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725A - 건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건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725A
KR20190131725A KR1020180056470A KR20180056470A KR20190131725A KR 20190131725 A KR20190131725 A KR 20190131725A KR 1020180056470 A KR1020180056470 A KR 1020180056470A KR 20180056470 A KR20180056470 A KR 20180056470A KR 20190131725 A KR20190131725 A KR 20190131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dry
housing
guide
tunne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원
박병민
손종학
Original Assignee
(주)유니버셜스탠다드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버셜스탠다드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유니버셜스탠다드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8005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1725A/ko
Publication of KR2019013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9/00Packaging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susceptible to damage by abrasion or pressure, e.g. cigarettes, cigars, macaroni, spaghetti, drinking straws or welding electrodes
    • B65B19/34Packaging other rod-shaped articles, e.g. sausages, macaroni, spaghetti, drinking straws, weldin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굵기가 얇아서 행동 제어가 어려운 건면에 대해서 투입시 건면 배열의 변화없이 자동 계량 장치에 자동으로 건면을 공급할 수 있는 건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면 공급 장치는, 상하 방향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투입되는 건면을 투입시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측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안내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안내부에 의하여 제1 측하방으로 이동된 건면을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대편 측하방인 제2 측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면 공급 장치{A APPARATUS FOR SUPPLYING THIN N00DLE}
본 발명은 건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굵기가 얇아서 행동 제어가 어려운 건면에 대해서 투입시 건면 배열의 변화없이 자동 계량 장치에 자동으로 건면을 공급할 수 있는 건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메밀가루·감자녹말 등을 반죽하여 얇게 밀어서 가늘게 썰든지 국수틀에서 가늘게 빼낸 것을 삶아 국물에 말거나 비벼 먹는 음식의 총칭하는 것이다. 건면은 밀가루 등의 곡분 또는 전분을 주원료로 하여 만든 생면 또는 숙면을 건조시킨 것으로 건면에는 국수, 냉면, 당면 등이 있다.
건조된 건면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으로 나누어 공급하고 공급된 건면은 적당량으로 이송하기 위해 컨베이어를 통해 운반한 후 포장과정으로 넘어가며 이송과정에서 국수 자동 계량기에서 정량공급되는 건면을 컨베이어에 태워 정렬시키되 건면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일정하게 가지런히 공급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자동 계량기와 포장기는 자동화되어 있지만, 상기 자동 계량기에 건면을 공급하는 과정은 여전히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자동화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굵기가 얇아서 행동 제어가 어려운 건면에 대해서 건면 배열의 변화없이 자동 계량 장치에 자동으로 건면을 공급할 수 있는 건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면 공급 장치는, 상하 방향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투입되는 건면을 투입시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측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안내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안내부에 의하여 제1 측하방으로 이동된 건면을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대편 측하방인 제2 측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측에서 투입되는 건면을 수취하면서 제1 측하방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제1 측하방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되, 완만한 곡면 또는 일정 각도로 꺽인 단차면이 연결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곡면 설치부; 상기 제1 곡면설치부의 하단에서 제2 측하방으로 절곡되어 설치되는 제1 터널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1 곡면 설치부의 하단부와 상기 제1 터널 형성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소면 통과 터널이 형성되도록 하며, 완만한 곡면 또는 일정 각도로 꺽인 단차면이 연결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터널 형성부; 상기 제2 터널 형성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곡면 설치부로 투입된 건면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면 공급장치에서, 상기 제1 곡면 설치부와 제2 터널 형성부는 일정 각도로 꺽인 단차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터널 형성부와 넘침 방지부는 일정 각도로 꺽인 단차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면 공급장치에서, 상기 제2 터널부 하단 측 출구에는 상기 제2 터널부를 통과한 건면의 배출 방향으로 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면 공급 장치에 따르면 건면 특히, 굵기가 얇아서 행동 제어가 어려운 소면에 대해서 투입시 건면 배열의 변화없이 자동 계량 장치에 자동으로 건면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면의 포장 공정 전체가 자동화 공정으로 처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면 공급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안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면 공급장치에서 건면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2 안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면 공급장치에서 건면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
본 실시예에 따른 건면 공급장치(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제1 안내부(120), 제2 안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구조물이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건면 공급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별도로 구비되는 프레임(140)에 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자동계량기기가 배치되거나 또는 자동 계량기로 건면(1)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0)가 지나간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공급되는 건면을 투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건면 투입 안내부(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면 투입 안내부(112)는 상기 하우징(110)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안내부(12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114)에서 하측 방향으로 투입되는 건면(1)을 최초 투입시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측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1 안내부(120)는 별도로 구비되는 건면 투입장치(2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로 투입되는 건면(1)이 최초로 접촉되는 부분이며, 건면이 상기 제1 안내부(120)에 접촉된 후 슬라이딩하면서 제1 측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에서 '제1 측하방'은 도면 상에서 좌하측으로 기울어진 방향을 말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안내부(120)를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는 건면(1)이 최초 투입시 방향과 달리 틀어지거나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2 안내부(120)는 구체적으로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면 설치부(122)와 제1 터널 형성부(12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곡면 설치부(122)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투입되는 건면(1)을 최초로 수취하면서 제1 측하방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제1 측하방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곡면 설치부(122)에 떨어진 건면은 이 곡면에 의하여 최초 투입시 방향이 틀어지거나 회전하지 않으면서 자중에 의하여 제1 측하방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터널 형성부(124)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곡면설치부(122)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제1 곡면 설치부(122)와 달리 제2 측하방으로 절곡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제1 터널 형성부(124)는 후술하는 제2 터널 형성부(132)와 함께 건면(1)이 통과할 수 있는 건면 통과 터널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터널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건면의 양이 조절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안내부(13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내부(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안내부(120)에 의하여 제1 측하방으로 이동된 건면을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대편 측하방인 제2 측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안내부(130)는 구체적으로 제2 터널 형성부(132)와 넘침 방지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제2 터널 형성부(132)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곡면 설치부(122)의 하단부와 상기 제1 터널 형성부(124)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안내부(120)와 제2 안내부(13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소면 통과 터널이 형성되도록 하며,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1 곡면 설치부(122)를 타고 내려온 건면이 상기 제2 터널 형성부(132)를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최초 투입 방향이 틀어지거나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제2 측하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제2 측하방'이라 함은 도면 상에서 우하측으로 기울어진 방향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넘침 방지부(134)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널 형성부(132)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곡면 설치부(122)로 투입된 건면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넘침 방지부(134)는 상기 제1 곡면 설치부(122)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면 공급 장치(100)에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패드(1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 패드(150)는 상기 하우징(110) 하단 중 상기 제2 터널부(132) 하단 측 출구에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설치되며, 상기 제2 터널부(132)를 통과한 건면의 상면을 고르게 해주며, 최상층 건면의 방향이 틀어지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안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면 공급 장치(100)에는 진동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0)을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거나 상기 하우징(110)을 특정 모서리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틸팅시키는 회전 진동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렇게 상기 진동부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을 미세한 범위 내에서 진동시키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급되는 건면의 정렬이 더욱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따른 건면 공급장치(200)도 실시예 1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하우징(210), 제1, 2 안내부(220, 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210)과 제1, 2 안내부(220, 230)의 전체적인 구성 및 기능을 실시예 1의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면 설치부(222)와 제2 터널 형성부(232)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곡면을 가지지 않고, 일정 각도로 꺽인 단차면이 연결된 곡면 형상을 가진다. 이는 상기 제1 곡면 설치부(222)와 제2 터널 형성부(232)의 제작 편의성을 위한 것이며, 단차면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곡면은 전체적으로 실시예 1의 곡면과 일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터널 형성부(224)와 넘침 방지부(234)도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꺽인 단차면 연결된 곡면 형상을 가져서, 제작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면 공급장치
110 : 하우징 120 : 제1 안내부
130 : 제2 안내부 140 : 프레임
150 : 안내 패드 1 : 건면
10 : 컨베이어 20 : 건면 투입장치

Claims (4)

  1. 상하 방향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부 개구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투입되는 건면을 투입시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측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안내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마주보는 양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안내부에 의하여 제1 측하방으로 이동된 건면을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반대편 측하방인 제2 측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는 건면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측에서 투입되는 건면을 수취하면서 제1 측하방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제1 측하방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되, 완만한 곡면 또는 일정 각도로 꺽인 단차면이 연결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곡면 설치부;
    상기 제1 곡면설치부의 하단에서 제2 측하방으로 절곡되어 설치되는 제1 터널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면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1 곡면 설치부의 하단부와 상기 제1 터널 형성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소면 통과 터널이 형성되도록 하며, 완만한 곡면 또는 일정 각도로 꺽인 단차면이 연결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터널 형성부;
    상기 제2 터널 형성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곡면 설치부로 투입된 건면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면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설치부와 제2 터널 형성부는 일정 각도로 꺽인 단차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면 공급장치.
KR1020180056470A 2018-05-17 2018-05-17 건면 공급 장치 KR20190131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470A KR20190131725A (ko) 2018-05-17 2018-05-17 건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470A KR20190131725A (ko) 2018-05-17 2018-05-17 건면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725A true KR20190131725A (ko) 2019-11-27

Family

ID=6872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470A KR20190131725A (ko) 2018-05-17 2018-05-17 건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17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9538A (zh) * 2019-12-26 2020-08-21 立宇食品(郎溪)有限公司 一种自动挡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9538A (zh) * 2019-12-26 2020-08-21 立宇食品(郎溪)有限公司 一种自动挡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0809B2 (en) Installation for coating products with a pulverulent material
US10577186B2 (en) Container filling machine
DK161556B (da) Paneringsmaskine til panering af foedevarer
JP2006180870A (ja) 食品を微粒子からなる材料で被覆するデバイス
KR20190131725A (ko) 건면 공급 장치
US20090064464A1 (en) Device for Compacting Fiber Flocks
JP3198972U (ja) 搬送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組合せ計量装置
CN107030952A (zh) 树脂材料供给装置及方法、以及压缩成形装置
KR200474313Y1 (ko) 자동차용 클립 이송장치
US2623676A (en) Pan filling machine
KR101740822B1 (ko) 과자 이송 장치
JP2018151236A (ja) 米飯計量装置、米飯生成装置および米飯投入装置
US11975923B2 (en) Article retaining device and supporting body
US2770352A (en) Device for orienting and feeding articles
KR200192708Y1 (ko) 견과류 수량제어 공급장치
JP6631968B2 (ja) 計量装置
JP7309564B2 (ja) 味付け装置及び半製品の供給方法
KR20190072835A (ko) 만두 포장 장치
EP1582100A1 (en) Installation for coating food products with a fluid substance
KR200226701Y1 (ko) 제빵용 틀의 콘베어 벨트 장치
PL99588B1 (pl) Urzadzenie do dozowania artykulu spozywczego w postaci precikow
JP7026929B2 (ja) 粉粒体の定量フィーダ装置
JP3205094U (ja) 餃子製造装置
JP7109054B2 (ja) 物品移載装置及び物品移載システム
KR20190135770A (ko) 건면 공급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