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315A -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315A
KR20190132315A KR1020190147672A KR20190147672A KR20190132315A KR 20190132315 A KR20190132315 A KR 20190132315A KR 1020190147672 A KR1020190147672 A KR 1020190147672A KR 20190147672 A KR20190147672 A KR 20190147672A KR 20190132315 A KR20190132315 A KR 20190132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area
unit
value
for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297B1 (ko
Inventor
김종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9014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2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를 개시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차동값을 라벨링값으로 변환하는 라벨링 과정을 수행하는 라벨링부; 상기 라벨링값의 변화를 스캔하여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손바닥 영역 검출부; 상기 손바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단위 블럭들에 망각 카운트 값을 세팅하는 제1 연산과 상기 손바닥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에서 이전 프레임에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된 상기 단위 블럭들의 상기 망각 카운트값을 업데이트하는 제2 연산을 포함하는 망각 연산을 수행하는 망각 연산부; 및 상기 망각 카운트 값을 갖는 상기 단위 블럭들을 상기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하는 손바닥 영역 확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ING OF DIFFERENTIAL TOUCH SENSING SYSTEM}
본 발명은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 터치와 구분하여 손바닥 터치에 의한 손바닥 영역의 변화를 감지하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 등에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기능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 대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표시장치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며, 터치 기능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조합되는 터치 패널로 구현된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가 텍스트나 이미지 또는 아이콘 등을 누름에 따라서 기기를 조작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투명 스위치 패널을 의미한다.
터치 패널은 정전식으로 터치 인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정전식 터치 인식을 구현하는 터치 패널의 일예로 "뮤추얼 캐패시턴스 터치 센싱 장치"가 "미국공개특허 US 2009/0091551호"로 공개된 바 있다.
일반적인 터치 센싱 시스템은 정정 용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동 방식으로 센싱하도록 개발되는 경우가 있다.
차동 방식으로 센싱 신호가 구동되는 경우, 터치 센싱 시스템은 노이즈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터치 감도와 센싱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최근 모바일 기기와 같이 터치 센싱 시스템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고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개발되고 있다. 그에 따라서 터치 센싱 시스템도 고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터치를 정확히 인식하도록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터치 센싱 시스템은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에 의한 터치를 정상 터치로 인식하도록 구현된다.
상기한 터치 인식 환경에서 사용자는 손을 터치 패널에 접촉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를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이나 터치 펜에 의한 터치 영역 이외에 손바닥 영역이 터치로 인식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손바닥 영역은 손바닥이나 손의 측면이 터치 패널에 접촉하여 인식된 영역을 의미하며, 대개 손가락이나 터치 펜에 의한 터치 영역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상기한 손바닥 영역은 정상 터치를 인식하는데 장애로 작용하며, 손바닥 영역으로 인하여 정상 터치의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터치 센싱 시스템은 정상 터치와 구분하여서 손바닥 영역을 정확히 인식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손바닥 영역은 손의 움직임에 따라서 축소되거나 확대될 수 있다. 만약, 손바닥 영역이 축소된 경우 손바닥 영역은 정상 터치로 오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상 터치와 손바닥 영역을 정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의 움직임에 따라 손바닥 영역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축소된 손바닥 영역을 정상 터치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는, 센싱한 프레임의 단위 블럭 별 차동값을 라벨링값으로 변환하는 라벨링 과정을 수행하는 라벨링부; 상기 프레임의 각 센싱 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라벨링값의 변화를 스캔하여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손바닥 영역 검출부; 상기 손바닥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단위 블럭들에 망각 카운트 값을 세팅하는 제1 연산과 상기 손바닥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에서 이전 프레임에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된 상기 단위 블럭들의 상기 망각 카운트값을 업데이트하는 제2 연산을 포함하는 망각 연산을 수행하는 망각 연산부; 및 상기 망각 연산의 수행 후 상기 망각 카운트 값을 갖는 상기 단위 블럭들을 상기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하는 손바닥 영역 확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현재 프레임에서 검출된 손바닥 영역에 대하여 망각 카운트값을 세팅하는 단계; 이전 프레임에서 정의된 확장된 손바닥 영역 중 상기 손바닥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망각 카운트값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세팅 및 업데이트에 의하여 상기 망각 카운트값이 유지되는 영역을 상기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상 터치와 손바닥 영역을 구분할 수 있어서 정확한 터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의 움직임에 따른 손바닥 영역의 변화를 감지하고 망각 카운트값을 일정 기간 유지하여 확장된 손바닥 영역을 관리함으로써 손바닥 영역을 정상 터치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터치 인식을 구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어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의하여 수행되는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라벨링 전 차동값을 갖는 센싱 데이터를 예시한 파형도.
도 5는 라벨링을 위하여 변환된 라벨링값의 변화를 예시한 파형도.
도 6은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라벨링값의 맵.
도 7은 프레임 별 망각 카운트값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손의 움직임에 따른 손바닥 영역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은 터치 패널 상에서 손바닥 영역을 감지하고, 손의 움직임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손바닥 영역을 정상 터치와 구분하여 인식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은 의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은 PWM 제어부(10), 구동 회로(12), 터치 패널(14), 센싱 회로(16) 및 이미지 버퍼(18) 및 제어 회로(20)를 포함할 수 있다.
PWM 제어부(10)는 주기적인 센싱을 위한 구동 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 회로(12)는 구동 펄스에 동기된 구동 신호를 터치 패널(14)로 제공한다. 이때, 구동 신호는 차동 방식으로 터치 패널(14)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은 다수의 구동 라인(도시되지 않음)과 다수의 센싱 라인(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구동 라인과 다수의 센싱 라인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대개 이격된 공간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을 공유하도록 서로 교차하거나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라인에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센싱 라인에서 센싱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터치에 의하여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센싱 신호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반영한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즉, 터치 패널(14)은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대응한 센싱 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센싱 회로(16)는 터치 패널(14)에서 차동 방식으로 인가되는 센싱 신호를 이미지 버퍼(18)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센싱 회로(16)는 센싱 신호의 증폭이나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버퍼(18)는 터치 패널(14)의 풀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단위의 저장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센싱 회로(16)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값을 갖도록 변환하여 저장한 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미지 버퍼(18)는 디지털 신호로 센싱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어 회로(20)는 이미지 버퍼(1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인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제어 회로(20)에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는 터치 패널(14)의 프레임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로우 데이터는 터치 패널(14)의 프레임 영역에 대한 다수의 스캔 라인들의 위치 별로 구분되어 디지털 값이 맵핑된 차동값을 갖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1의 제어 회로(20)는 칩 내에 좌표를 계산하기 위한 펌웨어(Firmware)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회로(20)는 터치의 인식, 터치에 대한 좌표 계산 및 노이즈 감지 등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제어 회로(20)는 손바닥 영역을 정상 터치와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기능과 손의 움직임에 따른 손바닥 영역 변화를 인식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 회로(20)는 현재 프레임에서 검출된 손바닥 영역에 대하여 망각 카운트값을 세팅하는 단계, 이전 프레임에서 정의된 확장된 손바닥 영역 중 상기 손바닥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망각 카운트값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세팅 및 업데이트에 의하여 상기 망각 카운트값이 유지되는 영역을 상기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20)는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차동값들을 라벨링값으로 변환하는 라벨링 단계 및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각 센싱 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라벨링값의 변화를 스캔하여 상기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제어 회로(20)는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회로(20)는 라벨링부(30), 손바닥 영역 검출부(32), 망각 연산부(34) 및 손바닥 영역 확장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라벨링부(30)는 각 좌표 별 즉 단위 블럭 별로 차동값을 갖는 센싱 데이터를 이미지 버퍼(18)에서 수신하고, 프레임의 단위 블럭 별 차동값을 라벨링값으로 변환하는 라벨링 과정을 수행한다. 즉, 라벨링부(30)는 도 3의 라벨링(S2)을 수행하여서 도 5의 차동값으로부터 도 5의 라벨링 영역을 구한다. 여기에서, 센싱 데이터는 차동값들이 맵핑된 로우 데이터(Raw Data)이다.
라벨링 과정은 미리 정해진 문턱값 이상의 차동값을 갖는 단위 블럭들의 라벨링값을 프레임의 단위 블럭 별로 맵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라벨링 영역은 도 5의 차동값을 스캔 방향으로 적산한 도 4와 같이 일정 이상의 포지티브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을 뜻한다.
그리고, 문턱값은 포지티브값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라벨링값은 문턱값 보다 큰 값을 가지는 영역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라벨링 영역을 구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미지 버퍼(18)에서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는 프레임의 단위 블럭 별로 차동값이 맵핑된 로우 데이터이며, 센싱 데이터는 각 센싱 라인 별로 도 5와 같이 스캔 방향으로 변화되는 차동값을 갖는다.
센싱 데이터의 차동값들은 넓은 면적으로 감지되는 손바닥 터치에 대응하여 스캔 방향으로 넓은 범위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즉, 센싱 데이터의 차동값들은 영역 P와 같이 스캔 방향으로 포지티브의 큰 값을 가지다가 그 다음은 작은 네가티브값 분포를 가지면서 가변 범위가 크지 않은 값을 가지며 다시 네가티브값의 큰 값을 가지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라벨링을 위하여 상기한 도 5의 차동값들에 대한 문턱값이 설정될 수 있다. 라벨링은 도 5와 같이 문턱값 이상의 차동값들을 갖는 영역들을 하나의 라벨로 묶는 과정이며, 그 결과 프레임에 대한 맵핑된 라벨링값들이 도 6의 점선부분과 같이 얻어질 수 있다.
이때, 문턱값은 차동값들의 특성을 감안하여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된 레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경우 문턱값은 '10'이 적용된 것을 예시한다.
상기한 라벨링 과정은 일반적으로 도 4에서 일정 문턱값 이상을 가지는 많은 수의 포지티브 값 들에 대해 수행하는 것 대신 일정 이상의 포지티브 기울기를 가지는 제한적인 영역에 대하여 수행함으로써 많은 연산량을 줄일 수 효과를 갖는다.
한편,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프레임의 각 센싱 라인에 대응하는 도 5와 같은 라벨링 영역을 스캔 방향으로 확장하여 손바닥 영역을 검출한다. 즉,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도 3의 라벨링값 스캔 및 손바닥 영역 판단(S4)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스캔 방향에 대하여 라벨링값들이 도 5와 같이 미리 설정된 손바닥 영역 문턱 값 이상의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한 판단 조건을 만족하면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상기한 판단 조건을 만족한 단위 블럭들을 손바닥 영역에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한 손바닥 영역 검출부(32)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도 5와 같이 라벨링 영역을 기준으로 스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손바닥 영역 문턱값 '-10' 이상의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손바닥 영역을 확장시킨다.
도 5의 예시로 영역 P는 라벨링 영역을 기준으로 스캔 방향에 대하여 라벨링값이 '15, 15, 25, 5, 8, -8, 6, 2, -2, 9, -5 '의 순으로 가변되므로 상기한 손바닥 영역 문턱 값 이상의 영역을 만족한다.
또한,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손바닥 영역을 판단함에 있어서 도 6과 같이 가로와 세로의 크기가 정해진 단위 면적을 갖는 단위 손바닥 영역(UP1, UP2, UP3, UP4, UP5)을 스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단위 손바닥 영역(UP1, UP2, UP3,UP4, UP5)의 집합을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 단위 손바닥 영역(UP1, UP2, UP3, UP4, UP5)은 가로와 세로의 크기가 각각 3개의 단위 블럭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가변 범위를 만족하는 라벨링 영역을 기준으로 스캔 방향에 대하여 유지되는 마지막 위치까지 단위 손바닥 영역(UP1, UP2, UP3, UP4, UP5)으로 판단한다.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단위 손바닥 영역(UP1, UP5)과 같이, 손바닥 영역에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단위 블럭이 하나 이상 즉 하나만 존재하여도 인접한 다른 단위 블럭들도 단위 손바닥 영역(UP1, UP5)으로 판단한다.
즉, 단위 손바닥 영역(UP5)는 손바닥 영역으로 판단되지 않는 값들( -17, -15, -16, -23, -25, -22)이 동일 센싱 라인 또는 다른 센싱 라인에 존재한다. 그러나, 단위 손바닥 영역(UP5)에는 라벨링 영역에서 스캔 방향으로 손바닥 영역에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값 즉 '5, 3, -3'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단위 손바닥 영역( UP5)은 '-5, 3, -3'이 존재하는 단위 블럭과 그에 인접한 나머지 네 개의 단위 블럭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도 6의 경우 단위 손바닥 영역(UP1, UP2, UP3, UP4, UP5)을 라벨링 영역을 기준으로 스캔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판단한 이들의 집합에 대해 단위 손바닥 영역의 개수를 세어 일정 문턱 횟수 이상을 유지할 때 최종 손바닥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도 8의 F 와 P 의 구분과 같이 손가락과 손바닥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일예로 상술한 손바닥 영역 검출부(32)는 도 8 (a)와 같이 영역 P를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스캔 방향에 대하여 포지티브 영역과 네가티브 영역이 큰 차동값을 가지면서 작은 영역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영역 F는 정상 터치로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 터치와 손바닥 영역을 정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어서 터치 인식의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망각 연산부(34)는 제1 연산과 제2 연산을 포함하는 망각 연산을 수행한다.
제1 연산은 도 3의 단계 S6에 대응되며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된 단위 블럭들에 망각 카운트값을 세팅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연산은 도 3의 도 8에 대응되며 손바닥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에서 이전 프레임에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된 단위 블럭들의 망각 카운트값을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망각 연산부(34)의 제1 연산에서 세팅은 망각 카운트 시작값을 망각 카운트값으로 대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망각 카운트 시작값은 망각 카운트 범위로 설정된 값 중 최대값이 적용될 수 있다. 망각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은 망각 카운트 범위를 0 내지 10으로 적용한 것을 예시하고 망각 카운트 시작값을 10으로 적용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망각 연산부(34)의 제2 연산에서 업데이트는 망각 카운트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손바닥 영역 확장부(36)는 망각 연산 후 망각 카운트 값을 갖는 단위 블럭들을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힌다. 즉, 손바닥 영역 확장부(36)는 도 3의 단계 S10을 수행하여 망각 카운트값이 소멸되지 않고 '0' 이상을 갖는 영역을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한다.
상기한 망각 연산부(34)와 손바닥 영역 확장부(36)의 동작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망각 연산부(34)는 도 7 (a)와 같이 최초로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 P에 대한 망각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a)에 대한 망각 연산은 영역 P에 포함된 단위 블럭들에 망각 카운트값을 세팅하는 제1 연산을 포함하며, 그 결과 영역 P의 단위 블럭들에 망각 카운트 시작값 '10'이 세팅된다.
도 7 (a)에 대한 망각 연산은 이전 프레임에서 정의된 확장된 손바닥 영역이 없기 때문에 망각 카운트값 업데이트를 위한 제2 연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7 (a)의 단계에서 손바닥 영역 확장부(36)는 망각 카운트 시작값 '10'이 세팅된 단위 블럭들을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한다.
그 후 망각 연산부(34)는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프레임들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라벨링한 결과에 대응하여 망각 연산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죽, 망각 연산부(34)는 도 7 (b)와 같이 현재 프레임에서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 Pa에 포함된 단위 블럭들에 대하여 망각 카운트 시작값 '10'을 세팅하는 제1 연산을 수행한다. 제1 연산에 의하여, 망각 카운트 시작값 '10'은 영역 Pa에 포함된 단위 블럭들에 일괄적으로 세팅된다.
그리고, 망각 연산부(34)는 도 7 (b)에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된 영역 Pa에서 제외된 영역 A1의 단위 블럭들에 대하여 제2 연산을 수행하여 망각 카운트값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즉, 망각 연산부(34)는 영역 A1의 단위 블럭들에 설정된 망각 카운트값을 한 단계씩 감소시킨다. 그에 따라서 영역 A1의 망각 카운트값은 '10'에서 '9'로 감소된다.
도 7 (b)의 단계에서 망각 연산부(34)에 의한 망각 연산이 완료되면, 손바닥 영역 확장부(36)는 망각 연산에 의하여 망각 카운트값이 소멸되지 않고 '0' 이상 유지하는 영역들을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한다. 즉, 도 7 (b)에서 영역 Pa와 영역 A1이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한 망각 연산은 도 7 (c)의 단계에도 적용되며, 도 7 (c)에서 현재 프레임에 대한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 Pb에 망각 카운트 시작값 '10'이 설정되고, 영역 Pb에서 제외된 영역 A1 및 A2의 단위 블럭들에 설정된 망각 카운트 값이 한 단계씩 감소된다. 그리고, 도 7 (c)에서 영역 Pb와 영역 A1 및 A2가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센싱되는 프레임에 대응하여 망각 연산부(34)에 의한 망각 연산과 손바닥 영역 확장부(36)에 의한 확장된 손바닥 영역 정의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손의 움직임에 의하여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된 일부 영역이 후속 프레임에서 지속적으로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영역의 단위 블럭들의 망각 카운트값은 도 7 (d)의 영역 A1과 같이 '0'에 도달하여 소멸된다.
즉,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된 영역 또는 단위 블럭은 망각 카운트값이 소멸될 때까지 다시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되지 않으면 그 후 다시 손바닥 영역으로 검출될 때까지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확장된 손바닥 영역이 확대 및 축소되고 망각 카운트값이 관리되므로 손바닥 영역을 정상 터치로 오판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바닥 영역은 도 8 (a)의 영역 P로 인식되었다가 손의 움직임에 의하여 도 8 (b)의 영역 P1, P2로 인식되었다가, 도 8 (c)의 영역 P3로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8 (b)의 영역 P1, P2는 면적이 좁아서 정상 터치로 오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도 8 (a)에서 손바닥 영역으로 인식된 영역 P는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되고, 도 8 (b)에서 이전 프레임에서 확장된 손바닥 영역 P로 정의된 단위 블록들의 망각 카운트값은 소멸되지 않고 감소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도 8 (b)에서 영역 P1, P2가 손바닥 영역으로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도, 영역 P1, P2는 망각 카운트값이 유지되어서 확장된 손바닥 영역(P)으로 인식된다. 결국 도 8 (b)의 영역 P1, P2는 정상 터치로 오인되지 않고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에서 손바닥 영역을 정상 터치와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일시적으로 축소된 손바닥 영역을 정상 터치로 오인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정확한 터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10 : PWM 제어부 12 : 구동 회로
14 : 터치 패널 16 : 센싱 회로
18 : 이미지 버퍼 20 : 제어 회로
30 : 라벨링부 32 : 손바닥 영역 검출부
34 : 망각 연산부 36 : 손바닥 영역 확장부

Claims (7)

  1. 현재 프레임에서 검출된 손바닥 영역에 대하여 망각 카운트값을 세팅하는 단계;
    이전 프레임에서 정의된 확장된 손바닥 영역 중 상기 손바닥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망각 카운트값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세팅 및 업데이트에 의하여 상기 망각 카운트값이 유지되는 영역을 상기 확장된 손바닥 영역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차동값들을 라벨링값으로 변환하는 라벨링 단계; 및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각 센싱 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라벨링값의 변화를 스캔하여 상기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문턱값 이상을 유지하는 라벨링 영역을 기준으로 스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다른 문턱값 이상을 유지하는 단위 블럭을 상기 손바닥 영역에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영역은 단위 손바닥 영역의 집합으로 형성하고,
    상기 단위 손바닥 영역은 가로와 세로의 크기가 정해진 단위 면적을 가지며 상기 스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판단하며,
    상기 단위 손바닥 영역은 상기 손바닥 영역에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 블럭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로 정의되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각 카운트값의 세팅은 망각 카운트 시작값으로 상기 망각 카운트값을 대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망각 카운트 시작값은 망각 카운트 범위로 설정된 값 중 최대값인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망각 카운트값의 업데이트는 상기 망각 카운트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90147672A 2019-11-18 2019-11-18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KR102142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72A KR102142297B1 (ko) 2019-11-18 2019-11-18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72A KR102142297B1 (ko) 2019-11-18 2019-11-18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608A Division KR102047976B1 (ko) 2013-02-21 2013-02-21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315A true KR20190132315A (ko) 2019-11-27
KR102142297B1 KR102142297B1 (ko) 2020-08-07

Family

ID=6873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72A KR102142297B1 (ko) 2019-11-18 2019-11-18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2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335A (ja) * 2007-08-16 2009-03-05 Lg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90070605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오작동을 방지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00076921A (ko) * 2010-05-12 2010-07-06 (주)코아리버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11113188A (ja) * 2009-11-25 2011-06-09 Sanyo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の信号処理回路
KR20120051274A (ko) * 2010-11-12 2012-05-22 채상우 터치 감지영역모양 입력장치용 감지영역모양
KR20120089101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멀티 터치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335A (ja) * 2007-08-16 2009-03-05 Lg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20090070605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오작동을 방지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1113188A (ja) * 2009-11-25 2011-06-09 Sanyo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の信号処理回路
KR20100076921A (ko) * 2010-05-12 2010-07-06 (주)코아리버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20051274A (ko) * 2010-11-12 2012-05-22 채상우 터치 감지영역모양 입력장치용 감지영역모양
KR20120089101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멀티 터치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297B1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0725B2 (ja)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電子装置、ベースライン値の更新方法および更新プログラム
US9632646B2 (en) Electronic apparatus
US9542904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40026440A (ko) 용량성 터치 스크린 간섭 검출 및 동작
JP6320256B2 (ja) 静電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
KR20160111575A (ko) 터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78937A (ko)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KR102047976B1 (ko)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US10283075B2 (en) Electronic apparatus which effects touch coordinate based on proximity and strain
US11163403B2 (en) Touch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06895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3592B1 (ko) 터치 검출 시스템 및 터치 검출 방법
KR101567012B1 (ko) 터치패널 장치 및 터치패널의 터치 검출 방법
KR102142297B1 (ko)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KR102092664B1 (ko)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좌표 선택 회로 및 방법
US20190272078A1 (en) Floating touch control sensing method, floating touch control sen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213459B2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KR102187813B1 (ko)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JP2021026422A (ja) 操作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20200192503A1 (en) Touch panel device, touch panel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the program stored therein
US11972082B2 (en) Touch contro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877594B2 (en) Touch panel device, touch panel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the program stored therein
KR101903415B1 (ko)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40030741A (ko) 터치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KR20140147465A (ko) 터치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