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097A -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097A
KR20190134097A KR1020180059293A KR20180059293A KR20190134097A KR 20190134097 A KR20190134097 A KR 20190134097A KR 1020180059293 A KR1020180059293 A KR 1020180059293A KR 20180059293 A KR20180059293 A KR 20180059293A KR 20190134097 A KR20190134097 A KR 2019013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quipment
unit
production
data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광
Original Assignee
강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광 filed Critical 강현광
Priority to KR102018005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4097A/ko
Publication of KR2019013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3Modular or univers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e.g. monitoring system having modules that may be combined to build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legacy systems; adaptable monitoring system;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장비의 생산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되 생산장비에 부착된 데이터수집장비와 서버와의 통신상태가 오프라인(Offline)일 경우에도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고 누락되는 데이터가 없어 생산장비의 정확한 생산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생산 장비 또는 관리 장비에 부착되어 이들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장비의 동작 여부, 생산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비와,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로 이루어진 통신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모듈과, 상기 데이터 전송모듈을 통해 통신라인의 On/Off 여부가 확인된 후 통신라인이 Off 상태일 때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자료저장모듈을 포함한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와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로 연결되어 금형장비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된 결과값의 이상 발생시 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부 및 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연산부를 통해 기준값과 비교 완료된 연산값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연산값송출부가 구비된 서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Data collection and operation system for production monitoring}
본 발명은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장비의 생산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되 생산장비에 부착된 데이터수집장비와 서버와의 통신상태가 오프라인(Offline)일 경우에도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고 누락되는 데이터가 없어 생산장비의 정확한 생산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단계로 구성된 일련의 공정을 통해 하나의 제품이 생산되는 경우, 각각의 공정마다 유기적인 연결에 따른 무결성 보장과 신뢰도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무결성을 달성하기 위해 생산 공정에서는 부품의 수입 검사에서부터 각 공정의 이상 유무 판정 및 원인 파악이 가능한 효율적인 품질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주로 완성품을 선별 검사하여 낮은 품질의 제품에 대해서는 폐기 처분하거나 재가공 초치를 취하는 등 사후 품질 관리에 큰 비중을 두었으나, 이러한 사후 품질 관리는 품질 관리에 투입되는 비용에 비해 제품의 품질 향상 정도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아니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완성품에 대한 조치보다는 제조 공정 자체를 관리하여 불량품이 생산되지 않도록 하거나 품질에 대한 신뢰도를 보증할 수 있는 사전 품질관리에 더 큰 비중을 두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전 품질관리 중 일 실시예로서, 통계적 공정 관리(SPC, cal Process Control)이 사용되고 있는데, 통계적 공정 관리는 공정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품질이나 생산성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PDCA(Plan-Do-Check-Act)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통계적 방법으로 공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나가는 관리 방법을 말한다. 특히, 통계적 공정 관리는 통계적 분석 기법의 도움을 받아 공정의 품질 변동을 주는 원인과 공정의 능력상태를 파악하여 주어진 품질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PDCA 사이클을 수행하며 끊임없는 품질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해가는 활동을 의미한다.
여기에 최근 추적 기능(traceability)의 요구, 즉 고려의 대상이 되는 물품의 이력, 적용 또는 소재의 추적을 할 수 있는 기능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기계 부품의 품질 관리에서는 재료구입으로부터 제조 완료까지의 각 제조공정(재료구입, 단조, 열처리, 연삭 등)의 품질, 로트(lot)등의 제조 이력이 각 기계부품과 1대1 또는 로트 단위로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조 이력을 알 수 있으면, 불량품이 발생한 경우의 교환, 불량품 혼입 범위의 특정, 장래의 개선 등의 대처가 용이해지고, 수명 진단이나 기계 고장과 관련해서 사전에 교환도 용이해진다. 또 유사품의 혼입 판별 등도 용이해진다.
한편, 제조공정의 생산 설비나 관리 설비에 이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이들의 생산 효율성, 불량률 등과 같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생산 설비나 관리 설비의 운용에 사용하는 기술로서 [문헌1]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문헌1]에서는 ‘제조업 설비 생산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는데, 생산 설비나 관리 설비에 부착된 센서 또는 바코드 리더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데이터 획득부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위한 IN/OUT 보드, 수신받은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노이즈를 제거하여 유효데이터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로거;, 작업자 인터페이스 PC에 탑재되고, 사용자에 의해 기 입력된 생산조건이나 가동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로부터 수집되는 유효데이터로부터 이벤트 타임 데이터를 추출하고,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유효데이터인리얼 타임 데이터와 상기 이벤트 타임 데이터를 분류하여 전송하는 로거 데이터 처리부;, 상기 로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리얼 타임 데이터를 저장하고 모니터링하는 중간 서버; 및 상기 로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이벤트 타임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서버는 상기 로거 데이터 처리부로터 유효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아 이를 저장하는 리얼타임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리얼타임 데이터를 체크하고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의 구성을 통해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을 중간서버 및 메인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통신장비는 해당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전력 장비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즉, 정전, 단전 등과 같이 전력이 끊기는 경우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시간 동안에는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문헌1] 등록특허 제10-18573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산장비의 생산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되 생산장비에 부착된 데이터수집장비와 서버와의 통신상태가 오프라인(Offline)일 경우에도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고 누락되는 데이터가 없어 생산장비의 정확한 생산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산 장비 또는 관리 장비에 부착되어 이들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장비의 동작 여부, 생산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비와,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로 이루어진 통신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모듈과, 상기 데이터 전송모듈을 통해 통신라인의 On/Off 여부가 확인된 후 통신라인이 Off 상태일 때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자료저장모듈을 포함한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와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로 연결되어 금형장비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된 결과값의 이상 발생시 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부 및 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연산부를 통해 기준값과 비교 완료된 연산값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연산값송출부가 구비된 서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료저장모듈은, 수집된 데이터가 들어오는 위치가 가장 뒤(rear)에 있고, 나가는 데이터는 가장 앞(front)에 위치하는 선입선출의 자료구조를 갖는 DB서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생산 장비에 부착된 데이터 수집장비와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서버와의 통신상태가 오프라인일 경우 데이터 수집장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선입선출(Frist in Frist out, FIFO) 방식을 통해 저장 및 내보내는 자료저장모듈을 통해 생산 장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정전, 단전 등과 같은 전력 공급의 문제가 발생한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자료를 저장 후 전력 복구 후 자료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생산 장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원재료의 관리, 생산량의 관리, 장비별 실제 생산량 및 생산 성능 지표 측정, 재고 관리, 인력 운용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생산 설비의 생산성을 높이며 생산완료 추정치를 산출하고 생산 일정을 관리함으로써 기회비용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1)은, 데이터 수집장비(11)와, 데이터 전송모듈(12)과, 자료저장모듈(13)을 포함한 클라이언트(10)와, 상기 클라이언트(10)와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로 연결된 서버(20)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는, 데이터 수집장비(11)와, 데이터 전송모듈(12)과, 자료저장모듈(13)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11)는,
생산 장비 또는 관리 장비에 부착되어 이들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장비의 동작 여부, 생산량 등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으로,
생산 공정에서 원재료가 투입되어 일정한 형태를 가진 제품을 생산하는 장비 또는 원재료, 완성품 등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비에 부착된다.
이러한 장비의 일 예로서 용융된 원재료가 투입되어 일정시간 압력 및 냉각 공정을 통해 일정한 모양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금형장비가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11)는, 접점센서, 레이져/거리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금형의 동작시 한 쌍의 금형이 접하거나 이격되는 순간을 감지하여 제품의 완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데이터 수집장비(11)는 상술한 금형장비 이외에도 컨베이어벨트에 부착되어 제품의 이동하는 시간, 제품의 무게 등을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11)는 금형장비에 부착되어 금형장비를 통해 생산되는 제품의 생산량을 감지함으로써 1일(1day) 평균 생산량, 원재료의 양, 금형장비의 동작 오류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서버는 해당 금형장비의 표준가동률을 산출하고, 해당 금형장비에서 생산 가능한 물량을 제시할 수 있어 관리자는 산출된 표준가동률 및 생산 가능한 물량을 근거로 해당 금형장비를 통한 1일 평균 생산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 목표량을 산출 및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11)는 통상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라 통칭되는 정보 통신 기술을 융합한 것으로, 해당 금형장비에 부착되어 금형장비의 각종 동작 상태, 동작 시간, 온도, 습도 등과 같은 환경 조건 등을 수집하여 이를 저장하고, 저장된 값의 누적데이터를 통해 해당 금형장비의 정확한 생산량을 산출 또는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해당 금형장비를 통한 안정적인 제품 생산과 동시에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종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운용 시스템에 비해 보다 높은 운용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 전송모듈(12)은,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11)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로 이루어진 통신라인(CL)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유무선 통신모듈(121)과, 통신라인 체크모듈(122)을 포함한다.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121)은 상기 통신라인(CL)과 연통되어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통신라인 체크모듈(122)은 해당 통신라인(CL)의 On/Off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라인 체크모듈(122)은 데이터 수집장비(11)와 후술하는 서버(20)를 1 대 1로 연결하는 통신라인(CL)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해당 통신라인(CL)이 On 인 경우 수집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모듈(121)을 통해 서버(20)로 전송하고, 해당 통신라인(CL)이 Off 인 경우 후술하는 자료저장모듈(13)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121)은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통신모듈을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내부 구조 및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자료저장모듈(13)은,
상기 데이터 전송모듈(12)을 통해 통신라인(CL)의 On/Off 여부가 확인된 후 통신라인(CL)이 Off 상태일 때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11)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선입선출의 자료구조를 갖는 DB서버(131)를 포함한다.
상기 DB서버(131)는, 수집된 데이터가 들어오는 위치가 가장 뒤(rear)에 있고, 나가는 데이터는 가장 앞(front)에 위치하는 것으로 먼저 들어오는 데이터가 먼저 나가도록 구성된 것으로, 우선순위 큐, 원형 큐 등의 베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이때 입력동작은 Enqueue라 하고, 출력 동작은 Dequeue라고 한다.
이때, 상기 DB서버(131)에는 데이터 수집장비(11)로부터 수집된 금형장비의 이벤트 발생 시간, 동작 상태, 금형장비의 온도, 1CT의 소요시간 등이 저장되며,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통신라인 체크모듈(122)이 해당 통신라인(CL)이 On 상태인 것을 감지하면 서버(20)로 전송하도록 유무선 통신모듈(121)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DB서버(131)는 저장된 데이터를 그룹(Group)화하여 전송함으로써 통신 부하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CT란, 반복적 제품 생산의 과정 중에서 1회에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CT는 Cycle Time이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클라이언트(10)와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로 연결되어 금형장비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1)와, 상기 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연산부(22)와, 상기 연산부(22)에서 산출된 결과값의 이상 발생시 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부(23) 및 연산값송출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21)는 전송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데이터 저장에 대한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연산부(22)는, 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저장부(21)에 저장되기 전의 데이터를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으로, 여기서 기 저장된 기준값이란 해당 금형장비의 1CT에 소요되는 시간, 해당 금형장비의 온도 등을 해당 금형장비에서 양품의 제품을 생산할 때 요구되는 값을 설정한 것이다.
즉, 해당 금형장비에서 양품의 제품이 생산될 때 필요한 최적의 값을 각각의 조건에 맞추어 저장한 것으로, 이 기준값과 전송된 데이터를 대비하여 상기 기준값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데이터가 발생할 경우 이를 후술하는 알림부(23)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연산부(22)는 누적된 데이터를 통해 해당 금형장비에 필요한 1CT 값을 재산출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다수개의 금형품번을 대상으로 해당 금형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일자, 사출호기, 기준C/V(Cavity), 현재 C/V, 현재 CT(Cycle Time), 손해 C/V, 기준수량, 현수량, 손해수량을 연산한다.
연산된 값 중 기준수량에서 현수량을 미달된 금형품번의 현CT값을 확인하고, 해당 금형품번의 현CT값을 조절하거나 해당 금형품번의 생산 목표량을 조절함으로써 CT의 개선 및 금형장비 나아가 공장 운영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알림부(23)는, 상기 연산부(22)를 통해 전송된 해당 금형장비의 이상여부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해당 금형장비에 대해서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자 단말기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이상신호발생모듈(미도시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20)와 연통된 데스크탑, 무선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부(23)는 상기의 연산부(22)를 통해 연산된 손해수량 또는 손해C/V가 현수량 또는 기준 C/V의 값에 대해 일정 범위 이하의 결과값이 산출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 단말기로 알려줌으로써 해당 금형장비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부(23)는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상신호 또는 알림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연산값송출부(24)는, 해당 금형장비에 부착된 QR코드를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식하는 경우, 해당 금형장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으로,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연산부(22)를 통해 연산된 값 중 금형품번, 현재C/V, 현CT, 손해 C/V 등과 같이 해당 금형장비의 동작 제어가 필요한 값이 선택되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금형장비에 설치되는 데이터 수집장비를 통해 해당 금형장비의 동작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이를 디지털 데이터화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금형장비의 실제 생산량을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생산 장비별 실제 생산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통신라인이 Off 상태일 경우 해당 금형장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자료저장모듈로 순차적으로 저장 후 통신라인이 복구되어 On 상태일 때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통신 두절시 손실되는 데이터가 없도록 함으로써 생산량 산출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정확한 생산량을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금형장비의 동작 제어가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공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10 : 클라이언트
11 : 데이터 수집장비 12 : 데이터 전송모듈
13 : 자료저장모듈
20 : 서버
21 : 저장부 22 : 연산부
23 : 알림부 24 : 연산값송출부

Claims (2)

  1. 생산 장비 또는 관리 장비에 부착되어 이들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장비의 동작 여부, 생산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비(11)와,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11)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로 이루어진 통신라인(CL)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모듈(12)과,
    상기 데이터 전송모듈(12)을 통해 통신라인(CL)의 On/Off 여부가 확인된 후 통신라인(CL)이 Off 상태일 때 상기 데이터 수집장비(11)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자료저장모듈(13)을 포함한 클라이언트(10);와,
    상기 클라이언트(10)와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이들 모두로 연결되어 금형장비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1)와,
    상기 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연산부(22)와,
    상기 연산부(22)에서 산출된 결과값의 이상 발생시 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부(23) 및
    호출 신호 발생시 상기 연산부(22)를 통해 기준값과 비교 완료된 연산값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연산값송출부(24)가 구비된 서버(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저장모듈(13)은,
    수집된 데이터가 들어오는 위치가 가장 뒤(rear)에 있고, 나가는 데이터는 가장 앞(front)에 위치하는 선입선출의 자료구조를 갖는 DB서버(13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KR1020180059293A 2018-05-24 2018-05-24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KR20190134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93A KR20190134097A (ko) 2018-05-24 2018-05-24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93A KR20190134097A (ko) 2018-05-24 2018-05-24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97A true KR20190134097A (ko) 2019-12-04

Family

ID=6900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293A KR20190134097A (ko) 2018-05-24 2018-05-24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40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9183A1 (pt) * 2021-07-08 2023-01-12 Leao Barcellos Andre Sistema e processo de monitoramento de produção de máquin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41B1 (ko) 2016-01-28 2018-05-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조업 설비 생산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41B1 (ko) 2016-01-28 2018-05-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조업 설비 생산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9183A1 (pt) * 2021-07-08 2023-01-12 Leao Barcellos Andre Sistema e processo de monitoramento de produção de máquin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965B1 (ko) 공장 자동화 설비의 효율적 관리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예지 보전 시스템
US93832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gauge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or other data collection system
CN106598791B (zh) 一种基于机器学习的工业设备故障预防性识别方法
CN107390636A (zh) 一种数控设备运行监测方法和维护方法及系统
KR102302395B1 (ko) 뿌리산업 장비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mes 플랫폼 및 그 운용 방법
US20150310723A1 (en) Trending machine health data using rfid transponders
CN104281104B (zh) 一种异常工况信息处理系统及方法
WO2018151112A1 (ja) 製造装置オンライン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3345209B (zh) 生产监控方法及系统
CN103778472A (zh) 行动化建置产品履历系统及产线作业的管控方法
CN105049223A (zh) 一种电力通信网缺陷故障处理决策辅助分析方法
CN109615090A (zh) 设备维保智能控制系统及方法
CN109117526B (zh) 一种适用于机械系统设备维修指引数据记录及分析系统
CN109269707A (zh) 可识别信息化云管控风机螺母拧紧工艺检测方法
KR102120677B1 (ko) Ict기술을 활용한 사출기 성능측정시스템
CN110597196A (zh) 数据采集系统及数据采集方法
CN108229913A (zh) 基于移动终端的工厂制造执行系统
US20160203445A1 (en) Work order integration and equipment status tracking
CN106468910A (zh) 用于控制、监控和调节的系统和运行这种系统的方法
Cachada et al. Using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data collection in maintenance 4.0
CN113487267A (zh) 一种物料全生命周期管理及寿命自动计算的系统与方法
CN114707970B (zh) 一种电解生产参数确定方法
CN105242655A (zh) 基于物联网的工业现场监控装置
CN105335770A (zh) 生产异常事件实时管理系统
KR20190134097A (ko) 생산량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운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