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464A -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464A
KR20190129464A KR1020180054157A KR20180054157A KR20190129464A KR 20190129464 A KR20190129464 A KR 20190129464A KR 1020180054157 A KR1020180054157 A KR 1020180054157A KR 20180054157 A KR20180054157 A KR 20180054157A KR 20190129464 A KR20190129464 A KR 20190129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pace
building
biosig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825B1 (ko
Inventor
오현균
Original Assignee
삼삼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삼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삼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82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구획된 2 개 이상의 구획된 공간(R1)(R2)(R3)을 포함하는 건물의 화재감지를 위한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재감지 시스템은, 구획된 공간(R1)(R2)(R3)의 천정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해당 공간에 사람이 고립될 경우 고립된 사람의 생체신호 및 상기 해당 공간을 식별하는 공간식별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다수의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와; 생체신호 및 공간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중앙관제센터로 송신하는 화재수신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A fire monitoring system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시 건물의 구획된 공간에 고립된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확실한 구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에는 화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기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운영되는데, 화재감지기는 연기를 감지하거나 화염을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생하고, 이러한 화재신호는 수신반으로 전송된 후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사람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경고음이 발생되더라도, 사람이 복잡한 건물 내에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건물 내에 고립된 경우가 빈번하였고, 이에 따라 화염이나 유독연기(가스)에 노출되어 매년 수천명이 화재로 인하여 사망하고 있다.
한편 화재시 현장으로 도착한 소방대원은, 건물 내에 고립된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건물 내로 투입된 상태에서 고립된 사람을 찾아 구조한다.
그런데 건물에 고립된 사람을 구조하기 위하여 소방대원이 건물내로 투입되기 때문에, 결국 모든 소방재원을 화재진압에 투입할 수 없어 적기에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라 화재 피해가 더욱 커졌다.
또한 인명구조를 위하여 건물에 투입된 소방대원 역시 화염과 유독연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또 다른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건물화재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화재감지기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26445호에 화재경보발신기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 고립된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정확히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인명 구조는 물론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은, 구획된 2 개 이상의 구획된 공간(R1)(R2)(R3)을 포함하는 건물의 화재감지를 위한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획된 공간(R1)(R2)(R3)의 천정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해당 공간에 사람이 고립될 경우 고립된 사람의 생체신호 및 상기 해당 공간을 식별하는 공간식별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다수의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 및 상기 생체신호 및 공간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중앙관제센터로 송신하는 화재수신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는, 상기 구획된 공간(R1)(R2)(R3)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투명한 윈도우(111)가 결합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연기 또는 온도변화에 따라 화재신호(S1)를 발생하는 화재감지부(120)와; 상기 해당 공간에 고립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체온 생체신호(S2)를 발생하는 체온감지부(130)와; 상기 해당 공간에 고립된 사람이 발생하는 음성을 센싱하여 대응되는 음성 생체신호(S3)를 발생하는 음성감지부(140)와; 상기 해당 공간을 다른 공간과 식별하기 위한 상기 공간식별신호(S4)를 발생하는 공간식별신호발생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온감지부(130)는, 상기 윈도우(111) 내측에서 상기 단열벽(113)의 걸침단(113a)에 거치된 PCB(114)에 지지되는 테이블(131)과; 상기 테이블(131)의 중앙에 설치된 것으로서 비스듬한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브라켓(132)과;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브라켓(132)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관브라켓(133)과; 각각의 상기 관브라켓(133) 내측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134)와; 상기 관브라켓(133)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30~40℃ 의 온도에 대응되는 적외선파장을 투과시키는 체온적외선필터(1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온 생체신호(S2), 음성 생체신호(S3) 및 공간식별신호(S4)는 상기 화재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연동되어 발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는, 상기 화재신호(S1), 체온 생체신호(S2), 음성 생체신호(S3) 및 상기 공간식별코드(S4)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선과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전원선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전원공급부(1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금속재질로 된 하우징몸체(112)와, 상기 하우징몸체(112) 내주면에 상기 윈도우(1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단열벽(113)을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화재에 의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폭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공간식별신호(S4)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식별코드부여부(1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폭기능을 가지는 하우징)에 화재 감지를 위한 구성들이 모두 내장되어 있으므로, 화재시에도 장시간동안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으면서 건물 내부에 고립된 사람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속한 인명 구조는 물론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복합화재감지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복합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체온감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화재감지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복합화재감지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체온감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은, 구획된 2 개 이상의 구획된 공간(R1)(R2)(R3)을 포함하는 건물의 화재감지를 위한 것으로서, 구획된 공간(R1)(R2)(R3)의 천정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해당 공간에 사람이 고립될 경우 고립되는 사람의 생체신호 및 상기 해당 공간을 식별하는 공간식별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다수의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와; 상기 건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생체신호 및 공간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중앙관제센터로 송신하는 화재수신반(200);를 포함한다. 이때 구획된 공간(R1)(R2)(R3)이 매우 넓을 경우에는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2 개 이상의 복합화재감지기가 설치할 수도 있다.
화재수신반(200)은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위치, 즉 콘센트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고, 화재상황이 발생할 때 경보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건축물의 부하단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화재시 전기합선에 의한 2차 화재를 방지한다. 이때 화재수신반(200)에는 정전시에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무정전전원장치(UPS)가 내장되고, 더 나아가 소방서와 같은 원격지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수신반(200)에는 특정 복합화재감지기에서 발생된 무선신호를 식별하여 표시하는 식별표시부(210)가 설치된다. 따라서 특정 복합화재감지기에서 발생된 무선신호가 전송되면, 식별표시부(210)에서 특정 복합화재감지기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한 것을 표시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특정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된 공간(R1)(R2)(R3)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투명한 윈도우(111)가 결합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연기 또는 온도변화에 따라 화재신호(S1)를 발생하는 화재감지부(120)와; 화재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해당 공간에 고립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체온 생체신호(S2)를 발생하는 체온감지부(130)와; 화재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해당 공간에 고립된 사람이 발생하는 음성을 센싱하여 대응되는 음성 생체신호(S3)를 발생하는 음성감지부(140)와; 화재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해당 공간을 다른 공간과 식별하기 위한 상기 공간식별신호(S4)를 발생하는 공간식별신호발생부(150)와; 화재신호(S1), 체온 생체신호(S2), 음성 생체신호(S3) 및 상기 공간식별코드(S4)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60)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선과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전원선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전원공급부(170)와; 하우징(110)에 상기 공간식별신호(S4)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식별코드부여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온 생체신호(S2), 음성 생체신호(S3) 및 공간식별신호(S4)는 평소에 발생되지 않고 있다가, 상기 화재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연동되어 발생된다. 즉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정상 상황에서는,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는 체온감지부(130), 음성감지부(140) 및 공간식별신호발생부(150)가 작동되지 않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체온감지부(130), 음성감지부(140) 및 공간식별신호발생부(150)가 작동되어 체온 생체신호(S2), 음성 생체신호(S3) 및 공간식별신호(S4)가 발생되는 것이다.
하우징(110) 및 윈도우(111)는 상호 결합되어 외부의 화재등에도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폭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된 하우징몸체(112)와, 하우징몸체(112) 내주면에 윈도우(1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단열벽(113)을 포함한다. 이때 윈도우(111)는 내열 유리로 되어, 화재에 의한 고열에도 상대적으로 장시간동안 파손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하우징(110) 및 윈도우(111)의 구조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도, 금속재질의 하우징몸체(112) 및 단열벽(113)은 화염 및 열기가 하우징(110) 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폭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화재감지부(120)는,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되어 화재발생시 급격한 온도변화 및 연기를 센싱하여 화재신호(S1)를 발생한다. 이러한 화재감지부(120)는 주위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연기를 센싱하는 연기센서로 구성되며, 당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체온감지부(130)는, 화재가 발생된 해당 공간에 고립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상기 체온 생체신호(S2)를 발생한다. 이러한 체온감지부(130)는, 윈도우(111) 내측에서 단열벽(113)의 걸침단(113a)에 거치된 PCB(114)에 지지되는 테이블(131)과, 테이블(131)의 중앙에 설치된 것으로서 비스듬한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브라켓(132)과, 중앙을 기준으로 경사브라켓(132)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4 개의 관브라켓(133)과, 각각의 관브라켓(133) 내측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134)와, 관브라켓(133)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30~40℃ 의 온도에 대응되는 적외선파장을 투과시키는 체온적외선필터(13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적외선센서(134) 및 체온적외선필터(135)가 설치된 관브라켓(133)은 경사브라켓(132)에 대칭으로 설치됨으로써, 360도 방위각 방향에서 해당 공간에 고립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해당 공간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도, 화염에 의하여 발생되는 적외선중 체온적외선필터(135)는 30~40℃ 범위, 즉 체온과 유사한 범위의 적외선 파장만 투과시켜 적외선센서(134)가 이를 센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화재 여부에 관계없이, 고립된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음성감지부(140)는, 화재가 발생된 해당 공간에 고립된 사람이 발생하는 음성, 예를 들면 비명이나 도움 요청에 관련된 음성을 센싱하여 대응되는 음성 생체신호(S3)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음성감지부(140)는 주위에서 발생되는 소리중, 고립된 사람이 지르는 비명이나 신음 소리에 대응되는 주파수에 대응되는 소리를 센싱하는 것이다.
여기서 음성감지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하우징(110)의 측벽에 형성된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홀, 예를 들면 직경 1mm 정도인 다수의 홀(110a)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마이크로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110) 내부는 완전히 밀폐된 상태이므로, 화재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는 하우징(110) 내부의 기압에 의하여 홀(110a)을 통하여 하우징(110) 내측으로 침투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음성감지부(140)가 고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간식별신호발생부(150)는, 화재가 발생된 해당 공간을 다른 공간과 식별하기 위한 공간식별신호(S4)를 발생한다. 이러한 공간식별신호발생부(150)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된 공간, 예를 들면 3층 201호실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의미하는 공간식별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무선송신부(160)는, 화재신호(S1), 체온 생체신호(S2), 음성 생체신호(S3) 및 상기 공간식별신호(S4)를 무선으로 송신하며, 상기 생체신호 및 공간식별코드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화재에 의하여 케이블이 손상되는 가능성 역시 제거할 수 있다.
충전전원공급부(170)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선과 연결된 것으로서, 그 전원선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한다. 충전전원공급부(170)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평소 상황에서는 전원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항상 충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화재 발생에 의하여 건물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작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된다. 즉, 충전전원공급부(170)는 평소 전원선을 통하여 전원이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화재시 전원선이 파손되어 전원공급이 멈추더라도,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이 가능한 것이다.
식별코드부여부(180)는 하우징(110)에 상기 공간식별신호(S4)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부여한다. 식별코드부여부(180)는 여러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복합화재감지부(100)(100')(100")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그 생체신호가 어떤 복합화재감지기에서 발생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식별코드부여부(180)는 예를 들면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합된 스위치로 구현되고, 시공자는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특정 복합화재감지기에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폭기능을 가지는 하우징(110)에 화재 감지를 위한 구성들이 모두 내장되어 있으므로, 화재시에도 장시간동안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으면서 건물 내부에 고립된 사람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한 인명 구조는 물론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100', 100" ... 복합화재감지기
110 ... 하우징 111 ... 윈도우
112 ... 하우징몸체 113 ... 단열벽
114 ... PCB 120 ... 화재감지부
130 ... 체온감지부 131 ... 테이블
132 ... 경사브라켓 133 ... 관브라켓
134 ... 적외선센서 135 ... 체온적외선필터
140 ... 음성감지부 150 ... 공간식별신호발생부
160 ... 무선송신부 170 ... 충전전원공급부
180 ... 식별코드부여부 200 ... 화재수신반
210 ... 식별표시부

Claims (8)

  1. 구획된 2 개 이상의 구획된 공간(R1)(R2)(R3)을 포함하는 건물의 화재감지를 위한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획된 공간(R1)(R2)(R3)의 천정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해당 공간에 사람이 고립될 경우 고립된 사람의 생체신호 및 상기 해당 공간을 식별하는 공간식별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다수의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 및
    상기 생체신호 및 공간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중앙관제센터로 송신하는 화재수신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는,
    상기 구획된 공간(R1)(R2)(R3)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투명한 윈도우(111)가 결합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연기 또는 온도변화에 따라 화재신호(S1)를 발생하는 화재감지부(120)와;
    상기 해당 공간에 고립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체온 생체신호(S2)를 발생하는 체온감지부(130)와;
    상기 해당 공간에 고립된 사람이 발생하는 음성을 센싱하여 대응되는 음성 생체신호(S3)를 발생하는 음성감지부(140)와;
    상기 해당 공간을 다른 공간과 식별하기 위한 상기 공간식별신호(S4)를 발생하는 공간식별신호발생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감지부(130)는,
    상기 윈도우(111) 내측에서 상기 단열벽(113)의 걸침단(113a)에 거치된 PCB(114)에 지지되는 테이블(131)과;
    상기 테이블(131)의 중앙에 설치된 것으로서 비스듬한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브라켓(132)과;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브라켓(132)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관브라켓(133)과;
    각각의 상기 관브라켓(133) 내측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134)와;
    상기 관브라켓(133)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30~40℃ 의 온도에 대응되는 적외선파장을 투과시키는 체온적외선필터(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생체신호(S2), 음성 생체신호(S3) 및 공간식별신호(S4)는 상기 화재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연동되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는,
    상기 화재신호(S1), 체온 생체신호(S2), 음성 생체신호(S3) 및 상기 공간식별코드(S4)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선과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전원선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전원공급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금속재질로 된 하우징몸체(112)와, 상기 하우징몸체(112) 내주면에 상기 윈도우(1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단열벽(113)을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화재에 의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폭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재감지기(100)(100')(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공간식별신호(S4)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식별코드부여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KR1020180054157A 2018-05-11 2018-05-11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KR10205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57A KR102052825B1 (ko) 2018-05-11 2018-05-11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57A KR102052825B1 (ko) 2018-05-11 2018-05-11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64A true KR20190129464A (ko) 2019-11-20
KR102052825B1 KR102052825B1 (ko) 2019-12-05

Family

ID=6872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157A KR102052825B1 (ko) 2018-05-11 2018-05-11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785B1 (ko) * 2021-12-27 2022-05-26 태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제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239B1 (ko) * 2012-05-04 2013-05-30 (주)우창전기산업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KR101399739B1 (ko) * 2014-02-26 2014-05-27 삼삼기업주식회사 무선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678885B1 (ko) * 2015-05-20 2016-11-23 삼삼기업주식회사 화재초기 감지형 화재감지기
KR101725774B1 (ko) * 2016-10-31 2017-04-11 (주)성우엔지니어링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1767980B1 (ko) * 2017-04-11 2017-08-14 김수언 적외선 열화상을 이용한 지능형 불꽃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239B1 (ko) * 2012-05-04 2013-05-30 (주)우창전기산업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KR101399739B1 (ko) * 2014-02-26 2014-05-27 삼삼기업주식회사 무선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678885B1 (ko) * 2015-05-20 2016-11-23 삼삼기업주식회사 화재초기 감지형 화재감지기
KR101725774B1 (ko) * 2016-10-31 2017-04-11 (주)성우엔지니어링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1767980B1 (ko) * 2017-04-11 2017-08-14 김수언 적외선 열화상을 이용한 지능형 불꽃 검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785B1 (ko) * 2021-12-27 2022-05-26 태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제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825B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3086B2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RU2015115588A (ru) Пож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бнаружения, сигнализации 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 дыме и других газах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JP2007257107A (ja) 増設機器を併設した火災警報器
JP2019508791A (ja) 照明兼用火災感知装置
JP5204883B2 (ja) 増設機器を併設した火災警報器
KR20170079124A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2052825B1 (ko)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JP3143140U (ja) 警報器
KR200470830Y1 (ko) 센서통합보드가 내장된 천장형 센서케이스
CN210222981U (zh) 一种可重构的消防信息传感系统
CN112242037A (zh) 一种可重构的消防信息传感系统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CN216169595U (zh) 一种具有语音和报警功能的消防救生机器人
KR102132125B1 (ko)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KR101925876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JP6890054B2 (ja) 消火器誘導システム、火災報知器用アダプタおよび消火器用アダプタ
JP6399572B1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90080282A (ko) 화재 단계별 통지기능을 구비한 소방관리용 가스 수신기
JP2010020663A (ja) 警報器
JP5296032B2 (ja) 警報器
KR20210091451A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