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85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851A
KR20190125851A KR1020180050173A KR20180050173A KR20190125851A KR 20190125851 A KR20190125851 A KR 20190125851A KR 1020180050173 A KR1020180050173 A KR 1020180050173A KR 20180050173 A KR20180050173 A KR 20180050173A KR 20190125851 A KR20190125851 A KR 20190125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wall
cooling
button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to KR102018005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851A/ko
Publication of KR2019012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등을 빠르게 냉각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급속 냉동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함몰된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 내의 상측 내벽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 내부의 가이드에 연결된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의 터치에 따라 상기 토출구는 상기 캐비티를 향해 냉기를 토출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등을 빠르게 냉각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가정용 냉장 기기(또는 냉장고)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갖추어 음식물 등을 영상 또는 영하의 저온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서, 저온 범위에 따라 수용공간의 내부를 영상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냉장실과 수용공간의 내부를 영하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정수된 물과 얼음에 대한 가정 내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정수기와 제빙기(Ice Maker)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냉장 기기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에서, 제빙기는 냉장 기기의 양태에 따라 냉동실,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등을 빠르게 냉각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급속 냉동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함몰된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 내의 상측 내벽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 내부의 가이드에 연결된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의 터치에 따라 상기 토출구는 상기 캐비티를 향해 냉기를 토출한다.
상기 냉장고는 가이드의 내벽에 힌지 결합된 개폐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가이드의 내벽을 마주보도록 회전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캐비티에 삽입 가능한 냉각 컵을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캐비티의 상측 내벽으로부터 상기 캐비티의 하측 내벽을 향해 연장된 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 컵은 상기 레버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다.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이 한 번 터치될 경우, 상기 토출구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냉기를 토출한다.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으로 두 번 터치될 경우, 상기 급속 냉각 버튼에 조절 가능한 냉각 시간이 표시된다.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터치된 상태로 유지될 경우, 상기 급속 냉각 버튼에 조절 가능한 냉각 온도가 표시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가이드의 내벽 또는 상기 토출구의 내벽에 힌지 결합된 팬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팬과 상기 개폐부는 상기 팬과 상기 개폐부 사이의 영역 내에서 회전한다.
상기 급속 냉동 버튼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가이드의 내벽을 마주보도록 회전하고, 상기 팬은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도록 회전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캐비티의 하측 내벽에 배치된 압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 등을 빠르게 냉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냉동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3의 디스펜서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디스펜서의 단면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디스펜서에 냉각 컵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디스펜서의 단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팬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냉동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100), 본체(100)의 내부에 제공되고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200), 본체(100)의 내부에 제공되고 냉매관(200)을 흐르는 냉매를 증발시켜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300), 증발기(3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증발기(300)에 착상되는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히터(400) 및 증발기(300) 및 제상히터(400) 사이에 구비되고 증발기(300)로 귀환되는 냉기(이하, 귀환 냉기) 속의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 흡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100)가 베리어(11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냉장실(120)과 냉동실(130)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상기 저장공간은 냉장고(10)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냉장실(120)에는 식품이 냉장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냉장실(120)은 냉장실 도어(125)에 의해 내부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장실 도어(125)는 상단과 하단이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냉동실(130)에는 식품이 냉동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냉동실(130)은 베리어(110)에 의해 냉장실(120)과 분리 구획될 수 있으며, 냉동실 도어(135)에 의해 내부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동실 도어(135)는 상단과 하단이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냉동실 도어(135)의 전면에는 디스펜서(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50)는 냉동실 도어(135)의 전면에서 함몰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냉동실 도어(135)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디스펜서(50)를 통해 냉수 및 온수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냉동실(130)의 후방에는 냉동실(130)의 후면벽에 의해 냉기 생성실(14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냉기 생성실(140)에서는 냉기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냉기는 냉동실(130)의 후면벽에 천공 형성된 냉기 토출구(132)를 통해 냉동실(13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냉매관(200)은 본체(10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관(200)은 다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냉매관(200)의 내부에는 냉매가 흐를 수 있다.
여기서, 냉매관(200)은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는 동작 유체인 냉매가 흐르는 통로이다. 일반적인 냉각 사이클은 냉매의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순환됨에 따라, 냉기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미도시)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로 압축되고, 응축기(미도시)에 의해 상기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응축되며, 팽창기(미도시)에서 상기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가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로 팽창된다. 이어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가 증발기(300)로 전달되면, 증발기(132)에서 상기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300) 주변의 공기는 열을 빼앗겨, 냉기가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팽창기는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된 기계실(150)에 배치될 수 있고, 증발기(300)는 냉기 생성실(140)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냉동실(130)의 후방에 구비된 하나의 증발기(300)에 의해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이 모두 냉각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에 각각 증발기(300)가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증발기(300)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냉동실(130)의 후면벽에 천공 형성된 냉기 토출구(132) 및 증발기(300)의 상측에 구비된 냉각팬(142)을 통해 냉동실(13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130) 내부를 순환하면서 냉동실(130) 내부를 냉각시킨 냉기는 본체(100)의 하측에 형성된 냉기 귀환 덕트(144)를 통해 냉기 생성실(140)로 귀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기 귀환 덕트(144)를 통해 귀환된 냉기는 다시 증발기(300)에서 열교환되어 냉기 토출구(132) 및 냉각팬(142)을 통해 냉동실(130)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냉기의 순환 과정은 반복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냉동실(130)은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증발기(300)의 표면 온도는 고내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고내를 순환하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300)의 표면에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응축수는 증발기(300)의 표면에 얼어붙어 성에로 착상되는데, 이러한 성에가 증발기(300)에 일정 정도 이상 착상되면, 고내의 공기가 증발기(300)에 의해 빼앗기는 열량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증발기(300)의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증발기(300)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냉각 운전을 중단한 채로 증발기(300)에 착상된 성에를 녹이기 위한 제상 운전을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제상 운전을 위해 증발기(300)의 하측에는 제상히터(4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상히터(400)는 증발기(300)에 착상되는 성에를 녹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상히터(400)는 약 160℃ 내지 약 200℃의 온도 범위의 열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에 의해 증발기(300)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제상 운전시, 제상히터(400)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고내의 온도는 증가하므로 냉각 운전이 다시 유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냉장고(10)의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제상 운전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서 냉장고(1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증발기(300)와 제상히터(400) 사이에는 증발기(300)로 귀환되는 냉기에 포함된 수분을 적어도 일부 흡수할 수 있는 수분 흡수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수분 흡수부(500)는 귀환 냉기에 포함된 수분을 적어도 일부 흡수할 뿐만 아니라, 제상 운전시에는 수분 흡수부(500)에 흡수된 귀환 냉기의 수분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3의 디스펜서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디스펜서의 단면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디스펜서에 냉각 컵(800)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펜서(5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622), 제어부(600), 제 1 토출구(681), 제 2 토출구(682), 제 1 가이드(671), 제 2 가이드(672), 레버(666), 개폐부(730), 온도 센서(650), 압력 센서(690) 및 팬(9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버튼(601), 얼음 버튼(602) 및 급속 냉각 버튼(603)을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개폐부(730) 및 팬(900) 등 디스펜서(50)의 각종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캐비티(622)는 냉동실 도어(135)의 전면(前面)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함몰된 홈이다.
제 1 토출구(681), 제 2 토출구(682) 및 레버(666)는 캐비티(622) 내의 상측 내벽의 서로 다른 곳에 배치된다.
레버(666)는 캐비티(622)의 상측 내벽으로부터 그 캐비티(622)의 하측 내벽을 향해 연장 또는 돌출된다.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이 레버(666)에 가해질 경우, 이 레버(666)는 캐비티(622)의 후면 내벽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다. 압력이 제거되면 레버(666)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제 1 토출구(681)는 냉동실 도어(135) 내부의 제 1 가이드(671)에 연결된다. 물 버튼(601)이 터치된 후 레버(666)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제 1 토출구(681)는 캐비티(622)를 향해 물을 토출한다. 다시 말하여, 물 버튼(601)이 터치된 후 레버(666)가 눌려질 경우 제 1 가이드(671)로부터 제공된 물이 제 1 토출구(681)를 통해 토출된다.
개폐부(730)는 제 2 가이드(672)부의 내벽에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어, 개폐부(730)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 2 가이드(672)부의 내벽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730)는 그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얼음 버튼(602) 및 급속 냉각 버튼(603)이 터치되지 않으면, 개폐부(730)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개폐부(730)는 제 2 토출구(628)를 마주보게 위치한다. 그러나, 이 얼음 버튼(602) 또는 급속 냉각 버튼(603)이 터치될 경우, 개폐부(730)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개폐부(730)는 제 2 가이드(672)부의 내벽을 마주보도록 회전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7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가이드(672)부의 내벽과 마주볼 수 있다. 개폐부(730)가 열린 상태에서 얼음 또는 냉기가 토출될 수 있다. 물 버튼(601)이 터치된 상태에서도 개폐부(730)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제 2 토출구(682)는 냉동실 도어(135) 내부의 제 2 가이드(672)에 연결된다. 얼음 버튼(602)이 터치된 후 레버(666)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개폐부(730)가 열리고 제 2 토출구(682)는 캐비티(622)를 향해 얼음을 토출한다. 다시 말하여, 얼음 버튼(602)이 터치된 후 레버(666)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제 2 가이드(672)로부터 제공된 얼음이 제 2 토출구(682)를 통해 토출된다.
급속 냉각 버튼(603)이 터치될 경우, 개폐부(730)가 열리고 제 2 토출구(682)는 캐비티(622)를 향해 냉기를 토출한다. 다시 말하여, 급속 냉각 버튼(603)이 터치될 경우, 개폐부(730)가 제 2 가이드(672)의 내벽을 마주보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후 냉동실(135)로부터의 냉기가 제 2 가이드(672)를 통해 제 2 토출구(682)로 안내된다. 한편, 이 냉동실(135)의 냉기는 전술된 팬(142)에 의해 제 2 가이드(672)로 제공될 수 있다.
급속 냉각 버튼(603)이 한 번 터치될 경우, 제 2 토출구(68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하, 제 1 시간) 동안 냉기를 토출한다. 이때, 개폐부(730)는 그 제 1 시간 동안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토출된 냉기는, 예를 들어, 도 6의 냉각 컵(8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냉기는 그 제 1 시간 동안 냉각 컵(800)에 공급될 수 있다.
급속 냉각 버튼(603)이 미리 설정된 시간(이하, 제 2 시간) 동안 연속으로 두 번 터치될 경우, 그 급속 냉각 버튼(603)에 조절 가능한 냉각 시간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그 급속 냉각 버튼(603)이 그 제 2 시간 동안 두 번 연속 터치될 경우, 그 급속 냉각 버튼(603) 자체가 냉각 시간을 표시하는 터치 표시 장치로 변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 급속 냉각 버튼(603)의 터치 표시 장치를 터치함으로써 냉각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냉각 시간의 조절이 완료되면, 개폐부(730)가 열리고 제 2 토출구(682)를 통해 냉기가 토출된다. 토출된 냉기는, 예를 들어, 도 6의 냉각 컵(8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냉기는 설정된 목표 냉각 시간 동안 냉각 컵(800)에 공급될 수 있다.
급속 냉각 버튼(603)이 미리 설정된 시간(이하, 제 3 시간) 이상으로 터치된 상태로 유지될 경우, 그 급속 냉각 버튼(603)에 조절 가능한 냉각 온도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그 급속 냉각 버튼(603)이 그 제 3 시간 터치된 상태로 유지될 경우, 그 급속 냉각 버튼(603) 자체가 냉각 온도를 표시하는 터치 표시 장치로 변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 급속 냉각 버튼(603)의 터치 표시 장치를 터치함으로써 냉각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각 온도의 조절이 완료되면, 개폐부(730)가 열리고 제 2 토출구(682)를 통해 냉기가 토출된다. 토출된 냉기는, 예를 들어, 도 6의 냉각 컵(8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냉기는 그 냉각 컵(800)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급될 수 있다. 이 냉각 컵(800)의 온도는 온도 센서(65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650)에 의해 감지된 냉각 컵(800)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 센서(650)는 온도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 온도 감지 신호는 제어부(600)에 전달된다. 그러면, 제어부(600)는 이 온도 감지 신호에 따라 폐쇄 신호를 개폐부(730)로 전달하며, 이 개폐부(730)는 이 폐쇄 신호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토출구(682)를 폐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컵(800)은 캐비티(622)에 삽입될 수 있다. 냉각 컵(800)은 캐비티(62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각 컵(800)의 개구부는 온도 센서(650)와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냉각 컵(800)이 캐비티(622)에 배치될 때, 온도 센서(650)는 그 냉각 컵(800)의 개구부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냉각 컵(800)의 온도가 그 온도 센서(650)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컵(800)에 의해 레버(666)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 컵(800)은 홈(800a)을 가질 수 있다. 냉각 컵(800)이 캐비티(622)에 배치되면 레버(666)는 그 냉각 컵(800)의 홈(800a)에 위치한다. 따라서, 냉각 컵(800)과 레버(666)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냉각 컵(800)의 내부에는 냉각하고자 하는 물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수 캔, 과일 등과 같은 것들이 그 냉각 컵(800) 내에 담길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622)의 하측 내벽에 압력 센서(69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압력 센서(690)는 냉각 컵(800)이 그 캐비티(622)의 하측 내벽에 위치할 경우 그 캐비티(622)의 하중을 감지한다. 이 압력 센서(690)는 캐비티(622)에서의 냉각 컵(80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캐비티(622)의 하측 내벽에 냉각 컵(800)이 배치되면, 압력 센서(690)를 이를 감지하여 압력 감지 센서 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한다. 제어부(600)는 그 압력 감지 센서 신호에 따라 오픈 신호를 개폐부(730)로 공급하며, 이 개폐부(730)는 이 오픈 신호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토출구(682)를 오픈한다. 다시 말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급속 냉각 버튼(603)이 터치된 경우 (또는 목표 온도 또는 목표 시간의 설정이 완료된 경우) 개폐부(730)가 열리는 것이 아니라, 냉각 컵(800)이 캐비티(622)에 배치되었을 때 개폐부(730)가 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술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시간 등의 설정이 완료된 후 냉각 컵(800)이 캐비티(622)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3의 디스펜서의 단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는 팬(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900)은 제 2 토출구(682)의 내벽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 2 토출구(682)의 내벽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팬은 그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팬(900)과 개폐부(730)는 그 팬(900)과 개폐부(730) 사이의 영역 내에서 회전한다.
급속 냉각 버튼(603)이 터치되지 않으면, 팬은 제 2 토출구(682)의 내벽 및 제 2 가이드(672)의 내벽을 마주보게 위치한다. 그러나, 이 급속 냉각 버튼(603)이 터치될 경우, 팬(900)은 제 2 토출구(682)를 마주보도록 회전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9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토출구(682)와 마주볼 수 있다. 반면, 이 급속 냉동 버튼(603)의 터치에 따라 개폐부(730)는 제 2 가이드(672)의 내벽을 마주보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팬은 제 2 가이드(672)로부터의 냉기가 제 2 토출구(682)를 향해 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팬은,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회전 날개(901), 회전 날개의 중심(901)에 연결된 중심 축(903) 및 회전 날개(901)를 둘러싸는 보호 링(90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날개(901)는 회전 축(90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날개(901)의 회전에 의해 제 2 가이드(672)에서 제 2 토출구(682) 방향으로의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제 2 가이드(672)로부터의 냉기는 제 2 토출구(682) 방향으로 더욱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팬(900)에 의해 냉각 컵(800)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 축(903)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50: 디스펜서 600: 제어부
671: 제 1 가이드 672: 제 2 가이드
681: 제 1 토출구 682: 제 2 토출구
666: 레버 622: 캐비티
730: 개폐부 800: 냉각 컵
800a: 홈 690: 압력 센서

Claims (13)

  1.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급속 냉동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함몰된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 내의 상측 내벽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 내부의 가이드에 연결된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의 터치에 따라 상기 토출구는 상기 캐비티를 향해 냉기를 토출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내벽에 힌지 결합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가이드의 내벽을 마주보도록 회전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에 삽입 가능한 냉각 컵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캐비티의 상측 내벽으로부터 상기 캐비티의 하측 내벽을 향해 연장된 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 컵은 상기 레버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이 한 번 터치될 경우, 상기 토출구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냉기를 토출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으로 두 번 터치될 경우, 상기 급속 냉각 버튼에 조절 가능한 냉각 시간이 표시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터치된 상태로 유지될 경우, 상기 급속 냉각 버튼에 조절 가능한 냉각 온도가 표시되는 냉장고.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내벽 또는 상기 토출구의 내벽에 힌지 결합된 팬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팬과 상기 개폐부는 상기 팬과 상기 개폐부 사이의 영역 내에서 회전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동 버튼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가이드의 내벽을 마주보도록 회전하고, 상기 팬은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도록 회전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하측 내벽에 배치된 압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80050173A 2018-04-30 2018-04-30 냉장고 KR20190125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173A KR20190125851A (ko) 2018-04-30 2018-04-3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173A KR20190125851A (ko) 2018-04-30 2018-04-3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851A true KR20190125851A (ko) 2019-11-07

Family

ID=68579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173A KR20190125851A (ko) 2018-04-30 2018-04-3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58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992B2 (en) Refrigerator
KR101809971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339519B1 (ko) 도어에 제빙실의 냉동 시스템이 설치된 냉장고
KR20170115841A (ko) 냉장고
KR20160023105A (ko) 냉장고
JP2017116224A (ja) 冷蔵庫
JP2008249292A (ja) 冷蔵庫
EP2778577B1 (en) Refrigerator
KR100584271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2019004908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70067559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798570B1 (ko)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20150072951A (ko) 냉장고
KR101320806B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구조
KR101123322B1 (ko) 냉장고의 냉기 조절 장치
KR20190125851A (ko) 냉장고
KR101635646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080068233A (ko) 냉장고의 과냉각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6008192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160370088A1 (en)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for
JP2012082985A (ja) 冷蔵庫
KR100894473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 조절장치
JP2002195724A (ja) 冷蔵庫
KR20050063258A (ko) 냉장고의 송풍팬 운전 제어방법
JP7438451B2 (ja) 冷凍冷蔵庫