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482A -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482A
KR20190133482A KR1020180058477A KR20180058477A KR20190133482A KR 20190133482 A KR20190133482 A KR 20190133482A KR 1020180058477 A KR1020180058477 A KR 1020180058477A KR 20180058477 A KR20180058477 A KR 20180058477A KR 20190133482 A KR20190133482 A KR 20190133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obesity
white kidney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완
김도훈
박유화
Original Assignee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3482A/ko
Priority to PCT/KR2019/003131 priority patent/WO2019225847A1/ko
Publication of KR2019013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흰강낭콩 추출물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및 항비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An anti-obesity or body fat reduc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from a white kidney bean and a mushroom}
본 발명은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흰강낭콩 추출물과 아위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흰강낭콩 추출물과 아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도록 하여 약학적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에 대해 '건강을 해칠 정도로 지방 조직에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질이 축적되는 상태로 체질량지수 30kg/m2를 초과하는 상태”로 정하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은 비만에 대하여 25kg/m2를 초과하는 상태로, 고도 비만은 30kg/m2를 초과하는 상태로 정하고 있다.
비만은 환경적, 유전적, 정신적, 내분비적 요인 등의 여러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되는 질환이며, 비만과 동반되는 질환에는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뇌졸중,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수면 무호흡증, 폐질환, 암 등이 있다. 비만은 이들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에 직접 관여하므로, 사회 경제적인 비용이 높은 질환이다.
지난 20 년간 비만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2015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의하면 성인 인구의 33.2% (남자: 39.7%, 여자 26.5%)가 비만으로 조사되어 성인 3명 중에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밝혀졌다.
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간된 백서에 따르면 비만 유병률이 2002년 29.3%에서 2013년 31.7% 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보고서에서 2013년 비만의 사회 경제적 비용은 6조7700억원으로 2005년 3조400억원 대비 2.22배 증가하였고,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인 2,050억~4,225억과 대비하여 약 17배가 증가하였다. 2005년과 비교하여 흡연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1.62배 증가하고,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1.56배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비만의 손실 규모가 최근 급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체중을 포함한 비만과 관련된 진료비는 2005년 1조7천억원에서 2013년 4조4천억원으로 2.6배 상승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만치료제는 벨빅(성분 Lorcaserin), 콘트라브(성분 Bupropion/Naltrexone), 푸리민(성분 Phentemine), 푸링(성분 Phendimetrazine) 및 삭센다(Glucagon-Like Peptide 1) 등이 있다. 비만의 궁극적인 치료 목표는, 체중 감량을 넘어, 비만과 관련하여 동반되는 질환의 개선과 예방에 있다. 따라서 비만 치료제는 `장기간 사용` 시 보다 안전하고, 여러 동반 질환 관리에 있어서도 이점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판매되고 있는 의약품은 어지러움, 구역, 변비, 구갈, 우울증 등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체지방 감소와 관련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는 총 27가지의 원료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대표적인 원료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미역 등 복합추출물, 와일드 망고 종자 추출물 등이 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간질환과 관련된 안전성 문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 재평가를 받았으며, 미역 등 복합추출물 또한 효력을 입증할 만한 인체 적용시험 결과가 부족한 상황이다.
국내의 체지방 감소용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은 대부분 해외의 효능 원료를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 복용 시 안전성 및 유효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체지방 감소용 기능성의 새로운 원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7651호
본 발명은 부작용이 적고 인체에 안전하며, 비만의 예방 또는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인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흰강낭콩 추출물과 아위버섯 추출물을 혼합한 것으로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은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 효과가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α-아밀라아제(amylase) 저해 시험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별 α-아밀라아제 저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리파제(triglyceride lipase) 활성 시험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별 리파제 활성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체지방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체중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체중 측정 변화를 각각 날짜 별로, 그리고 실험군 별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체지방량 변화에 관하여 각각 총지방량, 복부지방량 및 피하지방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분변 내 탄수화물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간에서 트리글레세라이드(triglyceride)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오랫동안 사용하고 섭취해온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 중에서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얻고자 노력하였고,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의 혼합 추출물이 뛰어난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흰강낭콩 추출물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흰강낭콩과 아위버섯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은 추출, 농축 및 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바람직하게는 탄소소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수득된 추출물은 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로 더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시 열을 가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위버섯 추출물을 추출할 때에 열을 가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및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의 함량비는 추출물을 건조시킨 고형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1:1~1:5 및 1:1~5:1, 바람직하게는 1:1~5: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4:1로 한다.
본 발명의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은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의약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은 약제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경피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코팅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액상 제제로는 수성 액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또는 멸균 주사용액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말토덱스트린) 및 D-솔비톨분말, 이산화규소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와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은 치료해야 할 질환 및 개체의 상태에 따라 경구제, 주사제, 흡입제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적당한 제형으로 제제화 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현탁액, 유제, 동결건조제제가 포함된다.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라는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은 동물시험 결과를 토대로 1.5g/day 이하의 유효성분을 1일 투여 용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1일 투여량이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0.1 ~ 300mg/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연령, 체중, 성별 등)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하루 동안 나뉘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흰강낭콩 아위버섯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공정에 따라 흰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var. albus Bailey)과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흰강낭콩 건조 분말 5kg에 정제수를 3~10배수 가하고 24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제조된 추출액을 여과하고(No.2 whatman, Maidstone, England), 여액을 감압 상태에서 농축시켜(rotary vacuum evaporator) 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PVTFD10R, ILSHIN, Daejeon, Korea) 최종적으로1.07kg의 흰강낭콩 추출 분말을 얻었다.
아위버섯 건조 분말 5kg에 정제수를 3~10배수 가하고 80℃에서10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제조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상태에서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물에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분무건조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01kg의 아위버섯 추출 분말을 얻었다.
흰강낭콩 추출 분말 및 아위버섯 추출 분말을 각각 -20℃의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하기 실험 시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α-아밀라아제(amylase) 저해 시험을 통한 항비만 효과 평가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은 효소 반응에 의해 감소하는 가용성 전분의 양을 요오드 반응법으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인체 타액 유래의 α-아밀라아제를 PBS(인산염 완충액)에 20 unit/ml 농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고, α-아밀라아제의 기질로서 가용성 전분을 PBS(인산염 완충액)에 1% 농도로 녹여서 사용하였다.
α-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290μl PBS, 10μl α-아밀라아제 용액(20unit/ml) 및 50μl 추출물(1.0 mg/ml)을 혼합한 후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한 혼합물에 기질인 1% 가용성 전분 350μl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후 잔존하는 가용성 전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반응액(700μl)에 300μl 요오드 용액(0.1% KI + 0.01% I2/0.05N HCl)을 가하여 발색시키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α-아밀라아제 저해제의 표준물질로서 아카보즈(acarbose) 물질 100μg/ml의 농도로 DMSO에 녹여서 추출물과 비교 평가하였다.
시험군은 흰강낭콩 추출분말, 아위버섯 추출분말,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의 혼합 추출 분말(1:1~1:5 및 1:1~5:1) 군으로 평가하였다(혼합된 추출물의 농도도 1.0 mg/ml를 유지하도록 한다). 대조군에서는 표준물질(acarbose)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은 대조군, 시험군, black 1 및 2의 각 조성 및 시험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시험 조성물의 조성
대조군 추출물 시험군 Blank 1 Blank 2
α-아밀라아제 용액(20unit/ml) 10 μl 10 μl
PBS 완충액 290 μl 290 μl 300 μl 300 μl
저해제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 - 50 μl - 50 μl
표준물질 (아카보즈) DMSO 용액 50 μl - 50 μl -
프리 인큐베이션 (37℃, 10분간)
1% 가용성 전분 용액 350 μl 350 μl 350 μl 350 μl
인큐베이션 (37℃, 10분간)
I2 용액 (0.1% KI + 0.01% I2/0.05N HCl) 300 μl 300 μl 300 μl 300 μl
OD 측정 (620nm)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은 흰강낭콩 추출 분말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 실시예 3] TGL ( triglyceride lipase) 활성 시험을 통한 항비만 효과 평가
리파제(Lipase)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를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비만치료제인 오르리스타트(orlistat)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해하는 리파제에 비가역적인 결합을 하여 이를 불활성화 시킴으로써 체내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흡수 및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감소시킨다. 분해되지 못한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은 미변환체로 대변으로 배설된다.
트리글리세라이드 리파제(TGL) 활성 평가의 표준물질로서 오르리스타트를 100μg/ml의 농도로 DMSO에 녹여서 추출물과 비교 평가하였다.
16μl 기질(substrate) 혼합물(120mM Tauricholic acid 용액 5ul + 1M Enzyme Assay buffer(1M NaH2PO4, 1M NaCl, pH 7.0) 10ul + 400mM P-NPB(p-니트로페닐 부티레이트) 1ul)을 각 웰(96well plate)에 넣는다. 각 웰에 표준물질인 오르리스타트 함유 DMSO 용액 54 ul 또는 추출물(농도 250μg/ml) 54 ul을 넣는다. 플레이트 리더(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효소(2mg/ml TGL solution 10ul + 0.1% BSA 완충액 20ul)를 웰에 넣어 혼합한 후, 빛을 차단하고, 10분간 상온에서 인큐베이션 시킨다.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시험군은 흰강낭콩 추출 분말, 아위버섯 추출 분말, 흰강낭콩 추출물과 아위버섯 추출물의 혼합물(1:1~1:5 및 1:1~5:1)을 사용한 군으로 평가하였다(단일의 추출물 및 혼합된 추출물 농도는 모두 250μg/ml가 되도록 한다). 음성 대조군(control group)은 추출물이나 시험물질을 넣지 않은 것이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은 아위버섯 비율이 증가할수록 트리글리세라이드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 실시예 4] 고지방 식이(45% HFD ) 비만 유발모델에서 추출물의 혼합비율별 항비만 효과 평가
8주령의 C57BL/6J 수컷 마우스 33마리를 일주일 간 적응시킨 후, 고지방 식이 (45% HFD(Research diet, D12451) pellet form-free diet)를 2주 동안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2주 후 다음과 같이 5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i)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음성 대조군[Con(-), n=10], 이하 'Con(-)'이라 칭함],
(ii) 고지방식이에 오르리스타트와 아카보스(orlistat+acarbose)를 혼합하여 섭취한 양성 대조군(HFD+orlistat+acarbose, n=8, 이하 'Con(+)'이라칭함),
(iii)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1:1)를 투여한 실험군1(HFD+mixture, n=8, 이하 'Case1'이라 칭함),
(iv)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2:1)를 투여한 실험군2(HFD+mixture, n=8, 이하 'Case2'이라 칭함),
(v)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3:1)를 투여한 실험군3(HFD+mixture, n=8, 이하 'Case3'이라 칭함)
실험 기간 동안 음수와 식이는 자유롭게 급여하였으며, 체지방량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시험 용량은 200mg/kg으로 투여 진행 하였다.
항비만 조성물[Case 3] 혼합 추출물이, 고지방식이 투여군[Con(-)] 대비 8주차에서 체지방량 및 체중을 감소시키는 경향성을 도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지방식이의 섭취가 체지방량 및 체중을 증가시켰고,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Case3]의 섭취가 이러한 체지방량 및 체중 증가를 억제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실시예 5] 고지방 식이 비만 유발모델에서 추출물 농도별 항비만 효과 평가
동물시험 및 식이
8주령의 C57BL/6J 수컷 84마리를 8주간(56일간) 하기와 같은 7개 시험군 별로 구별하여 식이를 적용하였다.
시험군은7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i) 일반식이만을 섭취한 군(n=12), 이하 'G1'이라 칭함,
(ii)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n=12), 이하 'G2'이라 칭함,
(iii) 고지방식이에 제니칼(orlistat 40mg/kg/day)를 혼합하여 섭취한 군 (HFD+orlistat, n=12, 이하 'G3'이라 칭함),
(iv) 고지방식이에 가르시니아 캄보지아(200mg/kg/day)를 혼합하여 섭취한 군 (HFD+가르시니아 캄보지아, n=12, 이하 'G4'이라 칭함),
(v)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3:1 100mg/kg/day)를 투여한 군(HFD+mixture, n=12, 이하 'G5'이라 칭함),
(vi)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3:1 200mg/kg/day)를 투여한 군(HFD+mixture, n=12, 이하 'G6'이라 칭함),
(vii)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3:1 300mg/kg/day)를 투여한 군(HFD+mixture, n=12, 이하 'G7'이라 칭함).
시험 기간 동안 음수와 식이는 자유롭게 급여하였으며, ① 체중(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일, 그 이후에는 주 2회 및 부검일에 측정), ② 체지방(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 후 8주째(부검 전)에 모든 동물의 체지방량을 마이크로-CT(Micro-CT)로 촬영하여 측정), ③ 분변 내 탄수화물의 함량(항비만 조성물 투여 후 8주차 시료에 대하여 ELISA분석으로 측정), ④ 간 조직 내 TG(트리글리세라이드)(항비만 조성물 투여 전, 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 후 4, 6, 7 주째 및 8주째(부검시)에 채혈하여 분리한 혈청으로 분석) 변화 등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군의 구성 및 투여량의 설정은 하기 표 2와 같다:
시험군의 구성 및 투여량 설정
비만
유도여부
동물수
(마리)
투여물질 투여량
(mg/kg/day)
투여액량
(mL/kg/day)
투여횟수
G1 N 12 D.W - 10 2 회/일
G2 Y 12 D.W - 10 2 회/일
G3 Y 12 오르리스타트 40 10 2 회/일
G4 Y 12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200 10 2 회/일
G5 Y 12 저용량 항비만 조성물 100 10 2 회/일
G6 Y 12 중용량 항비만 조성물 200 10 2 회/일
G7 Y 12 고용량 항비만 조성물 300 10 2 회/일
일반증상 및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정상식이 대조군 대비 10% 이상의 체중증가가 유발된 동물 84마리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1) 체중변화 측정
항비만 조성물 투여개시일, 그 이후에는 주 2회 및 부검일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항비만 조성물 투여개시 전, 모든 비만유도군 (G2-G7)의 체중 수준은 정상 대조군(G1)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또한 유발대조군(G2)에서는 전 관찰기간동안 정상대조군(G1)에 비해 유의한 체중증가를 보였다(p<0.001).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이는 고지방식이의 섭취가 체중이 증가시켰음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 고용량군(G7)의 섭취가 이러한 체중 증가를 억제한 것을 의미한다.
(2) 마이크로 CT를 이용한 지방량 분석
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 후 8주째(부검 전)에 모든 동물의 체지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Micro-CT(vivaCT 8-, SCANCO Medical, Switzerland)로 촬영하였다. 체지방의 측정 부위는 2번째 요추 기시부로부터 5번째 요추 종지부(L2-L5)까지의 공간에 존재하는 복부 지방 및 피하 지방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유발대조군(G2)은 비유발대조군에 비해, 총지방량, 복부지방량 및 피하지방량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p<0.001).
이는 고지방식이의 섭취가 체내 총지방량, 복부지방량 및 피하지방량 증가시켰음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 고용량군(G7)의 섭취가 이러한 체지방 증가를 억제한 것을 의미한다.
(3) 분변 내 탄수화물함량 측정
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 전, 그 이후에는 주 1회 각 사육상자별로 분변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분변은 분석 전까지 초저온 냉동고(약 -70℃이하)에 보관하였으며, 항비만 조성물 투여 후 2주 및 8주차 시료에 대하여 ELISA분석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변 분석결과, 유발대조군(G2)과 비교시 고용량 항비만 조성물 투여군(G7)에서는 8주차에 탄수화물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를 도 8에 나타내었다(p<0.001).
이는 고용량 항비만 조성물(G7)의 투여가 탄수화물의 흡수를 방해하여 체내 지방의 축적 억제한 것을 의미한다.
(4) 간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 triglyceride ) 함량 측정
부검일에 동물을 에테르(ether)로 흡입마취하고, 마취가 확인되면 개복하여 후대정맥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한 뒤, 복대동맥 및 후대정맥을 절단하여 방혈 및 치사시켰다. 간 조직을 적출한 후, 분석 전까지 초저온 냉동고(약 -70℃이하)에 보관 후ELISA 분석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장 내 TG(triglyceride) 함량 분석 결과, 유발대조군(G2)은 비유발대조군(G1)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001), 유발대조군(G2)에 비해 고용량 항비만 조성물 투여군(G7)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를 도9에 나타내었다.(p<0.005).
이는 항비만 조성물 투여가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상승한 TG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체내의 지방 축적을 억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은 부작용이 적어 인체에 안전하고, 비만의 예방 또는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4)

  1. 흰강낭콩 추출물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및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은 추출 시 열을 가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또는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후, 비극성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더 추출한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및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의 함량비는 건조시킨 고형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1:1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및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의 함량비는 건조시킨 고형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2:1 내지 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시 열을 가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후, 비극성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더 추출한 것인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 기능성 식품.
  14. 제7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 기능성 식품.
KR1020180058477A 2018-05-23 2018-05-23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KR20190133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77A KR20190133482A (ko) 2018-05-23 2018-05-23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PCT/KR2019/003131 WO2019225847A1 (ko) 2018-05-23 2019-03-18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77A KR20190133482A (ko) 2018-05-23 2018-05-23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482A true KR20190133482A (ko) 2019-12-03

Family

ID=6861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477A KR20190133482A (ko) 2018-05-23 2018-05-23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33482A (ko)
WO (1) WO20192258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651A (ko) 2002-04-12 2009-01-19 아레나 파마슈티칼스, 인크. 5ht2c 수용체 조절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475B1 (ko) * 2013-05-16 2013-12-13 주식회사 소울네이처푸드 부작용 없이 건강하게 체중감량이 가능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89955B1 (ko) * 2013-05-21 2014-04-30 주식회사 위즈코즈 리테일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갖는 코팅 정제의 제조 방법
KR20150048698A (ko) * 2015-04-21 2015-05-07 경상북도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 2015-05-27 2016-12-08 경상북도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855005B1 (ko) * 2016-11-21 2018-05-04 최종철 흰강낭콩을 함유하는 기능성 곡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651A (ko) 2002-04-12 2009-01-19 아레나 파마슈티칼스, 인크. 5ht2c 수용체 조절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5847A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072B1 (ko)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EP1757324A2 (en) Agen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CN1972701A (zh) 抑制食欲的组合物和方法
KR101425466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691205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7934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7175A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77266B1 (ko)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226824B1 (ko)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3603B1 (ko) 녹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EP1331939B1 (en) Murraya koenigii extracts for treating asthma
KR20190133482A (ko)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JP6133005B2 (ja) 一次胆汁酸及び二次胆汁酸生成調節剤
KR20150102833A (ko) 상백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6016340A (ja) ザク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尿酸値低下剤
KR20190126565A (ko)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7569B1 (ko)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KR100773246B1 (ko) 연령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혈당강하용 조성물
KR20130096587A (ko) 액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