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094A - 평강 반제품,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평강 반제품,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094A
KR20190126094A KR1020197028245A KR20197028245A KR20190126094A KR 20190126094 A KR20190126094 A KR 20190126094A KR 1020197028245 A KR1020197028245 A KR 1020197028245A KR 20197028245 A KR20197028245 A KR 20197028245A KR 20190126094 A KR20190126094 A KR 20190126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flat steel
layer
semifinished produc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나 마타이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12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9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33Sheets, foils
    • B23K35/0238Sheets, foil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21D8/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23C28/023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 C23C28/025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with at least one zinc-based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2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370HV10 초과의 경도를 갖는 마르텐사이트 강 합금으로 제조된 제1 층(1.1); 및 상기 제1 층(1.1)에 전면에 걸쳐 재료-대-재료 접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60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90HV10 미만의 경도를 갖는 연질 강 합금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층(1.2, 1.2');으로 구성된 평강 반제품(1)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강 반제품으로부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응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평강 반제품,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용도
본 발명은,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에 전면에 걸쳐 재료-대-재료 접합 방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을 포함하는 평강 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평강 반제품으로부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응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차량 중량을 감소시켜 연료 소비를 상응하게 저감시키기 위한 새로운 해법이 모색되고 있다. 이 경우, 경량화는 차량 중량을 줄일 수 있게 하는 필수적인 수단이다. 이를 달성하는 한 가지 방안은 증가된 강도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재료의 휨 성능은 저하된다. 경량화의 실현을 위해 높아진 강도에도 불구하고, 충돌 관련 부품의 경우에 요구되는 탑승자 보호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가 충돌에 의해 도입된 에너지를 변형을 통해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특히 차량 구조체 또는 좌석 구조체의 충돌 관련 부품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변형 능력을 요구한다. 중량을 줄이는 한 가지 방안은, 예를 들어 차량의 차체, 프레임, 좌석 구조체 및/또는 섀시, 특히 전기 및/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기 구동을 위한 배터리 모듈의 수납을 위한 배터리 하우징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에 비해 경량의 혁신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훨씬 더 가벼운 형태로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통상의 재료는 부품에 따라 필적하는 특성을 갖는 더 경량의 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상이한 재료로 조성된 하이브리드 재료 또는 재료 복합체가 자동차 산업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고, 여기서 각각의 개별 재료는, 재료 복합체로서 개별 일체형 재료에 비해 개선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대조적인 특성을 제공하도록 복합체로 조합되는 특정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다양한 강 합금으로 제조된 재료 복합체가 선행 기술로부터, 예를 들어 독일 공개공보 DE 10 2008 022 709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특히, 높은 (인장) 강도 (Rm)를 갖고, 냉간 성형된 충돌 관련 부품 (부품 파트)의 제조에 특히 적합한, 마르텐사이트 미세구조를 갖는 강 합금이 유리한 특성을 보유한다. 이러한 강 합금은 본 출원인에 의해, 상기 특성의 유지 하에 종래의 강 합금에 비해 재료 두께가 더 얇게 제조될 수 있는 마르텐사이트상 강으로서 "MS-W®"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여기서 재료 두께의 감소는 구성요소(부품)의 중량 및 차량의 총 중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강 합금은 자동차 산업에서의 탁월한 적합성을 갖는다.
마르텐사이트상 강에 있어서 강도 증가라는 측면에서의 잠재성은 결코 사라지지 않았으며, 따라서 상응하는 합금 개념에 의해, 또는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제조 경로의 최적화에 의해, 마르텐사이트상 강의 인장 강도를 2000MPa 이상으로 달성 또는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마르텐사이트 미세구조를 갖는 강 합금(마르텐사이트상 강)은, 그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 때문에, 특히 부식방지 코팅과 관련하여, 제한적으로만 코팅될 수 있다.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변형성이 저하되고, 이는 특히 휨 각도의 희생을 수반하기 때문에, 성형 시 만들어질 기하구조 또는 복잡도에 따라 강 재료의 표면 또는 표면 근처 영역에 미세균열/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최악의 경우 때이른 부품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용이하게 코팅 가능하고, 특히 성형 작업 시 균열 경향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덜 하며, 특히 더 높은 휨 각도를 갖는, 본질적으로 개선된 특성을 갖는 평강 반제품을 제공하고,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상응하는 용도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평강 반제품에 의해 해결된다.
발명자들은, 마르텐사이트 미세구조를 가지며 12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370HV10 초과의 경도, 특히 13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400HV10 초과의 경도, 바람직하게는 14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435HV10 초과의 경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465HV10 초과의 경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16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490HV10 초과의 경도를 갖는 강 합금으로 제조된 제1 층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전면에 걸쳐 재료-대-재료 접합 방식으로 연결된, 연질 강 합금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을 제공함으로써, 연질 강 합금으로 제조된 제2 층이 일종의 기능층으로서 기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면에서 제1 층과의 직접 접촉이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연질 강 합금은 60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90HV10 미만의 경도, 특히 55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75HV10 미만의 경도, 바람직하게는 45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40HV10 미만의 경도, 더 바람직하게는 38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20 HV10 미만의 경도를 갖는다. 제2 층 또는 연질 강 합금은 코팅 및/또는 변형성과 관련하여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평강 반제품은, 공정 사슬에 변화가 주어지지 않고서도, 기존의 표준 공정, 예를 들어 압연 프로파일링(roll profiling) 등에 통합될 수 있다. 코팅 성향 및/또는 변형성은 결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기능층으로서의 제2 층에 의해 제공되는, 평강 반제품의 표면에서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평강 반제품은 스트립, 플레이트 또는 시트 형태의 반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추가의 공정 단계들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평강 반제품은 다양한 강 합금들로 제조된 적어도 2개의 층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평강 반제품의 제1 층은, Fe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불순물 외에도, 중량% 단위의 C: 0.15-0.6%, Si: 0.05-0.9%, Mn: 0.3-2.0%, Al: 0.01-2.0%, Cr+Mo: 1.5% 이하, Nb+Ti: 0.2% 이하, B: 0.02% 이하, V: 0.25% 이하, Cu: 0.2% 이하, Ni: 0.3% 이하, Sn: 0.05% 이하, Ca: 0.01% 이하, As: 0.02% 이하, N: 0.01% 이하, P: 0.06% 이하, S: 0.03% 이하로 구성된다.
C는 강도 증가 합금 원소이고,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의 증가에 기여하므로, 원하는 강도를 달성 또는 설정하기 위해 적어도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2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취성도 증가하므로, 재료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충분한 용접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함량은 0.6 중량% 이하, 특히 0.5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5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4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Si는 고용체 경화에 기여하고, 그 함량에 따라 강도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합금 원소이므로, 적어도 0.05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이 합금 원소는 충분한 압연성을 보장하기 위해 0.9 중량% 이하, 특히 0.7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Mn은 경화성에 기여하고 인장 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합금 원소이고, 특히 S와 결합하여 MnS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0.3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상기 합금 원소는 충분한 용접성을 보장하기 위해 2.0 중량% 이하, 특히 1.7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Al은 합금 원소로서 탈산에 기여하며, 여기서 적어도 0.01 중량%, 특히 0.015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상기 합금 원소는, 재료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히 비금속 산화물 봉입물 형태의, 재료 내 침전물을 본질적으로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방지하기 위해, 2.0 중량% 이하, 특히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함량은 0.02 중량% 내지 0.06 중량%로 조정된다.
Cr은 합금 원소로서 함량에 따라 강도의 조정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특히 적어도 0.05 중량%의 함량에서, 특히 경화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 합금 원소는 적절한 용접성을 보장하기 위해 1.5 중량% 이하, 특히 1.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B는 합금 원소로서, 특히 N이 결합되고, 특히 적어도 0.001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할 경우, 경화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 합금 원소는 0.02 중량% 이하, 특히 0.015 중량% 이하로 제한되는데, 왜냐하면 더 높은 함량은 재료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료의 경도 및/또는 강도의 감소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Ti 및 Nb는 합금 원소로서, 특히 Ti가 적어도 0.005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경우, 결정립 미세화 및/또는 N 결합을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체로서 합금에 포함될 수 있다. N의 완전 결합을 위해, Ti의 함량은 적어도 3.42*N으로 제공될 것이다. 조합으로서의 합금 원소는 0.2 중량% 이하, 특히 0.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로 제한되는데, 왜냐하면 더 높은 함량은 재료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재료의 연성(ductility)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Mo, V, Cu, Ni, Sn, Ca, As, N, P 또는 S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서, 이들이 특수한 특성의 조정을 위해 특별히 합금에 포함된 것이 아니라면, 불순물로서 간주될 수 있는 합금 원소이다. 함량은 0.3 중량% 이하의 Mo, 0.25 중량% 이하의 V, 0.2 중량% 이하의 Cu, 0.3 중량% 이하의 Ni, 0.05 중량% 이하의 Sn, 0.01 중량% 이하의 Ca, 0.02 중량% 이하의 As, 0.01 중량% 이하의 N, 0.06 중량% 이하의 P, 0.03 중량% 이하의 S로 제한된다.
제1 층의 적어도 일측 면에 존재하는, 기능층의 형성을 위한 제2 층은, 바람직하게는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통상적으로 코팅 및/또는 성형될 수 있는 미세합금화된(microalloyed) 강 합금 또는 복합 조직강(dual phase steel) 합금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평강 반제품의 제2 층은, Fe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불순물 외에도, 중량% 단위의 C: 0.2% 이하, Si: 0.01-0.6%, Mn: 0.1-2.5%, Al: 0.01 - 2.0%, Cr+Mo: 1.4% 이하, Nb+Ti: 0.25% 이하, B: 0.02% 이하, V: 0.05% 이하, Cu: 0.2% 이하, Ni: 0.2% 이하, Sn: 0.05% 이하, Ca: 0.01% 이하, Co: 0.02% 이하, N: 0.01% 이하, P: 0.1% 이하, S: 0.06% 이하로 구성된다.
성형성 및/또는 코팅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C는 합금 원소로서 0.2 중량% 이하, 특히 0.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9 중량% 이하로 제한되고, 여기서 C는 적어도 0.001 중량%로 존재한다.
Si는 고용체 경화에 기여하고 강도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합금 원소이며, 따라서 적어도 0.01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상기 합금 원소는, 충분한 압연성 및/또는 표면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0.6 중량% 이하, 특히 0.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4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Mn은 경화성에 기여하고 인장 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합금 원소이며, 특히 S와 결합하여 MnS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0.1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상기 합금 원소는 충분한 용접성을 보장하기 위해 2.5 중량% 이하, 특히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Al은 합금 원소로서 탈산에 기여하며, 이 경우 적어도 0.01 중량%, 특히 0.015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특히 2상 영역(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에서 열간압연된 복합 조직 강 합금의 경우, Al은 2상 영역의 확대를 초래하기 위해 높은 함량으로 합금에 포함되고, 이 경우 상기 합금 원소는 재료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히 비금속 산화물 봉입물 형태의, 재료 내 침전물을 본질적으로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방지하기 위해, 2.0 중량% 이하, 특히 1.8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6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Al 함량은, 특히 미세합금화된 강 합금의 경우, 전술한 단점들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1.0 중량% 이하, 특히 0.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Cr은 합금 원소로서 그 함량에 따라, 특히 적어도 0.1 중량%의 함량에서, 강도의 조정에 기여할 수 있고, 표면의 실질적으로 완전한 코팅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4 중량% 이하, 특히 1.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B는 합금 원소로서, 특히 N이 결합되고, 특히 적어도 0.0002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할 경우, 경화성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합금 원소는 0.02 중량% 이하, 특히 0.0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로 제한되는데, 왜냐하면 더 높은 함량은 재료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료의 경도 및/또는 강도의 감소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Ti 및 Nb는 합금 원소로서, 특히 적어도 0.001 중량%의 Ti 및/또는 적어도 0.001 중량%의 Nb의 함량으로, 결정립 미세화 및/또는 N 결합을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서 합금에 포함될 수 있다. N의 완전 결합을 위해, 적어도 3.42*N의 Ti의 함량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조합으로서의 합금 원소는 0.25 중량% 이하, 특히 0.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이하로 제한되는데, 왜냐하면 더 높은 함량은 재료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재료의 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Mo, V, Cu, Ni, Sn, Ca, Co, N, P 또는 S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서, 이들이 특수한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특별히 합금에 포함된 것이 아니라면, 불순물로서 간주될 수 있는 합금 원소이다. 함량은 0.2 중량% 이하의 Mo, 0.05 중량% 이하의 V, 0.2 중량% 이하의 Cu, 0.2 중량% 이하의 Ni, 0.05 중량% 이하의 Sn, 0.01 중량% 이하의 Ca, 0.02 중량% 이하의 Co, 0.01 중량% 이하의 N, 0.1 중량% 이하의 P, 0.06 중량% 이하의 S로 제한된다.
평강 반제품의 한 가지 구성에 있어서, 가장 단순한 실시에서는, 하나의 면에 결합된 제2 층을 갖는 단 하나의 제1 층이 제공된다. 제2 층의 자유 표면은 바람직하게 아연을 기재로 하는 부식방지 코팅으로 코팅되는데, 이 경우 특히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층의 자유 표면이 바람직하게 아연을 기재로 하는 부식방지 코팅으로 코팅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제품이, 제1 층의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층에 전면에 걸쳐 재료-대-재료 접합 방식으로 연결된 2개의 제2 층을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용도에 따라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샌드위치형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층의 양쪽 자유 표면은, 바람직하게 아연을 기재로 하는 부식방지 코팅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평강 반제품이, 본 실시에 따라, 단일면 또는 양면에 전해 아연 코팅을 구비한다. 전해 코팅을 수행하는 것은, 특히 제1 층의 특성이, 특히 예를 들어 용융 아연 도금의 수행 시 발생하는 바와 같은 열적 효과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평강 반제품의 추가의 구성에 있어서, 연질 강 합금으로 제조된 제2 층은 평강 반제품의 총 재료 두께를 기준으로 2% 내지 30%, 특히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2%의 재료 두께를 갖는다. 기능층으로서 제공되는 연질 강 합금은 첫째로, 제1 층의 긍정적인 특성이 실질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재료 두께를 가져야 하며, 여기서 제2 층의 재료 두께는 반제품의 총 재료 두께를 기준으로 (면 당) 30% 이하, 특히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로 제한되고, 둘째로, 코팅 및/또는 성형이 무결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1 층이 평강 반제품의 표면으로부터 특정한 거리를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2 층의 재료 두께는 반제품의 총 재료 두께를 기준으로 (면 당) 적어도 2%, 특히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이다. 평강 반제품은 0.5 내지 6.0 mm, 특히 0.8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mm의 총 재료 두께를 갖는다.
평강 반제품의 한 추가 구성에 따라, 평강 반제품은 클래딩, 특히 압연 클래딩, 또는 주조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평강 반제품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공보 DE 10 2005 006 606 B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열간 압연 클래딩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특허 명세서가 참조되고, 상기 특허 명세서의 내용은 본 출원에 포함된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평강 반제품은 주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그 제조에 대한 한 가지 옵션은 일본 공개 명세서 JP-A 03 133 630호에 개시되어 있다. 금속 복합체 제조는 일반적으로 선행 기술이다.
제2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강 반제품을 냉간 성형하는, 도로 차량 제조, 철도 차량 제조, 조선 또는 항공우주산업을 위한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평강 반제품의 제2 층은 특히 우수한 변형성을 갖고, 예를 들어 미세합금화된 강 합금 또는 복합 조직 강 합금으로 형성됨에 따라, 변형 특성이 최적화되고, 본 발명의 평강 반제품은, 실질적으로 균열 없는 방식으로, 동일한 조성의 통상의 마르텐사이트상 강에 비해 더 높은 휨 각도로 성형될 수 있다.
시트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평강 반제품의 냉간 성형은, 예를 들어, 불연속식 공정에서, 절첩 또는 U-O 성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성형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스트립 형태의 평강 반제품의 성형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성형 설비에서 압연 프로파일링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절첩, U-O 성형 또는 압연 프로파일링에 의해, 요건에 따라 다양한 단면 기하구조를 갖는 개방형 또는 폐쇄형 프로파일이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프로파일은 종방향으로 일정한 또는 종방향으로 가변적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평강 반제품으로부터 제조된 프로파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프로파일은 차량에서의 충돌 프로파일, 특히 차량의 배터리 하우징의 프로파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프로파일은 차량 좌석의 좌석 레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은, 서로 조립되어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데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부, 네 개의 벽부 및 하나의 커버를 포함한다. 특히 벽부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강 반제품으로부터 제조된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배터리 하우징은, 예를 들어 차량의 바닥 영역에서 차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충돌 시 변형이 되지 않거나, 단지 약간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강 반제품은, 그의 높은 인장 강도 및/또는 경도 때문에, 특히 상기 평강 반제품이 차량의 습한 영역에서의 사용으로 인한 부식의 방지를 증진하는 전해 아연 코팅을 구비한 경우에, 전술한 용도에 대해 특히 우수한 적합성을 갖는다. 이 경우, 차량은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개인용 차량이든, 유틸리티 차량이든, 또는 버스이든 상관 없이,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순수 전기 구동 차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강 반제품으로부터 제조된 프로파일은 차량에서 종방향 또는 횡방향 빔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범퍼, 로커 패널(rocker panel), 사이드 쇽업소버에서, 또는 예를 들어 배터리 하우징, 좌석 구조체, 차체, 섀시, 지붕 프레임 등에서와 같이, 충돌 시 변형/침범이 없거나 적어야 하는 영역에서의 프로파일, 특히 충돌 프로파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강 반제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유일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강 반제품(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강 반제품(1)은, 12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370HV10 초과의 경도, 특히 13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400HV10 초과의 경도, 바람직하게는 14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435HV10 초과의 경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465HV10 초과의 경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16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490HV10 초과의 경도를 갖는 마르텐사이트 미세구조를 갖는 강 합금(마르텐사이트상 강)으로 제조된 제1 층(1.1); 및 상기 제1 층(1.1)의 양면에 전면에 걸쳐 재료-대-재료 접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60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90HV10 미만의 경도, 특히 55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75HV10 미만의 경도, 바람직하게는 45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40HV10 미만의 경도, 더 바람직하게는 38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20HV10 미만의 경도를 갖는 연질 강 합금으로 제조된 2개의 제2 층(1.2, 1.2');을 포함한다. 용도에 따라, 가장 단순한 실시에서, 단 하나의 제2 층(1.2)이 제1 층(1.1)에 전면에 걸쳐 재료-대-재료 접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그러므로 제2 층(1.2')은 점선으로 표현된다.
제1 층(1.1)은, Fe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불순물 외에도, 중량% 단위의 C: 0.15-0.6%, Si: 0.05-0.9%, Mn: 0.3-2.0%, Al: 0.01-2.0%, Cr+Mo: 1.5% 이하, Nb+Ti: 0.2% 이하, B: 0.02% 이하, V: 0.25% 이하, Cu: 0.2% 이하, Ni: 0.3% 이하, Sn: 0.05% 이하, Ca: 0.01% 이하, As: 0.02% 이하, N: 0.01% 이하, P: 0.06% 이하, S: 0.03% 이하로 구성된다. 제2 층(1.2, 1.2')은, Fe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불순물 외에도, 중량% 단위의 C: 0.2% 이하, Si: 0.01-0.6%, Mn: 0.1-2.5%, Al: 0.01-2.0%, Cr+Mo: 1.4% 이하, Nb+Ti: 0.25% 이하, B: 0.02% 이하, V: 0.05% 이하, Cu: 0.2% 이하, Ni: 0.2% 이하, Sn: 0.05% 이하, Ca: 0.01% 이하, Co: 0.02% 이하, N: 0.01% 이하, P: 0.1% 이하, S: 0.06% 이하로 구성되며, 이들은 바람직하게 미세합금화된 강 합금으로부터 형성된다.
제2 층(1.2, 1.2')의 재료 두께는 특히 면 마다, 제1 층(1.1)의 긍정적인 특성이 실질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결정되며, 여기서 제2 층의 재료 두께는 평강 반제품(1)의 총 재료 두께를 기준으로 (면 당) 적어도 2% 및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및 최대 12%이고, 여기서 평강 반제품(1)은, 예를 들어, 0.5 내지 6mm의 총 재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층(1.2, 1.2')은, 평강 반제품의 제1 층(1.1)에 비해 코팅에 적합하기 때문에, 제2 층들의 자유 표면이 아연을 기재로 하는 부식방지 코팅, 바람직하게는 각각 전해 아연 코팅(1.3, 1.3')을 갖는다. 코팅(1.3')은, 예를 들어 평강 반제품(1)의 가장 간단한 실시양태에서는, 이미 상세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층(1.2')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코팅도 마찬가지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및 전반적인 설명에서의 실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본 발명의 평강 반제품은 맞춤형(tailored) 제품, 예를 들어 맞춤형 블랭크 및/또는 맞춤형 압연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200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및/또는 370HV10 초과의 경도를 갖는 마르텐사이트 강 합금으로 제조된 제1 층(1.1); 및 상기 제1 층(1.1)과 전면에 걸쳐 재료-대-재료 접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600MPa 미만의 인장 강도 및/또는 190HV10 미만의 경도를 갖는 연질 강 합금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층(1.2, 1.2');을 포함하는 평강 반제품(1)으로서,
여기서 제1 층(1.1)은 Fe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불순물 외에도, 중량% 단위의 C: 0.15-0.6%, Si: 0.05-0.9%, Mn: 0.3-2.0%, Al: 0.01-2.0%, Cr+Mo: 1.5% 이하, Nb+Ti: 0.2% 이하, B: 0.02% 이하, V: 0.25% 이하, Cu: 0.2% 이하, Ni: 0.3% 이하, Sn: 0.05% 이하, Ca: 0.01% 이하, As: 0.02% 이하, N: 0.01% 이하, P: 0.06% 이하, S: 0.03% 이하로 구성되고; 제2 층(1.2, 1.2')은 Fe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불순물 외에도, 중량% 단위의, C: 0.2% 이하, Si: 0.01-0.6%, Mn: 0.1-2.5%, Al: 0.01-2.0%, Cr+Mo: 1.4% 이하, Nb+Ti: 0.25% 이하, B: 0.02% 이하, V: 0.05% 이하, Cu: 0.2% 이하, Ni: 0.2% 이하, Sn: 0.05% 이하, Ca: 0.01% 이하, Co: 0.02% 이하, N: 0.01% 이하, P: 0.1% 이하, S: 0.06% 이하로 구성되는, 평강 반제품.
제1항에 있어서, 평강 반제품(1)은, 제1 층(1.1)의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층과 전면에 걸쳐 재료-대-재료 접합 방식으로 연결된 2개의 층(1.2, 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반제품.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층(1.2, 1.2')이 평강 반제품의 총 재료 두께를 기준으로 2% 내지 30%, 특히 5% 내지 20%의 재료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반제품.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강 반제품(1)이 전해 도포된 아연 코팅(1.3, 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반제품.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강 반제품(1)이 클래딩 또는 주조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반제품.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평강 반제품을 냉간 성형하는, 도로 차량 제조, 철도 차량 제조, 조선 또는 항공우주산업을 위한 부품의 제조 방법.
제6항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제조를 위해 절첩, U-O 성형 또는 압연 프로파일링을 통해 냉간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충돌 프로파일, 특히 차량의 배터리 하우징의 프로파일로서의, 제7항에 따라 제조된 프로파일의 용도.
차량 좌석의 좌석 레일로서의, 제7항에 따라 제조된 프로파일의 용도.
KR1020197028245A 2017-03-03 2018-02-22 평강 반제품,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190126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3507.2A DE102017203507A1 (de) 2017-03-03 2017-03-03 Stahlflachhalbzeu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mponente und Verwendung
DE102017203507.2 2017-03-03
PCT/EP2018/054372 WO2018158130A1 (de) 2017-03-03 2018-02-22 Stahlflachhalbzeu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mponente und verwe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094A true KR20190126094A (ko) 2019-11-08

Family

ID=6152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245A KR20190126094A (ko) 2017-03-03 2018-02-22 평강 반제품,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017941A1 (ko)
EP (1) EP3589487A1 (ko)
JP (1) JP2020514547A (ko)
KR (1) KR20190126094A (ko)
CN (1) CN110392631A (ko)
DE (1) DE102017203507A1 (ko)
MX (1) MX2019010315A (ko)
WO (1) WO2018158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101045B1 (en) 2018-12-11 2020-06-11 Qventis GmbH Method for the manufacture and use of a bionic hydrogel composition for medical applications
DE102018132171A1 (de) * 2018-12-13 2020-06-18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Batteriegehäuse und Verwendung
DE102019116363A1 (de) 2019-06-17 2020-12-1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anzerungsbauteils für Kraftfahrzeuge
DE102019211064A1 (de) * 2019-07-25 2021-01-28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Mehrlagenverbundrohre und Mehrlagenverbundprofile aus Zwei- oder Mehrlagenverbundcoils
CN111607732A (zh) * 2020-05-22 2020-09-01 广东合一纳米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纳米中碳结构钢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123447T3 (pl) 2008-05-07 2019-05-31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Tworzywo kompozytowe z efektem ochrony balistycznej
DE102008022709A1 (de) 2008-05-07 2009-11-19 Thyssenkrupp Steel Ag Verwendung eines metallischen Verbundwerkstoffs in einer Fahrzeugstruktur
DE102014114365A1 (de) * 2014-10-02 2016-04-07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Mehrschichtiges Stahlflachprodukt und daraus hergestelltes Bauteil
DE102015114989B3 (de) * 2015-09-07 2016-09-29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auteilstruktur mit verbesserten Fügeeigenschaften und Bauteilstrukt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17941A1 (en) 2020-01-16
EP3589487A1 (de) 2020-01-08
JP2020514547A (ja) 2020-05-21
DE102017203507A1 (de) 2018-09-06
MX2019010315A (es) 2019-10-21
WO2018158130A1 (de) 2018-09-07
CN110392631A (zh)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6094A (ko) 평강 반제품,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용도
US10167023B2 (en) Vehicle underbody structure and vehicle body
CA3003217C (en) B-pillar central be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10974780B2 (en) Method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vehicle door frame inner reinforcement element, for producing a vehicle door frame and for producing a vehicle reinforcement structure
EP3552754A1 (en) Tailor welded blank,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hot stamped component using tailor welded blank
US20180370578A1 (en) Body component or chassis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having improved crash perform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060646B1 (en) Stainless steel sheet for structural members excellent in impact -absorbing characteristics
KR101585736B1 (ko) 내식성 및 마이크로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도금강판, 이를 이용한 열간 프레스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CN110621497B (zh) 热成形材料,组件以及用途
KR20190113776A (ko) 불균일한 특성분포를 갖는 강철물질 복합재
US11110686B2 (en) Hot-working material, component and use
US20190084273A1 (en) Semifinished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component, use of a semifinished part, and vehicle component
JP2019508248A (ja) 局所的な補強エリアを備えた内側自動車構造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10087977B (zh) 用于车厢的后面的加强结构
KR20200064109A (ko) 열간 성형 복합 재료, 그 열간 성형 복합 재료의 제조, 부품 및 그 부품의 용도
Moon Recent Trends of Coated Sheet Steels for Automotive use
WO2024074946A1 (en) Rear floor panel and structur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20512207A (ja) 一体接合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