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239B1 -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 Google Patents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239B1
KR101269239B1 KR1020120047607A KR20120047607A KR101269239B1 KR 101269239 B1 KR101269239 B1 KR 101269239B1 KR 1020120047607 A KR1020120047607 A KR 1020120047607A KR 20120047607 A KR20120047607 A KR 20120047607A KR 101269239 B1 KR101269239 B1 KR 101269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explosion
smoke
light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규
김병완
Original Assignee
(주)우창전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창전기산업 filed Critical (주)우창전기산업
Priority to KR102012004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 물질 등이 있는 위험 장소에서 과열,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폭형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바디 전방 중앙의 결합공에 기밀 결합되는 커버 내부로 PCB 전원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 전방으로 내부 암실에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해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수단이 설치된 캡을 구획되게 결합하되; 상기 바디 내부에는 PCB 전원제어부의 후방에 릴레이(Relay) 기능을 갖는 판 형태의 배리어를 전후로 이격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 구성하며; 상기 PCB전원제어부는 상기 수광부가 수집한 광량과 사전에 미리 저장된 기준 광량을 비교하여 기준 광량보다 수집한 광량이 더 적을 경우에는 상기 배리어를 구동시켜 시스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Explosion prevention type Smoke detector having barrier}
본 발명은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 물질 등이 있는 위험 장소에서 과열,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폭형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방폭지역에서 연기를 신속히 감지하여 방폭지역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전기적, 구조적 특징을 구현하여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 사고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배리어(barrier)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기 감지기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암실로 유도하여 발광부의 발광빛이 암실 내부로 들어 오는 연기에 의해 산란되어 수광부로 수광되도록 하므로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장치이다.
특히, 상기 연기감지기 및 그 밖에 전기기구는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 물질 등이 있는 위험 장소에서 과열,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폭형 구조를 채택하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폭형 구조는 기구 내부에 과열,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 사고를 방지하고자 내압 구조를 채택함과 함께 연기감지부와 전원제어부를 분리되게 격리시키는 기밀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기감지기의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된 방폭형 화재감지기 점검기구(등록실용신안 20-0243500)에 따르면, "봉형상의 열감지센서를 가지는 방폭형 화재감지기의 점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고온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단열성이 양호한 하우징(8); 중앙부로 열감지센서(6)가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하우징을 밀폐하기 위한 캡(10); 상기 열감지센서(6)가 인입될 수 있는 터널(17)이 형성된, 상기 캡의 저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스파크와 같은 발화요소가 전혀 없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고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전기적 스파크발생으로 인한 연기, 화재에 신속하게 정확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적, 구조적으로 설계되지 않아서 실제적인 효과가 경미하여 폭발사고에 충분히 대비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방폭지역에서 연기를 신속히 감지하여 방폭지역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전기적, 구조적 특징을 구현하여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 사고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배리어를 가진 방폭형 연기 감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B의 과열,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 사고를 릴레이(Relay) 기능을 갖는 배리어에 의해 차단하고 배리어의 전후 이격 공간에 의해 공기 순환 통로를 충분히 형성하므로써 우수한 방열효과를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디 전방 중앙의 결합공에 기밀 결합되는 커버 내부로 PCB 전원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 전방으로 사방에 관통공과 내부 암실에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해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수단이 설치된 캡을 구획되게 결합하되; 상기 바디 내부에는 PCB 전원제어부의 후방에 PCB 전원제어부 보다 큰 외곽 사이즈를 갖는 판 형태의 배리어를 전후로 이격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 구성되며; 상기 PCB전원제어부는 상기 수광부가 수집한 광량과 사전에 미리 저장된 기준광량을 비교하여 기준광량보다 수집한 광량이 더 적을 경우에는 상기 배리어를 구동시켜 시스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 상기 바디 내부에는 배리어의 배면에 배리어와 이격된 위치로 절연 및 내열성을 가진 수지판을 고정 설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 상기 커버 내부에 화재시 발생하는 열이나 빛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설치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 물질 등이 있는 위험 장소에서 과열,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 사고를 방지하고자 바디 전방에 PCB 전원제어부가 설치되는 커버와 연기감지수단이 설치되는 캡을 구획 결합하되, 상기 PCB 전원제어부 후방에 릴레이(Relay) 기능을 갖는 배리어를 설치하여 연기감지 작동시 상기 배리어를 구동시켜 시스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PCB 전원제어부의 과열, 전기적 스파크로 인한 폭발 사고를 릴레이(Relay) 기능을 갖는 배리어에 의해 차단하고 배리어의 전후 이격 공간에 의해 공기 순환 통로를 충분히 형성하므로 우수한 방열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을 나타낸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 전방 중앙의 결합공(11)에 기밀 결합되는 커버(20) 내부로 PCB 전원제어부(25)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 전방으로 내부 암실(31)에 발광부(36)와 수광부(37)에 의해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수단(35)이 설치된 캡(30)을 구획되게 결합하되, 상기 바디 내부에는 PCB 전원제어부(25)의 후방에 릴레이(Relay) 기능을 갖는 배리어(40)를 전후로 이격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디(10), 커버(20) 및 캡(30)은 알루미늄으로 성형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0)의 전방 중앙에는 연기감지수단(35)과 PCB 전원제어부(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의 설치를 위해 케이블소켓(21)을 설치하되, 상기 케이블 소켓은 에폭시 몰딩으로 기밀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 내부에는 배리어(40)의 배면에 배리어와 이격된 위치로 절연 및 내열성을 갖는 수지판(45)을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20) 내부에 화재시 발생하는 열이나 빛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설치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연기감지기는 도면에는 상세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 유선 또는 무선의 수발신 기능을 마련하여 원격에서 시스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로서, 2는 캡(30)과 커버(2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 볼트, 3은 오링, 30a는 캡(30)의 관통공, 42는 배리어 설치를 위한 서포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연기감지기는 전자회로적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전자회로적 기능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암실(31) 내부에 설치된 발광부(36)와 수광부(37)는 LED로 구성될 수 있고, 연기가 감지되면 연기감지 상태를 표시하는 감지부LED(38)가 구비된다.
암실 내부의 발광부(36)가 수광부(37)로 빛을 조사하면, 수광부(37)는 수집된 광량을 PCB전원제어부(25)로 전달하면, PCB전원제어부(25)는 내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광량과 상기 수광부(37)가 보낸 광량을 비교한다. 암실 (31)내부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빛이 전혀 유입되지 못하고, 수광부(37)가 보낸 빛은 오직 발광부(36)가 보낸 광량 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PCB전원제어부(25)는 기준 광량보다 수광부(37)가 보낸 광량이 더 적다면 연기가 발생되고 있다고 할 수 있고, 연기가 발생되고 있다고 판정하는 기준은 기준 광량이라고 할 것이다. 기준 광량보다 수광부(37)가 보낸 광량이 더 적으면 연기가 발생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PCB전원제어부(25)는 배리어(40)를 구동시키고, 배리어(40)가 구동될 때 감지부LED(38)가 디스플레이되어 현재 연기가 감지되었음을 표시한다. 배리어(40)는 시스템 내부의 전원공급을 즉시 차단하여 방폭지역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전자적 방폭기능 외에도 방폭을 위한 구조적 특징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바디(10) 전방에 내부로 PCB 전원제어부(25)를 설치된 커버(20)를 기밀 결합하고, 상기 커버 전방에 내부로 연기감지수단(35)이 설치된 캡(30)을 구획 결합하는 방폭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20)의 전방 중앙으로 케이블 소켓(21)을 설치하여 상기 연기감지수단(35)과 PCB 전원제어부(25)를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블 소켓(21)은 에폭시 몰딩으로 기밀 차단한다.
이와 같이 조립 설치되는 본 발명의 연기 감지기는 캡(30)의 관통공(30a)을 통해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캡 내부의 암실(31)로 유도하여 연기감지수단(35)의 발광부(36)의 발광빛이 암실 내부로 들어 오는 연기에 의해 산란되어 수광부(37)로 수광되도록 하므로써 신속한 연기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더우기, 상기 바디(20) 내부에는 PCB 전원제어부(25)의 후방에 릴레이(Relay) 기능을 갖는 배리어(40)가 설치하므로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 물질 등이 있는 위험 장소에서 내부 PCB 전원제어부(25)의 과열, 전기적 스파크 등이 원인이 되어 전원선 등을 통한 폭발 사고 등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리어 배면에는 절연 및 내열성을 갖는 수지판(45)을 설치하여 PCB 전원제어부(25)의 과열, 전기적 스파크 등에 의한 2차적인 화재 위험 요소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PCB 전원제어부(25)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리어(40)는 전후로 이격 공간 형성에 의해 공기 통로를 형성하므로 방열 효과가 우수하여 과열 등에 의한 안전 사고를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연기감지 기능 이외에 커버(20) 내부에 화재시 발생하는 열이나 빛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설치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연기감기 기능 대신에 열이나 빛을 감지하는 센서 기능만을 단독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단순 기능의 변경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10: 바디 11: 결합공
20: 커버 25: PCB 전원제어부
30a: 관통공 30: 캡
31: 암실 35: 연기감지수단
36: 발광부 37: 수광부
40: 배리어 21: 케이블 소켓
45: 수지판

Claims (3)

  1. 방폭형 연기 감기지기에 있어서,
    바디(10) 전방 중앙의 결합공(11)에 기밀 결합되는 커버(20) 내부로 PCB 전원제어부(25)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 전방으로 내부 암실(31)에 발광부(36)와 수광부(37)에 의해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수단(35)이 설치된 캡(30)을 구획되게 결합하되,
    상기 바디 내부에는 PCB 전원제어부(25)의 후방에 릴레이(Relay) 기능을 갖는 판 형태의 배리어(40)를 전후로 이격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 구성하며;
    상기 PCB전원제어부(25)는 상기 수광부(37)가 수집한 광량과 사전에 미리 저장된 기준 광량을 비교하여 기준 광량보다 수집한 광량이 더 적을 경우에는 상기 배리어(40)를 구동시켜 시스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부에는 배리어(40)의 배면에 배리어와 이격된 위치로 절연 및 내열성을 갖는 수지판(45)을 고정 설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 내부에 화재시 발생하는 열이나 빛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설치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KR1020120047607A 2012-05-04 2012-05-04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KR101269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07A KR101269239B1 (ko) 2012-05-04 2012-05-04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07A KR101269239B1 (ko) 2012-05-04 2012-05-04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239B1 true KR101269239B1 (ko) 2013-05-30

Family

ID=4866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607A KR101269239B1 (ko) 2012-05-04 2012-05-04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2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71347A4 (en) * 2014-07-14 2017-11-29 Fenwal controls of Japan, Ltd. Photoelectric smoke sensor
KR20180043330A (ko) * 2015-08-25 2018-04-27 펜월 컨트롤즈 오브 재팬, 리미티드 광전식 연기 감지기
KR20190129464A (ko) * 2018-05-11 2019-11-20 삼삼기업주식회사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CN117523800A (zh) * 2024-01-03 2024-02-06 河北雄安凌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烟感探测器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00Y1 (ko) 2001-06-01 2001-10-29 윤삼기 방폭형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00Y1 (ko) 2001-06-01 2001-10-29 윤삼기 방폭형 화재감지기 점검기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71347A4 (en) * 2014-07-14 2017-11-29 Fenwal controls of Japan, Ltd. Photoelectric smoke sensor
KR101874970B1 (ko) 2014-07-14 2018-07-05 펜월 컨트롤즈 오브 재팬, 리미티드 광전식 연기 감지기
US10054542B2 (en) 2014-07-14 2018-08-21 Fenwal Controls Of Japan, Ltd.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KR20180043330A (ko) * 2015-08-25 2018-04-27 펜월 컨트롤즈 오브 재팬, 리미티드 광전식 연기 감지기
EP3327688A4 (en) * 2015-08-25 2019-04-03 Fenwal controls of Japan, Ltd. PHOTOELECTRIC SMOKE SENSOR
KR102093401B1 (ko) 2015-08-25 2020-03-25 펜월 컨트롤즈 오브 재팬, 리미티드 광전식 연기 감지기
KR20190129464A (ko) * 2018-05-11 2019-11-20 삼삼기업주식회사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KR102052825B1 (ko) 2018-05-11 2019-12-05 삼삼기업주식회사 건물의 화재감지 시스템
CN117523800A (zh) * 2024-01-03 2024-02-06 河北雄安凌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烟感探测器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N117523800B (zh) * 2024-01-03 2024-04-12 河北雄安凌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烟感探测器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542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KR101269239B1 (ko) 배리어를 갖는 방폭형 연기 감지기
US7786879B2 (en) Self-powered rechargeable smoke/carbon monoxide detector
US11137138B2 (en) Heating system shut-off safety device
US20110304268A1 (en) Lighting device having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sensor
US20080180261A1 (en) Carbon monoxide and explosive gas shut off system
EP2549453A4 (en) DETECTOR
KR20140028457A (ko) 가스감지 기능을 구비한 용접토치장치
GB2551857A (en) Safety Plug
CN105570799A (zh) 一种led贴片式吸顶灯
CN107993387A (zh) 一种基于红外探测的防辐射语音报警装置
CN208222239U (zh) 防爆应急工作灯
CN106549316A (zh) 一种密闭式安全配电箱
KR101539990B1 (ko) 산업용 히팅 케이블 시스템에 설치되는 엔드 램프 장치
ES2383598T3 (es) Dispositivo de rotor de una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con una unidad de aviso y valoración para la vigilancia de incendios, humos y funcionamiento de las palas de rotor y de la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CN112337007A (zh) 充电桩及其火情控制方法
CN217386467U (zh) 一种烟光复合火灾探测器
CA2954853C (en) Device for evaporating volatile substances
KR20200019470A (ko) 불꽃 감지장치
CN109727424A (zh) 一种无线智能型烟雾报警器
WO2011124224A1 (en) A system for turning off a power supply in a predetermined part of an electrical system
KR200382273Y1 (ko) 도시가스배관용 방범경보기
KR102248212B1 (ko)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TWM536957U (zh) 具防水功能之消防探測裝置
JP5709430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