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365A -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365A
KR20190130365A KR1020180054926A KR20180054926A KR20190130365A KR 20190130365 A KR20190130365 A KR 20190130365A KR 1020180054926 A KR1020180054926 A KR 1020180054926A KR 20180054926 A KR20180054926 A KR 20180054926A KR 20190130365 A KR20190130365 A KR 20190130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film
polyimide
carbon black
bismaleimid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704B1 (ko
Inventor
김기훈
이길남
최정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코오롱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코오롱피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코오롱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704B1/ko
Priority to CN201880093068.5A priority patent/CN112055724B/zh
Priority to PCT/KR2018/011537 priority patent/WO2019221342A1/ko
Publication of KR2019013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1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 C08G73/1014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in the form of (mono)anhydr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5Unsaturated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수지,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이상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olyimide Film Comprising Bismaleimide Resin and Carbon Black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미드(polyimide, PI)는 강직한 방향족 주쇄를 기본으로 하는 열적 안정성을 가진 고분자 물질로, 이미드 고리의 화학적 안정성을 기초로 하여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 내후성, 내열성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폴리이미드는 절연특성, 낮은 유전율과 같은 뛰어난 전기적 특성에 기반하여 미소 전자 분야, 광학 분야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고기능성 재료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미소 전자 분야의 예로서, 휴대용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에 포함되는 고집적 회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는 회로에 부착 또는 부가되어 상기 회로에 전기적 절연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분, 광원, 충격 등에 대해 회로를 보호하는 필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를 보호하는 필름으로는 다양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 필름의 경우, 좁은 의미에서 커버레이(coverlay)로 지칭할 수 있고, 폴리이미드 필름은 상기 커버레이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회로에 대한 시각적 보안성, 차폐기능 및 차광기능이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카본 블랙을 함유하여 블랙 색조를 가지는 특수한 폴리이미드 필름이 커버레이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블랙 색조를 가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구체인 폴리아믹산 중에 카본 블랙을 혼합하고 고르게 분산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카본 블랙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는 경우 차폐기능이 저하되거나 표면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카본 블랙은 폴리아믹산 또는 폴리이미드와 물리적/화학적 성질이 상이하여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믹산 중에 혼화 및/또는 분산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회로의 제조 과정이 드릴(drill) 공정, 도금 공정, 디스미어(desmear) 공정 및 세척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상의 공정 중에 폴리이미드 필름이 염기성 용액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염기성 용액에 의해 폴리이미드 필름이 약간이라도 분해되거나 변성되는 경우, 그에 함유되어 있던 카본 블랙이 대거 탈락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버레이에서 블랙 색조의 제거와 함께 차폐성이 소실될 수 있으며, 카본 블랙의 탈락으로 인한 표면뿐만 아니라 중량 및 두께 감소가 수반될 수 있어 커버레이로서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발명의 목적은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리이미드 필름은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고 있고, 바람직한 함량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바람직한 함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하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일 측면에서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전구체인 폴리아믹산에서 카본 블랙의 혼화성 및/또는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염기성 용액 등에 의해 폴리이미드 필름에 불가피한 변성 또는 분해가 유발되더라도,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카본 블랙의 탈락을 억제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앞선 종래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의 구체적 실시예를 제공하는데 실질적인 목적이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수지,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이상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레이(coverlay) 및 상기 커버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방법"의 순서로 발명의 실시양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안하이드라이드(이무수물; dianhydride)"는 그 전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는데, 이들은 기술적으로는 디안하이드라이드가 아닐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아민과 반응하여 폴리아믹산을 형성할 것이며, 이 폴리아믹산은 다시 폴리이미드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아민(diamine)"은 그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는데, 이들은 기술적으로는 디아민이 아닐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안하이드라이드와 반응하여 폴리아믹산을 형성할 것이며, 이 폴리아믹산은 다시 폴리이미드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양, 농도, 또는 다른 값 또는 파라미터가 범위, 바람직한 범위 또는 바람직한 상한 값 및 바람직한 하한 값의 열거로서 주어지는 경우, 범위가 별도로 개시되는지에 상관없이 임의의 한 쌍의 임의의 위쪽 범위 한계치 또는 바람직한 값 및 임의의 아래쪽 범위 한계치 또는 바람직한 값으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범위를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치 값의 범위가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경우, 달리 기술되지 않는다면, 그 범위는 그 종점 및 그 범위 내의 모든 정수와 분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범주는 범위를 정의할 때 언급되는 특정 값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폴리이미드 필름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은,
폴리이미드 수지;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이상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는 염기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분해되거나 변성되는 등 염기 성분에 취약한 편이다. 또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은 제조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것처럼 카본 블랙의 탈락 때문에 염기 성분에 대해 더욱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이미드 필름, 특히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내염기성' 개선이 필요하다.
내염기성이란, 폴리이미드 필름이 염기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쉽게 분해 및/또는 변성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하며, 분해 및/또는 변성 시에 폴리이미드의 두께가 감소되므로, 두께 감소에 기준하여 내염기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내염기성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의 예는 염기성 용액에 폴리이미드 필름을 노출시키고, 노출 전후의 필름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내염기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테스트 방법 (a)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테스트 방법 (a)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단계;
폴리이미드 필름, 본딩 시트 및 동박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온도 160 ℃에서 30 분간 50 kgf의 압력 하에 접합시킨 후 4*10 ㎝로 재단하여 연성회로기판 시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시료의 두께를 측정한 다음, 동일한 시료를 10 % NaOH 용액에 50 ℃에서 100 분간 노출시킨 후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테스트 방법 (a)에 의한 두께 감소율은 NaOH 용액에 노출시키기 전에 측정한 연성회로기판 시료의 두께 대비 노출시킨 이후의 두께 변화를 백분율로 산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두께 감소율은 내염기성에 대한 정량적 수치로 볼 수 있다.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통상의 폴리이미드 필름의 경우, 테스트 방법 (a)에 의한 두께 감소율이 대략 35 % 내지 45 %일 수 있다. 참고로 30 %를 초과하는 두께 감소율은 폴리이미드 필름의 상용화가 실질적으로 어려운 정도라 판단될 수 있다.
반면에 카본 블랙과 함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테스트 방법 (a)에 의한 두께 감소율이 30 % 이하, 상세하게는 28 % 이하, 더욱 상세하게는 26 % 이하일 수 있으며, 통상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비해 개선된 내염기성을 갖는다.
이에 대해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입증할 것이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하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폴리이미드 필름에 존재함에 따른 것으로 추측된다.
(A) 카본 블랙의 표면에 코팅된 제1 상태;
(B)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분자 사슬에 물리적으로 결착된 제2 상태; 및
(C)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분자 사슬에 화학적으로 결착된 제3 상태.
상기 제1 상태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전구체인 폴리아믹산 중에 카본 블랙의 혼화 및/또는 분산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의 제조 공정성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의 혼화 및/또는 분산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제조 공정성 측면에서, 카본 블랙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일부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필름화 공정에서 돌출 부위를 형성하여 필름의 표면 결함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내염기성 측면에서는 카본 블랙이 집중된 부위에서 염기 성분에 노출 시 폴리이미드 수지의 분해나 변성에 의해 카본 블랙의 대거 탈락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카본 블랙이 일부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그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는 카본 블랙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폴리이미드 필름 전체적으로 볼 때 차폐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의 경우 폴리아믹산과의 단순 혼합 시 쉽게 분산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반면,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폴리아믹산과 상대적으로 혼화되기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카본 블랙이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에 의해 캡슐화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제1 상태에 의해, 상기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또한 내화학성이 우수한 수지로 알려져 있다. 카본 블랙과 함께 폴리이미드 필름 중에 분산되어 있는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그에 내재된 우수한 내화학성을 기반으로 카본 블랙과 폴리이미드 수지 사이에서 염기 성분에 의한 폴리이미드 수지의 분해 및/또는 변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흡습성이 낮은 편이며, 이는 염기 성분이 폴리이미드 필름 내로 침투하는 현상을 지연시키거나, 염기 성분의 침투량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상태는, 예컨대 염기 성분에 의한 카본 블랙의 탈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것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내염기성 개선에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흡습율을 낮추는데 주요하게 작용할 수 있고, 흡습율을 낮춤으로써 수분 외에 폴리이미드 수지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는 염기 성분 등의 침투를 지연 및/또는 억제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흡습율이 2 %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는,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의 적어도 일부가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분자 사슬과 물리적으로 얽혀있는 것일 수 있다. 이 또한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염기 성분의 침투를 방해할 수 있고, 폴리이미드 필름의 내염기성 개선에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또한,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카본 블랙을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분자 사슬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의 함유 및 그로 인한 제2 상태의 발현은 염기 성분에 의한 카본 블랙의 탈락을 최소화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상태는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의 적어도 일부가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분자 사슬 중 적어도 일부에 화학적으로 결착된 것으로서, 상기 제2 상태와 유사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카본 블랙과 함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상술한 이점에 기반하여 향상된 내염기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상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무조건적으로 많이 함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의 함량이 일정 수준일 때 앞선 이점이 발현될 수 있지만, 이를 넘어서는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폴리이미드 필름의 기계적 물성과 앞선 이점이 양립 가능하도록, 적정량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명확하게 입증할 것이나, 이와 같이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의 함량이 한정적인 범위에서 선택되어야 비로소 앞선 이점이 발현될 수 있는 동시에 폴리이미드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소망하는 수준에 이를 수 있음을 재차 강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비제한적으로, 4,4'-비스말레이미도디페닐메테인, 2,4-비스말레이미도톨루엔 4,4-메틸렌 디페닐렌, 4,4'-디시클로헥실메테인 및 1,3'-페닐렌 비스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량체가 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발명의 실시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소망하는 특성, 효과를 고려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카본 블랙은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카본 블랙이 포함된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투과도가 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하회할 경우, 상기 광투과도가 증가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은 소망하는 수준의 차폐성을 가질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상회할 경우, 카본 블랙 일부가 응집되면서 필름 표면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과다하게 함유된 카본 블랙은 폴리이미드 필름의 기계적 물성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의 평균 입경은 0.1 ㎛ 내지 5 ㎛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로부터 상회하거나 하회할 경우, 앞선 카본 블랙의 함량과 마찬가지의 폐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폴리아믹산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은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및 디아민 단량체가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및 디아민 단량체의 상세한 예는 이후 설명하는 실시양태에서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또한, 이의 물성 또는 공정성 향상을 위한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상세한 예시들은 이후 설명하는 실시양태에서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 유기용매, 카본 블랙 및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유기용매에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및 디아민 단량체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전구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이미드화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별도로 실시함으로써,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내에서 카본 블랙과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하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존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A) 카본 블랙의 표면에 코팅된 제1 상태;
(B)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분자 사슬에 물리적으로 결착된 제2 상태; 및
(C)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분자 사슬에 화학적으로 결착된 제3 상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별도로 실시함으로써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내에서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카본 블랙의 표면에 코팅된 제1 상태로 존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밀링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밀링은, 비제한적으로 비드 밀링(bead milling) 법의 사용이 고려될 수 있다. 비드 밀링은, 혼합물의 유속이 낮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교반을 할 수 있어 카본 블랙의 분산에 유리한 점이 있다. 단 이는 발명의 실시를 돕기위한 예시일 뿐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유기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는, 카본 블랙의 분산이 가능하면서도 제2 조성물과 혼합되면 폴리아믹산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 상세하게는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aprotic polar solvent)일 수 있다.
상기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등의 아미드계 용매, p-클로로페놀, o-클로로페놀 등의 페놀계 용매, N-메틸-피롤리돈(NMP), 감마 브티로 락톤(GBL) 및 디그림(Diglyme)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폴리아믹산은 유기용매 중에서, 1종 이상의 디아민 단랑체와 1종 이상의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의 중합 반응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의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디아민 단량체는 방향족 디아민으로서, 이하와 같이 분류하여 예를 들 수 있다.
1) 1,4-디아미노벤젠(또는 파라페닐렌디아민, PDA), 1,3-디아미노벤젠, 2,4-디아미노톨루엔, 2,6-디아미노톨루엔, 3,5-디아미노벤조익 애시드(또는 DABA) 등과 같이, 구조 상 벤젠 고리 1개를 갖는 디아민으로서, 상대적으로 강직한 구조의 디아민;
2)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또는 옥시디아닐린, ODA), 3,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등의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디페닐메테인(메틸렌디아민), 3,3'-디메틸-4,4'-디아미노바이페닐, 2,2'-디메틸-4,4'-디아미노바이페닐, 2,2'-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바이페닐, 3,3'-디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테인, 3,3'-디카르복시-4,4'-디아미노디페닐메테인, 3,3',5,5'-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테인, 비스(4-아미노페닐)설파이드, 4,4'-디아미노벤즈아닐라이드, 3,3'-디클로로벤지딘, 3,3'-디메틸벤지딘(또는 o-톨리딘), 2,2'-디메틸벤지딘(또는 m-톨리딘), 3,3'-디메톡시벤지딘, 2,2'-디메톡시벤지딘, 3,3'-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3'-디아미노디페닐설파이드, 3,4'-디아미노디페닐설파이드, 4,4'-디아미노디페닐설파이드, 3,3'-디아미노디페닐설폰, 3,4'-디아미노디페닐설폰,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 3,3'-디아미노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3,3'-디아미노-4,4'-디클로로벤조페논, 3,3'-디아미노-4,4'-디메톡시벤조페논, 3,3'-디아미노디페닐메테인, 3,4'-디아미노디페닐메테인, 4,4'-디아미노디페닐메테인, 2,2-비스(3-아미노페닐)프로페인, 2,2-비스(4-아미노페닐)프로페인, 2,2-비스(3-아미노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2,2-비스(4-아미노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3,3'-디아미노디페닐설폭사이드, 3,4'-디아미노디페닐설폭사이드, 4,4'-디아미노디페닐설폭사이드 등과 같이, 구조 상 벤젠 고리 2개를 갖는 디아민;
3) 1,3-비스(3-아미노페닐)벤젠, 1,3-비스(4-아미노페닐)벤젠, 1,4-비스(3-아미노페닐)벤젠, 1,4-비스(4-아미노 페닐)벤젠, 1,3-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1,4-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또는 TPE-Q),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또는 TPE-Q), 1,3-비스(3-아미노페녹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젠, 3,3'-디아미노-4-(4-페닐)페녹시벤조페논, 3,3'-디아미노-4,4'-디(4-페닐페녹시)벤조페논, 1,3-비스(3-아미노페닐설파이드)벤젠, 1,3-비스(4-아미노페닐설파이 드)벤젠, 1,4-비스(4-아미노페닐설파이드)벤젠, 1,3-비스(3-아미노페닐설폰)벤젠, 1,3-비스(4-아미노페닐설폰)벤젠, 1,4-비스(4-아미노페닐설폰)벤젠, 1,3-비스〔2-(4-아미노페닐)아이소프로필〕벤젠, 1,4-비스〔2-(3-아미노페닐)아이소프로필〕벤젠, 1,4-비스〔2-(4-아미노페닐)아이소프로필〕벤젠 등과 같이, 구조 상 벤젠 고리 3개를 갖는 디아민;
4) 3,3'-비스(3-아미노페녹시)바이페닐, 3,3'-비스(4-아미노페녹시)바이페닐, 4,4'-비스(3-아미노페녹시)바이페닐, 4,4'-비스(4-아미노페녹시)바이페닐, 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에테르, 비스〔3-(4-아미노페녹시)페닐〕에테르,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에테르,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에테르, 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케톤, 비스〔3-(4-아미노페녹시)페닐〕케톤,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케톤, 비스〔4-(4-아미노 페녹시)페닐〕케톤, 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설파이드, 비스〔3-(4-아미노페녹시)페닐〕설파이드, 비스 〔4-(3-아미노페녹시)페닐〕설파이드,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설파이드, 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설폰, 비스〔3-(4-아미노페녹시)페닐〕설폰,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설폰,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설폰, 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메테인, 비스〔3-(4-아미노페녹시)페닐〕메테인,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메테인,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메테인, 2,2-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페인(BAPP), 2,2-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2,2-비스〔3-(4-아미노페녹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2,2-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등과 같이, 구조 상 벤젠 고리 4개를 갖는 디아민. 이들은 소망하는 바에 따라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의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는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또는 PMDA), 3,3',4,4'-바이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또는 s-BPDA), 2,3,3',4'-바이페닐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또는 a-BPDA), 옥시디프탈릭 디안하이드라이드(또는 ODPA), 디페닐설폰-3,4,3',4'-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또는 DSDA),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설파이드 디안하이드라이드,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디안하이드라이드, 2,3,3',4'-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또는 BTDA),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메테인 디안하이드라이드,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페인 디안하이드라이드, p-페닐렌비스(트라이멜리틱 모노에스터 애시드 안하이드라이드), p-바이페닐렌비스(트라이멜리틱 모노에스터 애시드 안하이드라이드), m-터페닐-3,4,3',4'-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p-터페닐-3,4,3',4'-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1,3-비스(3,4-디카르복시페녹시)벤젠 디안하이드라이드, 1,4-비스(3,4-디카르복시페녹시)벤젠 디안하이드라이드, 1,4-비스(3,4-디카르복시페녹시)바이페닐 디안하이드라이드, 2,2-비스〔(3,4-디카르복시 페녹시)페닐〕프로페인 디안하이드라이드(BPADA),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복실산 디안하이드라이드,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 4,4'-(2,2-헥사플루오로아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디안하이드라이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소망하는 바에 따라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용매는 폴리아믹산이 용해될 수 있는 용매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하나의 예로서,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일 수 있다.
상기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등의 아미드계 용매, p-클로로페놀, o-클로로페놀 등의 페놀계 용매, N-메틸-피롤리돈(NMP), 감마 브티로 락톤(GBL) 및 디그림(Diglyme)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물 등의 보조적 용매를 사용하여, 폴리아믹산의 용해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의 제2 조성물 제조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제2 유기용매는 아미드계 용매인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을 중합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1) 디아민 단량체 전량을 유기용매 중에 넣고, 그 후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를 디아민 단량체와 실질적으로 등몰이 되도록 첨가하여 중합하는 방법;
(2)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전량을 유기용매 중에 넣고, 그 후 디아민 단량체를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와 실질적으로 등몰이 되도록 첨가하여 중합하는 방법;
(3) 디아민 단량체 중 일부 성분을 유기용매 중에 넣은 후, 반응 성분에 대해서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중 일부 성분을 약 95 몰% 내지 105 몰%의 비율로 혼합한 후, 나머지 디아민 단량체 성분을 첨가하고 이에 연속해서 나머지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성분을 첨가하여, 디아민 단량체 및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가 실질적으로 등몰이 되도록 하여 중합하는 방법;
(4)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를 유기용매 중에 넣은 후, 반응 성분에 대해서 디아민 화합물 중 일부 성분을 95 몰% 내지 105 몰의 비율로 혼합한 후, 다른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성분을 첨가하고 연속해서 나머지 디아민 단량체 성분을 첨가하여, 디아민 단량체 및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가 실질적으로 등몰이 되도록 하여 중합하는 방법; 및
(5) 유기용매 중에서 일부 디아민 단량체 성분과 일부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성분을 어느 하나가 과량이 되도록 반응시켜, 제1 중합물을 형성하고, 또 다른 유기용매 중에서 일부 디아민 단량체 성분과 일부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성분을 어느 하나가 과량이 되도록 반응시켜 제2 중합물을 형성한 후, 제1, 제2 중합물들을 혼합하고, 중합을 완결하는 방법으로서, 이 때 제1 중합물을 형성할 때 디아민 단량체 성분이 과잉일 경우, 제2 중합물에서는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성분을 과량으로 하고, 제1 중합물에서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성분이 과잉일 경우, 제2 중합물에서는 디아민 단량체 성분을 과량으로 하여, 제1, 제2 중합물들을 혼합하여 이들 반응에 사용되는 전체 디아민 단량체 성분과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성분이 실질적으로 등몰이 되도록 하여 중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아믹산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g/mole 이상 내지 1,000,000 g/mole 이하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260,000 g/mole 이상 내지 700,000 g/mole 이하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280,000 g/mole 이상 내지 500,000 g/mole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믹산은, 보다 우수한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을 갖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에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믹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아믹산과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전구체 조성물의 점도에 비례할 수 있는 바, 상기 점도를 조절하여 폴리아믹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전구체 조성물의 점도가 폴리아믹산 고형분의 함량, 상세하게는 중합 반응에 사용된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와 디아민 단량체의 총량과 비례하기 때문이다. 다만, 중량평균분자량이 점도에 대해 일 차원의 선형적인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로그 함수의 형태로 비례한다.
즉, 보다 높은 중량평균분자량의 폴리아믹산을 얻기 위해 점도를 증가시켜도 중량평균분자량이 증가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인 반면에 점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막공정에서 다이를 통한 전구체 조성물 토출 시, 다이 내부의 압력 상승 등으로 인한 공정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조성물은 15 중량% 내지 20 중량%의 폴리아믹산 고형분 및 80 중량% 내지 85 중량%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점도가 90,000 cP 이상 내지 300,000 cP 이하, 상세하게는 100,000 cP 이상 내지 250,000 cP일 수 있다. 이러한 점도 범위 내에서 폴리아믹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속할 수 있고, 제2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제막공정 상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조성물로부터 유래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접동성, 열전도성, 도전성, 코로나 내성, 루프 경도 등의 필름의 여러 가지 특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폴리아믹산의 제조 시, 필러를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되는 필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한 예로는 실리카, 산화티탄, 알루미나, 질화규소, 질화붕소, 인산수소칼슘, 인산칼슘, 운모, 제2인산칼슘, 황산바륨 및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필러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질하고자 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특성과 첨가하는 필러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필러의 평균 입경은 0.05 ㎛ 내지 100 ㎛, 상세하게는 0.1 ㎛ 내지 7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50 ㎛, 특히 상세하게는 0.1 ㎛ 내지 25 ㎛일 수 있다.
평균 입경이 이 범위를 하회하면 개질 효과가 미미하고, 이 범위를 상회하면 필러가 폴리이미드 필름의 표면성을 크게 손상시키거나, 필름의 기계적 특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필러의 첨가량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질하고자 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특성이나 필러 입경 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필러의 첨가량은 전구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이다.
필러 첨가량이 이 범위를 하회하면, 필러에 의한 개질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이 범위를 상회하면 폴리이미드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필러의 첨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어떠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의 이미드화는,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지지체에 캐스팅하고 건조하여 겔 필름을 제조한 후, 상기 겔 필름을 이미드화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드화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열 이미드화법, 화학 이미드화법 또는 상기 열 이미드화법과 화학 이미드화법을 병용하는 복합 이미드화법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이하의 비제한적인 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열 이미드화법>
상기 열 이미드화 법은, 화학적 촉매를 배제하고, 열풍이나 적외선 건조기 등의 열원으로 이미드화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건조하여 겔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겔 필름을 열처리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수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겔 필름이란, 폴리아믹산으로부터 폴리이미드로의 변환에 대해 중간 단계에서 자기 지지성을 가지는 필름 중간체라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겔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은, 전구체 조성물을 유리판, 알루미늄 박, 무단(endless) 스테인레스 벨트, 또는 스테인레스 드럼 등의 지지체 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하고, 이후 지지체 상의 전구체 조성물을 50 ℃ 내지 200 ℃, 상세하게는 80 ℃ 내지 150 ℃ 범위의 가변적인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구체 조성물에 부분적인 경화 및/또는 건조가 일어남으로써 겔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후 열처리 과정에서 수득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 및 크기를 조절하고 배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겔 필름을 연신시키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연신은 기계반송방향(MD) 및 기계반송방향에 대한 횡방향(TD)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한 겔 필름을, 텐터에 고정한 다음 50 ℃ 내지 500 ℃, 상세하게는 150 ℃ 내지 500 ℃ 범위의 가변적인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겔 필름에 잔존하는 물, 잔류 용매 등을 제거하고, 남아 있는 거의 모든 아믹산기를 이미드화하여,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수득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400 ℃ 내지 650 ℃의 온도로 5 초 내지 400 초간 가열 마감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더욱 경화시킬 수도 있으며, 수득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잔류할 수도 있는 내부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장력 하에서 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화학 이미드화법>
상기 화학 이미드화법은 전구체 조성물에 탈수제 및/또는 이미드화제를 첨가하여 아믹산기의 이미드화를 촉진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탈수제"란, 폴리아믹산에 대한 탈수 작용을 통해 폐환 반응을 촉진하는 물질을 의미하고,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지방족의 애시드 안하이드라이드, 방향족의 애시드 안하이드라이드, N,N'-디알킬카르보디이미드, 할로겐화 저급 지방족, 할로겐화 저급 패티 애시드 안하이드라이드, 아릴 포스포닉 디할라이드, 및 티오닐 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입수의 용이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지방족 애시드 안하이드라이드가 바람직할 수 있고,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AA), 프로피온 애시드 안하이드라이드, 및 락틱 애시드 안하이드라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드화제"란 폴리아믹산에 대한 폐환 반응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지방족 3급 아민, 방향족 3급 아민, 및 복소환식 3급 아민 등의 이민계 성분일 수 있다. 이중에서도 촉매로서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복소환식 3급 아민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복소환식 3급 아민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퀴놀린, 이소퀴놀린, β-피콜린(BP), 피리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탈수제의 첨가량은 폴리아믹산 중 아믹산기 1 몰에 대하여 0.5 내지 5 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몰 내지 4 몰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드화제의 첨가량은 폴리아믹산 중 아믹산기 1 몰에 대하여 0.05 몰 내지 2 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몰 내지 1 몰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탈수제 및 이미드화제가 상기 범위를 하회하면 화학적 이미드화가 불충분하고,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크랙이 형성될 수 있고, 필름의 기계적 강도도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첨가량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이미드화가 과도하게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름 형태로 캐스팅하기 어렵거나 제조된 폴리이미드 필름이 브리틀(brittle)한 특성을 보일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복합 이미드화법>
이상의 화학 이미드화법에 연계하여, 열 이미드화법을 추가로 수행하는 복합 이미드화법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합 이미드화법은, 저온에서 전구체 조성물에 탈수제 및/또는 이미드화제를 첨가하는 화학 이미드화법 과정; 및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건조하여 겔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겔 필름을 열처리하는 열 이미드화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 이미드화법 과정의 수행 시, 탈수제와 이미드화제의 종류 및 첨가량은 앞선 화학 이미드화법에 설명한 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겔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탈수제 및/또는 이미드화제를 함유하는 전구체 조성물을 유리판, 알루미늄 박, 무단(endless) 스테인레스 벨트, 또는 스테인레스 드럼 등의 지지체 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하고, 이후 지지체 상의 전구체 조성물을 50 ℃ 내지 180 ℃, 상세하게는 80 ℃ 내지 180 ℃ 범위의 가변적인 온도에서 건조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화학 전환제 및/또는 이미드화제가 촉매로 작용하여 아믹산기가 이미드기로 빠르게 변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후 열처리 과정에서 수득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 및 크기를 조절하고 배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겔 필름을 연신시키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연신은 기계반송방향(MD) 및 기계반송방향에 대한 횡방향(TD)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한 겔 필름을, 텐터에 고정한 다음 50 ℃ 내지 500 ℃, 상세하게는 150 ℃ 내지 300 ℃ 범위의 가변적인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겔 필름에 잔존하는 물, 촉매, 잔류 용매 등을 제거하고, 남아 있는 거의 모든 아믹산기를 이미드화하여,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처리 과정에서도 탈수제 및/또는 이미드화제가 촉매로서 작용하여 아믹산기가 이미드기로 빠르게 전환될 수 있어 높은 이미드화율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수득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400 ℃ 내지 650 ℃의 온도로 5 초 내지 400 초간 가열 마감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더욱 경화시킬 수도 있으며, 수득한 폴리이미드 필름에 잔류할 수도 있는 내부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장력 하에서 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은 카본 블랙과 함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내염기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이상에서 충분히 설명하였다.
정리하면,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폴리아믹산과 상대적으로 혼화되기 용이할 수 있으며 카본 블랙에 코팅되면 폴리아믹산 중에 카본 블랙의 혼화 및/또는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또한 내화학성이 우수한 바, 이를 기반으로 하여 카본 블랙과 폴리이미드 수지 사이에서 염기 성분에 의한 폴리이미드 수지의 분해 및/또는 변성을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이의 흡습성에 기반하여 염기 성분이 폴리이미드 필름 내로 침투하는 현상을 지연시키거나, 염기 성분의 침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데 실질적인 이점이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조예 1-1: 제1조성물 제조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로서, Evonik사의 'Compimide 200' 0.21 g과 카본 블랙 71.45 g을 213.42 g의 DMF를 혼합한 후, 비드 밀링 머신에 투입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카본 블랙의 평균 입경은 0.4 ㎛으로 이루어졌다.
편의를 위해, 비스말레이미드와 카본 블랙의 첨가량을,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로 정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2: 제2 조성물 제조
1L 반응기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DMF를 652.00 g 투입하였다.
온도를 25 ℃로 설정한 다음, 디아민 단량체로서 ODA 70.84 g을 투입하고, 30 분 가량 교반하여 단량체가 용해된 것을 확인한 뒤에 PMDA을 77.16 g을 분할 투입하고 최종적으로 점도 200,000 cP에서 300,000 cP가 되도록 마지막 투입량을 조정하여 투입하였다.
투입이 끝나면 온도를 유지하면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최종점도 250,000 cP으로 중합된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제1 조성물 1.22 g에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제2 조성물 25.73 g을 혼합하고, 촉매(탈수제 및 이미드화제)로서 이소퀴놀린(IQ) 1.31 g,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AA) 6.20 g, 및 DMF 4.44 g을 투입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SUS plate(1000SA, Sandvik)에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70 ㎛로 캐스팅하고 100 ℃ 내지 200 ℃의 온도범위에서 건조시켰다.
그 다음, 필름을 SUS Plate에서 박리하여 핀 프레임에 고정시켜 고온 텐터로 이송하였다.
필름을 고온 텐터에서 200 ℃부터 600 ℃까지 가열한 후 25 ℃에서 냉각시킨 후 핀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약 13 ㎛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카본 블랙 및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의 첨가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제조예1-1에 따라 제1 조성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 13㎛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의 첨가를 제외하고, 카본 블랙의 첨가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제조예1-1에 따라 제1 조성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 13㎛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7>
카본 블랙 및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의 첨가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제조예1-1에 따라 제1 조성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 13㎛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각각 제조하였다.
카본 블랙
(중량부)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중량부)
실시예 1 1 5
실시예 2 3 7
실시예 3 5 9
실시예 4 7 10
비교예 1 3 0
비교예 2 1 1
비교예 3 7 3
비교예 4 0.3 1
비교예 5 0.5 0.5
비교예 6 12 3
비교예 7 7 15
<실험예 1: 내염기성 테스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각각 제조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앞서 기재한 테스트 방법 (a)에 따라 내염기성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각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 감소율을 산출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제1 두께는 NaOH 용액에 담지 하기 전 두께이고, 제2 두께는 NaOH 용액에 담지한 이후의 두께이다.)
제1두께
(㎛)
제2두께
(㎛)
두께 감소율
(%)
실시예 1 13 9.1 30
실시예 2 12.5 9 28
실시예 3 13.2 9.76 26
실시예 4 12.3 9.35 24
비교예 1 13 7.8 40
비교예 2 13 7.93 39
비교예 3 13 8.19 37
비교예 4 12.5 8 36
비교예 5 13 8.19 37
비교예 6 13 8.58 34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본 발명의 범위로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염기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가장 낮은 내염기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의 포함 여부가 내염기성 향상에 주요하게 작용함을 반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 너무 적은 량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비교예들은 실시예 대비 내염기성이 좋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흡습율 테스트>
ASTMD 570 방법에 의거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크기 5 ㎝ * 5 ㎝의 정방형으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절단된 시편을 50 ℃의 오븐에 24 시간 이상 건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무게를 측정한 시편을 24 시간 동안 23 ℃의 물에 침지한 후 다시 무게를 측정하고, 여기서 얻어진 무게의 차이를 %로 나타내어 흡습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흡습율
(%)
실시예 1 1.7
실시예 2 1.3
실시예 3 1.5
실시예 4 1.4
비교예 1 3.0
비교예 2 2.5
비교예 3 2.3
비교예 4 2.6
비교예 5 2.7
비교예 6 2.2
실혐예 2의 결과 카본 블랙과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본 발명의 범위로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흡습율을 나타냈다.
반면에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가장 낮은 흡습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카본 블랙 및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서 과도하거나 소량으로 포함된 비교예들은 흡습율이 좋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광투과율 테스트>
HunterLab사의 ColorQuesetXE 모델을 이용하여 가시광 영역에서 ASTM D1003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폴리이미드 필름의 광투과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다만, 카본 블랙 함량에 따른 광투과율의 변화를 인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해서 수행하였다.
광투과율
(%)
실시예 1 5
실시예 2 3
실시예 3 1
실시예 4 0.5
비교예 4 50
비교예 5 30
비교예 6 20
실혐예 3의 결과, 카본 블랙을 본 발명의 범위로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매우 우수한 흡습율을 나타냈다.
반면에 카본 블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 너무 적게 포함된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는 현저히 높은 광투과율을 나타냈다.
<실험예 4: 인장강도 테스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7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해 인장강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인장강도는 KS6518 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인장강도
(kgf/cm2)
실시예 1 230
실시예 2 230
실시예 3 225
실시예 4 225
비교예 7 170
실험예 4의 결과로부터,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 과도하게 포함된 비교예 7은 인장강도가 매우 불량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인장강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필름은 기계적 물성과 앞선 내염기성, 흡습성 및 광투과도가 소망하는 수준으로 양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폴리이미드 수지;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이상의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된 폴리이미드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이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된 폴리이미드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의 평균 입경이 0.1 ㎛ 내지 5 ㎛인 폴리이미드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가 하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존재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A) 카본 블랙의 표면에 코팅된 제1 상태;
    (B)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분자 사슬에 물리적으로 결착된 제2 상태; 및
    (C) 폴리이미드 수지의 고분자 사슬에 화학적으로 결착된 제3 상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는 4,4'-비스말레이미도디페닐메테인, 2,4-비스말레이미도톨루엔 4,4-메틸렌 디페닐렌, 4,4'-디시클로헥실메테인 및 1,3'-페닐렌 비스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량체가 중합된 수지인 폴리이미드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폴리아믹산으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폴리아믹산은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및 디아민 단량체가 중합된 폴리이미드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투과도가 5 % 이하인 폴리이미드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테스트 방법 (a)에 의한 두께 감소율이 30 % 이하인 폴리이미드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흡습율이 2 % 미만인 폴리이미드 필름.
  11. 제1항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 하는 방법으로서,
    제1 유기용매, 카본 블랙 및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를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유기용매에 디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 및 디아민 단량체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전구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이미드화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밀링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성물은 실리카, 산화티탄, 알루미나, 질화규소, 질화붕소, 인산수소칼슘, 인산칼슘, 운모, 제2인산칼슘, 황산바륨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필러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드화는,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지지체에 캐스팅하고 건조하여 겔 필름을 제조한 후, 상기 겔 필름을 이미드화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15. 제1항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레이(coverlay).
  16. 제15항에 따른 커버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54926A 2018-05-14 2018-05-14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8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926A KR102138704B1 (ko) 2018-05-14 2018-05-14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880093068.5A CN112055724B (zh) 2018-05-14 2018-09-28 包含双马来酰亚胺树脂及碳黑的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PCT/KR2018/011537 WO2019221342A1 (ko) 2018-05-14 2018-09-28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926A KR102138704B1 (ko) 2018-05-14 2018-05-14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65A true KR20190130365A (ko) 2019-11-22
KR102138704B1 KR102138704B1 (ko) 2020-07-29

Family

ID=6854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926A KR102138704B1 (ko) 2018-05-14 2018-05-14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38704B1 (ko)
CN (1) CN112055724B (ko)
WO (1) WO201922134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8134A1 (en) * 2005-10-13 2007-04-19 Ajinomoto Co. Inc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polyimide resin
JP2011080002A (ja) * 2009-10-09 2011-04-21 Kaneka Corp 絶縁性ポリイミドフィルム、カバーレイ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12041382A (ja) * 2010-08-12 2012-03-01 Dic Corp 熱硬化型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用層間接着フィルム
KR20150099435A (ko) * 2014-02-21 2015-08-31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카본 블랙 분산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427A (ja) * 1994-05-27 1995-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ポリイミド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I342323B (en) * 2007-01-22 2011-05-21 Chang Chun Plastics Co Ltd Thermoset resin modified polyimide resin composition
WO2012105558A1 (ja) * 2011-02-01 2012-08-09 Dic株式会社 熱硬化型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用層間接着フィルム
KR101832684B1 (ko) * 2015-01-13 2018-02-26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수지 필름, 수지 부착 금속박, 커버 레이 필름, 본딩 시트 및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8134A1 (en) * 2005-10-13 2007-04-19 Ajinomoto Co. Inc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polyimide resin
JP2011080002A (ja) * 2009-10-09 2011-04-21 Kaneka Corp 絶縁性ポリイミドフィルム、カバーレイ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12041382A (ja) * 2010-08-12 2012-03-01 Dic Corp 熱硬化型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用層間接着フィルム
KR20150099435A (ko) * 2014-02-21 2015-08-31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카본 블랙 분산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704B1 (ko) 2020-07-29
CN112055724B (zh) 2023-02-28
WO2019221342A1 (ko) 2019-11-21
CN112055724A (zh)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505B1 (ko) 불소-함유 실란 첨가제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55497B (zh) 具有改善的尺寸稳定性的超薄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171061B1 (ko) 표면 품질이 개선된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67753B (zh) 具有改善的表面质量的厚聚酰亚胺膜及其制造方法
JP7375193B2 (ja) 高弾性および高耐熱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62628B1 (ko) 연성금속박적층판
KR102004660B1 (ko) 가교성 디안하이드라이드계 화합물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이미드 필름
KR102153507B1 (ko) 내염기성이 향상된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3508B1 (ko) 결정성 폴리이미드 수지 및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3506B1 (ko) 점토 입자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4504B1 (ko) 폴리아믹산 조성물, 폴리아믹산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KR102138704B1 (ko) 비스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3535B1 (ko) 저장 안정성 및 점도 안정성이 향상된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KR102063216B1 (ko) 실란계 화합물이 결합된 폴리아믹산,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30841B1 (ko) 방향족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필름
KR20200071461A (ko) 열전도도가 향상된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9918B1 (ko) 가교성 폴리아믹산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필름
KR102528769B1 (ko)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445910B1 (ko) 높은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336859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I846406B (zh) 聚醯亞胺膜、其製造方法、包括其的可撓性覆金屬箔層壓板及電子部件
KR102097406B1 (ko)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폴리이미드
KR20090003826A (ko) 폴리이미드 필름
KR20240047062A (ko) 블랙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71297A (ko) 블랙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