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921A -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921A
KR20100076921A KR1020100044660A KR20100044660A KR20100076921A KR 20100076921 A KR20100076921 A KR 20100076921A KR 1020100044660 A KR1020100044660 A KR 1020100044660A KR 20100044660 A KR20100044660 A KR 20100044660A KR 20100076921 A KR20100076921 A KR 20100076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ordinates
touch pad
display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1625B1 (ko
Inventor
배종홍
남상준
김병희
전영욱
김윤기
곽현수
김영욱
지석현
한정희
Original Assignee
(주)코아리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리버 filed Critical (주)코아리버
Priority to KR102010004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6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Abstract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로부터 멀티 터치 좌표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 터치 인식 방법은 터치 패드의 각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 데이터를 입력받아, 터치 데이터 중 최대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최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으면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싱글 터치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최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제 1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한다. 그 후 제 2 멀티 터치 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터치 데이터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를 차감하고,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검출하고,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제 2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AN APPARATUS AND AN METHOD FOR DETECTING MULTIPLE TOUCHES ON TOUCH SCREEN}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로부터 멀티 터치 좌표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및 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예컨대,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핸드폰, PDA, 휴대용 게임기 등과 같은 무선 기기에서 LCD 화면 위에 투명한 터치패드가 삽입되는 터치스크린 분야에 그 활용도가 점점 증가해가는 추세에 있다.
터치 패드가 패드에 터치된 좌표를 검출 방법은, 사람의 손가락 또는 패드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2차원 평면 상에서 접촉된 X, Y 좌표를 산출하는 것이다. 소정의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좌표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좌표값과 시간의 변화를 함께 고려하여, 손가락의 이동 속도나 방향 등을 계산하게 된다. 또한, 손가락이 누르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접촉 면적의 차이가 발생하고, 그 결과 검출되는 정전 용량의 크기가 다르게 되므로, 검출되는 정전 용량의 크기를 기준으로 접촉의 강도를 측정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이를 Z 방향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정전 용량 뿐만 아니라, 압력, 온도 등을 이용하여, 터치 패드 상에 발생한 터치 좌표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1 은 터치 패드와 손가락이 접촉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터치 패드 (100) 와 엄지 손가락 (120) 및 검지 손가락 (110) 이 접촉된다. 도 1 에서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의 터치 패드 쪽에 생기는 색의 변화는 터치 패드에 발생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터치 패드 (100) 의 내부에는 가로 및 세로로 복수개의 금속 라인이 배설되어 있고, 이들 금속 라인이 서로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터치 패드 (100) 와 손가락이 접촉될 경우 각각의 금속 라인 (또는 채널) 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각 금속 라인에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의 변화를 통하여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회로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 2007-0097184 호, 제 2008-0074885 호, 제 2008-0074888 호에 개시하고 있다. 이들 출원의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정전 용량 감지 회로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 는 정전 용량 감지 회로의 기능 블럭도를 도시한다.
정전용량 감지회로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는 캐퍼시터 (230) 에 전류가 충전 또는 방전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캐퍼시터 (230) 에 충전되는 전류와 방전되는 전류의 크기에 차이를 두었기 때문에, 충전시간과 방전시간의 길이가 달라지는데, 이 둘 중 더 긴시간을 측정하여, 캐퍼시터 (230) 의 정전용량을 검출한다.
도 2 에 도시된 정전용량 감지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정전용량 감지회로는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가변하는 가변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변 펄스 신호 발생기 (210), 가변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가변 펄스 신호의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전류를 구동하는 전류 구동 능력 조절기 (220), 캐퍼시터 (230) 에 걸리는 전압인 전류 구동 능력 조절 신호를 입력받아 그것의 크기의 범위에 기초하여 2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이 되는 디지털 변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변환기 (240), 및 디지털 변환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변환 신호가 위의 2 개의 크기 중 하나의 레벨을 유지할 동안의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 (250) 를 구비하며, 캐퍼시터 (230) 은 전류 구동 능력 조절기 (220) 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따라 충전 또는 방전된다.
가변 펄스 신호 발생기 (210) 는 변화시키는 가변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위의 '가변' 의 의미는 펄스가 지속되는 시간을 바꿀 수 있다는 의미이다. 전류 구동 능력 조절기 (220) 는 가변 펄스 신호의 크기가 제 1 레벨일 때는 캐퍼시터 (230) 로 일정량의 전류를 흘려보내어 전하를 충전시키고, 가변 펄스 신호가 제 2 레벨일 때는 캐퍼시터 (230) 으로부터 전류를 흡수하여 전하를 방전시킨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레벨을 회로 로직에서 로우 (그라운드 전위), 제 2 레벨을 회로 로직에서 하이 (회로의 소스전위 또는 동작전위) 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가정은 예시적인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당업자는 회로 로직 상 로우와 하이를 바꾸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회로 로직의 로우 신호가 소스 전위 또는 동작전위에 대응하고, 하이가 그라운드 전위에 대응하도록 변형할 수도 있다. 그러한 변형물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가변 펄스 신호가 로우 (제 1 레벨) 일 때 전류 구동 능력 조절기 (220) 가 캐퍼시터 (230) 으로 흘려보내는 충전 전류의 크기와, 가변 펄스 신호가 하이 (제 2 레벨) 일 때 전류 구동 능력 조절기 (220) 가 캐퍼시터 (230) 으로부터 흡수하는 방전 전류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즉, 충전 전류의 크기가 방전 전류의 크기보다 클 수도 있고, 충전 전류의 크기가 방전 전류의 크기보다 작을 수도 있다.
캐퍼시터 (230) 의 정전용량을 C 라고 하고,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를 V 라고 하고, 충전된 전하량을 Q 라고 하면, Q = C*V 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위의 수식을 시간에 대하여 미분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유도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 을 C 에 대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수식이 유도된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 를 참조하면,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흘려서 캐퍼시터 (230) 을 충전시키거나 방전시킬 때, 캐퍼시터 (230) 의 크기 C 는 전압이 변하는 속도에 반비례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캐퍼시터 (230) 를 일정한 크기의 전류로 충전시킬 때, 전압이 제 1 전압에서 제 1 전압보다 큰 제 2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소요되는 시간과 캐퍼시터 (230) 의 정전용량은 비례하는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캐퍼시터 (230) 를 일정한 크기의 전류로 충전시키는 경우뿐만 아니라, 일정한 크기의 전류로 방전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충전전류 및 방전전류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서 조금 변하더라도, 정전용량을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결국, 제 1 전압와 제 1 전압보다 큰 제 2 전압 사이에서의 충전 시간 및/또는 방전 시간을 측정하여 캐퍼시터 (230) 의 정전용량을 추정할 수 있다.
신호 변환기 (240) 는 캐퍼시터 (230) 에 걸리는 전류 구동 능력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다. 신호 변환기 (240) 는 입력받은 전류 구동 능력 조절 신호의 크기의 범위에 기초하여 2 개의 서로 다른 크기 레벨 중 하나의 레벨이 되는 디지털 변환 신호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변환기 (240) 로서, 비교기 (comparator) 또는 슈미트 트리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비교기를 신호 변환기 (240) 로서 사용할 경우, 캐퍼시터 (230) 에 걸리는 전류 구동 능력 조절 신호가 소정의 레벨보다 크면 제 3 레벨 (예를 들어, 회로로직상 하이) 를 갖는 디지털 변환 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레벨보다 작으면 제 4 레벨 (예를 들어, 회로로직상 로우) 를 갖는 디지털 변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슈미트 트리거를 신호 변환기 (240) 로서 사용할할 수도 있다.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 신호인 디지털 변환 신호가 제 3 레벨 (예, 0V 또는 로우) 일 때 캐퍼시터 (230) 에 걸리는 전류 구동 능력 조절 신호가 소정의 제 5 레벨값 (예, 3V) 보다 큰 값이 될 때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 신호인 디지털 변환 신호가 제 4 레벨 (예, 5V, 하이) 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 신호인 디지털 변환 신호가 하이제 4 레벨 (예, 하이) 일 때, 캐퍼시터 (230) 에 걸리는 전압인 전류 구동 능력 조절 신호가 소정의 제 6 레벨값 (예, 2 V) 보다 작은 값이 되는 순간에,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 신호인 디지털 변환 신호가 제3 레벨 (0V, 로우) 로 바뀌게 된다.
카운터 (250) 는 디지털 변환 신호를 입력받아, 이 신호가 일정한 레벨 (제 3 레벨 또는 제 4 레벨 중 어느 하나) 로 유지되는 클럭수 (시간에 비례한다) 를 카운팅한다. 디지털 변환 신호가 일정한 레벨로 지속되는 시간은 캐퍼시터 (230) 에 전류가 충전되는 시간 또는 방전되는 시간에 비례하므로, 카운터 (250) 에 의해 측정되는 클럭수는 결국 캐퍼시터 (230) 의 크기에 비례한다. 정전용량이 알려진 다수의 캐퍼시터 (230) 에 대하여, 위의 클럭수를 미리 측정한 후에, 이를 저장해 놓는다면, 미지의 캐퍼시터 (230) 에 대하여,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캐퍼시터 (230) 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 감지회로는 도 2 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카운터 (250) 으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캐퍼시터 (230) 의 정전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 의 캐퍼시터 (230) 는 터치 패드 내부에 가로 및 세로로 배설된 복수 개의 금속 라인들과 그라운드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회로는 각 채널 (즉, 각 금속 라인) 의 개수만큼 존재해야 할 것이다.
한편, 터치패드를 통하여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터치 패드 상의 하나의 접촉지점의 좌표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접촉지점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패드의 다수의 지점에 접촉이 발생하였을 때 접촉 지점의 좌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하나의 지점에 접촉이 발생하였는지 또는 다수의 지점에서 접촉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하며, 접촉 지점의 좌표가 떨어져 있을 경우 뿐만 아니라 인접해 있는 경우라도 가급적이면 정확하게 좌표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패드에서 검출된 여러 개의 좌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인식 방법은 터치 패드의 각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터치 데이터 중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최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으면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싱글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최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제 1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터치 데이터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를 차감하는 단계;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제 2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인식 방법에서, 터치 데이터는 터치 패드의 각 좌표의 정전용량, 압력,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에 관련된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인식 방법에서, 터치 데이터는 터치 패드의 각 좌표의 정전용량과 관련된 카운터의 출력값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인식 방법에서, 싱글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인접한 복수개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 및 추출된 복수개의 좌표에 대응하는 각각의 터치 데이터를 각 좌표에 곱한 후 합산하여 제 1 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 및 추출된 복수개의 좌표를 모두 합산한 값으로 제 1 좌표값을 나누어 제 2 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 제 2 좌표값을 싱글 터치 좌표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인식 방법에서, 제 1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인접한 복수개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 및 추출된 복수개의 좌표에 대응하는 각각의 터치 데이터를 각 좌표에 곱한 후 합산하여 제 1 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 및 추출된 복수개의 좌표를 모두 합산한 값으로 제 1 좌표값을 나누어 제 2 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 제 2 좌표값을 제 1 멀티 터치 좌표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인식 방법에서, 제 2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는,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인접한 복수개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 및 추출된 복수개의 좌표에 대응하는 각각의 터치 데이터를 각 좌표에 곱한 후 합산하여 제 1 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 및 추출된 복수개의 좌표를 모두 합산한 값으로 제 1 좌표값을 나누어 제 2 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 제 2 좌표값을 제 2 멀티 터치 좌표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인식 방법에서, 터치 데이터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를 차감하는 단계는,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기준 패턴 데이터를 평형이동 시키는 단계; 각 좌표가 갖는 터치 데이터들로부터 동일한 좌표가 갖는 기준 패턴 데이터를 차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 인식 방법에서,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기준 패턴 데이터를 평형이동 시키는 단계는,터치 데이터 중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와 기준 패턴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가 일치하도록, 기준 패턴 데이터의 좌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치를 인식하도록 수행시키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터치 패드의 각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터치 데이터 중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최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으면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싱글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최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제 1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터치 데이터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를 차감하는 단계;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제 2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에 접촉되는 멀티 터치를 인식하는 프로세서는, 터치 패드의 각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 데이터를 입력받고, 터치 데이터 중 최대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최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으면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싱글 터치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최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검출된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제 1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하고, 터치 데이터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를 차감하고,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검출하고,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갖는 좌표에 기초하여 제 2 멀티 터치 좌표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은, 터치 패드로부터의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입력받는 단계;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 영역에서 서로 대각선에 위치한 2 개의 모서리의 좌표를 구하는 단계;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2 개의 모서리의 좌표간의 거리와 2 개의 모서리의 현재 좌표의 좌표간의 거리의 차이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바꾸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중심점의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현재의 터치 좌표와 중심점의 좌표의 거리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바꾸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2 개의 모서리의 좌표를 연결하는 직선과 2 개의 모서리의 현재 좌표를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회전시킨 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중심점의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중심점 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처음 터치가 발생한 좌표와 현재의 터치좌표의 각도를 구하는 단계; 각도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회진시킨 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2 개의 모서리의 좌표간의 거리와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현재의 좌표간의 거리의 차이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바꾸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캄퓨터가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터치 패드로부터의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입력받는 단계;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 영역에서 서로 대각선에 위치한 2 개의 모서리의 좌표를 구하는 단계;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는, 터치 패드로부터의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입력받고,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 영역에서 서로 대각선에 위치한 2 개의 모서리의 좌표를 구하고,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의 크기를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터치의 좌표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기준 패턴 데이터가 이용되기 때문에, 멀티 터치 좌표 각각을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이미지를 확대,축소,회전 시킬 때, 최초의 멀티 터치 좌표의 중심점과 그 이후 싱글 터치와 중심점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은 터치 패드와 손가락이 접촉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2 는 정전 용량 감지 회의의 기능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 는 싱글 터치시의 접촉 좌표를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a 및 4b 에서는 멀티 터치가 발생하였을 때의 터치 데이터의 분포를 그래프로 도시한다.
도 5a 내지 5c 는 터치가 발생하였을 때 Y 축에 대하여 출력되는 터치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6a 는 멀티 터치가 발생한 경우 터치 지점이 충분히 이격된 경우의 터치 데이터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6b 는 멀티 터치가 발생한 경우 터치 지점이 서로 가까운 경우의 터치 데이터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 은 멀터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 는 터치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를 구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 는 터치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를 구현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 터치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의 회전을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 는 터치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의 회전을 구현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좌표를 계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므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의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도록 하겠다.
또한, 터치패드에 하나의 접촉이 감지된 상태를 '싱글 터치'로 지칭하며, 두 개 이상의 접촉이 감지된 상태를 '멀티 터치' 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도 3a 내지 도 3d 는 싱글 터치시의 접촉 좌표를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터치 패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이하, '터치 데이터' 라고 지칭한다) 의 가중 평균치 (weighting average) 를 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X, Y 축 각각에 대한 좌표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수학식 3) 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Figure pat00003
i 는 터치 패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채널 번호를 의미하고, CHi 는 각 채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CHi 는 접촉되는 지점에 가해진 정전용량에 비례하는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종래기술에서 설명하였던 정전 용량 감지 회로의 출력인 카운터 값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CHi 는 정전용량에 반드시 비례하는 값일 필요는 없으며, 일정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충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CHi 는터치패드에서 접촉되는 지점에 가해지는 온도, 압력과 관계된 값일 수도 있다. 한편, 채널 번호가 각 축에서 순차적으로 정렬되도록 채널이 배열될 수도 있다.
도 3a 에서는 터치패드의 한쪽 축에서 채널 0 과 채널 1 사이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채널 0 부터 채널 3 까지의 터치 데이터는 각각 5, 5, 0, 0 이다. 수학식 3 을 이용하여 가중 평균치를 구하면, (1*5 + 2*5 + 3*0 + 4*0) / (5+5+0+0) = 1.5 라는 값이 계산된다.
마찬가지로, 도 3b 에서는 채널 0 부터 채널 3 까지의 터치 데이터가 각각 0, 2, 7, 2 이며, 가중 평균치는 3 이다. 도 3c 에서는 채널 0 내지 3 으로부터 출력되는 터치 데이터가 각각 10, 0, 0, 0 이며, 가중 평균치는 1 이다. 도 3d 에서는 채널 0 내지 3 으로부터 출력되는 터치 데이터가 각각 0, 0, 2, 8 이며, 가중 평균치는 3.8 이다.
더 정확한 터치 좌표를 검출하기 위하여 채널의 개수를 늘리는 방법도 생각할 수는 있지만, 채널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채널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더 많은 소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 또한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가중평균치를 이용하여 좌표값을 도출하기 때문에, 채널의 개수를 늘이지 않고도 채널과 채널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터치의 위치를 소숫점의 정밀도로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즉, 도 3a 또는 도 3d 에서와 같이 접촉좌표가 1.5 또는 3.8 등이 될 수 있는 바, 가중 평균치를 이용하면 실질적으로 채널의 해상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도 4a 에는 두 개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접촉될 경우 출력되는 터치 데이터를 도시한다. 상술한 가중 평균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 싱글 터치의 좌표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지만, 도 4a 와 같은 멀티 터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좌표를 정확히 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a 의 좌측의 Y 축에 대한 그래프는 Y 축의 각 좌표에 대응하는 채널로부터 출력된 터치 데이터를 의미하고, 아래쪽의 X 축에 대한 그래프는 X 축의 각 좌표에 대응하는 채널로부터 출력된 터치 데이터를 의미한다. Y 축의 가중 평균치를 계산하면 대략 y1 과 y2 사이에 있는 어떠한 값이 출력될 것이고, X 축의 가중 평균치를 계산하면 대략 x1 과 x2 사이에 있는 어떠한 값이 출력될 것이다. 이러한 가중 평균치는 정확한 멀티 터치 좌표가 아니므로, 가중 평균치를 구하는 방법을 통하여는 멀티 터치좌표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하에서는, 멀티 터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좌표 검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멀티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싱글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먼저 판정하고, 싱글 터치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확한 좌표값은 상술한 가중 평균치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멀티 터치가 발생하였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에 기초하여 제 1 터치 좌표를 구하고, 터치 데이터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를 차감한 후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으로부터 제 2 터치 좌표를 구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4b 에서는 멀티 터치가 발생하였을 때의 터치 데이터의 분포를 그래프로 도시한다. 도 4a 에서는 집게 손가락 (510) 과 엄지 손가락 (500) 의 간격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X 및 Y 축의 터치 데이터 그래프는 두 개의 봉우리 (극대값) 을 갖는다. 한편, 도 4b 의 경우에는 집게 손가락 (510) 과 엄지 손가락 (500) 의 간격이 가깝기 때문에, 각각의 손가락에 의하여 발생되는 터치 데이터가 겹치기 때문에 Y 축의 터치 데이터 그래프는 하나의 최대값을 갖는 형태이다. Y 축의 그래프만 보면, 그래프가 하나의 최대값만을 갖기 때문에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 먼저 구분해 줄 필요가 있다. 또한, 멀티 터치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터치된 정확한 좌표를 구해줄 필요가 있다.
도 5a 내지 5c 는 터치가 발생하였을 때 Y 축에 대하여 출력되는 터치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5a 는 싱글 터치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 5b 는 서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멀티 터치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5c 는 서로 가까운 지점에서 멀티 터치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a 및 5c 에서 알 수 있듯이, 터치 데이터 그래프의 모양이 같기 때문에, 그래프의 모양만으로는 싱글 터치인지 인접한 좌표의 멀티 터치인지 구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터치 데이터가 하나의 최대값을 가지는 경우, 그 최대값의 크기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최대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를 멀티 터치로 인식하고, 최대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를 싱글 터치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싱글 터치로 인식하고,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이 제 2 임계값보다 큰 경우 멀티 터치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도 6a 는 멀티 터치가 발생한 경우 터치 지점이 충분히 이격되었을 때의 터치 데이터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검지 손가락 (710) 이 터치 패드 상에 접촉되는 지점의 Y 좌표가 y2 이고, 엄지 손가락 (720) 이 터치 패드 상에 접촉되는 지점의 Y 좌표가 y1 이다. y1 에서의 터치 데이터 (740) 가 y2 에서의 터치 데이터 (730) 보다 크다고 가정하면,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 검출의 수행에 의하여 터치 데이터가 최대값을 가지는 좌표로써 일단 y1 이 검출된다. 그 후, 기준 패턴 데이터 (750) 의 중심을 y1 만큼 평행이동하고, 터치 데이터 그래프 (780) 로부터 평행 이동된 기준 패턴 데이터 (750) 만큼을 차감한다. 차감된 터치 데이터에서 최대값 (770) 이 되는 좌표가 y2 이다. 여기에서, 기준 패턴 데이터 (750) 는 싱글 터치가 발생하였을 때의 터치 데이터 분포 그래프를 나타낸다. 싱글 터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터치 데이터는 일정한 형태와 값을 가지므로, 기준 패턴 데이터 (750) 는 미리 계산되거나, 반복 실험에 의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도 6b 는 멀티 터치가 발생한 경우 터치 지점이 서로 가까운 경우의 터치 데이터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손가락의 Y 좌표가 서로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 경우에는 각 손가락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터치데이터의 그래프가 겹치게 되어 최대값이 하나인 터치 데이터의 그래프, 즉 싱글 터치에서와 동일한 모양의 그래프를 갖게 된다. 즉, 검지 손가락 (710) 의 터치 좌표 y2 와 엄지 손가락 (720) 의 터치 좌표 y1 가 인접하기 때문에, 검지 손가락 (710) 에 의한 제 1 피크값 (730) 과 엄지 손가락 (720) 에 의한 제 2 피크값 (740) 중 더 큰 값이 최대값이 된다. 이렇게 접촉 지점이 인접한 경우라도, 위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터치 데이터 (780) 의 최대값인 제 2 피크값 (740) 이 최대값이므로, 먼저 이를 터치 좌표로 검출한다. 그 후, 기준 패턴 데이터 (750) 의 중심축 (760) 을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 (740) 의 좌표인 y1 으로 평행이동시키고, 터치 데이터 (780) 으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 (750) 를 차감한다. 그 후, 차감된 그래프의 최대값 (770) 을 두 번째 터치 좌표로 검출한다.
도 7 은 멀터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접촉이 발생하는 터치 패드로부터 터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단계 1200) 터치 데이터는 터치 패드의 접촉되는 정도에 대응하는 어떠한 값일 수 있으며, 정전 용량, 압력, 온도 또는 이들에 비례하는 값 등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정전 용량 검출기의 카운터 (250) 로부터 출력되는 값일 수도 있다. 도 2 의 회로는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회로의 일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1210 에서는, 입력된 터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대값의 개수를 검출한 후, 최대값의 개수가 1 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최대값의 개수가 1 보다 크다고 인식될 경우, 멀터 터치가 발생한 것이므로, 터치 데이터의 제 1 최대값을 이용하여 제 1 터치 좌표를 계산한다 (단계 1220). 예를 들어, 터치 데이터의 제 1 최대값을 가지는 좌표를 제 1 터치 좌표라고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제 1 최대값을 가지는 좌표에 인접한 좌표에 대하여 수학식 3 을 적용하여 터치 좌표를 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드의 각 채널의 사이에 있는 좌표가 검출되는 바, 터치 패드의 해상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인접한 좌표의 범위는 1, 2 또는 기정의 임의의 값이 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설계에 따라서 구체적인 값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멀티 터치 좌표 검출 방법은, 터치 데이터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를 차감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단계 1230). 일 실시예에서, 기준 패턴 데이터의 중심축은 제 1 터치 좌표로 평행이동되어, 터치 데이터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가 차감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패턴 데이터는 싱글 터치가 발생하였을 때의 터치 데이터가 분포 그래프를 나타내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터치 데이터는 일정한 형태와 값을 가지므로, 기준 패턴 데이터는 미리 계산되거나, 반복 실험에 의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그 다음, 터치 데이터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가 차감된 데이터로부터 제 2 멀티 터치 좌표를 계산한다 (단계 1240). 예를 들어, 차감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가지는 좌표를 제 2 터치 좌표라고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상기 최대값을 가지는 좌표에 인접한 좌표에 대하여 수학식 3 을 적용하여 터치 좌표를 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드의 각 채널의 사이에 있는 좌표가 검출되는 바, 터치 패드의 해상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인접한 좌표의 범위는 1, 2 또는 기정의된 임의의 값이 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설계에 따라서 구체적인 값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멀티 터치 좌표 검출 방법은 제 1 및 제 2 터치 좌표를 설정하고, 이를 멀티 터치로 인식한다 (단계 1250). 인식된 터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데이터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단계 1290).
한편,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의 개수가 1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260 으로 진행된다. 여기에서, 터치 데이터의 최대값으로부터 기준 패턴 데이터의 최대값이 차감되며, 차감된 값이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1260). 차감된 값이 임계값보다 크면 상술한 단계 1220 으로 진행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270 이 진행된다. 차감된 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는 인접한 좌표에 멀티 터치가 발생한 경우이기 때문에, 단계 1220 으로 진행하여 멀티 터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차감된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는 싱글 터치이며, 터치 데이터로부터 제 1 터치 좌표를 계산한다 (단계 1270). 예를 들어, 터치 데이터 중 최대값을 갖는 좌표를 제 1 터치 좌표로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터치 데이터 중 최대값을 가지는 좌표에 인접한 좌표에 대하여 수학식 3 을 적용하여 터치 좌표를 구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계산으로 구해진 값을 제 1 터치 좌표로 설정하고 싱글 터치로 인식한다 (단계 1280).
인식된 터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데이터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단계 1290). 예를 들어, 터치 데이터 프로세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터치 데이터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하여서,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 는 터치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를 구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먼저, 검지 손가락 (810) 과 엄지 손가락 (820) 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패드 상에 접촉되면, 각각의 터치 좌표를 검출한다. 터치 패드 상에 검지 손가락 (810) 이 접촉되는 제 1 터치 좌표와 엄지 손가락 (820) 이 접촉되는 제 2 터치 좌표를 검출한 후, 중심 좌표 (800) 을 계산한다. 그 후, 도 8a 에서와 같이 중심 좌표 (800) 을 기준으로 하여 두 손가락이 멀어지면 이미지를 확대한다. 한편, 도 8b 에서와 같이 중심 좌표 (800) 을 기준으로 하여 두 손가락이 가까워지면 이미지를 축소한다. 손가락 뿐만 아니라 팬 등을 이용하여 터치 좌표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접촉 수단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에서, 최초로 검지 손가락 (810), 엄지 손가락 (820) 이 접촉되는 제 1, 2 터치 좌표, 및/또는 중심 좌표 (800) 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이미지 위에 그리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좌표들이 그리드의 형태로 이미지 위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그 그리드를 보면서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 는 터치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를 구현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먼저, 검지 손가락 (810) 과 엄지 손가락 (820) 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패드 상에 접촉되면, 각각의 터치 좌표를 검출한다. 터치 패드 상에 검지 손가락 (810) 이 접촉되는 제 1 터치 좌표와 엄지 손가락 (820) 이 접촉되는 제 2 터치 좌표를 검출한 후, 중심 좌표 (800) 를 계산한다. 그 후, 도 9a 에서와 같이 중심 좌표 (800) 을 기준으로 하여 검지 손가락 (810) 이 접촉되는 제 1 터치 좌표가 멀어지면 이미지를 확대한다. 한편, 도 9b 에서와 같이 중심 좌표 (800) 를 기준으로 하여 검지 손가락 (810) 이 접촉되는 제 1 터치 좌표가 가까워지면 이미지를 축소한다. 즉, 앞의 예와 달리, 멀티 터치가 발생한 후에 하나의 손가락만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만약, 중심 좌표 (800) 가 검출된 후에, 엄지 손가락 (820) 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 2 터치 좌표의 변화량을 통하여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최초로 검지 손가락 (810), 엄지 손가락 (820) 이 접촉되는 제 1, 2 터치 좌표, 및/또는 중심 좌표 (800) 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이미지 위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 터치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의 회전을 도시한다. 먼저, 검지 손가락 (910) 과 엄지 손가락 (920) 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패드 상에 접촉되면, 각각의 터치 좌표를 검출한다. 터치 패드 상에 검지 손가락 (910) 이 접촉되는 제 1 터치 좌표와 엄지 손가락 (920) 이 접촉되는 제 2 터치 좌표를 검출한 후, 중심 좌표 (920) 를 계산한다. 그 후, 도 10a 에서와 같이 중심 좌표 (800) 을 기준으로 하여 두 손가락이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 이미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도 10b 에서와 같이 중심 좌표 (900) 를 기준으로 하여 두 손가락이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이미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11a 및 도 11b 는 터치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의 회전을 구현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먼저, 검지 손가락 (910) 과 엄지 손가락 (920) 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패드 상에 접촉되면, 각각의 터치 좌표를 검출한다. 터치 패드 상에 검지 손가락 (910) 이 접촉되는 제 1 터치 좌표와 엄지 손가락 (920) 이 접촉되는 제 2 터치 좌표를 검출한 후, 중심 좌표 (900) 를 계산한다. 그 후, 도 11a 에서와 같이 중심 좌표 (900) 를 기준으로 하여 검지 손가락이 접촉되는 제 1 터치 좌표 (930) 가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 이미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도 11b 에서와 같이 중심 좌표 (900) 를 기준으로 하여 검지 손가락이 접촉되는 제 1 터치 좌표 (930) 가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 이미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앞의 예와 달리, 멀티 터치가 발생한 후에 하나의 손가락만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만약, 중심 좌표 (900) 가 검출된 후에, 엄지 손가락 (920) 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 2 터치 좌표의 변화량을 통하여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물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며, 여기에서 한정된 특유의 원리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사용하지 않는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한 의도는 없으며, 본 출원에 기재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해당한다.

Claims (8)

  1.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패드로부터의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 영역에서 서로 대각선에 위치한 2 개의 모서리의 좌표를 구하는 단계;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좌표간의 거리와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현재 좌표의 좌표간의 거리의 차이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바꾸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중심점의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현재의 터치 좌표와 상기 중심점의 좌표의 거리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바꾸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좌표를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현재 좌표를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회전시킨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중심점의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중심점 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처음 터치가 발생한 좌표와 현재의 터치좌표의 각도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각도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회진시킨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패드 상에 처음 터치가 발생했을 때의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좌표간의 거리와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현재의 좌표간의 거리의 차이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바꾸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7. 컴퓨터가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터치 패드로부터의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 영역에서 서로 대각선에 위치한 2 개의 모서리의 좌표를 구하는 단계;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8.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터치 패드로부터의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입력받고,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좌표를 모두 포함하는 사각형 영역에서 서로 대각선에 위치한 2 개의 모서리의 좌표를 구하고,
    상기 2 개의 모서리의 좌표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드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세서.
KR1020100044660A 2010-05-12 2010-05-12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051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660A KR101051625B1 (ko) 2010-05-12 2010-05-12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660A KR101051625B1 (ko) 2010-05-12 2010-05-12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627A Division KR100989786B1 (ko) 2008-12-11 2008-12-11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921A true KR20100076921A (ko) 2010-07-06
KR101051625B1 KR101051625B1 (ko) 2011-07-26

Family

ID=4263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660A KR101051625B1 (ko) 2010-05-12 2010-05-12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6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737A (ko) * 2013-02-21 2014-08-2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KR101436587B1 (ko) * 2012-12-26 2014-09-03 전자부품연구원 투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78780B2 (en) 2012-12-26 2017-10-03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multi-point touch and apparatus for same
KR20190132315A (ko) * 2019-11-18 2019-11-27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2901A (ko) * 2006-10-11 200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0853024B1 (ko) * 2006-12-01 2008-08-20 엠텍비젼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영상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587B1 (ko) * 2012-12-26 2014-09-03 전자부품연구원 투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78780B2 (en) 2012-12-26 2017-10-03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multi-point touch and apparatus for same
KR20140104737A (ko) * 2013-02-21 2014-08-2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KR20190132315A (ko) * 2019-11-18 2019-11-27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1625B1 (ko)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786B1 (ko)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US9105255B2 (en) Discriminative capacitive touch panel
US9207822B1 (en) Contact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n a capacitance sensing array
US9417728B2 (en) Predictive touch surface scanning
US9164640B2 (en) Barrier electrode driven by an excitation signal
US9310927B2 (en) Touch identification for multi-touch technology
US7924029B2 (en) Half-bridge for capacitive sensing
US8917257B2 (en) Coordinate detecting device and coordinate detecting program
EP2575012A2 (en) Predictive touch surface scanning
US20090289902A1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subregion based swipethrough data entry
US86928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coordinates with high noise immunity in touch applications
US10311275B2 (en)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189119B2 (en) Touch recognition method and touch panel thereof
US9600121B2 (en) Driving sensor electrodes for noise measurement
US9471173B2 (en) Capacitive input sensing in the presence of a uniform conductor
US8823664B2 (en) Close touch detection and tracking
WO2015057687A1 (en) Hover position calculation in a touchscreen device
KR20130078937A (ko)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KR101135703B1 (ko) 터치스크린 장치의 커패시턴스 측정회로 및 커패시턴스 측정방법
KR101051625B1 (ko)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WO2015187336A1 (en) Driving sensor electrodes for absolute capacitive sensing
JP6082394B2 (ja) 高分解能なゴースト除去ジェスチャ
WO2012050875A1 (en) Force sensing capacitive hybrid touch sensor
JP2013200865A (ja) デジタイザ
US8421765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