving
assemb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807B1 (ko
Inventor
손연호
손인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8006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80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와, 지지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장착되고 부품을 조립하는 조립공구부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일정한 조임력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ASSEMBLING DEVICE FOR VEHICLE PARTS}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일정한 조임력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부품 조립장치 중에서 부품을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공구는 볼트 및 너트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 공구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가 구동되어 회전체가 회전되어 신속하게 볼트 및 너트의 조립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의 부품 조립장치는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고, 볼트 및 너트와 맞물려 손상되지 않는 강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무게가 상당하여 작업자가 장시간 사용할 경우 손목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16629호(2003.03.03.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 부품 조립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일정한 조임력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고, 부품을 조립하는 조립공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부품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지지상부; 상기 지지상부를 받쳐주는 지지조절부; 및 상기 지지조절부가 안착되는 지지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조절부는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상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지지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가이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지지감지부; 및 상기 지지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제한부를 작동시키는 지지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이동레일부; 상기 이동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판부; 및 상기 이동판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립공구부가 장착되는 이동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는 작업자가 조립공구부를 들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부품 조립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는 지지하부가 지지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여 복수개의 부품에 대한 연속적인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는 지지제한부가 지지하부의 이동을 제한하여 작업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지지감지부가 지지하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지지하부를 목적지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지지스토퍼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지지제한부에 의해 지지하부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1)는 지지부(10)와, 이동부(20)와, 조립공구부(30)를 포함한다.
이동부(20)는 지지부(10)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조립공구부(30)는 이동부(20)에 장착되어 이동부(20)와 연동된다. 조립공구부(30)는 부품(100)을 조립한다.
즉, 이동부(20)는 지지부(10)에 거치된 부품(100)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고, 조립공구부(30)는 이동부(20)에 장착되어 전진한 후 부품(100) 간의 조립을 위한 체결수단인 볼트를 조여 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는 지지상부(11)와, 지지조절부(12)와, 지지하부(13)를 포함한다.
지지상부(11)에는 이동부(20)가 장착되고, 부품(100)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일 예로, 부품(100)과 일직선방향으로 지지상부(11)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지지상부(11)에 부품(100)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100)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조절부(12)는 지지상부(11)를 받쳐준다. 일 예로, 지지조절부(12)는 상단부가 지지상부(11)의 저면에 결합되고, 조립공구부(30)의 높이가 부품(100)의 조립 높이와 대응되도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지지조절부(12)는 실린더와 같이 자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부품(100) 조립 높이와 대응되도록 조립공구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하부(13)에는 지지조절부(12)가 결합된다. 일 예로, 지지하부(13)의 상측에 지지조절부(12)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하부(13)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지지스토퍼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는 지지스토퍼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스토퍼부(14)는 지지상부(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이동부(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로 인해 이동부(20)에 장착된 조립공구부(30)의 과도한 이동에 의한 부품(100)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스토퍼부(14)는 지지상부(11)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고정부(141)와, 스토퍼고정부(142)를 관통하고 이동부(20)와 직접 접촉되는 스토퍼접촉부(142)와, 스토퍼접촉부(142)에 나사 결합되고 스토퍼고정부(141)에 걸려 스토퍼접촉부(14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걸림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걸림부(143)는 스토퍼접촉부(142)와 너트 결합되어 스토퍼걸림부(14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동부(20)의 이동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지지제한부에 의해 지지하부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는 지지가이드부(15)와 지지제한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200)와 같은 이송수단에 복수개의 부품(100)이 거치되어 있는 경우 지지부(10)를 각각의 부품(100)에 대응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15)는 지지하부(13)가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한다. 일 예로, 지지가이드부(15)는 컨베이어(20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지지하부(1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151)와, 지지하부(13)와 가이드레일부(151)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을 줄여주는 가이드베어링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베어링부(152)는 지지하부(13) 자체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제한부(16)는 지지가이드부(15)에 장착되고, 지지하부(13)의 이동을 제한한다. 일 예로, 지지제한부(16)는 컨베이어(200)에 각각 배치되는 부품(10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한고정부(161)와, 제한고정부(161)에 장착되고 자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제한삽입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삽입부(162)의 자체 길이가 늘어나 지지조절부(12)에 형성된 지지삽입홈부(121)에 삽입되면, 지지부(1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는 지지감지부(17)와 지지제어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감지부(17)는 지지부(1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일 예로, 지지가이드부(15)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의 지지감지부(17)가 배치되어 이동되는 지지조절부(1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지지제어부(18)는 지지감지부(17)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지지제한부(16)를 작동시킨다. 일 예로, 지지감지부(17)가 설정 위치에 도달된 지지부(10)의 위치를 감지하면, 지지제어부(18)는 제한삽입부(162)를 작동시켜 지지부(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0)는 이동레일부(21)와, 이동판부(22)와, 이동거치부(23)를 포함한다.
이동레일부(21)는 지지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이동레일부(21)는 지지상부(11)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판부(22)는 이동레일부(21)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다. 일 예로, 이동판부(22)는 이동레일부(2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동거치부(23)는 이동판부(22)에 장착되고, 조립공구부(30)가 장착된다. 일 예로, 이동거치부(23)는 이동판부(22)에서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이동판부(22)와 조립공구부(3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조립공구부(30)는 부품(100) 조립이 가능한 공구몸체부(31)와, 공구몸체부(31), 작업자가 공구몸체부(31)를 잡고 이동 및 작동 시키는 공구핸들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구몸체부(31)는 이동거치부(2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부(10)가 고정 설치된 경우, 조립 대상 부품(100)이 배치되면 작업자는 조립공구부(30)를 잡고 부품(1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조립공구부(30)가 결합된 이동부(20)는 지지상부(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조립공구부(30)에 부품(100) 조립을 위한 볼트가 삽입되면, 조립공구부(30)에 전원이 인가되어 볼트 체결 작업이 실시된다. 이때, 작업자는 지속적으로 조립공구부(30)를 부품 (10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부(20)는 지지스토퍼부(1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므로 부품(100) 과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정지된 컨베이어(200)와 같은 거치수단에 복수개의 부품(100)이 배치되는 경우, 작업자는 지지가이드부(15)를 따라 지지하부(13)를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부품(100)에 대한 조립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지지감지부(17)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한 지지부(10)에 대한 감지신호를 지지제어부(18)에 전송하면, 지지제어부(18)의 제어로 지지제한부(16)가 작동되어 지지부(10)가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위치에서 지지부(10)가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편리하게 복수개의 부품(100)에 대한 조립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1)는 작업자가 조립공구부(30)를 들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부품 조립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1)는 지지하부(13)가 지지가이드부(15)를 따라 이동 가능하여 복수개의 부품(100)에 대한 연속적인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1)는 지지제한부(16)가 지지하부(13)의 이동을 제한하여 작업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지지감지부(17)가 지지하부(13)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지지하부(13)를 목적지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부 11 : 지지상부
12 : 지지조절부 13 : 지지하부
14 : 지지스토퍼부 15 : 지지가이드부
16 : 지지제한부 17 : 지지감지부
18 : 지지제어부 20 : 이동부
21 : 이동레일부 22 : 이동판부
23 : 이동거치부 30 : 조립공구부
31 : 공구몸체부 32 : 공구핸들부

Claims (7)

  1.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고, 부품을 조립하는 조립공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부품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지지상부;
    상기 지지상부를 받쳐주는 지지조절부; 및
    상기 지지조절부가 안착되는 지지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조절부는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상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지지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가이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지지감지부; 및
    상기 지지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제한부를 작동시키는 지지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이동레일부;
    상기 이동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판부; 및
    상기 이동판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립공구부가 장착되는 이동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KR1020180060377A 2018-05-28 2018-05-28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KR10208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77A KR102083807B1 (ko) 2018-05-28 2018-05-28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77A KR102083807B1 (ko) 2018-05-28 2018-05-28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205A true KR20190135205A (ko) 2019-12-06
KR102083807B1 KR102083807B1 (ko) 2020-03-03

Family

ID=6883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377A KR102083807B1 (ko) 2018-05-28 2018-05-28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480A (ko) * 2020-05-28 2021-12-08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부품 로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277A (ja) * 1996-12-10 1998-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ねじ締め付け機の締め付け補助装置
JPH11156650A (ja) * 1997-11-28 1999-06-15 Nitto Seiko Co Ltd 自動ねじ締め機
KR20060110670A (ko) * 2005-04-21 2006-10-25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277A (ja) * 1996-12-10 1998-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ねじ締め付け機の締め付け補助装置
JPH11156650A (ja) * 1997-11-28 1999-06-15 Nitto Seiko Co Ltd 自動ねじ締め機
KR20060110670A (ko) * 2005-04-21 2006-10-25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480A (ko) * 2020-05-28 2021-12-08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부품 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807B1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2255B1 (en) Seat apparatus having movable seat used by worker in installing parts within automobile body
KR102083807B1 (ko)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US5765461A (en) Cut-off pieces feed and rest mechanisms for a steel cutting machine
CN208358800U (zh) 多轴上料机械手
CN104117734B (zh) 倒角加工装置
CN108500378B (zh) 一种用于带锯床上的液压导向头及其使用方法
CN113086624A (zh) 一种抱夹式机器人夹具
KR20180010556A (ko) 공작기계
US5531006A (en) Machine for tapering pipe ends with different diameters
CN214516900U (zh) 一种折弯机后挡料传动装置
KR20090132882A (ko) 선체블록 맨홀에서의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20120004649U (ko) 케이블타이 절단기
US7930959B1 (en) Table saw accessory
CN110757178B (zh) 工件校正系统
CN109516252A (zh) 一种可调式卷板放料装置
CN209792721U (zh) 一种便于调节的刨床
CN110501250B (zh) 一种自动送料装置
CN207932599U (zh) 一种移动模组
CN109205192B (zh) 一种用于皮带传输机的驱动皮带调试装置
US9044871B2 (en) Adjustable working area cutting machine
CN212918601U (zh) 一种机床用输送部件
NZ591264A (en) An improved work bench with a mounting for a machine tool
CN215316859U (zh) 一种紧固件自动拧紧装置
KR20200001202A (ko) 가변형 원형톱 작업대
CN215710992U (zh) 一种扶手带辅助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