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436A -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436A
KR20190129436A KR1020180054087A KR20180054087A KR20190129436A KR 20190129436 A KR20190129436 A KR 20190129436A KR 1020180054087 A KR1020180054087 A KR 1020180054087A KR 20180054087 A KR20180054087 A KR 20180054087A KR 20190129436 A KR20190129436 A KR 2019012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helter
electric vehicle
charg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931B1 (ko
Inventor
최용길
오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펌프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펌프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펌프킨
Priority to KR102018005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93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쉘터(Shelter)와 전기차 충전기를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충전기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단일의 전력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해줌으로써 충전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를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캐노피가 일체로 이루어진 단위 충전 쉘터가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된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을 포함하여,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Shelter Integr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쉘터(Shelter)와 전기차 충전기를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충전기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단일의 전력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해줌으로써 충전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탄소 과다 배출로 지구 온난화현상이 지속화되면서 이상기후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전기 자동차(이하, "전기차"라고 약칭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관심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차 또는 EV(electric vehicle)는 석유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와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이러한 전기차는 주차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충전시스템에 의해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가 충전됨에 따라 배터
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운행될 수 있다.
전기차는 특징에 따라 충전방식이 직접 충전 방식과 배터리 교체 방식으로 대별된다.
직접 충전 방식은 다시 완속 충전방식과 급속 충전방식으로 나뉘며, 이중 완속 충전방식은 주택용이나 주차장용 위치로 설치되어 전지비용이 저렴하지만 완충까지 약 5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급속 충전방식은 주유식 충전 방식의 하나로, 고전력으로 단시간(예컨대, 약 30분) 내에 충전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소의 일 예로서, 충전 스테이션(10)을 이용하여 전기차(1)를 충전한다. 충전 스테이션(10)은 햇빛, 비, 눈 또는 외부의 이물질이 충전 스테이션(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캐노피(canopy)(20) 안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스테이션(10)은 내부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장치, 결재를 위한 결재 장치, 충전 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 통신 장치, 제어장치 등 다양한 장치가 내장되어 부피가 크다. 그 중 전력 변환장치가 특성상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스테이션(10) 내부에는 완속 충전장치와 급속 충전장치를 모두 구비하거나, 둘 중 하나만 마련된 충전장치도 있는 데, 급속 충전을 위한 급속 충전장치는 고전력 변환을 위한 장치가 부가되어, 완속 충전장치에 비해 매우 고가이다.
전기차 충전을 위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전기차 충전장치는 내부(14)와 내부(14)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구부(18)를 형성하는 하우징(12),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도어(20), 적어도 폐쇄 위치 제1 개방 위치와 제2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도어의 피봇식 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힌지 조립체(22)를 포함하여 충전 스테이션(10)을 구현한다. 아울러 하우징 및 하우징에 피봇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를 구비시켜 충전 스테이션을 구현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복수의 배터리 각각을 전압제어에 의해 완충전압보다 적은 소정 제1전압까지 충전하고, 복수의 배터리를 전류제어 방식으로 완충에 해당하는 제2전압의 소정비율까지 충전하고, 복수의 배터리를 전압제어 방식으로 제2전압까지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나의 컨버터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93036(2013.08.21. 공개)(전동식 차량 충전용 충전 스테이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200000(2017.10.30. 공개)(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제어장치)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은 전기차 충전소는 단일의 충전기에 충전을 위한 모든 장치를 내장시키기 때문에 충전기의 부피가 커지고, 충전기의 구성이 복잡하며, 무게가 무거워 이동이나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하나의 충전소에 하나의 충전기를 설치하고, 해당 충전기를 위한 개별적인 캐노피를 설치하기 때문에, 하나의 충전기 설치를 위해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한 제약이 따르며, 해당 충전기에 급속 충전기가 설치되므로 충전기의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전기차 충전소 및 종래기술들은 충전용 케이블이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이 이루어지므로, 충전 케이블 피복이 벗겨져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사용시 무거운 케이블을 차량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하고, 사용 후 직접 수동으로 케이블을 수납장소로 이동시켜 수납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아울러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널려진 상태로 사용되므로, 널려진 충전 케이블에 의해 사람이 걸려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단일의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스테이션은 제공해주나, 동시에 다수의 전기차를 충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하나의 전력 변환장치(예를 들어, 컨버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배터를 동시 충전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최적화된 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해주지는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쉘터(Shelter)와 전기차 충전기를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충전기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단일의 전력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해줌으로써 충전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기의 사용에 편리함을 도모하고, 사용 후 사용자가 직접 충전 케이블을 수납 장소에 수납하지 않고 자동으로 충전 케이블을 수납시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해주고자 한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 케이블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사용상의 편리함과 수려함을 제공해주도록 한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를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캐노피가 일체로 이루어진 단위 충전 쉘터가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된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은 전기차의 충전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 변환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전력 변환장치는 입력 전원을 전기차의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되, 결합된 단위 충전 쉘터의 개수에 대응하게 충전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은 하나의 전력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결합된 모든 단위 셀터에 충전 전력을 동시에 공급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기는 충전 케이블 및 충전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된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케이블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이송장치는 상기 캐노피에 설치된 지지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노피는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충전기를 보호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후면패널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에 결합된 단위 충전 쉘터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겨나 사용자가 당기면 자동으로 풀리도록 하는 케이블 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릴은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을 이루는 복수의 단위 쉘터에 일대일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쉘터(Shelter)와 전기차 충전기를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충전기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단일의 전력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해줌으로써 충전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기의 사용에 편리함을 도모하고, 사용 후 사용자가 직접 충전 케이블을 수납 장소에 수납하지 않고 자동으로 충전 케이블을 수납시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해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케이블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사용상의 편리함과 수려함을 제공해주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차 충전소의 실시 예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이 제1 실시 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이 제2 실시 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은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이 제3 실시 예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1>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111, 121, 131)와 상기 충전기(111, 121, 131)를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캐노피(112, 122, 132)가 일체로 이루어진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가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된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를 3개 결합하여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을 구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충전 쉘터의 개수는 충전스테이션의 구현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증감할 수 있음을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 하나의 단위 충전 쉘터(예를 들어, 1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은 전기차의 충전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 변환장치(140)가 특정 쉘터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특정 쉘터는 전체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의 맨 처음 쉘터이거나 중간에 있는 쉘터이거나 맨 끝에 있는 쉘터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은 쉘터의 개수에 무관하게 단일의 전력 변환장치(140)가 구비되어, 결합된 모든 단위 충전 쉘터에 충전 전력을 동시에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력 변환장치(140)는 입력 전원을 전기차의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되, 결합된 단위 충전 쉘터의 개수에 대응하게 충전 전력을 분배하여 전력 케이블(141)을 이용하여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기(111)는 충전 케이블(113) 및 충전 케이블(113)의 일단에 연결된 충전 단자(114)를 포함한다. 충전 케이블(113)의 타단은 상기 전력 변환장치(140)의 전력 케이블(14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노피(112)는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충전기(111)를 보호하는 후면패널(115)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111)는 상기 후면패널(115)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후면패널(115)의 일부에 충전기(111)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형성한 홈에 상기 충전기(111)를 끼워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별도의 장착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111)를 상기 후면 패널(115)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캐노피(112)와 충전기(111)를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을 복수의 단위 충전 쉘터를 결합하여 구현하고, 부피가 크고 가격이 고가인 전력 변환장치를 전체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에 대하여 쉘터의 개수와 무관하게 한 개만 별도로 구현하고, 전력 변환장치의 충전 전력을 각각의 충전기에 분배하여 공급해줌으로써, 충전기의 사이즈를 소형화하고,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충전기의 사이즈를 소형화함으로써, 다수의 단위 충전 쉘터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구현하여도, 전체적인 공간을 기존 단일 전기차 충전소 구현 공간에 비하여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 예2>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111, 121, 131)와 상기 충전기(111, 121, 131)를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캐노피(112, 122, 132)가 일체로 이루어진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가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된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를 3개 결합하여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을 구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충전 쉘터의 개수는 충전스테이션의 구현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증감할 수 있음을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 하나의 단위 충전 쉘터(예를 들어, 1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은 전기차의 충전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 변환장치(140)가 특정 쉘터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특정 쉘터는 전체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의 맨 처음 쉘터이거나 중간에 있는 쉘터이거나 맨 끝에 있는 쉘터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은 쉘터의 개수에 무관하게 단일의 전력 변환장치(140)가 구비되어, 결합된 모든 단위 충전 쉘터에 충전 전력을 동시에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력 변환장치(140)는 입력 전원을 전기차의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되, 결합된 단위 충전 쉘터의 개수에 대응하게 충전 전력을 분배하여 전력 케이블(141)을 이용하여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기(111)는 충전 케이블(113) 및 충전 케이블(113)의 일단에 연결된 충전 단자(114)를 포함한다. 충전 케이블(113)의 타단은 상기 전력 변환장치(140)의 전력 케이블(14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노피(112)는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충전기(111)를 보호하는 후면패널(115)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111)는 상기 후면패널(115)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후면패널(115)의 일부에 충전기(111)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형성한 홈에 상기 충전기(111)를 끼워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별도의 장착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111)를 상기 후면 패널(115)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캐노피(112)와 충전기(111)를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전술한 < 실시 예1> 의 구성 및 작용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113)을 이송시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케이블 이송장치(116)를 부가한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이송장치(116)는 상기 캐노피(112)에 설치된 지지대(117)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이송된다. 여기서 케이블 이송장치(116)는 다양한 형태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117)의 내부에 다양한 이동 장치를 부가하면 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117)의 내부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이송장치(116)를 가이드 레일을 통해 이동되도록 하였다. 충전을 위해 사용자가 충전 단자(114)를 들고 당기면 이송장치(116)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진이 되어, 힘이 많이 들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충전 케이블(113)을 이송시킬 수 있다. 충전 완료 후 충전 단자(11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다시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송장치(116)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자동 복귀를 위해서는 소형의 릴을 지지대(117)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고, 사용자가 충전 단자(11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후, 충전 케이블(113)을 잡아당겼다 놓으면 원래의 위치로 이송장치(116)가 이송되어 충전 케이블(113)을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을 복수의 단위 충전 쉘터를 결합하여 구현하고, 부피가 크고 가격이 고가인 전력 변환장치를 전체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에 대하여 쉘터의 개수와 무관하게 한 개만 별도로 구현하고, 전력 변환장치의 충전 전력을 각각의 충전기에 분배하여 공급해줌으로써, 충전기의 사이즈를 소형화하고,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충전기의 사이즈를 소형화함으로써, 다수의 단위 충전 쉘터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구현하여도, 전체적인 공간을 기존 단일 전기차 충전소 구현 공간에 비하여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 이송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충전 케이블의 이송에 편리함을 도모해주게 된다.
<실시 예 3>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111, 121, 131)와 상기 충전기(111, 121, 131)를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캐노피(112, 122, 132)가 일체로 이루어진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가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된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를 3개 결합하여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을 구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충전 쉘터의 개수는 충전스테이션의 구현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증감할 수 있음을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 하나의 단위 충전 쉘터(예를 들어, 1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은 전기차의 충전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 변환장치(140)가 특정 쉘터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특정 쉘터는 전체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의 맨 처음 쉘터이거나 중간에 있는 쉘터이거나 맨 끝에 있는 쉘터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은 쉘터의 개수에 무관하게 단일의 전력 변환장치(140)가 구비되어, 결합된 모든 단위 충전 쉘터에 충전 전력을 동시에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력 변환장치(140)는 입력 전원을 전기차의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되, 결합된 단위 충전 쉘터의 개수에 대응하게 충전 전력을 분배하여 전력 케이블(141)을 이용하여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기(111)는 충전 케이블(113) 및 충전 케이블(113)의 일단에 연결된 충전 단자(114)를 포함한다. 충전 케이블(113)의 타단은 상기 전력 변환장치(140)의 전력 케이블(14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노피(112)는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충전기(111)를 보호하는 후면패널(115)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111)는 상기 후면패널(115)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후면패널(115)의 일부에 충전기(111)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형성한 홈에 상기 충전기(111)를 끼워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별도의 장착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111)를 상기 후면 패널(115)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캐노피(112)와 충전기(111)를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1> 또는 <실시 예2>의 구성 및 작용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113)을 이송시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케이블 릴(118, 128, 138)을 부가한 것이다.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에 결합된 단위 셀터(110, 120, 130)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겨나 사용자가 당기면 자동으로 풀리도록 하는 케이블 릴(118, 128, 138)을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릴(118, 128, 138)은 쉘터형 충전스테이션(100)을 이루는 복수의 단위 충전 쉘터(110, 120, 130)에 일대일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거나, 각각의 단위 충전 쉘터에 구비된 충전단자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릴(118, 128, 138)은 상기 캐노피(112)에 설치된 지지대(117)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을 위해 사용자가 충전 단자(114)를 들고 당기면 케이블(118)에 의해 충전 케이블(113)이 풀리고, 충전 완료 후 충전 단자(114)를 당긴 후 놓으면 충전 케이블(113)이 케이블 릴(118)에 의해 자동으로 원래의 상태로 감겨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을 복수의 단위 충전 쉘터를 결합하여 구현하고, 부피가 크고 가격이 고가인 전력 변환장치를 전체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에 대하여 쉘터의 개수와 무관하게 한 개만 별도로 구현하고, 전력 변환장치의 충전 전력을 각각의 충전기에 분배하여 공급해줌으로써, 충전기의 사이즈를 소형화하고,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충전기의 사이즈를 소형화함으로써, 다수의 단위 충전 쉘터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구현하여도, 전체적인 공간을 기존 단일 전기차 충전소 구현 공간에 비하여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 릴에 의해 사용자가 충전 케이블의 이송에 편리함을 도모해주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전기차 충전스테이션
110, 120, 130: 단위 충전 쉘터
111: 충전기
112: 캐노피
113: 충전 케이블
114: 충전 단자
115: 후면 패널
116: 이송 장치
117: 지지대
118: 케이블 릴
140: 전력 변환장치

Claims (8)

  1. 전기차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를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캐노피가 일체로 이루어진 단위 충전 쉘터가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된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은 전기차의 충전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 변환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전력 변환장치는 입력 전원을 전기차의 충전 전력으로 변환하되, 결합된 단위 충전 쉘터의 개수에 대응하게 충전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3. 청구항 2에서, 상기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은 하나의 전력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결합된 모든 단위 쉘터에 충전 전력을 동시에 공급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충전기는 충전 케이블 및 충전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된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케이블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케이블 이송장치는 상기 캐노피에 설치된 지지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서, 상기 캐노피는 외부의 위해 환경으로부터 충전기를 보호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후면패널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7. 청구항 1에서, 상기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에 결합된 단위 충전 쉘터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겨나 사용자가 당기면 자동으로 풀리도록 하는 케이블 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8. 청구항 7에서, 상기 케이블 릴은 쉘터형 충전스테이션을 이루는 복수의 단위 쉘터에 일대일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거나, 충전기의 개수에 일대일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20180054087A 2018-05-11 2018-05-11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254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87A KR102541931B1 (ko) 2018-05-11 2018-05-11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87A KR102541931B1 (ko) 2018-05-11 2018-05-11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36A true KR20190129436A (ko) 2019-11-20
KR102541931B1 KR102541931B1 (ko) 2023-06-12

Family

ID=6872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087A KR102541931B1 (ko) 2018-05-11 2018-05-11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9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366B1 (ko) 2020-07-13 2021-03-04 김준수 캐노피 구조물
KR102450103B1 (ko) * 2021-05-24 2022-10-06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기용 다기능 캐노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654A (ko) * 2011-03-25 2012-10-05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스마트 쉘터 및 그를 이용한 전원관리 시스템
KR20130093036A (ko) 2012-02-13 2013-08-2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전동식 차량 충전용 충전 스테이션
WO2014025461A1 (en) * 2012-08-10 2014-02-13 Envision Solar International, Inc. Self-contained renewable battery charger
US20170129356A1 (en) * 2011-12-13 2017-05-11 Brightfield Transportation Solutions, Inc. Structural bollard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infrastructure
KR101737818B1 (ko) * 2016-11-16 2017-05-22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654A (ko) * 2011-03-25 2012-10-05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스마트 쉘터 및 그를 이용한 전원관리 시스템
US20170129356A1 (en) * 2011-12-13 2017-05-11 Brightfield Transportation Solutions, Inc. Structural bollard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infrastructure
KR20130093036A (ko) 2012-02-13 2013-08-2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전동식 차량 충전용 충전 스테이션
WO2014025461A1 (en) * 2012-08-10 2014-02-13 Envision Solar International, Inc. Self-contained renewable battery charger
KR101737818B1 (ko) * 2016-11-16 2017-05-22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설치/운영 지침. 환경부. 2016년02월. (출처: http://www.me.go.kr/home/file/readDownloadFile.do?fileId=140746&fileSeq=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366B1 (ko) 2020-07-13 2021-03-04 김준수 캐노피 구조물
KR102450103B1 (ko) * 2021-05-24 2022-10-06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기용 다기능 캐노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931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632B1 (ko) 교통 약자 맞춤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US8120308B2 (en) Solar panel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that charges individual batteries with direct parallel connections to solar panels
US812031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using solar power
US20120146572A1 (en) Solar panel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that charges individual battery cells with direct parallel connections to solar panels and interconnected charge controllers
US20150298661A1 (en) An electronic vehicle battery replacement system
CN103648834B (zh) 车辆
US9630513B2 (en) Portable bi-directional multiport AC/DC charging cable system
US10536026B2 (en) Compact passenger station structure containing vehicle charging components
US20180015834A1 (en) Fast charging home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N107351691A (zh) 一种车载电动汽车充电桩
JP2013066365A (ja) 車両駆動装置、車両充電システム、及び自動車
PT1470627E (pt) Veículo eléctrico utilizado para servir de unidade de alimentação para cobrir pontas de carga
KR20170141585A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US88165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toring and transferring electrical power between a vehicle and an auxiliary application
US20230173898A1 (en) Pickup Truck Bed Solar Cover System
KR20190129436A (ko) 쉘터 일체형 전기차 충전시스템
US6762582B2 (en) System and method to power an electric-powered device using light energy
KR102264206B1 (ko) 전기차 충전기능이 탑재된 충전차량
JP2020150767A (ja) 電力管理装置
CN111376855A (zh) 汽车智能电源管理系统
DE4205331C2 (de) Verwendung einer in einem Fahrzeug integrierten Einrichtung zur Ausnutzung der Sonnenenergie
CN203410289U (zh) 光伏备用电源车衣
JP7006572B2 (ja) 車両用充電制御システム
CN207140813U (zh) 一种车载电动汽车充电桩
JP7088784B2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