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482A -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3482A KR20190133482A KR1020180058477A KR20180058477A KR20190133482A KR 20190133482 A KR20190133482 A KR 20190133482A KR 1020180058477 A KR1020180058477 A KR 1020180058477A KR 20180058477 A KR20180058477 A KR 20180058477A KR 20190133482 A KR20190133482 A KR 201901334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mposition
- obesity
- white kidney
- alcoho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4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579 anti-obesity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6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40054810 white kidney bean extract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21332 kidney bea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454 non-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44000252132 Pleurotus eryngii Species 0.000 abstract 2
- 235000001681 Pleurotus eryngii Nutrition 0.000 abstract 2
- 235000009200 high fat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02000004139 alpha-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8090000637 alpha-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29940024171 alpha-amylase Drugs 0.000 description 10
- AHLBNYSZXLDEJQ-FWEHEUNISA-N orlistat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H](OC(=O)[C@H](CC(C)C)NC=O)C[C@@H]1OC(=O)[C@H]1CCCCCC AHLBNYSZXLDEJQ-FWEHEUNISA-N 0.000 description 9
- 229960001243 orlistat Drugs 0.000 description 9
- 102000004882 Lip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8090001060 Lip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UFXOAAUWZOOIT-SXARVLRPSA-N (2R,3R,4R,5S,6R)-5-[[(2R,3R,4R,5S,6R)-5-[[(2R,3R,4S,5S,6R)-3,4-dihydroxy-6-methyl-5-[[(1S,4R,5S,6S)-4,5,6-trihydroxy-3-(hydroxymethyl)-1-cyclohex-2-enyl]amino]-2-oxanyl]oxy]-3,4-dihydroxy-6-(hydroxymethyl)-2-oxanyl]oxy]-6-(hydroxymethyl)oxane-2,3,4-triol Chemical compound O([C@H]1O[C@H](CO)[C@H]([C@@H]([C@H]1O)O)O[C@H]1O[C@@H]([C@H]([C@H](O)[C@H]1O)N[C@@H]1[C@@H]([C@@H](O)[C@H](O)C(CO)=C1)O)C)[C@@H]1[C@@H](CO)O[C@@H](O)[C@H](O)[C@H]1O XUFXOAAUWZOOIT-SXARVLRPSA-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60002632 acarbose Drugs 0.000 description 5
- XUFXOAAUWZOOIT-UHFFFAOYSA-N acarviostatin I01 Natural products OC1C(O)C(NC2C(C(O)C(O)C(CO)=C2)O)C(C)OC1OC(C(C1O)O)C(CO)OC1OC1C(CO)OC(O)C(O)C1O XUFXOAAUWZOO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579 abdominal fa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490 abdominal subcutaneous fa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888 aut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593508 Garcin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885 Garcinia xanthochym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92 amyl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26 lipase activ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603 microC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compound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091 Ana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ZMJBYMUCKBYSCP-UHFFFAOYSA-N Hydroxy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C(O)(C(O)=O)CC(O)=O ZMJBYMUCKBYSC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67 Lip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87 Necr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005 anaesth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83 anti-obesit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21 lip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228 liver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VDUMIQZEUTAGK-UHFFFAOYSA-N p-nitrophenyl butyrate Chemical compound CCCC(=O)OC1=CC=C([N+]([O-])=O)C=C1 DVDUMIQZEUTA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 transdermal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710171801 Alpha-amylase inhibi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7 Animal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928 Dyslipid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891 General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800000224 Glucagon-like peptid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DTHNMHAUYICORS-KTKZVXAJSA-N Glucagon-like peptide 1 Chemical compound C([C@@H](C(=O)N[C@@H]([C@@H](C)CC)C(=O)N[C@@H](C)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O)N[C@@H](CCCCN)C(=O)NCC(=O)N[C@@H](CCCNC(N)=N)C(N)=O)NC(=O)[C@H](CCC(O)=O)NC(=O)[C@H](CCCCN)NC(=O)[C@H](C)NC(=O)[C@H](C)NC(=O)[C@H](CCC(N)=O)NC(=O)CNC(=O)[C@H](CCC(O)=O)NC(=O)[C@H](CC(C)C)NC(=O)[C@H](CC=1C=CC(O)=CC=1)NC(=O)[C@H](CO)NC(=O)[C@H](CO)NC(=O)[C@@H](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O)=O)NC(=O)[C@H](C)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C=C1 DTHNMHAUYICORS-KTKZVXAJ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2 Irvingia gabo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170 Lipid metabolis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93 Lung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813 Naus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MFOCDFTXLCYLKU-CMPLNLGQSA-N Phendimetrazine Chemical compound O1CCN(C)[C@@H](C)[C@@H]1C1=CC=CC=C1 MFOCDFTXLCYLKU-CMPLNLGQ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350 Pleuro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40918 Pro-glucago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17 R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012 Spondias pin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710 antiobesity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1 assay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2191 bupropion / naltrex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781 dry mou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4 endocr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911 enzyma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52 enzyme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42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TTZERNUQAFMOF-QMMMGPOBSA-N lorcaserin Chemical compound C[C@H]1CNCCC2=CC=C(Cl)C=C12 XTTZERNUQAFMOF-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60 lorcase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93 nause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90 normal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4 optical density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436 phendimetraz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67 re-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859 sleep a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072 type 2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흰강낭콩 추출물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및 항비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흰강낭콩 추출물과 아위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흰강낭콩 추출물과 아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도록 하여 약학적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에 대해 '건강을 해칠 정도로 지방 조직에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질이 축적되는 상태로 체질량지수 30kg/m2를 초과하는 상태”로 정하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은 비만에 대하여 25kg/m2를 초과하는 상태로, 고도 비만은 30kg/m2를 초과하는 상태로 정하고 있다.
비만은 환경적, 유전적, 정신적, 내분비적 요인 등의 여러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되는 질환이며, 비만과 동반되는 질환에는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뇌졸중,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수면 무호흡증, 폐질환, 암 등이 있다. 비만은 이들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에 직접 관여하므로, 사회 경제적인 비용이 높은 질환이다.
지난 20 년간 비만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2015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의하면 성인 인구의 33.2% (남자: 39.7%, 여자 26.5%)가 비만으로 조사되어 성인 3명 중에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밝혀졌다.
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간된 백서에 따르면 비만 유병률이 2002년 29.3%에서 2013년 31.7% 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보고서에서 2013년 비만의 사회 경제적 비용은 6조7700억원으로 2005년 3조400억원 대비 2.22배 증가하였고,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인 2,050억~4,225억과 대비하여 약 17배가 증가하였다. 2005년과 비교하여 흡연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1.62배 증가하고,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1.56배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비만의 손실 규모가 최근 급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체중을 포함한 비만과 관련된 진료비는 2005년 1조7천억원에서 2013년 4조4천억원으로 2.6배 상승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만치료제는 벨빅(성분 Lorcaserin), 콘트라브(성분 Bupropion/Naltrexone), 푸리민(성분 Phentemine), 푸링(성분 Phendimetrazine) 및 삭센다(Glucagon-Like Peptide 1) 등이 있다. 비만의 궁극적인 치료 목표는, 체중 감량을 넘어, 비만과 관련하여 동반되는 질환의 개선과 예방에 있다. 따라서 비만 치료제는 `장기간 사용` 시 보다 안전하고, 여러 동반 질환 관리에 있어서도 이점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판매되고 있는 의약품은 어지러움, 구역, 변비, 구갈, 우울증 등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체지방 감소와 관련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는 총 27가지의 원료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대표적인 원료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미역 등 복합추출물, 와일드 망고 종자 추출물 등이 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간질환과 관련된 안전성 문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 재평가를 받았으며, 미역 등 복합추출물 또한 효력을 입증할 만한 인체 적용시험 결과가 부족한 상황이다.
국내의 체지방 감소용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은 대부분 해외의 효능 원료를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 복용 시 안전성 및 유효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체지방 감소용 기능성의 새로운 원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부작용이 적고 인체에 안전하며, 비만의 예방 또는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인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흰강낭콩 추출물과 아위버섯 추출물을 혼합한 것으로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은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 효과가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α-아밀라아제(amylase) 저해 시험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별 α-아밀라아제 저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리파제(triglyceride lipase) 활성 시험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별 리파제 활성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체지방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체중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체중 측정 변화를 각각 날짜 별로, 그리고 실험군 별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체지방량 변화에 관하여 각각 총지방량, 복부지방량 및 피하지방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분변 내 탄수화물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간에서 트리글레세라이드(triglyceride)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α-아밀라아제(amylase) 저해 시험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별 α-아밀라아제 저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리파제(triglyceride lipase) 활성 시험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별 리파제 활성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체지방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항비만 조성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체중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체중 측정 변화를 각각 날짜 별로, 그리고 실험군 별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체지방량 변화에 관하여 각각 총지방량, 복부지방량 및 피하지방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분변 내 탄수화물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모델에서 8주 반복 투여 후, 항비만 조성물의 용량에 따른 간에서 트리글레세라이드(triglyceride)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오랫동안 사용하고 섭취해온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 중에서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얻고자 노력하였고,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의 혼합 추출물이 뛰어난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흰강낭콩 추출물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흰강낭콩과 아위버섯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은 추출, 농축 및 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바람직하게는 탄소소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수득된 추출물은 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로 더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시 열을 가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위버섯 추출물을 추출할 때에 열을 가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및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의 함량비는 추출물을 건조시킨 고형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1:1~1:5 및 1:1~5:1, 바람직하게는 1:1~5:1, 더욱 바람직하게는 2:1~4:1로 한다.
본 발명의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은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의약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은 약제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경피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코팅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액상 제제로는 수성 액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또는 멸균 주사용액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말토덱스트린) 및 D-솔비톨분말, 이산화규소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와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은 치료해야 할 질환 및 개체의 상태에 따라 경구제, 주사제, 흡입제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적당한 제형으로 제제화 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현탁액, 유제, 동결건조제제가 포함된다.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라는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은 동물시험 결과를 토대로 1.5g/day 이하의 유효성분을 1일 투여 용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1일 투여량이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0.1 ~ 300mg/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연령, 체중, 성별 등)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하루 동안 나뉘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공정에 따라 흰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var. albus Bailey)과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흰강낭콩 건조 분말 5kg에 정제수를 3~10배수 가하고 24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제조된 추출액을 여과하고(No.2 whatman, Maidstone, England), 여액을 감압 상태에서 농축시켜(rotary vacuum evaporator) 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PVTFD10R, ILSHIN, Daejeon, Korea) 최종적으로1.07kg의 흰강낭콩 추출 분말을 얻었다.
아위버섯 건조 분말 5kg에 정제수를 3~10배수 가하고 80℃에서10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제조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상태에서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물에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분무건조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01kg의 아위버섯 추출 분말을 얻었다.
흰강낭콩 추출 분말 및 아위버섯 추출 분말을 각각 -20℃의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하기 실험 시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α-아밀라아제(amylase) 저해 시험을 통한
항비만
효과 평가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은 효소 반응에 의해 감소하는 가용성 전분의 양을 요오드 반응법으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인체 타액 유래의 α-아밀라아제를 PBS(인산염 완충액)에 20 unit/ml 농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고, α-아밀라아제의 기질로서 가용성 전분을 PBS(인산염 완충액)에 1% 농도로 녹여서 사용하였다.
α-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290μl PBS, 10μl α-아밀라아제 용액(20unit/ml) 및 50μl 추출물(1.0 mg/ml)을 혼합한 후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한 혼합물에 기질인 1% 가용성 전분 350μl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후 잔존하는 가용성 전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반응액(700μl)에 300μl 요오드 용액(0.1% KI + 0.01% I2/0.05N HCl)을 가하여 발색시키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α-아밀라아제 저해제의 표준물질로서 아카보즈(acarbose) 물질 100μg/ml의 농도로 DMSO에 녹여서 추출물과 비교 평가하였다.
시험군은 흰강낭콩 추출분말, 아위버섯 추출분말,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의 혼합 추출 분말(1:1~1:5 및 1:1~5:1) 군으로 평가하였다(혼합된 추출물의 농도도 1.0 mg/ml를 유지하도록 한다). 대조군에서는 표준물질(acarbose)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은 대조군, 시험군, black 1 및 2의 각 조성 및 시험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대조군 | 추출물 시험군 | Blank 1 | Blank 2 | |
α-아밀라아제 용액(20unit/ml) | 10 μl | 10 μl | ||
PBS 완충액 | 290 μl | 290 μl | 300 μl | 300 μl |
저해제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 | - | 50 μl | - | 50 μl |
표준물질 (아카보즈) DMSO 용액 | 50 μl | - | 50 μl | - |
프리 인큐베이션 (37℃, 10분간) | ||||
1% 가용성 전분 용액 | 350 μl | 350 μl | 350 μl | 350 μl |
인큐베이션 (37℃, 10분간) | ||||
I2 용액 (0.1% KI + 0.01% I2/0.05N HCl) | 300 μl | 300 μl | 300 μl | 300 μl |
OD 측정 (620nm) |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은 흰강낭콩 추출 분말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
실시예
3]
TGL
(
triglyceride
lipase) 활성 시험을 통한
항비만
효과 평가
리파제(Lipase)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를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비만치료제인 오르리스타트(orlistat)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해하는 리파제에 비가역적인 결합을 하여 이를 불활성화 시킴으로써 체내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흡수 및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감소시킨다. 분해되지 못한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은 미변환체로 대변으로 배설된다.
트리글리세라이드 리파제(TGL) 활성 평가의 표준물질로서 오르리스타트를 100μg/ml의 농도로 DMSO에 녹여서 추출물과 비교 평가하였다.
16μl 기질(substrate) 혼합물(120mM Tauricholic acid 용액 5ul + 1M Enzyme Assay buffer(1M NaH2PO4, 1M NaCl, pH 7.0) 10ul + 400mM P-NPB(p-니트로페닐 부티레이트) 1ul)을 각 웰(96well plate)에 넣는다. 각 웰에 표준물질인 오르리스타트 함유 DMSO 용액 54 ul 또는 추출물(농도 250μg/ml) 54 ul을 넣는다. 플레이트 리더(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효소(2mg/ml TGL solution 10ul + 0.1% BSA 완충액 20ul)를 웰에 넣어 혼합한 후, 빛을 차단하고, 10분간 상온에서 인큐베이션 시킨다.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시험군은 흰강낭콩 추출 분말, 아위버섯 추출 분말, 흰강낭콩 추출물과 아위버섯 추출물의 혼합물(1:1~1:5 및 1:1~5:1)을 사용한 군으로 평가하였다(단일의 추출물 및 혼합된 추출물 농도는 모두 250μg/ml가 되도록 한다). 음성 대조군(control group)은 추출물이나 시험물질을 넣지 않은 것이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은 아위버섯 비율이 증가할수록 트리글리세라이드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
실시예
4] 고지방 식이(45%
HFD
) 비만 유발모델에서 추출물의 혼합비율별 항비만 효과 평가
8주령의 C57BL/6J 수컷 마우스 33마리를 일주일 간 적응시킨 후, 고지방 식이 (45% HFD(Research diet, D12451) pellet form-free diet)를 2주 동안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2주 후 다음과 같이 5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i)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음성 대조군[Con(-), n=10], 이하 'Con(-)'이라 칭함],
(ii)
고지방식이에 오르리스타트와 아카보스(orlistat+acarbose)를 혼합하여 섭취한 양성 대조군(HFD+orlistat+acarbose, n=8, 이하 'Con(+)'이라칭함),
(iii)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1:1)를 투여한 실험군1(HFD+mixture, n=8, 이하 'Case1'이라 칭함),
(iv)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2:1)를 투여한 실험군2(HFD+mixture, n=8, 이하 'Case2'이라 칭함),
(v)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3:1)를 투여한 실험군3(HFD+mixture, n=8, 이하 'Case3'이라 칭함)
실험 기간 동안 음수와 식이는 자유롭게 급여하였으며, 체지방량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시험 용량은 200mg/kg으로 투여 진행 하였다.
항비만 조성물[Case 3] 혼합 추출물이, 고지방식이 투여군[Con(-)] 대비 8주차에서 체지방량 및 체중을 감소시키는 경향성을 도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지방식이의 섭취가 체지방량 및 체중을 증가시켰고,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Case3]의 섭취가 이러한 체지방량 및 체중 증가를 억제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실시예
5] 고지방 식이 비만 유발모델에서 추출물 농도별
항비만
효과 평가
동물시험 및 식이
8주령의 C57BL/6J 수컷 84마리를 8주간(56일간) 하기와 같은 7개 시험군 별로 구별하여 식이를 적용하였다.
시험군은7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i)
일반식이만을 섭취한 군(n=12), 이하 'G1'이라 칭함,
(ii)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n=12), 이하 'G2'이라 칭함,
(iii)
고지방식이에 제니칼(orlistat 40mg/kg/day)를 혼합하여 섭취한 군 (HFD+orlistat, n=12, 이하 'G3'이라 칭함),
(iv)
고지방식이에 가르시니아 캄보지아(200mg/kg/day)를 혼합하여 섭취한 군 (HFD+가르시니아 캄보지아, n=12, 이하 'G4'이라 칭함),
(v)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3:1 100mg/kg/day)를 투여한 군(HFD+mixture, n=12, 이하 'G5'이라 칭함),
(vi)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3:1 200mg/kg/day)를 투여한 군(HFD+mixture, n=12, 이하 'G6'이라 칭함),
(vii)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흰강낭콩:아위버섯 3:1 300mg/kg/day)를 투여한 군(HFD+mixture, n=12, 이하 'G7'이라 칭함).
시험 기간 동안 음수와 식이는 자유롭게 급여하였으며, ① 체중(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일, 그 이후에는 주 2회 및 부검일에 측정), ② 체지방(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 후 8주째(부검 전)에 모든 동물의 체지방량을 마이크로-CT(Micro-CT)로 촬영하여 측정), ③ 분변 내 탄수화물의 함량(항비만 조성물 투여 후 8주차 시료에 대하여 ELISA분석으로 측정), ④ 간 조직 내 TG(트리글리세라이드)(항비만 조성물 투여 전, 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 후 4, 6, 7 주째 및 8주째(부검시)에 채혈하여 분리한 혈청으로 분석) 변화 등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군의 구성 및 투여량의 설정은 하기 표 2와 같다:
군 | 비만 유도여부 |
동물수 (마리) |
투여물질 | 투여량 (mg/kg/day) |
투여액량 (mL/kg/day) |
투여횟수 |
G1 | N | 12 | D.W | - | 10 | 2 회/일 |
G2 | Y | 12 | D.W | - | 10 | 2 회/일 |
G3 | Y | 12 | 오르리스타트 | 40 | 10 | 2 회/일 |
G4 | Y | 12 |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 200 | 10 | 2 회/일 |
G5 | Y | 12 | 저용량 항비만 조성물 | 100 | 10 | 2 회/일 |
G6 | Y | 12 | 중용량 항비만 조성물 | 200 | 10 | 2 회/일 |
G7 | Y | 12 | 고용량 항비만 조성물 | 300 | 10 | 2 회/일 |
일반증상 및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정상식이 대조군 대비 10% 이상의 체중증가가 유발된 동물 84마리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1)
체중변화 측정
항비만 조성물 투여개시일, 그 이후에는 주 2회 및 부검일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항비만 조성물 투여개시 전, 모든 비만유도군 (G2-G7)의 체중 수준은 정상 대조군(G1)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0.001). 또한 유발대조군(G2)에서는 전 관찰기간동안 정상대조군(G1)에 비해 유의한 체중증가를 보였다(p<0.001).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이는 고지방식이의 섭취가 체중이 증가시켰음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 고용량군(G7)의 섭취가 이러한 체중 증가를 억제한 것을 의미한다.
(2)
마이크로 CT를 이용한 지방량 분석
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 후 8주째(부검 전)에 모든 동물의 체지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Micro-CT(vivaCT 8-, SCANCO Medical, Switzerland)로 촬영하였다. 체지방의 측정 부위는 2번째 요추 기시부로부터 5번째 요추 종지부(L2-L5)까지의 공간에 존재하는 복부 지방 및 피하 지방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유발대조군(G2)은 비유발대조군에 비해, 총지방량, 복부지방량 및 피하지방량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p<0.001).
이는 고지방식이의 섭취가 체내 총지방량, 복부지방량 및 피하지방량 증가시켰음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 고용량군(G7)의 섭취가 이러한 체지방 증가를 억제한 것을 의미한다.
(3)
분변
내 탄수화물함량 측정
항비만 조성물 투여 개시 전, 그 이후에는 주 1회 각 사육상자별로 분변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분변은 분석 전까지 초저온 냉동고(약 -70℃이하)에 보관하였으며, 항비만 조성물 투여 후 2주 및 8주차 시료에 대하여 ELISA분석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변 분석결과, 유발대조군(G2)과 비교시 고용량 항비만 조성물 투여군(G7)에서는 8주차에 탄수화물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를 도 8에 나타내었다(p<0.001).
이는 고용량 항비만 조성물(G7)의 투여가 탄수화물의 흡수를 방해하여 체내 지방의 축적 억제한 것을 의미한다.
(4)
간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
triglyceride
) 함량 측정
부검일에 동물을 에테르(ether)로 흡입마취하고, 마취가 확인되면 개복하여 후대정맥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한 뒤, 복대동맥 및 후대정맥을 절단하여 방혈 및 치사시켰다. 간 조직을 적출한 후, 분석 전까지 초저온 냉동고(약 -70℃이하)에 보관 후ELISA 분석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장 내 TG(triglyceride) 함량 분석 결과, 유발대조군(G2)은 비유발대조군(G1)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001), 유발대조군(G2)에 비해 고용량 항비만 조성물 투여군(G7)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를 도9에 나타내었다.(p<0.005).
이는 항비만 조성물 투여가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상승한 TG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체내의 지방 축적을 억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은 부작용이 적어 인체에 안전하고, 비만의 예방 또는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4)
- 흰강낭콩 추출물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및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은 추출 시 열을 가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또는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후, 비극성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더 추출한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및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의 함량비는 건조시킨 고형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1:1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흰강낭콩 추출물 및 상기 아위버섯 추출물의 함량비는 건조시킨 고형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2:1 내지 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시 열을 가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후, 비극성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더 추출한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 기능성 식품.
- 제7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 기능성 식품.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8477A KR20190133482A (ko) | 2018-05-23 | 2018-05-23 |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
PCT/KR2019/003131 WO2019225847A1 (ko) | 2018-05-23 | 2019-03-18 |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8477A KR20190133482A (ko) | 2018-05-23 | 2018-05-23 |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3482A true KR20190133482A (ko) | 2019-12-03 |
Family
ID=6861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8477A KR20190133482A (ko) | 2018-05-23 | 2018-05-23 |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33482A (ko) |
WO (1) | WO2019225847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7651A (ko) | 2002-04-12 | 2009-01-19 | 아레나 파마슈티칼스, 인크. | 5ht2c 수용체 조절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1475B1 (ko) * | 2013-05-16 | 2013-12-13 | 주식회사 소울네이처푸드 | 부작용 없이 건강하게 체중감량이 가능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389955B1 (ko) * | 2013-05-21 | 2014-04-30 | 주식회사 위즈코즈 리테일 |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갖는 코팅 정제의 제조 방법 |
KR20150048698A (ko) * | 2015-04-21 | 2015-05-07 | 경상북도 |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20160141027A (ko) * | 2015-05-27 | 2016-12-08 | 경상북도 |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
KR101855005B1 (ko) * | 2016-11-21 | 2018-05-04 | 최종철 | 흰강낭콩을 함유하는 기능성 곡류 제조 방법 |
-
2018
- 2018-05-23 KR KR1020180058477A patent/KR201901334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
- 2019-03-18 WO PCT/KR2019/003131 patent/WO201922584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7651A (ko) | 2002-04-12 | 2009-01-19 | 아레나 파마슈티칼스, 인크. | 5ht2c 수용체 조절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225847A1 (ko) | 2019-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8072B1 (ko) |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
EP1757324A2 (en) | Agen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 |
CN1972701A (zh) | 抑制食欲的组合物和方法 | |
KR101425466B1 (ko) | 발효 청미래덩굴 잎,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
KR101691205B1 (ko) |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729003B1 (ko) |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002298B1 (ko)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50057333A (ko) |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1497109B1 (ko) |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557934B1 (ko) |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50097175A (ko) |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277266B1 (ko) |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 |
KR101226824B1 (ko) |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 |
KR101735061B1 (ko) |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923603B1 (ko) | 녹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
EP1331939B1 (en) | Murraya koenigii extracts for treating asthma | |
KR20190133482A (ko) | 흰강낭콩 및 아위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 |
KR102470155B1 (ko) |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 |
JP6133005B2 (ja) | 一次胆汁酸及び二次胆汁酸生成調節剤 | |
KR20150102833A (ko) | 상백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JP2006016340A (ja) | ザク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尿酸値低下剤 | |
KR20190126565A (ko) |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507569B1 (ko) |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 |
KR100773246B1 (ko) | 연령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혈당강하용 조성물 | |
KR20130096587A (ko) | 액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