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507A - 스위칭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507A
KR20190131507A KR1020197029273A KR20197029273A KR20190131507A KR 20190131507 A KR20190131507 A KR 20190131507A KR 1020197029273 A KR1020197029273 A KR 1020197029273A KR 20197029273 A KR20197029273 A KR 20197029273A KR 20190131507 A KR20190131507 A KR 20190131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switching
link
cell
measuremen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751B1 (ko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1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a plurality of users or terminals, e.g. group communication or 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스위칭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계 단말 및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 장치와 원격 단말 장치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칭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칭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원격 단말(Remote User Equipment, "Remote UE"으로 약칭)은 예컨대 기존의 일반 핸드폰(Relay User Equipment, "Relay UE"으로 약칭) 등의 중계 단말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단말은 원격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은 동일한 기지국 또는 다른 기지국을 통해 제어 평면 연결을 구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중계 단말은 원격 단말의 데이터 포워딩을 지원한다. 이 경우, 중계 단말 또는 원격 단말에 이동이 발생하면, 데이터의 전송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지국 스위칭이 필요하게 된다 된다.
하지만, 실제 적용 시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동일한 위치, 예를 들어 모두 사용자의 몸에 휴대될 경우, 이들은 동시에 동일한 방향을 따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며, 만약 이동 과정에서 셀 스위칭의 수행이 필요할 때, 기존에는 일반적으로 기지국이 두 단말 장치에 대해 각각 스위칭을 수행하며, 이를 기초로 두 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면,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 사이의 중계 전송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위칭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제1양태에 따르면,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위칭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의 링크 정보 및 원격 단말 장치의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두 단말 장치의 스위칭 방식을 확정함으로써, 두 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가능한 한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 및 원격 단말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이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를 거치지 않고 자체로 스위칭 방식을 확정하여, 단말 장치 사이의 서비스 연속성을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제1네트워크 장치는 가능한 한 제1단말 장치 및 제2단말 장치를 위해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스위칭될 셀 또는 재선택되는 액세스될 셀로서 선택한다. 예를 들어, 만약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서비스 데이터 상호 작용이 존재할 경우, 해당 두 단말 장치의 이동 과정에서 셀 스위칭의 수행이 필요하면, 제1네트워크 장치는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때 두 단말 장치 각각의 링크 측정 결과를 기초로, 가능한 한 제1단말 장치 및 제2단말 장치를 위해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스위칭될 셀로 선택하여, 단말 장치의 서비스 연속성을 확보하며, 여기서 스위칭 후의 신호 강도가 최적이 아닐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스위칭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 및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방식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고,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상기 제1단말 장치 및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지 않을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페어링 관계 또는 연결 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관련 정보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의 정보 및 상기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하고,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양태에 따르면,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 명령를 기초로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칭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로 자신의 링크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통해,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가 두 단말 장치의 링크 정보를 기초로 두 단말 장치의 스위칭 방식을 결정하여, 두 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가능한 한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 및 원격 단말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은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를 거치지 않고 자체로 스위칭 방식을 확정하여, 단말 장치 사이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더욱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2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2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2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상기 제2단말 장치 및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2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지 않을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해제 지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2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다.
선택 가능하게, 제2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2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양태에 따르면, 제1네트워크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스위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 및 링크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제2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스위칭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확정한 스위칭 방식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중계 단말 장치 및 원격 단말 장치 각각의 스위칭 방식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스위칭 방식에 의해 두 단말 장치는 셀 스위칭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가능한 한 자체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여,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 및 원격 단말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3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3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3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3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3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다.
제4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양태 또는 제1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양태 또는 제1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5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양태 또는 제2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2양태 또는 제2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6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3양태 또는 제3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3양태 또는 제3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7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실행될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제1양태 또는 제1양태의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4양태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8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실행될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제2양태 또는 제2양태의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5양태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9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실행될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제3양태 또는 제3양태의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제6양태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10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양태 및 그 다양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1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양태 및 그 다양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2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3양태 및 그 다양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3양태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칩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명령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양태 및 그 다양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4양태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칩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명령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양태 및 그 다양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5양태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칩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명령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양태 및 그 다양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 장치의 중계 전송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 장치의 중계 전송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 장치의 중계 전송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나태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나태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나태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인터랙션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인터랙션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으로 약칭)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로 약칭)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으로 약칭)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으로 약칭)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으로 약칭)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로 약칭),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로 약칭) 및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단말 장치를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 장치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으로 약칭),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국, 이동국, 이동 스테이션,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로 약칭) 폰, 무선 로컬 루프 (Wireless Local Loop, "WLL"로 약칭) 스테이션,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로 약칭),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핸드 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5G네트워크 중 단말 장치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으로 약칭) 네트워크 중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 장치를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로 약칭)일 수 있고, WCDMA시스템 중 기지국(NodeB, "NB"로 약칭)일 수도 있고, LTE 시스템 중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으로 약칭)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네트워크 중 네트워크측 장치 또는 미래 진화된 PLMN 네트워크 중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의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장치(10), 네트워크 장치(20), 단말 장치(30) 및 단말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는 단말 장치(30) 및 단말 장치(40)를 위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말 장치(40)는 예컨대 손목시계 등과 같은 원격 단말 장치이고, 단말 장치(30)는 예컨대 핸드폰 등과 같은 중계 단말 장치이며, 단말 장치(40)는 단말 장치(30)를 통해 네트워크 장치(10)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와 단말 장치(40)가 동일한 위치, 예를 들어 모두 사용자의 몸에 휴대될 경우, 두 단말 장치는 동시에 동일한 방향을 따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 과정에 셀 스위칭의 수행이 필요할 경우, 만약 두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면,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 사이의 중계 전송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두 단말 장치의 이동 과정에 셀 스위칭을 수행할 때, 단말 장치(30)와 단말 장치(40)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될 것을 원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30)와 단말 장치(40)는 네트워크 장치(10)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20)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며, 이 경우, 단말 장치와 단말 장치(40)는 효과적으로 정상적인 중계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장치(20)와 네트워크 장치(1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수행되는 업/다운 링크 전송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으로 약칭) 또는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로 약칭) 네트워크 또는 머신 투 머신/사람(Machine to Machine/Man, "M2M"으로 약칭) 네트워크 또는 기타 네트워크일 수 있고, 도 3은 단순히 개략도에 불과하며, 네트워크에는 기타 단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3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400)을 나태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예컨대 도 3의 단말 장치(30)와 같은 중계 단말 장치 또는 예컨대 도 3의 단말 장치(40)와 같은 원격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 410 및 420을 포함한다.
단계 410에서,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단계 420에서,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는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이다.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제1단말 장치가 제1스위칭 방식을 확정한 후,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할 경우, 제1단말 장치는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1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링크의 측정 결과는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동시에 획득하기 때문에, 제1단말 장치는 제1단말 장치 및 제2단말 장치 각각의 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때, 복수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능한 한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를 위해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스위칭될 셀 또는 재선택되는 액세스될 셀로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서비스 데이터 인터랙션이 존재할 경우, 해당 두 단말 장치의 이동 과정에서 셀 스위칭의 수행이 필요하면, 제1네트워크 장치는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때 두 단말 장치 각각의 링크 측정 결과를 기초로, 스위칭 후 신호 강도가 최적이 아닐지라도 가능한 한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를 위해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스위칭될 셀로서 선택하여, 단말 장치의 서비스 연속성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제1스위칭 방식과 제2스위칭 방식은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되며, 이에 따라, 제1단말 장치 및/또는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를 거치지 않고, 자체로 스위칭 방식을 확정하여, 단말 장치 사이의 서비스 연속성을 더욱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말 장치는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하고,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수 있으며; 또는, 제1단말 장치는 제1스위칭 방식만 확정하고, 제2스위칭 방식은 제2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될 수도 있다.
만약 제1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를 위해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경우,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제1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로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스위칭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가 획득한 링크의 측정 결과는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단말 장치는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1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도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3개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한다. 두 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상황을 고려하므로, 가능한 한 두 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 즉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할 수 있고, 제2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의 링크 측정 결과, 즉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측정 결과 및 제2단말 장치와 제1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측정 결과를 확정할 수 있으므로, 선택 가능하게, 단계 410에서 제1단말 장치가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것은,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측정 결과를 확정하고,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단말 장치가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제1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가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제1단말 장치, 제2단말 장치 및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측정 결과 등 인터랙선 정보는 적응층 또는 기존의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의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에 실릴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단계 410에서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것은,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 가능하게, 만약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제2단말 장치가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제2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만약 제1스위칭 방식에 따라 제1단말 장치가 스위칭을 수행하거나 제2단말 장치가 커버리지되는 셀로 재선택될 경우, 제2스위칭 방식에 따라 제2단말 장치는 제1단말 장치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 즉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을 수행하거나 재선택될 수 있지만, 신호 강도 조건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또는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링크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없거나 링크 접속을 유지하지 말아야 하거나 또는 링크 접속을 유지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2단말 장치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을 수행하거나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는,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와;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고,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제1단말 장치 및 제2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만약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예를 들어,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여야 한다고 확정되거나, 또는 계속하여 링크 연결을 유지해야 한다고 확정될 경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확정된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스위칭 방식에 따라 제1단말 장치가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고, 제2단말 장치가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된다.
만약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이 유지되지 말 것으로 확정될 경우, 예를 들어,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계속하여 링크 연결을 유지하지 말아야 한다고 확정되거나, 또는 링크 연결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확정되거나, 또는 신호 강도가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요구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정될 경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확정된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스위칭 방식에 따라 제1단말 장치가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고, 제2단말 장치가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이 유지되지 말 것으로 확정될 경우, 상기 방법은 제1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로 제2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단계420전에, 즉,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련 정보는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페어링 관계 또는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는, 제1단말 장치가 상기 관련 정보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 장치는 또한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페어링 관계 또는 연결 관계, 및 링크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공통으로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연결 관계이며 데이터 인터랙션이 존재하면,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때, 제1단말 장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스위칭 후 신호 강도가 최적이 아닐지라도,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를 위해 가능한 한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스위칭될 셀 또는 재선택되는 액세스될 셀로 선택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이면, 상기 방법은 제1단말 장치가 제1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의 정보 및 링크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 장치는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한 후, 나아가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을 제1네트워크 장치에 보고하여, 제1네트워크 장치가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하여, 제1단말 장치 및/또는 제2단말 장치가 자신의 스위칭 방식을 수행하여 적합한 네트워크로 스위칭 가능 여부를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에는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 또는 재선택되는 셀의 정보(즉, 제1단말 장치가 선호하는 스위칭 셀 또는 재선택되는 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의 정보는 제2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 또는 재선택되는 셀의 정보(즉, 제2단말 장치가 선호하는 스위칭 셀 또는 재선택되는 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제1스위칭 방식에 제1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방식이 포함될 경우, 제1단말 장치는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 및 링크의 측정 결과를 제1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제1네트워크 장치는 수신된 측정 정보 및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의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한지 확정한다.
나아가,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제1단말 장치는 제1네트워크 장치에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 즉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1네트워크 장치에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측정된 모든 셀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지만, 단말 장치는 보고할 때 제1네트워크 장치에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보고하며, 여기서,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은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스위칭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키며 동일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셀이다.
예를 들어,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 제2단말 장치 및 제2네트워크 장치 중 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였고, 또한 제1단말 장치, 제2단말 장치 및 제3네트워크 장치 중 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한다. 만약 제1단말 장치가 획득한 이러한 측정 결과를 기초로 확정한 제1스위칭 방식이 제1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A셀로 스위칭되는 것이면, 제1스위칭 방식 중 A셀이 가장 바람직한 스위칭 셀(즉,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키며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셀)이기 때문에, 제1단말 장치는 우선적으로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즉, A셀의 정보 )를 제1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며, 그 다음에야 제3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의 정보, 및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A셀 이외의 기타 셀의 정보를 제1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한다. 따라서, 제1네트워크 장치는 수신된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하여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의 적합 여부를 확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의 링크 정보와 원격 단말 장치의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두 단말 장치의 스위칭 방식을 결정하며, 두 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가능한 한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 사이에서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은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를 거치지 않고 자체로 스위칭 방식을 확정하여, 단말 장치 사이의 서비스 연속성을 더욱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500)을 나태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제2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2단말 장치는 예컨대 도 3의 단말 장치(30)와 같은 중계 단말 장치 또는 예컨대 도 3의 단말 장치(40)와 같은 원격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 510 내지 530을 포함한다.
단계 510에서, 제2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단계 520에서, 제2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 제1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한다.
단계 530에서, 제2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 명령를 기초로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할 때, 제2단말 장치는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측정 결과를 제1단말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제1단말 장치가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1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2단말 장치를 위해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며, 또는 자신의 제1스위칭 방식도 확정할 수 있다. 제1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동시에 획득하기 때문에, 제1단말 장치는 제2단말 장치를 위해 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때, 복수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능한 한 제2단말 장치를 위해 제1단말 장치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재선택되는 액세스될 셀로서 선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2단말 장치가 획득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는 제2단말 장치와 제1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단말 장치는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1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하고,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3개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수 있다. 두 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상황을 고려함으로써, 가능한 한 두 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도록 할수 있다. 물론,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는 제1단말 장치 스스로 확정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제1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제2단말 장치가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제2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단계520에서 제2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2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제1단말 장치, 제2단말 장치 및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측정 결과 등 인터랙션 정보는 적응층 또는 기존의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의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에 실릴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제2단말 장치와 제1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 장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확정하며, 만약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예를 들어,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여야 한다고 확정되거나, 또는 계속하여 링크 연결을 유지해야 한다고 확정되면,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되는 제2스위칭 방식에 따라,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제2단말 장치와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의 제1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게 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이 유지되지 말 것으로 확정될 경우, 상기 방법은 제2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해제 지시 정보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상기 제2스위칭 방식에 제2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이 포함될 경우, 상기 스위칭 명령은 제2단말 장치가 재선택하는 액세스될 셀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상기 제2스위칭 방식에 제2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이 포함될 경우, 상기 스위칭 명령은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에 자신의 링크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통해,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가 두 단말 장치의 링크 정보를 기초로 두 단말 장치의 스위칭 방식을 확정하여, 두 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가능한 한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 및 원격 단말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은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를 거치지 않고, 자체로 스위칭 방식을 확정하여, 단말 장치 사이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더욱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600)을 나태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예컨대 도 3의 네트워크 장치(10)와 같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 610 및 620을 포함한다.
단계610에서, 제1네트워크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스위칭 정보는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 및 링크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한다.
단계620에서, 제1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스위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 장치 및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할 때, 제1단말 장치는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1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1단말 장치는 이러한 링크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고,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말 장치는 또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제2스위칭 방식 및 링크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제1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할 수 있으며, 제1네트워크 장치는 수신된 이러한 스위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하여,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제2스위칭 방식이 가장 바람직한 스위칭 방식인지 확정한다. 다시 말하면, 제1단말 장치 및/또는 제2단말 장치가 자신의 스위칭 방식을 수행함으로써 적합한 네트워크로 스위칭되거나 적합한 네트워크를 액세스될 네트워크로서 재선택할 수 있는지 확정한다.
예를 들어,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제1스위칭 방식에 제1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이 포함되면, 제1단말 장치는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 및 링크의 측정 결과를 제1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제1네트워크 장치는 수신된 측정 정보 및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를 기초로, 제1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한지 확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제1단말 장치가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제2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제1단말 장치는 제1네트워크 장치에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 즉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1네트워크 장치에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측정된 모든 셀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지만, 단말 장치는 보고할 때 제1네트워크 장치에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보고하며, 여기서,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은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스위칭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키며 동일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셀이다.
예를 들어,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 제2단말 장치 및 제2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였고, 또한 제1단말 장치, 제2단말 장치 및 제3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한다. 만약 제1단말 장치가 획득한 이러한 측정 결과를 기초로 확정한 제1스위칭 방식이 제1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A셀로 스위칭되는 것이면, 제1스위칭 방식 중 A셀이 가장 바람직한 스위칭 셀(즉,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키며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셀)이기 때문에, 제1단말 장치는 우선적으로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즉, A셀의 정보 )를 제1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며, 그 다음에야 제3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의 정보, 및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A셀 이외의 기타 셀의 정보를 제1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한다. 따라서, 제1네트워크 장치는 수신된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단말 장치가 확인한 스위칭 방식의 정보를 수신 후, 상기 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중계 단말 장치 및 원격 단말 장치 각각의 스위칭 방식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스위칭 방식에 따라 두 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가능한 한 자체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 및 원격 단말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두개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도 7 및 도 8은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인터랙션 도면이다. 도 7에서, 제1단말 장치는 연결 상태이고, 제2단말 장치는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 701 내지 708을 포함한다.
단계 701에서, 제2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 제2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2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는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예를 들어, 링크 상황 또는 링크 품질 등)의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단계 702에서, 제1네트워크 장치가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2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한다.
여기서, 제1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는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는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페어링 관계/연결 관계를 더 획득하여, 상기 페어링 관계/연결 관계, 및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스위칭 방식은 제1단말 장치가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을 포함하고, 제2스위칭 방식은 제2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703에서, 제1네트워크 장치가 제1네트워크 장치로 스위칭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정보는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 및 링크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704에서, 제1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스위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한다.
단계 705에서, 제1네트워크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706에서, 제1단말 장치가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단말 장치로 스위칭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지시 메시지에는 제2단말 장치가 재선택할 셀의 셀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스위칭 지시 메시지는 제2단말 장치가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707에서, 제1단말 장치가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여,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된다.
단계 708에서, 제2단말 장치가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여,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된다.
만약 제1단말 장치에서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계속하여 링크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거나 유지하지 말아야 하거나 유지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확정되거나, 또는 현재 신호 강도 조건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우수한 링크 연결을 유지할 수 없다고 확정될 경우, 제1단말 장치는 제2단말 장치에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상호 간 링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상기 해제 지시 정보는 스위칭 지시 정보와 함께 제2단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법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인터랙션 도면이다. 도 8의 제1단말 장치 및 제2단말 장치는 모두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 801 내지 805를 포함한다.
단계 801에서, 제2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 제2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2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는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예를 들어, 링크 상황 또는 링크 품질 등)의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단계 802에서,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 장치가 제1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2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한다.
여기서, 제1단말 장치의 링크의 측정 결과는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 및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단말 장치는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페어링 관계/연결 관계를 더 획득하여, 상기 페어링 관계/연결 관계, 및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스위칭 방식은 제1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2스위칭 방식은 제2단말 장치가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803에서, 제1단말 장치가 제2단말 장치로 스위칭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지시 메시지에는 제2단말 장치가 재선택할 셀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스위칭 지시 정보는 제2단말 장치가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804에서, 제1단말 장치가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여,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한다.
단계 805에서, 제2단말 장치가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여,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한다.
만약 제1단말 장치에서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에 계속하여 링크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거나 유지하지 말아야 하거나 유지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확정되거나, 또는 현재 신호 강도 조건이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우수한 링크 연결을 유지할 수 없다고 확정될 경우, 제1단말 장치는 제2단말 장치에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상호 간 링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상기 해제 지시 정보는 스위칭 지시 정보와 함께 제2단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순번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부 논리에 의해 결정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과정에 대해 그 어떤 한정도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9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장치(900)는 획득 유닛(910) 및 확정 유닛(920)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910)은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확정 유닛(920)은 상기 획득 유닛(91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의 링크 정보 및 원격 단말 장치의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두 단말 장치의 스위칭 방식을 결정하여, 두 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가능한 한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 및 원격 단말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은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를 거치지 않고 자체로 스위칭 방식을 확정하여, 단말 장치 사이의 서비스 연속성을 더욱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상기 제2단말 장치로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스위칭 명령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9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말 장치 및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9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확정하며;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고,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상기 제1단말 장치 및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지 말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단말 장치로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획득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920)이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페어링 관계 또는 연결 관계를 포함한다.
상기 확정 유닛(920)은 구체적으로 상기 관련 정보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의 정보 및 상기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상기 확정 유닛(920)이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획득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하며,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획득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획득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장치(1000)는 획득 유닛(1010), 송신 유닛(1020) 및 처리 유닛(1030)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1010)은 상기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송신 유닛(1020)은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측정 결과는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처리 유닛(1030)은 상기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 명령를 기초로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로 자신의 링크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통해,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가 두 단말 장치의 링크 정보를 기초로 두 단말 장치의 스위칭 방식을 결정하도록 하며, 두 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가능한 한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 및 원격 단말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칭 방식 및 제2스위칭 방식은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를 거치지 않고 자체로 스위칭 방식을 확정하여, 단말 장치 사이의 서비스 연속성을 더욱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상기 제1단말 장치 및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지 말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처리 유닛(1030)은 또한 상기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해제 지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1020)은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1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1100)는 수신 유닛(1110) 및 처리 유닛(1120)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1110)은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 및 링크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제2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1120)은 상기 수신 유닛(11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스위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스위칭 방식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중계 단말 장치 및 원격 단말 장치 각각의 스위칭 방식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스위칭 방식에 따라 두 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가능한 한 자체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중계 단말과 원격 단말이 셀 스위칭을 수행한 후, 중계 단말 및 원격 단말 사이에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중계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 설정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200)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1210), 송수신기(1220) 및 메모리(123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1210), 송수신기(1220) 및 메모리(1230)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1230)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1210)는 상기 메모리(123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송수신기(1220)가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210)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1210)는 메모리(12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도 4에 도시된 방법(400) 중 단말 장치의 상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지만, 간결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210)는 중앙처리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210)는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된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 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3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10)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230)의 일부분은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30)는 저장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210)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방법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프로세서(1210) 중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같은 본 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1230)에 위치하며, 프로세서(1210)는 메모리(123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여,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200)는 상술한 방법(400)에서 방법 (400)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900)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단말 장치(1200) 중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400)에서 단말 장치가 수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300)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1310), 송수신기(1320) 및 메모리(133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1310), 송수신기(1320) 및 메모리(1330)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1330)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1310)는 상기 메모리(133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송수신기(1320)가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310)는 상기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송수신기(1320)는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고; 상기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스위칭 명령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10)는 상기 스위칭 명령를 기초로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1310)는 메모리(13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도 5에 도시된 방법(500) 중 단말 장치의 상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310)는 중앙처리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310)는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된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3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10)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330)의 일부분은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30)는 저장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310)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방법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프로세서(1310) 중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같은 본 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1330)에 위치하며, 프로세서(1310)는 메모리(133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여,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300)는 상술한 방법(500)에서 방법 (500)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0)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단말 장치(1300) 중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500)에서 단말 장치가 수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1400)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서(1410), 송수신기(1420) 및 메모리(143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1410), 송수신기(1420) 및 메모리(1430)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1430)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1410)는 상기 메모리(143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송수신기(1420)가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송수신기(1420)는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 및 링크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제2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310)는 상기 수신 유닛이 수신한 상기 스위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1410)는 메모리(14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도 6에 도시된 방법(600) 중 단말 장치의 상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410)는 중앙처리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4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된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 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 프로세서 등 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3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10)에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430)의 일부분은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30)는 저장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410)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방법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프로세서(1410) 중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같은 본 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1430)에 위치하며, 프로세서(1410)는 메모리(143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여,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1400)는 상술한 방법(600)에서 방법 (600)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1100)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1400) 중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600) 중 네트워크 장치가 수행하는 각 동작 또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지만,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5의 시스템 칩(1500)은 입력 인터페이스(1501), 출력 인터페이스(15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503), 메모리(1504)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501), 출력 인터페이스(1502), 상기 프로세서(1503) 및 메모리(1504) 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1503)는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503)는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4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503)는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5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503)는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6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구혈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 방식으로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할 것인지는 기술적 수단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의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설명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않된다.
본 출원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설명의 편리와 간결성을 위해, 상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 중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한 몇개의 실시예에서 개시 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획분은 단지 로직 기능적 획분이며, 실제 구현 시 기타 획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조합되거나 기타 시스템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일부 특징은 무시하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표시되거나 또는 논의되는 상호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의 연결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품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품은 물리 유닛이거나 물리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따르면, 본 출원의 기술적 수단의 본질적 부분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수단의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복수의 명령을 포함해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함으로써,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고, 상술한 저장 매체는 U디스크, 모바일 하드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이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대해 변경 또는 치환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60)

  1.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스위칭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 및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고,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상기 제1단말 장치 및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지 말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페어링 관계 또는 연결 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관련 정보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의 정보 및 상기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하며,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 명령를 기초로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 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상기 제2단말 장치 및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지 말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해제 지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7 항 내지 제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네트워크 장치가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 및 링크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제2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스위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26. 제 25 항 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5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1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유닛; 을 포함하는 제1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상기 제2단말 장치로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스위칭 명령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말 장치 및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6. 제 3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확정하며;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 연결 유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고,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상기 제1단말 장치 및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8. 제 3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지 말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단말 장치로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 연결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9. 제 3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이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페어링 관계 또는 연결 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관련 정보 및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0. 제 3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의 정보,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의 정보 및 상기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1. 제 31 항 내지 제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상기 확정 유닛이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전에,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2. 제 31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3. 제 31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4. 제 3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하며,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6. 제 31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7. 제2단말 장치와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링크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상기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스위칭 명령를 기초로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제2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9.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연결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2단말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일 경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0.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을 수행한 후, 상기 제2단말 장치 및 상기 제1단말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1.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에 링크 연결을 유지하지 말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해제 지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단말 장치와의 링크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2. 제 47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3. 제 47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4. 제 47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말 장치로 적응층 또는 직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스택 (PC5)에 실린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5. 제1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제1스위칭 방식, 제2단말 장치의 제2스위칭 방식 및 링크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제2단말 장치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수신 유닛; 및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스위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칭 방식 및/또는 상기 제2스위칭 방식에 대해 확인하는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 사이의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7.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로 스위칭되는 것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셀 스위칭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 방식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상기 제2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을 액세스될 셀로서 재선택하는 것 또는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8. 제 55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 설정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장치가 상기 제1단말 장치의 스위칭될 셀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스위칭될 셀은 상기 제1단말 장치와 상기 제2단말 장치가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커버리지되는 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네트워크 장치.
  59. 제 55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측정 결과는 상기 링크의 링크 품질 측정 결과 및/또는 상기 링크의 링크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네트워크 장치.
  60. 제 55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단말 장치는 원격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단말 장치는 중계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네트워크 장치.
KR1020197029273A 2017-03-23 2017-03-23 스위칭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KR102282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77927 WO2018170854A1 (zh) 2017-03-23 2017-03-23 切换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507A true KR20190131507A (ko) 2019-11-26
KR102282751B1 KR102282751B1 (ko) 2021-07-30

Family

ID=6358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273A KR102282751B1 (ko) 2017-03-23 2017-03-23 스위칭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1215B2 (ko)
EP (1) EP3592034A4 (ko)
JP (1) JP6918962B2 (ko)
KR (1) KR102282751B1 (ko)
CN (1) CN110402598B (ko)
WO (1) WO2018170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202374A1 (ko) * 2019-03-29 2020-10-08
US10972893B1 (en) * 2020-02-06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vehicle to everything assisted next generation emergency call
CN115699873A (zh) * 2020-08-19 2023-0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继节点切换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4199591A4 (en) * 2020-09-01 2024-02-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SELECTING A HETERGENEOUS NETWORK FOR SIDELINK FORWARDING
CN116018876A (zh) * 2020-09-30 2023-04-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5209493A (zh) * 2021-04-12 2022-10-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方法和设备
WO2022233064A1 (zh) * 2021-05-07 2022-11-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释放远端终端设备的方法及其装置
CN113543250A (zh) * 2021-06-11 2021-10-22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网络切换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CN115567988A (zh) * 2021-07-01 2023-01-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评估方法、装置、终端、中继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7283A1 (en) * 2013-04-24 2016-06-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obility Management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1547A (ja) * 2007-09-25 2009-04-16 Sharp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ハンドオーバ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458450B (zh) * 2009-06-22 2018-01-09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处理方法、切换处理的通信装置及通信系统
WO2011109027A1 (en) * 2010-03-05 2011-09-09 Nokia Corporation Handover of direct peer to peer communication
WO2013012225A2 (ko) * 2011-07-15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장치 간 통신 중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604336B (zh) * 2011-09-29 2020-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模式切换的方法和装置
KR102127927B1 (ko) * 2013-07-3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스마트 워치 및 이동 단말기와 스마트 워치간 보안 인증방법
KR102088018B1 (ko) * 2013-09-03 202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간 연동 방법 및 장치
CN104581834A (zh) * 2013-10-16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协同处理无线数据的方法、相应装置及系统
US9729219B2 (en) * 2014-02-06 2017-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signaling and using beam forming quality indicators
CN105577907A (zh) * 2015-04-23 2016-05-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9655039B2 (en) * 2015-06-26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ell reselection to improv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6470456B (zh) * 2015-08-14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在网终端进行中继选择的方法及终端
CN106533687B (zh) * 2015-09-14 2019-11-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身份认证方法和设备
US20170103166A1 (en) * 2015-10-13 2017-04-13 Sk Planet Co., Lt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measurement of blood alcohol level and management server therefor
US20180359671A1 (en) * 2015-12-02 2018-1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ity of master user equipment and its companio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29549B1 (en) * 2016-04-08 2018-11-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ocedures for grouping wearable devices with lte master ues
WO2017220248A1 (en) * 2016-06-24 2017-12-2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7283A1 (en) * 2013-04-24 2016-06-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obility Management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5173A (ja) 2020-05-21
US11051215B2 (en) 2021-06-29
JP6918962B2 (ja) 2021-08-11
CN110402598B (zh) 2024-01-26
KR102282751B1 (ko) 2021-07-30
EP3592034A4 (en) 2020-06-03
CN110402598A (zh) 2019-11-01
US20200015134A1 (en) 2020-01-09
WO2018170854A1 (zh) 2018-09-27
EP3592034A1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751B1 (ko) 스위칭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CN110495204B (zh) 切换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1463931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equipment
RU2736569C1 (ru)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US116275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KR102356205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CN109076425B (zh) 一种无线资源控制rrc配置方法及相关设备
JP6838142B2 (ja) リンク管理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20509664A (ja) 通信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2014505446A (ja) アップリンクメッセージにおける情報の優先順位付け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1522761A (ja) ハンドオーバプロセスにおけるサービス処理方法および装置、端末およびネットワーク機器
US20190174382A1 (en) Cell obtaining method, and terminal
KR102316348B1 (ko)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20230091138A (ko) Mro 크리티컬 시나리오의 판정 방법, 장치 및 기기
WO2015006974A1 (zh) 一种控制网络切换的方法、设备及系统
TW202014029A (zh) 一種無線通訊方法、終端設備和網路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